KR0130503Y1 - 해정위치 구속형 래치장치 - Google Patents

해정위치 구속형 래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503Y1
KR0130503Y1 KR2019950041078U KR19950041078U KR0130503Y1 KR 0130503 Y1 KR0130503 Y1 KR 0130503Y1 KR 2019950041078 U KR2019950041078 U KR 2019950041078U KR 19950041078 U KR19950041078 U KR 19950041078U KR 0130503 Y1 KR0130503 Y1 KR 01305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latch bolt
door
lock lever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10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6086U (ko
Inventor
겐이치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다키모토 히데아키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키모토 히데아키,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키모토 히데아키
Publication of KR9700060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0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5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5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 E05C3/145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latch pivo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8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arrangement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retaining the bolt or latch in the retracted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74Compress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atch Boards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래치볼트를 해정위치로 구속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래치장치를 제공한다.
케이스(2)에 수용한 래치볼트(6)를 선단부가 고정틀체측의 받이쇠(13)의 로쿠구멍(5)에 걸어맞춤하는 방향으로 제1스프링(3)에 의하여 슬라이딩 가압하고, 래치볼트(6)의 분할홈(7)에 수용한 로크레버(8)를 추축(9)에 의하여 래치볼트(6)에 추축하고, 로크레버(8)의 선단면(8a)이 분할홈(7)에 몰입하는 방향으로 로크레버(8)를 제2스프링(10)에 의하여 회전가압하고, 제1스프링(3)의 가압력을 제2스프링(10)보다도 강하게 설정하고, 래치볼트(6)를 해정위치로 후퇴 슬라이딩시켰을 때, 분할홈(7)으로부터 돌출시킨 로크레버(8)의 선단면(8a)을 받이쇠(13)의 로크구멍(5)에 근접한 측면(13a) 에 맞닿게 한다.

Description

해정위치 구속형 래치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1실시형태에 관한 래치장치의 시정상태에 있어서 정면도.
제2도는 해당 래치장치의 저면도.
제3도는 해당 래치장치의 배면도.
제4도는 해당 래치장치의 좌측면도.
제5도는 해당 래치장치의 우측면도.
제6도는 해당 래치장치의 평면도.
제7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8도는 해당 래치장치의 래치볼트를 해정위치에서 구속한 상태의 단면도.
제9도는 제7도의 B-B선 단면도.
제10도는 본 고안의 별도의 실시형태에 관한 래치장치의 시정상태에 있어서 정면도.
제11도는 해당 래치장치의 저면도.
제12도는 해당 래치장치의 배면도.
제13도는 해당 래치장치의 좌측면도.
제14도는 해당 래치장치의 우측면도.
제15도는 해당 래치장치의 평면도.
제16도는 제10도의 C-C선 단면도.
제17도는 해당 래치장치의 래치볼트를 해정위치에서 구속한 상태의 단면도.
제18도는 제11도의 D-D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문짝 2 : 케이스
3 : 제1스프링 4 : 고정틀체
5 : 받이쇠의 로크구멍 6 : 래치볼트
6a : 래치볼트의 선단면 7 : 래치볼트의 분할홈
8 : 로크레버 8a : 로크레버의 선단면
9 : 로크레버의 추축 10 : 제2스프링
11 : 로크레버의 조작부 12 : 래치볼트의 캠사면
13 : 고정틀체측의 받이쇠 14 : 케이스의 슬롯
15 : 케이스의 개구부 16 : 케이스의 창구멍
17 : 로크레버의 횡단구멍 18 : 래치볼트의 횡단구멍
19 : 케이스의 스프링받이돌기 20 : 래치볼트의 스프링받이돌기
21 : 래치볼트의 기립벽부 22 : 기립벽부의 스프링받이구멍
23 : 문짝의 부착구멍 24 : 케이스의 전면턱부
25 : 케이스의 받이홈 26 : 누름판
27 : 누름판의 나사구멍 28 : 고정비스
29 : 로크레버의 노치부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전기기기 수납박스 등의 고정틀체에 대하여 문짝을 자물쇠 고정하는 래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문짝을 고정틀체에 대하여 자물쇠 고정하는 종래의 래치장치에서는, 문짝측에 고착한 케이스에 래치볼트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여, 고정틀체측에 로크구멍을 설치하고, 해당 로크구멍에 걸어맞춤하는 방향으로 래치볼트를 스프링에 의하여 슬라이딩 가압하고 있고, 문짝의 전면측에서 레버핸들이나 노브를 회전조작함으로서, 래치볼트가 해정위치로 후퇴 슬라이딩하게 되어, 문짝의 개방조작은 래치볼트를 해정위치로 구속한 상태에서 행해진다.
문짝의 높이치수가 큰 경우에는, 문짝을 몇 개소에서 자물쇠 고정할 필요가 있지만, 최후의 래치장치를 해정조작하기 까지의 사이에 지금까지 해정조작한 복수의 래치장치의 전체에 레버핸들이나 노브에 손을 걸쳐서, 래치볼트를 해정위치로 구속하여 두는 것은 한사람으로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래치볼트를 해정위치로 구속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래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하, 첨부도면중의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해정위치 5구속형 래치장치에서는, 문짝(1)에 고착되는 케이스(2)에 래치볼트(6)를 수용하고, 고정틀체(4) 측의 받이쇠(13)의 로크구멍(5)에 걸어맞춤하는 방향에 래치볼트(6)를 제1스프링(3)에 의하여 슬라이딩 가압하고, 래치볼트(6)의 분할홈(7)에 수용한 로크레버(8)를 추축(9)에 의하여 래치볼트(6)에 원추형 접합하고, 로크레버(8)의 선단면(8a)이 분할홈(7)에 몰입하는 방향으로 로크레버(8)를 제2스프링(10)에 의하여 회전가압하고, 제1스프링(3)의 가압력을 제2스프링(10)의 가압력보다도 강하게 설정하고 로크레버(8)의 기단부에 조작부(11)를 설치하고, 래치볼트(6)를 해정위치에 후퇴 슬라이딩시켰을 때, 래치볼트(6)의 분할홈(7)으로부터 돌출시킨 로크레버(8)의 선단면(8a)을 받이쇠(13)의 로크구멍(5)에 근접한 측면(13a)에 맞닿게 한다.
[고안의 실시형태]
제1도로부터 제9도에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상자형의 케이스(2)는 금속제이고, 래치볼트(6)의 슬라이딩 방향에 따라 긴 슬롯(14)이 케이스(2)의 상하측면벽에 설치되고, 케이스(2)의 좌측면벽에는 래치볼트(6)의 선단부분이 출입하는 개구부(15)를 설치하고 있다. 케이스(2)의 전면벽에는, 로크레버(8)의 조작부(11)의 선단부가 돌출하는 가로가 긴 창구멍(16)이 설치되어 있다. 금속제의 래치볼트(6)는 상기 개구부(15)로부터 케이스(2)에 조립되고, 금속제의 로크레버(8)는 해당 개구부(15) 또는 창구멍(16)으로부터 케이스(2)와 래치볼트(6)에 조립되고, 케이스(2)의 상기 슬롯(14)을 통하여 스프링핀으로 이루어지는 추축(9)이 로크레버(8)의 기단부의 횡단구멍(17)과 래치볼트(6)의 횡단구멍(18)에 삽입된다. 이로서 래치장치의 조립이 간단하게 행해지는 것으로 되어, 또, 견고한 구조의 래치장치가 얻어진다.
슬롯(14)내에 돌출하고 있는 추축(9)의 양단부는, 래치볼트(6)가 시정위치에 왔을 때 슬롯(14)의 좌단부 내면에 맞닿아서, 래치볼트(6)의 그 이상의 전진을 저지한다.
다른 한편, 래치볼트(6)가 해정위치에 왔을 때, 추축(9)의 양단부는 슬롯(14)의 우단부 내면에 맞닿는다. 즉, 추축(9)과 슬롯(14)은 래치볼트(6)의 안내수단과 정지수단으로 되어 있다.
케이스(2)의 우측면벽의 내측에는 스프링받이돌기(19)가 설치되고, 래치볼트(6)의 우단면부에는 스프링받이돌기(20)가 설치되어 있다. 래치볼트(6)의 분할홈(7)의 우단부를 폐쇄하는 기립벽부(21)의 좌측면에는, 스프링받이구멍(22)이 설치되어 있다. 래치볼트 가압용의 제1스프링(3)과 로크레버 가압용의 제2스프링(10)은 어느것이나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제1스프링(3)의 각 단부는 상기 스프링받이돌기(19,20)에 끼워진다. 제2스프링(10)은 대부분을 상기 스프링받이구멍(22)에 끼워 넣어지고, 스프링받이구멍(22)에서 돌출한 좌측부분이 로크레버(8)의 조작부(11)의 우측면에 맞닿고 있다.
제2스프링(10)은 추축(9)에 관하여 분할홈(7)의 반대축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2스프링(10)의 가압력은 로크레버(8)의 선단면(8a)을 분할홈(7)에 몰입시키는 방향, 즉 제7도에서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다. 선단면(8a)이 몰입위치에 있을 때, 로크레버(8)는 조작부(11)를 제외한 전체가 분할홈(7)내에 수납되어 있다.
케이스(2)는 문짝(1)의 부착구멍(23)에 문짝 전면측에서 삽입되고, 전면턱부(24)를 문짝(1)의 전면에 부딪치게 된다. 케이스(2)의 상하측면벽에 전면턱부(24)와 평행으로 설치한 받이홈(25,25)에는 U자형 누름판(26)의 양각부가 삽입되고, 양각부의 나사구멍(27,27)에 나사박은 고정비스(28,28)의 선단부가 문짝(1)의 배면에 부딪치게 된다. 각 고정비스(27)를 체결함으로서, 누름판(26)의 양 다리부가 각 받이홈(25)의 홈벽면(25a)에 부딪치게 되므로, 케이스(2)는 문짝(1)에 대하여 견고하게 채결 고착된다.
문짝(1)이 개방되어 있을 때, 래치볼트(6)는 선단부가 케이스(2)로부터 돌출하고, 로크레버(8)의 선단면(8a)은 래치볼트(6)의 분할홈(7)내에 몰입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문짝(1)을 폐쇄방향으로 회전조작하면, 회전종단부에 있어서 래치볼트(6)는 선단부의 캠사면(12)에 있어서 고정틀체(4)의 개구 가장자리부(4a)에 맞닿는다. 문짝(1)의 폐쇄회전이 더욱 속행되면, 개구 가장자리부(4a)에 의하여 캠사면(12)을 누름한 래치볼트(6)는 제1스프링(3)의 가압에 맞서서 케이스(2)내에 일단 후퇴 슬라이딩하고 래치볼트(6)의 선단면(6a)은 고정틀체(4)의 받이쇠(13)의 측면(13a)에 슬라이딩 접촉한다.
문짝(1)이 전폐위치까지 회전한 순간에, 래치볼트(6)는 제1스프링(3)의 슬라이딩 가압에 의하여 케이스(2)로부터 돌출하고,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이쇠(13)의 로크구멍(5)에 걸어맞춤하여 문짝(1)을 고정틀체(4)에 대하여 자물쇠 고정한다.
이 시정위치에 있어서는, 제2스프링910)의 회전가압에 의하여 로크레버(8)는 선단면(8a)이 래치볼트(6)의 분할홈(7)에 몰입한 상태에 있다.
이 문짝(1)을 해정개방함에는, 로크레버(8)의 조작부(11)에 걸은 손가락을 우측으로 당김으로서, 로크레버(8)와 함께 래치볼트(6)를 제1스프링(3)의 가압에 맞서서 후퇴슬라이딩시켜, 래치볼트(6)의 선단부를 받이쇠(3)의 로크구멍(5)으로부터 탈출한다.
이 래치볼트(6)의 후퇴조작의 종단에 있어서, 제2스프링(10)의 가압에 맞서서 조작부(11)를 비스듬히 눌러내리면, 로크레버(8)가 추축(9)을 중심으로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하고, 로크레버(8)의 선단면(8a)이 래치볼트(6)의 분할홈(7)으로터 돌출한다.
이 돌출상태를 유지하면서, 손가락끝의 힘을 약하게 하면 래치볼트(6)가 제1스프링(3)의 가압에 의하여 약간 전진하기 때문에,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레버(8)의 선단면(8a)이 받이쇠(13)의 로쿠구멍(5)에 근접한 측면(13a)에 맞닿는다.
이 맞닿음에 의하여 래치볼트(6)를 선단부가 로크구멍(5)에 다시 걸어맞춤하지 않는 위치, 즉, 해정위치로 돌연 유지되는 것으로 된다. 제2스프링(10)의 가압력은 제1스프링(3)의 가압력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2스프링(10)에 의하여 래치볼트(6)가 후퇴 슬라이딩되어 로크레버(8)가 분할홈(7)내에 몰입하게 되는 것, 즉 상기한 로크레버(8)에 의하여 돌연 유지작용이 상실하는 일은 없다.
문짝(1)에 복수개의 래치장치가 사용되는 경우, 각 래치장치의 래치볼트(6)는 차례로 이와 같이 구속되고, 최후의 래치장치를 해정조작하여 문짝(1)을 개방조작할때까지 이 구속상태가 확보된다. 문짝(1)을 개방하면 로크레버(8)에 의한 돌연 유지작용이 상실하기 때문에 래치볼트(6)는 제1스프링(3)의 가압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전진하고, 선단부가 케이스(2)로부터 소요길이 돌출한다. 또, 로크레버(8)는 제2스프링(10)의 가압에 의하여 복귀회전하고, 선단면(8a)이 래치볼트(6)의 분할홈(7)내로 몰입한다.
제10도에서 제18도에 도시한 본 고안의 별도의 실시형태에서는 제2스프링(10)은 비틀림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이 코일부(10a)는 추축(9)에 끼워지고, 로크레버(8)의 우측면에 형성한 노치부(29)에 수용되어 있다. 제2스프링(10)의 한쪽 끝부(10b) 노치부(29)의 저면에 맞닿고, 다른쪽 끝부(10c)는 래치볼트(6)의 분할홈(7)의 저면에 맞닿고 있다. 기타의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실시형태와 꼭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고안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래치장치에서는, 케이스(2)에 수용한 래치볼트(6)를 선단부가 고정틀체측의 받이쇠(13)의 로크구멍(5)에 걸어맞춤하는 방향으로 제1스프링(3)에 의하여 슬라이딩 가압하고, 래치볼트(6)의 분할홈(7)에 수용한 로크레버(8)를 추축(9)에 의하여 래치볼트(6)에 원추형 접합하고, 로크레버(8)의 선단면(8a)이 분할홈(7)에 투입하는 방향으로 로크레버(8)를 제2스프링(10)에 의하여 회전가압하고, 제1스프링(3)의 가압력을 제2스프링(10)보다도 강하게 설정하고, 래치볼트(6)를 해정위치로 후퇴 슬라이딩시켰을 때, 분할홈(7)으로부터 돌출시킨 로크레버(8)의 선단면(8a)를 해정위치에 명확하게 구속할 수 있기 때문에 래치장치를 복수개 병열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문짝의 해정개방조작이 혼자서도 간단히 행할 수 있다.

Claims (4)

  1. 문짝(1)에 고착되는 케이스(2)에 래치볼트(6)를 수용하고, 고정틀체(4) 측의 받이쇠(13)의 로크구멍(5)에 걸어맞춤하는 방향에 래치볼트(6)를 제1스프링(3)에 의하여 슬라이딩 가압하고, 래치볼트(6)의 분할홈(7)에 수용한 로크레버(8)를 추축(9)에 의하여 래치볼트(6)에 원추형 접합하고, 로크레버(8)의 선단면(8a)이 분할홈(7)에 몰입하는 방향으로 로크레버(8)를 제2스프링(10)에 의하여 회전가압하고, 로크레버(8)의 기단부에 조작부(11)를 설치하고, 제1스프링(3)의 가압력을 제2스프링(10)의 가압력보다도 강하게 설정하고, 래치볼트(6)를 해정위치에 후퇴 슬라이딩시켰을 때, 분할홈(7)으로부터 돌출시킨 로크레버(8)의 선단면(8a)을 받이쇠(13)의 로크구멍(5)에 근접한 측면(13a)에 맞닿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정위치 구속형 래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2스프링(10)은 압축 코일스프링이고, 추축(9)에 관하여 분할홈(7)의 반대측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정위치 구속형 래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2스프링(10)은 비틀림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정위치 구속형 래치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케이스(2)를 문짝(2)의 부착구멍(23)에 문짝 전면측에서 삽입하여 전면턱부(24)를 문짝(1)의 전면에 부딪치게 하여, 케이스(2)의 상하측면벽에 전면턱부(24)와 평행으로 설치한 받이홈(25,25)에 U자형 누름판(26)의 양각부를 삽입하고, 양각부의 나사구멍(27,27)에 나사박은 고정비스(28,28)의 선단부를 문짝(1)의 배면에 부딪치게 하여, 누름판(26)의 양각부를 각 받이홈(25)의 홈벽면(25a)에 부딪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정위치 구속형 래치장치.
KR2019950041078U 1995-07-31 1995-12-14 해정위치 구속형 래치장치 KR013050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14026 1995-07-31
JP7214026A JP2700447B2 (ja) 1995-07-31 1995-07-31 解錠位置拘束型ラッ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6086U KR970006086U (ko) 1997-02-21
KR0130503Y1 true KR0130503Y1 (ko) 1998-12-15

Family

ID=16649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1078U KR0130503Y1 (ko) 1995-07-31 1995-12-14 해정위치 구속형 래치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700447B2 (ko)
KR (1) KR0130503Y1 (ko)
CN (1) CN1069731C (ko)
TW (1) TW30453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82446A (zh) * 2017-09-15 2018-04-06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锁止机构、阀罩及工程机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46831B2 (en) * 2003-12-22 2006-12-12 Southco, Inc. Slide latch
KR100865185B1 (ko) * 2007-03-23 2008-10-23 이상용 도어록장치
AU2016204675B2 (en) * 2015-07-15 2021-09-30 Azuma Design Pty Limited A latch assembly
CN105089347B (zh) * 2015-09-15 2024-03-22 广东名门锁业有限公司 一种移门锁拉手构造
CN108952367B (zh) * 2017-05-27 2021-01-19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收纳箱
CN110318586B (zh) * 2018-03-30 2021-01-01 云丁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电动门锁及其控制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82446A (zh) * 2017-09-15 2018-04-06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锁止机构、阀罩及工程机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9731C (zh) 2001-08-15
JP2700447B2 (ja) 1998-01-21
JPH0941760A (ja) 1997-02-10
TW304539U (en) 1997-05-01
CN1141998A (zh) 1997-02-05
KR970006086U (ko) 199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5339B1 (ko) 인출회전형 문용 록핸들 장치
DE59710556D1 (de) Verriegelungseinrichtung
US3429151A (en) Portable lock
US7269984B2 (en) Ratcheting pawl latch
GB2161532A (en) Blind latching device
KR0130503Y1 (ko) 해정위치 구속형 래치장치
EP2435648B1 (en) Device for locking second leaves in the closed configuration
US5042857A (en) Electrically releasable door locking means
EP3290623B1 (en) A locking device
JPH0332213Y2 (ko)
KR0127306Y1 (ko) 해정위치 구속형 래치장치
US3514979A (en) Thin spring locks and unlocking means therefor
CN216690649U (zh) 逃生锁
KR0119085Y1 (ko) 인출회전형 문짝용 록핸들장치
KR0131801Y1 (ko) 해정위치 구속형 래치장치
US6529384B1 (en) Card lock
EP1333138B1 (en) Mortise lock for windows, doors and the like
JP2582342B2 (ja) 解錠位置拘束型ラッチ装置
HU212844B (en) Inlaid lock
JP2001262892A (ja) 家具における鍵の誤作動防止装置
JPH0436164Y2 (ko)
JPH0748908Y2 (ja) 平面ハンドル装置
JPH051569Y2 (ko)
KR0130874Y1 (ko) 도어 잠금장치
GB2272726A (en) Bolt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