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327Y1 - 난방용 전기 발열체 - Google Patents

난방용 전기 발열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327Y1
KR0129327Y1 KR2019950031695U KR19950031695U KR0129327Y1 KR 0129327 Y1 KR0129327 Y1 KR 0129327Y1 KR 2019950031695 U KR2019950031695 U KR 2019950031695U KR 19950031695 U KR19950031695 U KR 19950031695U KR 0129327 Y1 KR0129327 Y1 KR 01293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metal tube
wire
insulating layer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16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0245U (ko
Inventor
이대훈
유계춘
Original Assignee
이대훈
유계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훈, 유계춘 filed Critical 이대훈
Priority to KR20199500316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327Y1/ko
Publication of KR9700202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02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3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3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05B3/4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arranged within rods or tubes of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3Electr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4Waterproof or air-tight seals for hea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05B3/48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embedded in insulating material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난방용 전기 발열체에 관한 것으로, 금속관(5) 내부에 발열선(2)을 넣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전환시켜 발열시켜 난방을 함에 있어서, 발열선(2)에 코팅층(3)을 입혀 절연층(4)에 존재하는 수분이 발열선(2)의 가열에 의해 증기로 변하여 한곳에 모이게 되어 발열선(2)이 누전되는 것을 방지하였으며, 코팅층(3)과 금속관(5) 사이에는 절연층(4)을 형성하였으며, 금속관(5)과 전선(1)(1a)사이에 마개(6)와 패킹층(7)을 형성하여 발열체(8) 외부와 금속관(5) 내부에 차단하여 절연층(4)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 것이다.

Description

난방용 전기 발열체
제1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실시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인입선 1a : 인출선
2 : 발열선 3 : 코팅층
4 : 절연층 5 : 금속관
6 : 마개 7 : 패킹층
8 : 발열체 11,11a : 메인전선
12 : 건물의 바닥층 13 : 건물의 벽체
본 고안은 축열이 가능한 축열층이 형성된 건물의 바닥면에 내장되어 전기에너지가 공급될때 발생되는 열을 직접 전달하면서 난방을 시키는 난방용 전기 발열체에 과한 것으로, 특히 전기를 사용하여 난방을 시키는 전기 발열체에서 금속관에 있는 발열선의 수명이 연장되어 안정된 상태에서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난방용 전기 발열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방을 하기 위해서는 직접가열식과 간접가열식이 있다.
직접 가열식으로는 바닥밑면에서 장작이나 연탄등의 열을 직접 가해서 바닥의 온도를 높이는 방식이나, 바닥층 사이에 전기 가열선을 깔아서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전환시켜 가열하는 방식등이 있다.
또한 간접 가열식으로는 연소 가열식과 비연소 가열식이 있고, 연소 가열식에서는 가스나 연탄등을 연소시켜 난방용 수관에 있는 물의 온도를 높여 바닥층에 깔린 난방관을 순환하여 난방관 주위의 온도를 높여 바닥면을 따뜻하게 하는 난방방식과, 전기 에너지로 물을 가열시켜면서 난방용 수관에 있는 물의 온도를 높여 난방시키는 방식이 있다.
위와 같은 직접 난방식의 전기를 사용하는 방식에서는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사용하기 위하여 난방하고자 하는 우위에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발열체를 위치시키고, 양측의 전선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여 난방시키도록 하였다.
그리고 발열선을 금속관 안에 내장시키면서 금속관과 발열선 사이에 산화마그네슘등의 분말로 절연층을 형성하였다.
그러므로 발열선이 가열과 냉각을 반복하는 중에 절연층이 포함하고 있는 수분이 증기의 상태로 변화되어 일부분에 모이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발연선과 금속관의 사이에 누전 현상이 발생하거나 하여 발열선이 끊어져 교체해야 함은 물론 수명이 단축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달리 금소관 내부에 발열선과 절연층 사이에 유리관을 형성한 경우에는 유리관이 운반이나 시공도중 유리가 갖는 특성 때문에 깨지기 쉬운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면서 발열체의 수명이 안정된 상태로 장기간 지속되도록 한 난방용 전기 발열체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은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와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금속관(5)에 코팅층(3)을 입힌 발열선(2)의 양측 연장부는 인입선(1)과 인출선(1a)을 형성하고, 상기 발열선(2)이 내장되는 금속관의 내부에는 절연층(4)을 형성하며 그 양측에는 패킹층(7)을 구성시킨 다수의 난방용 전기발열체(8)를 메인 전선(31)(31a)에 병렬로 시공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12는 건물의 바닥층이고, 13은 건물의 벽체이다.
제1도에서 금속관(5) 내부에 발열선(2)을 형성시켜 외부에서 전해오는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전환시킬 수 있게 하였고, 열전도성이 좋은 금속을 관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금속관(5)은 깨지거나 부러지지 않아 시공하기 쉬운 장점도 있다. 발열선(2)에는 코팅층(3)을 입혀, 절연층(4) 내부에 존재하는 수분이 발열선(2)의 가열에 의하여 증기로 변하고 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누전현상을 방지하고자 코팅층을 사용하였다.
깨지기 쉬운 유리관을 발열선(2)과 절연층(4)에 사용한 것과는 달리 실리콘이나 세라믹등으로 코팅층(3)을 사용함으로 깨지거나 벗겨짐을 방지케 하였다.
또한 금속관(5)과 코팅층(3) 사이에는 산화마그네슘등의 재질로 구성한 절연층(4)을 형성시켜 금속관(5)과 발열선(2) 사이를 절연시키고 비어 있는 공간을 없애버려 외부의 압력에 의한 변형을 없애고자 하였다.
발열선(2)의 양측에는 인입선(1)과 인출선(1a)을 두어 도전시키고, 금속관(5)과 양측의 전선(1)(1a)사이에 고무등의 절연재료로 구성한 마개(6)를 사용하여 절연시키고, 금속관 내부의 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양측의 전선(1)(1a)과 마개(6)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빈 공간을 메우기 이해 패킹층(7)을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은 난방용 전기발열체를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이 바닥에 병렬로 구성시켜 ∩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취약부인 굽어지는 부분을 없앴으며, 발열체(8) 하부에는 자갈과 모래를 섞은 것이나, 기포콘크리트등의 단열층을 형성시켜 난방용 전기 발열체에서 발생한 열을 저장하는 축열층을 형성하므로서 심야의 경제적인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난방시켜 낮동안에 난방을 하지 않아도 따뜻함을 유지케 하였다.

Claims (1)

  1. 발열체에서 전기를 에너지로 사용하여 발열선(2)과 절연층(4)을 금속관(5)에 내장시킨 난방용 전기 발열체에 있어서, 발열선(2)에 코팅층(3)을 형성하고, 금속관(5)과 전선(1)(1a)사이에 마개(6)와 패킹층(7)로 밀폐시키면서 길이방향으로 구성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전기 발열체.
KR2019950031695U 1995-10-31 1995-10-31 난방용 전기 발열체 KR01293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1695U KR0129327Y1 (ko) 1995-10-31 1995-10-31 난방용 전기 발열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1695U KR0129327Y1 (ko) 1995-10-31 1995-10-31 난방용 전기 발열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245U KR970020245U (ko) 1997-05-26
KR0129327Y1 true KR0129327Y1 (ko) 1998-12-15

Family

ID=19427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1695U KR0129327Y1 (ko) 1995-10-31 1995-10-31 난방용 전기 발열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32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245U (ko) 199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75803A (en) Pipe heating apparatus
BR0114955A (pt) Tecido térmico
KR0180211B1 (ko) 전열온수관의 난방방법 및 그장치
US3674985A (en) Immersion heater element
KR0129327Y1 (ko) 난방용 전기 발열체
KR20090008801A (ko) 전기온돌의 히팅케이블 연결구조
KR200433759Y1 (ko) 발열전선이 개선된 전열온수관
JPH11108560A (ja) 金属溶湯の保温炉及び金属溶湯樋
JPH1046515A (ja) ロードヒータ装置
KR200250625Y1 (ko) 축열물질을 이용한 전기보일러
KR101018284B1 (ko) 전기 열관 보일러
JP3049536B2 (ja) 床暖房構造
KR900008560Y1 (ko) 심야전기를 이용하는 측열식 전기 난방장치
KR900007121B1 (ko) 온돌난방용 알루미늄제 전열관
KR20010069455A (ko) 축열물질을 이용한 전기난방장치
US5978549A (en) Method for processing heating wire of aquarium heater and aquarium heater made by the method
KR200292757Y1 (ko) 도전성 발열고무를 이용한 냉장고 증발관용 제상히터
KR200397362Y1 (ko) 히팅 파이프
KR200226113Y1 (ko) 보일러의 단열구조
KR860001713Y1 (ko) 축열 보온 도시락
KR200367343Y1 (ko) 전기발열 보온배관 구조
KR100457384B1 (ko) 전기식 히트 파이프 열교환기의 전기히터 교환구조
KR200387294Y1 (ko) 시즈히터
KR100670394B1 (ko) 난방파이프로 구성된 난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난방 방법
KR890007390Y1 (ko) 온돌용 전열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