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296Y1 - 밧데리 충전회로 - Google Patents

밧데리 충전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296Y1
KR0129296Y1 KR2019950032217U KR19950032217U KR0129296Y1 KR 0129296 Y1 KR0129296 Y1 KR 0129296Y1 KR 2019950032217 U KR2019950032217 U KR 2019950032217U KR 19950032217 U KR19950032217 U KR 19950032217U KR 0129296 Y1 KR0129296 Y1 KR 01292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onstant
power
inverting terminal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22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9938U (ko
Inventor
박충원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20199500322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296Y1/ko
Publication of KR9700199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99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2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2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2Overcharge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이 고안은 밧데리에 공급되는 전력을 일정하게 함으로써 밧데리 충전시 전력손실을 방지하고 밧데리의 과충전으로 인한 밧데리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밧데리 충전회로에 관한 것으로, 이 고안에 따른 밧데리 충전회로는 공급전원에 상호 직렬 접속된 저항, 포토커플러 및 분기 레귤레이터와 공급전원에 상호 직렬 접속된 또 다른 2개의 저항으로 구성된 정전압 유지회로와 소정치 이상의 전류를 감지하여 비반전 단자에 인가되는 기준전압과 반전단자에 인가되는 검출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검출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낮게 되면 하이레벨의 전압을 출력함으로써 전류증가에 따라 전압이 감소되어 일정전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1연산증폭기를 포함하는 정전력 유지회로 및 반전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이 비반전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클 경우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포토커플러를 온시켜 일정전류를 발생시키는 제2연산증폭기를 포함하는 정전류 유지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밧데리 충전회로
제1도는 밧데리 충전시 종래의 충전방식을 나타낸 그래프도.
제2도는 이 고안에 따른 밧데리 충전회로의 상세 회로도.
제3도는 이 고안에 따른 밧데리 충전회로에 의한 밧데리 충전시의 충전방식을 나타낸 그래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IC1 : 분기 레귤레이터 IC2,IC3 : 연산증폭기
PC1 : 포토커플러 ZD1 : 제너다이오드
D1∼D3 : 다이오드
이 고안은 밧데리 충전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밧데리에 공급되는 전력을 일정하게 함으로써 밧데리 충전시 전력손실을 방지하고 밧데리의 과충전으로 인한 밧데리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밧데리 충전회로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에 밧데리 충전시 충전되는 충전방식을 전류-전압관계로 나타낸 그래프도이다. 이 그래프를 보면, 밧데리는 단순히 일정전류모드로 충전됨을 알 수 있다. 즉, 밧데리는 충전됨에 따라 그 전압은 상승하지만 흐르는 전류는 일정하다. 그러나, 전력을 전류×전압의 관계에 있으므로 전류가 일정하다 하더라도 전압이 계속 상승하는 관계로 전력도 계속 커지게 된다. 이는 밧데리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의 소모를 뜻한다. 또한, 밧데리에 일정 이상의 전력이 공급되며 밧데리가 손상을 입을 수가 있는 단점이 있다.
이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로서, 밧데리에 공급되는 전력모드를 일정하게 하여 밧데리충전시 전력손실을 방지하고 밧데리의 과충전으로 인한 밧데리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밧데리 충전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고안에 따른 밧데리 충전회로는 전원에 상호 직렬 접속된 저항, 포토커플러 및 분기 레귤레이터와 상호 직렬 접속된 또 다른 2개의 저항으로 구성된 정전압 유지회로와, 소정치 이상의 전류를 감지하여 비반전 단자에 인가되는 기준전압과 반전단자에 인가되는 검출전압을 비교하여 검출전압이 기준전압보다 낮게 되면 하이레벨의 전압을 출력함으로써 전류증가에 따라 전원전압이 감소되어 일정전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1연산증폭기를 포함하는 정전력 유지회로 및 반전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이 비반전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클 경우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포토커플러를 온시켜 일정전류를 발생시키는 제2연산증폭기를 포함하는 정전류 유지회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첨부도면을 참조로 이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이 고안에 따른 밧데리 충전회로의 상세 회로도이다. 제2도에서 도면부호 I은 정전류 유지회로, II는 정전압 유지회로, III은 정전압 유지회로를 지시한다. 또한, IC1은 분기 레귤레이터, PC1은 포토커플러, ZD1은 제너다이오드를 지시한다.
먼저, 정전류 유지회로(I)에 대해 설명한다. 저항(R1),(R3)을 통해 원하는 전류가 흘러 연산증폭기(IC2)의 반전단자(F)에 인가되는 전압이 비반전 단자(E)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높아지면 연산증폭기(IC2)의 출력단자(G)에서의 전압이 로우레벨이 되어 다이오드(D2)가 도통된다.
제너다이오드(ZD1)는 연산증폭기(IC2)의 비반전 단자(E)에 일정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정전압 발생부이다. 정전류 유지회로(I)에서 설치된 저항들(R2),(R3),(R4),(R5)는 연산증폭기(IC2)에 흘러들어가는 전류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 정전압 유지회로(II)와 정전력 유지회로(III)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면에서 메인으로 나타낸 전원으로부터의 공급전압은 저항(R7),(R8)에 의해 분압되어 A점에서 일정전압(예컨대, 2.5V)를 유지하도록 하여 전원으로부터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정전압 모드 구현).
한편, 저항(R1)을 통해 어느 정도 이상의 전류가 감지되면 B점의 전압이 C점 전압보다 낮아지게 되고, 따라서 연산증폭기(IC3)에서 B점 전압과 C전압의 차에 대응하여 증폭된 하이레벨의 전압을 D점에서 발생하게 된다. 이 하이레벨의 전압에 의해 다이오드(D3)가 도통하고, 따라서 정전압 유지회로(II)의 A점의 전압이 상승한다. 이에 따라 정전압 유지회로(II)의 포토커플러(PC1)를 통해서 피드백 작용을 하므로 상기 메인으로 표시된 전원의 전압이 강하되도록 한다. 따라서, 어느 정도 이상의 전류가 흘러도 전원으로부터의 전압이 강하되므로 전력=전류×전압공식에 의해 전력은 일정하게 유지된다(정전력 모드 구현) 정전력 유지회로(III)에서 저항(R9),(R10)은 원하는 정전력 모드를 맞추어 주기 위한 정수이다.
제3도는 제2도의 밧데리 충전회로에 의한 밧데리 충전시의 충전방식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고안에 의해서는 제1도에서와는 달리 밧데리 충전에서 정전압 모드와 정전류 모드외에 정전력 모드가 더 있다.
따라서, 이 고안에 따른 밧데리 충전회로에 의해서 밧데리는 제3도에 도시된 그래프처럼 충전하기 때문에 일정전류 이상에서는 전압이 감소되어 결과적으로 일정한 전력이 유지되므로 밧데리 충전시 전력손실을 감소시키고 밧데리의 과충전으로 인한 밧데리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공급전원에 상호 직렬 접속된 저항, 포토커플러 및 분기 레귤레이터와 공급전원에 상호 직렬 접속된 또 다른 2개의 저항으로 구성된 정전압 유지회로와; 소정치 이상의 전류를 감지하여 비반전 단자에 인가되는 기준전압과 반전단자에 인가되는 검출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검출전압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낮게 되면 하이레벨의 전압을 출력함으로써 전류증가에 따라 전압이 감소되어 일정전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제1연산증폭기를 포함하는 정전력 유지회로; 및 반전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이 비반전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클 경우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포토커플러를 온시켜 일정전류를 발생시키는 제2연산증폭기를 포함하는 정전류 유지회로로 구성된 밧데리 충전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류 유지회로에서 상기 제2연산증폭기의 비반전단자에 일정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정전압 제너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밧데리 충전회로.
KR2019950032217U 1995-10-31 1995-10-31 밧데리 충전회로 KR01292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2217U KR0129296Y1 (ko) 1995-10-31 1995-10-31 밧데리 충전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2217U KR0129296Y1 (ko) 1995-10-31 1995-10-31 밧데리 충전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938U KR970019938U (ko) 1997-05-26
KR0129296Y1 true KR0129296Y1 (ko) 1998-12-15

Family

ID=19428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2217U KR0129296Y1 (ko) 1995-10-31 1995-10-31 밧데리 충전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2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216B1 (ko) * 1997-11-29 2006-02-28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축전지 충전회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1415B1 (ko) * 1997-07-31 2002-08-22 삼성전기주식회사 축전지 전압공급회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216B1 (ko) * 1997-11-29 2006-02-28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축전지 충전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938U (ko) 199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45888A1 (en) Switching power supply
SE470035B (sv) Anordning för eliminering av offsetfel i en effektreglerkrets för ett pulsat sändarslutsteg
KR970008812A (ko) 전원 공급 장치
KR940016302A (ko) 직류 전자석 장치
KR0129296Y1 (ko) 밧데리 충전회로
JP3478890B2 (ja) 複数の信号を生成するためのdc/dcコンバータ
SE8604821D0 (sv) Slutsteg med automatisk nivakontroll for netsignalering
JPH10293617A (ja) 定電圧電源装置及び突入電流防止回路
JP2008141907A (ja) 温度保護機能付充電装置
GB2145545A (en) Voltage regulator for aircraft generators
US5221886A (en) Device for regulating the battery charging voltage delivered by an alternator
JPH07143683A (ja) 充電回路
KR890002731B1 (ko) 방전등 점등장치
EP0587966A1 (en) Circuit arrangment for priority-feeding of devices from the loop current
KR890000306B1 (ko) 전원 공급기의 과전압 보호 및 출력 상태 검지회로
SU1561070A1 (ru) Стабилизатор напр жени посто нного тока
KR20020030541A (ko) 충전기의 충전회로
KR920007743Y1 (ko) 과도 충전전류 제한용 테이프 쾌속 충전회로
SU826311A1 (ru) Ключевой стабилизатор постоянного напряжения 1
KR980006732A (ko) 영구자석형 발전기의 전압조정장치
KR20020072976A (ko) 전기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보조전원장치의전류제한 방법 및 장치
SU674003A1 (ru) Импульсный стабилизатор посто нного напр жени
JPS5775330A (en) Overload protecting device
KR940017035A (ko) 배터리 충방전 회로
KR20020003044A (ko) 충전시간을 단축시킨 리튬이온전지 충전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