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7390Y1 - 온돌용 전열관 - Google Patents

온돌용 전열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7390Y1
KR890007390Y1 KR2019870005736U KR870005736U KR890007390Y1 KR 890007390 Y1 KR890007390 Y1 KR 890007390Y1 KR 2019870005736 U KR2019870005736 U KR 2019870005736U KR 870005736 U KR870005736 U KR 870005736U KR 890007390 Y1 KR890007390 Y1 KR 8900073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eat
heating
synthetic resi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57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20101U (ko
Inventor
박진수
Original Assignee
박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수 filed Critical 박진수
Priority to KR20198700057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7390Y1/ko
Publication of KR8800201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201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73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3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24D13/02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 F24D13/024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in walls, floors, cei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056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solid heat storag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10Heat storage materials, e.g. phase change materials or static water enclosed in a sp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온돌용 전열관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동 종단면도.
제3(a)도와, 제3(b)도는 본 고안의 다른형태의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시공배열 및 전기배선을 나타낸 일실시 설치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 절연관 2 : 합성수지관
3 : 발열코일 4 : 석면사부재
5 : 실시콘절연재 6 : 고정링
6 : 지지돌기 7 : 가열모래
8 : 유리구슬 8 : 열전도부재
10,10 : 실리콘캡 11,11 : 접속터미널
12,12 : 콘센트 13 : 열수축성튜브
본 고안은 온돌용 절연관에 관한 것으로, 합성수지관내에 실리콘(Sillicone)으로 절연된 발열코일과, 열전도성이 양호한 가열모래와 직경이 작은 유리구슬이 혼합된 열전도부재를 내장시킨 전열관에 관한 것이다.
일방적으로, 온방(溫房)을 거하기 위하여는 합성수지재의 온수관이 사용됨은 이미 널리 알려진 공지된 사실로써, 이러한 온수관을 이용한 온방에 있어서는 반드시 온수보일러가 필요시되며, 아울러 이와 관련된 부수적인 온방부품(배관용파이프,온수순환펌프, 보충수통등)의 설치에 따른 설비비가 높은 결점이 있는 한편, 동절기에 보일러를 가동시키지 않을 경우에 온수관내의 물이 얼게 됨에 따른 온수관의 동파가 발생하였을 뿐만 아니라, 온방을 기할 필요가 없는 하절기 동안 부식도에 따른 온방설비부품의 수명단축 및 파손이 초래됨에 불필요한 보수비 및 관리비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따랐으며,이와 아울러, 도시의 경우에 주거공간 확보가 절실히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별도의 보일러실을 확보해야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상술한 바와같이 온수관을 사용함에 따른 결점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파이프내에 니크롬선을 매입시켜 발열토록한 전열파이프가 출현되었으나, 이는 전도체인 파이프내의 니크롬선이 외측의 파이프에 접촉되는 누전으로 인한 위험사고가 잦은 결점이 따랐다.
따라서, 상기한 누전사고 결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실용신안공고번호 제74-99호(제293호)의 온방용 전열 파이프가 안출되었다.
그러나 이는 비록 니크롬선이 파이프에 접촉됨에 따른 누전발생 위험성이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고 아연파이프 내부에 내장된 사기질의 절연파이프가 취급시 또는 시공시에 파손되는 결점과 아울러, 아연파이프 및 사기질 절연파이프와, 이 파이프간의 공간에 매입되는 운모등과 같은 비교적 고가품의 구조재로서 제조됨에 따라, 전술된 온수관과 비교해 볼 때 그 제조원가가 월등히 높은 결점으로 인하여, 실제 소비자들로 하여금 기피되어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결점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는 이미 서론에서 언급한 바와같이, 실리콘으로 절연된 발열코일을 수개의 고정링으로 하여금 강화합성 수지관 중앙에 고정위치시키고, 그 발열코일과 합성수지관 내면 사이의 공간에 열전도율이 좋은 가열모래와 유리구슬이 혼합된 열전도부재를 내장시켜서 된 전열관을 제공함으로서, 취급시 파손될 우려가 없게하는 한편, 항시 일정한 온도를 방바닥에 전달시킬 수 있음에 따른 균일온도 유지를 기할 수 있게하는 동시에, 보수가 편리하면서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시킬 수 있는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실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열관(1)의 온돌용 강화합성수지관(이하 합성수지관이라 함)(2)내에 내장고정되는 발열코일(3)은 석면사부재(4)에 코일스프링식으로 회권된 상태로서 실리콘절연제(5)에 감싸여 외부와 차단되도록 제조되는 한편, 그 절연재에는 수개(6개)의 지지돌기(6a)가 외주연부에 돌출된 다수의 고정링(6)이 일정한 설정간격으로 유지된 상태로서 끼움 삽입된다.
이 상태의 실리콘절연재(5)는 합성수지관(2)내에 삽입되는바, 삽입된 상태의 실리콘 절연제(5)는 그 외주연부에 설정간격을 갖고 끼움고정된 다수의 고정링(6)에 의해 합성수지관(2)중앙에 고정위치되는 상태가 되며, 아울러 이 상태에서 실리콘절연재(5)와 합성수지관(2)내면 사이의 공간에 가열모래(7)와 소경의 유리구슬(8)이 혼합되 열전도부재(9)가 채워져 내장된다.
아울러, 열전도부재(9)가 내장된 상태의 합성수지관(2)양측에는, 열전도부재(9)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실리콘캡(10)(10')이 접착고정되는 한편, 그 캡에는 발열코일(3)과 접선된 상태의 접속터미널(11)(11')이 각각 고정된다.
상기의 접속터미널(11)(11')에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열되어 방바닥 밑에 시공될 때,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콘센트(12)(12')가 접속되는 것으로, 미설명부호(13)(13')는 합성수지관(2)양단을 완전밀봉하기위한 열수축성튜브이며, (14)는 전원림프, (15)는 온도조절기를 도시한다.
한편,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가열모래(7)는 ,일단 수집된 모래를 채로 걸러서 가는 모래와 불순물을 제거시킨 상태의 모래를 세척한 다음, 약 100℃ 정도로 가열시킴에 따라, 그 모래에 표착된 불순물을 태워버린 상태의 모래를 말하는 것으로, 이는 열전도율을 높이기 위해 실시된다.
또한, 상기의 가열모래(7)와 유리구슬(8)이 혼합된 열전도부재(9)의 혼합비율은, 가열모래(7)가 6, 그리고 유리구슬(8)이 4, 정도의 비율로 혼합되었을 때가 가장 열전도율이 양호한 상태가 됨이 실험으로 나타났다.
즉, 열전도부재(9)의 가열모래(7)와 유리구슬(8)의 비율이 6 : 4로 혼합된 상태에서의 실험결과, 방바닥의 온도가 약 55 ℃ 로 측정되었다.
이 측정온도는, 겨울에 일체가 쾌적한 느낌을 받는 35~40℃ 정도의 온도에 비해 훨씬 능가하는 온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열전도부재(9)열전도율이 매우 양호함을 알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전열관(1)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열시공되는바, 이와같이 시공될 때 병렬로 연결된 전선의 각단에 고정된 콘센트(12)(12')는 전열관(1)의 접속터미널(11)(11')에 끼움접속되어 시공되므로, 그 시공에 있어서 매우 간단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온도조절기(15)로 전열관(1)의 발생온도를 조절가능하게 할 수 있으므로, 기호에 적합한 온도를 유지시킬 수가 있다.
한편, 전열관(1)의 발열코일(3)양단에 전원이 공급되면 발열을 하게되는데, 이 열은 실리콘절연제(5)를 통해, 열전도부재(9)로 전달되고, 그 열전도주재(9)에 전달된 열은 합성수지관(2)을 통해 방바닥 부재에 전달하게 되므로서 온방을 기할 수가 있게 되는 것으로, 상기의 열전도부재(9)의 열전도율과 그 역활은 이미 전술된 바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합성수지관(2)내에 반드시 가열모래(7)와 유리구슬(8)이 혼합된 열전도부재(9)만을 내장시키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가열모래(7) 또는 유리구슬(8)만을 단독내장시킬 수도 있다.
이는 즉, 지속적인 온방효과를 기하고져 할 경우에는 열지속성이 뛰어난 가열모래(7)로만 내장된 전열관(1')을 사용하므로서 최대의 효과을 기할 수가 있으며, 아울러 빠른 온방효과를 기하고져 할 경우에는 열전도성이 뛰어난 유리구슬(8)로만 내장된 전열관(1")을 사용함에 따라 그 효과를 크게 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시공편리성을 기하기 위하여 중간이 자바라형으로 된 합성수지관(1"')을 사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본 고안의 전열관(1)에 있어서, 만약 실리콘절연제(5)가 파손된다 하더라도 그 주위에 부전도체인 가열모래(7)와 유리구슬(8)이 위치하고 있으므로 전혀 누전이 발생되지 않게 될뿐만 아니라, 온수관에 비해 항시 일정한 온도를 방바닥에 균일하게 상승시킬 수가 있으므로, 쾌적한 온방효과를 기할 수가 있다.
또한 시공에 있어서도 간편용이할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가 간편하며, 온도 자동조절기를 부착사용하게 될 경우, 온도의 자동조절에 따른 전력소모를 감소시킬수가 있는 한편, 동절기에 기온강하에 따른 온수관과 같은 동파발생이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은 효과외에 본 고안은 종래에 온수관을 사용함에 따른 보일러의 고장 및 주기적인 교체등을 배제시킬 수 있는 한편, 매연, 화재, 폭발, 가스중독등이 전혀 없게 되는 안전성을 가지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앞으로 원자 발전소 건립에 따른 심야 전력이 충족되어 미소모전기가 남게 되는바,소비자들은 요금이 저렴하게 되는 심야 미소모전기를 활용하여 난방을 기할 수가 있게 되므로 큰 경제적 부담없이 시공설치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합성수지관(2)내부에, 석면사부재(4)에 회권된 발열코일(3)을 감싼 실리콘절연제(5)을 내장시키되, 그 절연재에는 수개의 지지돌기(6a)가 외방돌출된 다수의 고정링(6)이 설정간격을 갖도록 끼움 삽입시켜, 상기 실리콘절연제(5)가 관중앙에 위치고정되도록 한다음, 그 절연재와 관내면 사이의 공간에 가열모래(7)와소경의유리구슬(8)이 혼합된 열전도부재(9)를 내장시키고, 합성수지관(2)양측구 접속터미널(11)(11')이 외방돌출된 실리콘갭(10)(10')과 열수축성 튜브(13)(13')로서 밀봉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하는 온돌용 전열관.
  2. 제1항에 있어서, 실리콘절연재(5)와 합성수지관(2) 내면사이의 공간에 가열모래(7)만을 내장시킨 것을 특징으로하는 온돌용 전열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실리콘절연재(5)와 합성수지관(2)내면 사이의 공간에 소경의 유리구슬(8)만을 내장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용 전열관.
KR2019870005736U 1987-04-21 1987-04-21 온돌용 전열관 KR8900073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5736U KR890007390Y1 (ko) 1987-04-21 1987-04-21 온돌용 전열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5736U KR890007390Y1 (ko) 1987-04-21 1987-04-21 온돌용 전열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0101U KR880020101U (ko) 1988-11-29
KR890007390Y1 true KR890007390Y1 (ko) 1989-10-25

Family

ID=19261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5736U KR890007390Y1 (ko) 1987-04-21 1987-04-21 온돌용 전열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73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952B1 (ko) * 2012-04-25 2013-02-06 (주)세진엘러텍 전열 난방파이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952B1 (ko) * 2012-04-25 2013-02-06 (주)세진엘러텍 전열 난방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0101U (ko) 1988-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519920A (en) Electric resistance water heater
KR0180211B1 (ko) 전열온수관의 난방방법 및 그장치
US3674985A (en) Immersion heater element
KR890007390Y1 (ko) 온돌용 전열관
CN204219139U (zh) 一种电热水袋防干烧发热装置改良结构
CN207733003U (zh) 一种发热棒的固定保护套
CN106017182A (zh) 一种220kV至500kV电压等级电热储能装置
CN102833894A (zh) 一种通过厚膜加热的铝合金加热管
KR102403908B1 (ko) 탄소 섬유 발열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보일러
CN205306768U (zh) 干烧保护装置、加热管感温管及温水器
KR101724414B1 (ko) 난방용 온수관
KR200434981Y1 (ko) 조립식 유체나노가열 세트
CN203518253U (zh) 瞬热双隔电墙加热器
KR100244807B1 (ko) 세라믹 수중 히터
CN212511775U (zh) 一种安全节能的半导体管道加热器
WO2012134242A2 (ko) 발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액체 가열장치
KR102654849B1 (ko) 탄소 섬유 발열체
KR900007121B1 (ko) 온돌난방용 알루미늄제 전열관
CN203731725U (zh) 防冻太阳能热水器
KR20130081452A (ko) 보온 전기 열선 장치
CN213280128U (zh) 一种防水垢堆积的六边形铝管ptc加热器
CN208489992U (zh) 一种自带漏电保护的电热管
CN2368247Y (zh) 一种电加热器的加热芯
KR101018284B1 (ko) 전기 열관 보일러
CN2383288Y (zh) 一种安全型电加热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11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