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539Y1 - 자동판매기의 컵 가이드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의 컵 가이드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539Y1
KR0129539Y1 KR2019940013861U KR19940013861U KR0129539Y1 KR 0129539 Y1 KR0129539 Y1 KR 0129539Y1 KR 2019940013861 U KR2019940013861 U KR 2019940013861U KR 19940013861 U KR19940013861 U KR 19940013861U KR 0129539 Y1 KR0129539 Y1 KR 01295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plate
bottom plate
support member
cup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38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2792U (ko
Inventor
신춘식
Original Assignee
정몽원
만도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원, 만도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원
Priority to KR20199400138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539Y1/ko
Publication of KR9600027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7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5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539Y1/ko

Links

Landscapes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판매기의 컵 가이드 고정 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플래지의 일측면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 컵 적재통의 외측면으로 돌출 되도록 고정판의 상부 일단부에 연장 형성되며 하부 컵 가이드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제1바닥판과, 이 바닥판의 일측단으로 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며 고정판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삽입홈을 형성하는 제1측판을 갖는 제1지지부재; 고정판의 하단부로 부터 제1지지부재와 나란하게 돌출 설치되며 제1지지부재의 제1바닥판에 비해 상대적으로 컵 적재통의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제2바닥판과, 이 제2바닥판의 일측단부로 부터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며 고정판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삽입홈을 형성하는 제2측판을 갖는 제2지지부재; 를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다수의 컵이 적재되는 적재통을 감싸고 있는 상, 하부 컵 가이드가 별도의 부재에 분리되어 위치 고정됨으로써 적재통내의 컵 적재가 매우 용이하다. 또한 종래에 비하여 부품수를 절감한 것이어서, 단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판매기의 컵 가이드 고정장치
제1도 및 제2도는 종래 컵 가이드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 및 요부 발췌 확대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컵 가이드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요부 발췌 확대 사시도.
제5도 (a),(b)는 제4도의 정면도 및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적재통 11 : 플랜지
12 : 컵 적재홈 20, 30 : 상, 하부 컵 가이드
60 : 고정판 70, 80 : 제1, 2지지부재
71, 81 : 제1, 2바닥판 72, 82 : 제1, 2측판
73, 83 : 삽입홈 90 : 걸림돌기
본 고안은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컵 적재통내에 적재된 컵을 기기내부로 가이드 하는 컵 가이드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판매기는 소비자에게 다양한 식품이나 물품등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좀도 손쉽게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근래에 들어와서는 각종 차(茶)나 커피 및 계란반숙 판매기등 매우 다양한 자동판매기가 제공되고 있다.
이와같은 다양한 자동판매기에 있어서도 특히 각종 차나 커피 그리고 계란반숙 판매기등은 별도로 종이컵을 통해 물품을 제공하도록 된 것으로서, 기기내부에는 다수의 컵을 적재하여 이를 외부로 공급하는 컵 가이드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제1도 내지 제2도에는 일반적인 자동판매기에 적용된 컵 가이드 고정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는, 크게 길이 방향으로 다수 연장 형성된 플랜지(1a)에 의해 컵 적재홈(1b)이 형성된 컵 적재통(1)과, 이 컵 적재통(1)의 외측면을 감싸는 상, 하부 컵 가이드(2, 3)와, 상, 하부 컵 가이드(2, 3)의 위치를 한정 시키는 컵 가이드 고정수단과, 전술한 컵 적재통(1)을 소정각도로 회동시키는 터렛부(4)와, 실질적으로 컵 적재통(1)에 적재된 컵을 기기 외부로 배출시키는 컵 가이드 통(5)으로 대별된다.
한편, 전술한 상, 하부 컵 가이드(2, 3)의 위치를 한정 시키는 컵 가이드 고정수단을 구조를 보면, 제2도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컵 적재통(1)의 플랜지(1a)의 일측면에 나사 고정되는 고정판(6)을 구비한다. 그리고 이 고정판(6)의 하단부로 부터는 전술한 상부 컵 가이드(3)의 바닥면이 안착되는 소정길이의 바닥판(7)이 연장 형성되는 바, 이 바닥판(7)의 일단은 전술한 컵 적재통(1)의 외측으로 길에 연장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바닥판(7)의 일측단에는 그 상방으로 측판(8)이 연장 형성되는 바, 이 측판(8)은 고정판(6)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삽입홈(9)를 형성한다.
미설명부호(1c)는, 컵 적재통(1)의 상부에 위치되어 이물질이 적재통(1)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컵 가이드 고정 장치에 의하면, 먼저 다수의 컵을 컵 적재통(1)의 적재홈(1b)을 통해 삽입한뒤 터렛부(4)를 통해 적재통(1)을 회동시키면서, 가이드 통(5)를 통해 컵을 공급하는 것이다.
한편, 이때 전술한 컵 적재통(1)내에 적재된 컵을 다사용하게 되면, 다시 공급하여야 하는 바, 덮개(1c)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컵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대용량의 자동판매기의 경우에는 적재통(1)의 길이가 매우 긴 것이어서, 덮개(1c)를 개방시킨 다음 컵을 적재하기가 용이치 않다. 따라서, 용이하게 컵을 적재함에 있어서는, 하부 컵 가이드(2)를 상부를 향해 들어올린 상태에서 고정수단에 위치 시킴으로써 즉, 고정판(6)과 측판(8) 사이의 삽입홈(9)을 통해 상부 컵 가이드(3)와 동일하게 바닥판(7)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하부 컵 가이드(2)가 위치하였던 위치의 적재홈(1b)을 통해 컵을 적재시켜왔다.
그러나 이와같은 컵 가이드 고정 장치에 있어서는, 다수의 컵을 적재한 상태에서 다시 하부 컵 가이드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과정에서 하부 컵 가이드의 복귀와 동시에 인접된 상부 컵 가이드가 함께 하방으로 딸려 내려옴으로써 이를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뒤따랐다. 이는, 상, 하부 컵 가이드가 고정수단에 동시에 안착됨으로써 발생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적재통내에 컵을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상, 하부 컵 가이드 상호간의 분리가 확실한 자동판매기의 컵 가이드 고정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컵 가이드 고정 장치는, 길이 방향으로 다수 연장 형성된 플랜지에 의해 컵 적재홈이 형성된 컵 적재통과, 컵 적재통의 외측면을 감싸는 상, 하부 컵 가이드와, 상, 하부 컵 가이드의 위치를 한정 시키는 컵 가이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자동판매기의 컵 가이드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컵 가이드 고정수단이, 상기 플랜지의 일측면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 상기 컵 적재통의 외측면으로 돌출 되도록 상기 고정판의 상부 일단부에 이와 수직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하부 컵 가이드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제1바닥판과, 이 바닥판의 일측단으로 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며 상기 고정판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삽입홈을 형성하는 제1측판을 갖는 제1지지부재; 상기 고정판의 하단부로 부터 상기 제1지지부재와 나란하게 돌출 설치되며 상기 제1지지부재의 제1바닥판에 비해 상대적으로 컵 적재통의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제2바닥판과, 이 제2바닥판의 일측단부로 부터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며 상기 고정판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삽입홈을 형성한는 제2측판을 갖는 제2지지부재; 를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특징은, 상기 고정판의 하단부 후측면과 상기 컵 적재통의 플랜지 측면부에 각각 걸림돌기와 걸림홈을 마련하여 상호 걸림 고정되도록 된 것에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제1, 2지지부재를 통해 상, 하부 컵 가이드의 위치를 각각 별도로 한정 시킬 수 있어 좀더 용이하게 컵을 적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컵 가이드 고정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컵 가이드 고정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고, 제4도는 제3도의 요부 발췌 확대 사시도이다. 그리고 제5도 (a), (b)는 제4도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이는, 크게 길이 방향으로 다수 연장 형성된 플랜지(11)에 의해 컵 적재홈(12)이 형성된 컵 적재통(10)과, 이 컵 적재통(10)의 외측면을 감싸는 상, 하부 컵 가이드(20, 30)와, 상, 하부 컵 가이드(20, 30)의 위치를 한정 시키는 컵 가이드 고정수단과, 전술한 컵 적재통(10)을 소정각도로 회동시키는 터렛부(40)와, 실질적으로 컵 적재통(10)에 적재된 컵을 기기 외부로 배출시키는 컵 가이드 통(50)으로 대별된다.
전술한 컵 가이드 고정수단의 구조를 보면, 제4도 및 제5도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다수의 플랜지(11)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플랜지(11) 일측면부에 고정되는 소정길의 고정판(60)과, 이 고정판(60)의 상, 하단부에 일체로 마련되는 제1, 2지지부재(70, 80)으로 대별된다.
전술한 제1지지부재(70)는, 고정판(60)의 상단부로 부터는 고정판(60)의 길이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전술한 상부 컵 가이드(30)의 하부가 안착되는 제1바닥판(71)이 연장 형성되는 바, 이 제1바닥판(71)의 일단은 적재통(10)의 외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된다. 그리고 이 제1바닥판(71)의 일측단에는 그 상방을 향하여 소정길이의 제1측판(72)이 연장 형성된다. 이때 제1측판(72)는 전술한 고정판(60)의 일측단과 소정길이 이격되어 전술한 상부 컵 가이드(3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73)을 형성한다.
한편, 제2지지부재(80)의 구조를 보면, 고정판(60)의 하단부로 부터는 제1지지부재(70)의 제1바닥판(71)과 나란하며 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컵 적재통(10)의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제2바닥판(81)이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제2바닥판(81)의 일측단부로 부터는 그 상부를 향해 제2측판(82)이 연장 형성되며, 이 제2측판(82)은 고정판(60)의 일측단과 소정길이 이격되어 있어 하부 컵 가이드(20)가 삽입 안착될 수 있도록 삽입홈(83)을 형성한다.
이때 전술한 고정판(60)의 하단부 후측면과 컵 적재통(10)의 플랜지(11) 측면부에 각각 걸림돌기(90)와 걸림홈(11a)을 마련하여 상호 걸림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고정판(60)을 플랜지(11) 고정함에 있어 걸림돌기(90)를 통해 플랜지(11)에 일단 걸림 고정시킨 상태에서 하나의 나사만을 통해 상호간을 고정 시킬 수 있는 것이어서, 그 만큼 단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컵 가이드 고정 장치에 의하며, 먼저 다수의 컵을 컵 적재통(10)의 적재홈(12)을 통해 삽입한뒤 터렛부(40)를 통해 적재통(10)을 회동시키면서, 가이드통(50)를 통해 컵을 공급하여 판매할 수 있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적재통(10)내의 컵을 다 소모하게 되면, 이를 다시 보충하여야 하는 바, 이는, 하부 컵 가이드(20)를 제2지지부재(80)에 안착 시킴으로써 보충할 수 있다.
즉, 적재통(10)의 길이가 길어 적재통(10)의 상부를 통해 컵을 적재하기 곤란하기 때문에 적재통(10)의 하부를 감싸고 있는 하부 컵 가이드(20)를 상방으로 둘러올린 다음 제2지지부재(80)의 제2측판(82)과 고정판(60)사이의 간격 즉, 삽입홈(83)을 통해 하부 컵 가이드(20)를 삽입하면, 제2바닥판(81)에 안착되게 된다. 이때 하부 컵 가이드(20)가 위치하였던 적재통(10)의 하부가 개방됨으로써 이 적재통(10)의 개방된 부위 즉, 플랜지(11)에 의해 형성된 적재홈(12)을 통해 다수의 컵을 적재함으로써 용이하게 컵을 보충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다시 하부 컵 가이드(20)의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킴으로써 즉, 제2지지부재(80)로 부터 분리 시킴으로써 판매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이때 전술한 하부 컵 가이드(20)를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상부 컵 가이드(30)는 별도의 제1지지부재(70)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즉, 상호간에 인접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하부 컵 가이드(20)의 원상태의 복귀와 전혀 연동되지 않는다. 즉, 하방으로 딸려 내려오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용이하게 컵을 적재할 수 있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컵 가이드 고정 장치에 의하면, 다수의 컵이 적재되는 적재통을 감싸고 있는 상, 하부 컵 가이드가 별도의 부재에 분리되어 위치 고정됨으로써 적재통내의 컵 적재가 매우 용이하다. 또한 종래에 비하여 부품수를 절감한 것이어서, 단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길이 방향으로 다수 연장 형성된 플랜지에 의해 컵 적재홈이 형성된 컵 적재통과, 컵 적재통의 외측면을 감싸는 상, 하부 컵 가이드와, 상, 하부 컵 가이드의 위치를 한정 시키는 컵 가이드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자동판매기의 컵 가이드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컵 가이드 고정수단이, 상기 플랜지의 일측면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판; 상기 컵 적재통의 외측면으로 돌출 되도록 상기 고정판의 상부 일단부에 이와 수직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하부 컵 가이드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제1바닥판과, 이 바닥판의 일측단으로 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며 상기 고정판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삽입홈을 형성하는 제1측판을 갖는 제1지지부재; 상기 고정판의 하단부로 부터 상기 제1지지부재와 나란하게 돌출 설치되며 상기 제1지지부재의 제1바닥판에 비해 상대적으로 컵 적재통의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제2바닥판과, 이 제2바닥판의 일측단부로 부터 상부를 향해 연장 형성되며 상기 고정판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삽입홈을 형성하는 제2측판을 갖는 제2지지부재; 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컵 가이드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하단부 후측면과 상기 컵 적재통의 플랜지 측면부에 각각 걸림돌기와 걸림홈을 마련하여 상호 걸림 고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컵 가이드 고정장치.
KR2019940013861U 1994-06-15 1994-06-15 자동판매기의 컵 가이드 고정 장치 KR01295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3861U KR0129539Y1 (ko) 1994-06-15 1994-06-15 자동판매기의 컵 가이드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3861U KR0129539Y1 (ko) 1994-06-15 1994-06-15 자동판매기의 컵 가이드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2792U KR960002792U (ko) 1996-01-22
KR0129539Y1 true KR0129539Y1 (ko) 1999-03-20

Family

ID=19385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3861U KR0129539Y1 (ko) 1994-06-15 1994-06-15 자동판매기의 컵 가이드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5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9822A1 (ko) * 2016-04-12 2017-10-19 주식회사 해성엔지니어링 캡슐 배출장치를 갖춘 자동판매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9822A1 (ko) * 2016-04-12 2017-10-19 주식회사 해성엔지니어링 캡슐 배출장치를 갖춘 자동판매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2792U (ko) 1996-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04041B1 (en) Folding crate for holding packages
US20120298604A1 (en) Storage Rack Assembly
US20150266659A1 (en) Package for egg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package
KR0129539Y1 (ko) 자동판매기의 컵 가이드 고정 장치
KR102146218B1 (ko) 배달통
GB2124588A (en) Stacking/nesting tray
US4563102A (en) Rotatable apparatus for storing paper forms for feeding to a printer
EP1030141B1 (en) Refrigerator with dispenser for cans or bottles of drinks or beverages in general
KR100312251B1 (ko) 어상자
JPH10120202A (ja) 引出装置
KR102669309B1 (ko) 키오스크 일체형 담배 자판기
US6845880B2 (en) Dispensing container for symmetrical articles
KR930005711B1 (ko) 자동 판매기
JPH1199265A (ja) パチンコ遊技機における球貯留供給構造
EP0553932B1 (en) Plastic container which is stackable and nestable
KR840001263Y1 (ko) 자동판매기의 컵 투출장치
JP5560916B2 (ja) 自動販売機における販売用機器の取付構造
JP2546161Y2 (ja) 商品直積み式自動販売機
KR200151839Y1 (ko) 자동판매기의 컵공급장치
JP2511410Y2 (ja) カ―ド収納容器
KR19990012858U (ko) 콜드컵자동판매기의 컵받침장치
US3334832A (en) Paper roll holder
JP6547607B2 (ja)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230136958A (ko) 키오스크 일체형 담배 자판기
JPH024173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16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