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071Y1 - 개량된 장신용품 케이스 - Google Patents

개량된 장신용품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071Y1
KR0130071Y1 KR2019960014657U KR19960014657U KR0130071Y1 KR 0130071 Y1 KR0130071 Y1 KR 0130071Y1 KR 2019960014657 U KR2019960014657 U KR 2019960014657U KR 19960014657 U KR19960014657 U KR 19960014657U KR 0130071 Y1 KR0130071 Y1 KR 01300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lid
jewelry
holding member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46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0412U (ko
Inventor
이학수
Original Assignee
이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학수 filed Critical 이학수
Priority to KR20199600146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071Y1/ko
Publication of KR9700604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04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0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0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6Jewel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반지, 목걸이, 귀걸이 등의 장신용품을 담아 보관, 운송, 전시하기 위한 케이스.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케이스와 뚜껑은 단순히 사각체로 구성되어 외관이 미려치 못하고 이로 인해 보관된 장신용품의 가치를 저하시키는 문제와 장식용품을 보거나 착용하기 위해 뚜껑을 열면 끼움공차와 마찰력에 의해 장식용품 협지부재가 케이스에서 빠져 장식용품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야기시키게 되었으므로 케이스에 협지부재를 견고히 결속시켜 협지부재가 빠지는 것을 해결하고자 함.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케이스와 뚜껑이 접하는 면에 오목, 복록부와 구멍으로 다양한 무늬, 모양을 구성시켜 케이스 외관을 미려토록 하여 상품가치를 더 높이고, 케이스와 뚜껑의 접촉면에 다수의 걸림홈을 구비시켜 협지부재의 걸림턱과 결속되게 하여 뚜껑 개폐시 빠짐을 방지하고 케이스와 협지부재 네 모서리에 끼움부를 구비시켜 마찰면 증가로 결속력을 강화함으로 문제점을 해결함.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반지 등의 장신용품을 보관,운송,전시하는 케이스로 사용됨.

Description

개량된 장신용품 케이스
제1도는 본 고안의 케이스가 닫힌 상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케이스가 열린 상태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뚜껑
3 : 협지부재 7,21 : 끼움부
8,15 : 걸림홈 9 : 걸림턱
본 고안은 반지, 브로우치, 목걸이, 귀걸이 등을 담아 보관,전시하는 개량된 장신용품 케이스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으로 재치되거나, 삽.탈되도록 뚜껑이 형성된 주지의 케이스와 뚜껑 접점면에 동.식물.꽃 등의 다양한 디자인을 구비시켜 상품효율을 더 높이고 또, 일측으로 재치되어 열리고 닫히는 케이스와 뚜껑에는 각각 다양한 형태로 다수의 걸림홈을 구비하고 케이스에 요입되는 장신용품 지지부재 외주연에는 다수의 걸림턱을 구비시켜 결속력을 강화함으로서 뚜껑을 열 때 상기 장신용품 지지부재가 빠지는 폐단을 해소토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장신용품 케이스는 사각체로 귀금속을 보관하고 뚜껑을 개.폐할 수 있도록 된 것에 불과하여 케이스이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미려하지 못한 케이스의 외관 때문에 귀금속으로 된 장신용품의 가치를 고양시키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종래의 장신용품 케이스에 있어서 일측을 중심으로 재치되어 열리고 닫히는 일반적인 사각체 케이스는 케이스의 요홈에 장신용품을 고정하기 위한 부재를 끼우고 상기 고정부재와 케이스의 내측 사이에 협지부재를 끼워 장신용품을 보관,전시하는 수단으로 사용하였는데, 이는 협지부재와 케이스가 헐거운 끼워맞춤이 되어 뚜껑을 열 때 협지부재가 상부로 들려 빠져나오는 예가 빈번함으로서 협지부재에 끼움된 고정부재의 장신용품이 바닥등에 떨어져 손상되거나 분실되는 예가 허다하였다.
상기한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당업계에서는 케이스에 장신용품 고정부재와 협지부재를 요입한 다음 이들 접촉면에 접착제로서 고정시키는 수단을 강구하였는 바, 케이스의 조립에 번거러움과 불편함을 초래하고 공정증가로 조립능률 저하와 원가상승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으며 합성수지 케이스를 다양한 형상과 모양이 되도록 구성하지 못하였던 관계로 외관이 너무 단순하고 상품가치를 고양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 귀금속 보관함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국내실용신안 출원공고 제95-7262호가 있으나 이는 반지걸이 또는 개구홈이 내측에 형성되고 사각형으로 된 공지의 결합구 주연부에 일정높이의 상,하부 지지벽을 형성하고 그 지지벽 사이의 외측으로 일정 두께의 테두리를 돌출시킨 다음 결합구의 하측 지지벽을 함체에 결합하고 상측 지지벽은 덮개를 착설하여 결합구의 테두리가 함체와 덮개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한 귀금속 보관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를 다시 요약하면 사각체의 함체와 덮개가 삽,탈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함체와 덮개 사이에 결합구를 끼워 그 외측 테두리가 함체와 덮개 사이로 노출되게 하므로서 외관이 미려해지고 그 결합구로 반지와 보증서 등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보존시킨 상태에서 휴대 및 운반,보관이 용이토록 한 것에 소기의 목적하는 바가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에서는 보증서를 보존시키는 효과는 인정되나 결합구의 상하부 지지벽에 의해 함체와 덮개에 결합되는 수단이므로 상기 함체와 덮개에 끼움하여 사용시 덮개를 열기 위해서는 헐거운 끼워맞춤이 될 수 밖에 없는 것은 당연하고 이와 같은 헐거운 끼워맞춤에 의해 반지를 보거나 손에 끼워보기 위해서 함체와 덮개를 잡고 당기면 결합구가 빠지게 되어 반지등을 떨어뜨려 손상시키거나 분실하는 폐단이 있으며, 외관을 미려토록 함체와 덮개 외측으로 노출된 결합구의 테두리는 사각의 네 모서리에 일체로 연결된 것으로서 다양한 모양을 연출시키지 못함으로서 상품의 가치를 고양시키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개량된 장신용품 케이스는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극복하여 케이스와 뚜껑의 접점에 다양한 디자인을 구비시켜 외관이 미려토록 하고, 또 케이스와 뚜껑을 열고 닫을 때 장신용품 협지부재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케이스에 협지부재를 결속하는 수단인 걸림턱으로서 케이스 전체의 장식효과를 더 높이는데 소기의 목적하는 바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수단으로서 케이스와 뚜껑에 인물, 동.식물, 꽃 등을 디자인하여 오목부와 볼록부등으로 표현되게 하며, 또 일측을 중심으로 재치되어 개폐되는 케이스와 뚜껑의 접점부에 다양한 걸림홈을 다수개 구비시켜 협지부재의 걸림턱과 상호 결속이 되게 하고, 케이스와 협지부재의 네 모서리에 사각테두리와 대응되는 끼움부를 구비시켜 마찰력을 강화함으로서 2차적인 결속력을 더 높이는 한편 협지부재에는 돌출테를 다수 구비시켜 금박테를 형성하는 등의 다양한 색상처리를 함으로서 상품가치를 고양시키는 수단으로 강구하였다.
이하, 부수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개량된 장신용품 케이스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지의 장신용품 케이스(1)와 뚜껑(2) 접점면에 장식이 되도록 오목면과 볼록면, 구멍으로서 다양한 인물, 건축물, 동.식물, 꽃, 기호등을 디자인하여 케이스(1)의 상부 외주연과 뚜껑(2)의 하부 외주연에 반분하여 구성함으로서 케이스(1)와 뚜껑(2)이 닫혔을 때 완전한 하나의 형상과 모양이 되도록 구비시킨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 케이스(1)는 협지부재(3)와 고정부재(4)가 함입되도록 테두리(5)를 돌출시켜 함입실(6)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1)의 테두리(5) 네 모서리에는 덧살을 형성시켜 협지부재(3)와 압삽되게 끼움부(7)를 구비하며 테두리(5)의 상연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다양한 형태의 걸림홈(8)을 다수개 구비하였다.
상기 걸림홈(8)은 협지부재(3)의 걸림턱(9)과 결속되어 협지부재(3)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장식효과가 있도록 한 것이며, 실시예에 따라 사각형 또는 원형 및 꽃, 동.식물 등의 형태로 구비시키고 이종 색상을 표현하여 외관을 미려토록 하였다.
상기 케이스(1)의 일측은 뚜껑(2)을 결합하여 재치할 수 있도록 핀(10)을 돌출시키되 뚜껑(2)과 케이스(1)의 외면이 일직선상이 되도록 핀(10)이 형성되는 테두리를 내측으로 덧살을 주면서 외측에는 뚜껑(2)의 핀구멍(11)을 형성하기 위한 지지편(12)이 요입되는 홈(13)을 구비시켰다.
뚜껑(2)의 일단에는 테두리(14) 하부로 지지편(12)을 돌출시켜 핀구멍(11)을 천공하였으며 케이스(1)의 테두리(5)와 맞닿는 테두리(14)에는 상기 케이스(1)에 형성된 걸림홈(8)과 일응하도록 다수의 걸림홈(15)을 구비시켰다.
장신용품 고정구(4)를 함입하는 협지부재(3)는 외주연에 사각형 또는 원형등의 걸림턱(9)을 다수개 돌출 구비시켜 케이스(1)와 뚜껑(2)에 형성된 걸림홈(8)(15)에 감싸지도록 하면서 외부에서 표면이 보이게 하였으며 협지부재(3)의 일측에는 뚜껑(2)를 좀 더 견고히 닫아주는 돌출부재(16)를 구비시켜 잠금기능을 부여하였으며 상면에는 개공(17)을 뚫어 장신용품을 고정부재(4)에 끼워 돌출되게 하였으며 원형 또는 사각형 형태로 다수의 돌출테(18)(19)를 구비시켜 동종 또는 이종의 색상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돌출테(18)(19)에 색상을 처리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금박테를 접착시키는 방법이 있다.
협지부재(3)의 네모서리 하단에는 다리(20)를 형성하면서 케이스(1)에 형성된 끼움부(7)와 맞물려 결속되는 끼움부(21)를 구비시키고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힘살(22)을 형성하였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23)는 장신용품을 끼워 고정하기 위한 홈, (24)는 장신용품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개량된 장신용품 케이스에 관한 작용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케이스(1)와 뚜껑(2)의 접점면에 형성된 다양한 무늬, 모양은 외관을 미려하게 하면서, 케이스(1)에 보관된 장신용품의 가치를 한층 더 고양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고, 무늬, 모양을 이루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상호 결속되어 뚜껑(2)을 괘지하며 구멍에 의해 보관된 장신용품 뚜껑(2)을 열지 않고도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 작용을 살펴보면 케이스(1) 일단에 돌출된 핀(10)에 뚜껑(2)에 형성된 핀구멍(13)을 밀어넣으면 케이스(1)의 홈(13)에 뚜껑(2)의 지지편(12)이 자리잡게 되어 뚜껑(2)이 핀(10)을 중심으로 재치되어 뚜껑(2)이 개.폐됨으로 장신용품을 보관하거나 전시하기 위해 여.닫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케이스(1)는 함입실(6)에는 장신용품 고정부재(4)와 협지부재(3)를 끼워 함입함으로서 협지부재(3)가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장신용품을 고정부재(4)에 끼워 보관하는 작용을 하게 되는데 케이스(1)의 네모서리에 형성된 끼움부(7)와 협지부재(3)의 다리(20)에 형성된 끼움부(21)가 상호 밀삽되어 마찰면을 크게 함으로서 1차적인 결속을 강화시켜 주고 협지부재(3) 외주연에 다수 개 형성된 걸림턱(9)이 케이스(1)의 테두리(5)에 다수개 형성된 걸림홈(8)에 반 이상 요입되어 걸림으로서 뚜껑(2)을 열 때 마찰응력에 의해 협지부재(3)가 상부로 들리는 것을 억제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되면서 뚜껑(2)이 재치되어 케이스(1)에 닫혔을 때에는 뚜껑(2)과 케이스(1)의 걸림홈(8)(15)에 의해 협지부재(3)의 걸림턱(9) 표면이 외부에 노출되어 다양하게 구비되는 동,식물,꽃, 인물 등의 디자인과 원형,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등의 기호로 케이스의 외관이 미려토록 하고 상품가치를 고양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케이스(1)에 견고히 고착된 협지부재(3)의 상단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테(18)(19)에는 협지부재(3) 및 뚜껑(2)의 색상과 조화시켜 장신용품 케이스는 물론 장신용품의 가치를 한층 더 고양시키는 작용을 가진다.
또, 협지부재(3)에 형성된 돌출부재(16)는 뚜껑(2)이 닫힐 때 접촉되어 잠금기능을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의 개량된 장신용품 케이스는 각종 동.식물, 꽃, 기물 등의 다양한 디자인으로 구성되어 상품가치와 장식효과를 더 높이고 또, 협지부재가 케이스에 고착됨에 있어 네 모서리의 끼움부와 걸림턱, 걸림홈에 의해 견고히 결속됨으로 케이스를 중심으로 뚜껑을 열 때 협지부재가 빠지는 것을 방지함으로 장신용품을 떨어뜨려 손상시키는 폐단을 미연에 방지하고 협지부재 빠짐을 방지하는 걸림턱과 걸림홈의 형상 및 모양과 색상을 달리함으로서 상품가치를 고양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장신용품을 보관, 전시하기 위한 케이스에 있어서; 케이스와 뚜껑이 맞닿는 부분에 꽃, 동.식물, 인물등의 다양한 무늬, 모양을 구비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장신용품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케이스(1)와 뚜껑(2)의 접촉면에는 다양한 무늬, 모양(꽃, 동.식물, 인물 등)의 걸림홈(8)(15)을 구비시켜 케이스(1)에 함입되는 협지부재(3)의 다양한 무늬, 모양으로 된 걸림턱(9)과 결속되게 하면서 외부에 표면이 노출되게하고, 케이스(1)의 네 모서리에는 끼움부(7)를 구비시켜 상기 협지부재(3)의 다리에 형성된 끼움부(21)와 압삽되게 하여 뚜껑(2)을 열을 때 협지부재(3)가 빠지는 것을 방지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장신용품 케이스.
KR2019960014657U 1996-05-29 1996-05-29 개량된 장신용품 케이스 KR01300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4657U KR0130071Y1 (ko) 1996-05-29 1996-05-29 개량된 장신용품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4657U KR0130071Y1 (ko) 1996-05-29 1996-05-29 개량된 장신용품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412U KR970060412U (ko) 1997-12-10
KR0130071Y1 true KR0130071Y1 (ko) 1999-10-01

Family

ID=19457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4657U KR0130071Y1 (ko) 1996-05-29 1996-05-29 개량된 장신용품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07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412U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7168A (en) Magnetic jewelry closures with wire safety clasp
US3678705A (en) Adjustable frame for ornament
US5440900A (en) Add-on jewelry item for flexible jewelry chains
US6810685B2 (en) Jewelry fastener assembly
US20040154143A1 (en) Magnetic clasp
KR100802100B1 (ko) 체인형 장신구의 잠금장치
USD657279S1 (en) Jewelry element for earrings, necklaces, bracelets, brooches, hair jewelry or the like
KR0130071Y1 (ko) 개량된 장신용품 케이스
US20140165651A1 (en) Decorative ornamental beads
KR100880951B1 (ko) 장신구연결장치
US10258133B2 (en) Decorative device with interchangeable decorations
WO2009153286A1 (en) Jewelry setting for detachable ornament and jewelry comprising such setting
KR200193482Y1 (ko) 치장품용 보석 고정구조
KR102208644B1 (ko) 돌출부에 끼워 고정시키는 장식물
KR200184785Y1 (ko) 머리핀
KR200409098Y1 (ko) 잠금장치를 가지는 장식부재
USD361954S (en) Fastening for a jewelry chain
KR102666294B1 (ko) 이중 걸이 구조를 활용한 악세사리 체결구
CN214230165U (zh) 一种自由组合式吊坠
KR102419854B1 (ko) 원터치로 탈부착이 가능한 액세서리용 연결구
KR200386150Y1 (ko) 안전핀
US11284683B2 (en) Decorative connector for jewelry
US1473796A (en) Bracelet or like article of jewelry
WO2000072718A1 (fr) Element de retenue et ornement
JPH033432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