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171B1 - 발진 회로 - Google Patents

발진 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171B1
KR0129171B1 KR1019880017547A KR880017547A KR0129171B1 KR 0129171 B1 KR0129171 B1 KR 0129171B1 KR 1019880017547 A KR1019880017547 A KR 1019880017547A KR 880017547 A KR880017547 A KR 880017547A KR 0129171 B1 KR0129171 B1 KR 0129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coupled
circuit
power supply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7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1189A (ko
Inventor
휴고 노르드홀트 에른스트
Original Assignee
이반 밀러 레르너
엔.브이.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반 밀러 레르너, 엔.브이.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filed Critical 이반 밀러 레르너
Publication of KR890011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1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3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being electromechanical resonator
    • H03B5/3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being electromechanical resonator being a piezoelectric resonator
    • H03B5/36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being electromechanical resonator being a piezoelectric resonator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3/00Starting of generator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진 회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정 발진기의 원리르 도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
제2도는 집적 반도체 기술에 사용하기 위한 기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피드백 증폭 회로 4 : 캐패시터
21 : 처동증폭기
본 발명은 전원 단자를 갖는 피드백 증폭 회로 및 수전자를 포함하는 공전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공진 회로는 상기 피드백 증폭 회로의 한 단자에 접속되어있고, 상기 피드백 증폭 회로는 바이어스 전류원과 결합되어 차동 증폭기를 포함하는 발진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수정 발진 회로는 특히 미합준국 특허출원 제4,574,257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전원 전압을 스위칭온 할 때 수정 발진기의 시동 동작은 충분한 양의 에너지가 수전자에 공급되어 공진을 얻는 방식에 상당히 의존한다. 공급된 에너지의 양은 회로에서 D.C.(직류) 바이어스 회로의 구현과 수정자에 인가된 잡음에 의해서 전원 전압이 확립되는 방식에 의해 주로 결정되는데, 특히 회로에 사용된 전원 전압에 대한 감결합(decoupling) 캐패시터에 의존한다. 결과적으로, 수정 발진기들은 실제로 규정되지 않은 비재현성 시동 동작을 한다.
그러나, 그러한 규정되지 않은 비재현성 시동 특성을 수정 발진기들을 테스트할 때 난점들을 유발시킨다. 예를 들어, 집적 회로의 전체 테스트 기간은 용적에 따라 대략 4내지 5초이다. 그러나, 이런 집적 회로들이 수정 발진기들을 포함하는 경우, 전체 테스트 기간은 발진기를 공진하게 만드는데 필요한 기간만큼 연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테스트 기간은 규정될 수 없고 또는 미리 공지되어 있지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대략 0.5초 정도의 안전 여유도를 갖는 대기 시간을 실제로 이용된다. 이것은 수정 발진기를 포함하고 있는 집적 회로의 전체 테스트 기간이 수정 발진기가 없는 대응되는 회로의 테스트 기간보다 대략 10% 더 길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수정 발진기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를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전체 시간 역시 더 길어 진다는 것이 명백하다. 그러한 집적 회로의 전체 제조 기간을 줄이는 것은 실제로 비용 절감 효과를 가지며 또한 전체 생산량 향상의 가능성을 제공한다.
IBN사 Technical Disclosure Bulletin의 Vol.21, No2, 1978년 7월, pp.492-493에서 수정 발진 회로의 시동 특성을 공진 회로의 스템 여기(stepped excitation)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는 공진회로의 일부를 형성하는 코일을 통해 전류를 스텝식으로 차단하여 여기가 실현되는 발진기가 도시되어 있다. 전류의 갑작스런 차단은 코일 양단의 전압 변화를 유발시키므로 발진 회로가 시동된다. 그러나, 이러한 공지된 여기 방법은 공진 회로가 코일을 포함하고 있는 수정 발진 회로에서만 효과적으로, 서두에서 기술한 유형의 발진 회로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두에서 기술한 발진 회로 종류의 시동 특성을 개성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바이어스 전류원이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스우치 가능하고, 레벨 검출기가 제공되어 전원 단자에서의 전압이 소정의 전위를 초과하는 경우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달성된다.
증폭 회로의 전원 전압이 피드백 증폭기가 확실하게 발진할 수 있는 소정의 값에 도달하자마자, 레벨 검출기는 바이어스 전류원을, 이어서 증폭 회로 전체를 스위치 온하는 스텝 신호를 공급한다. 이것은 수전자에 에너지를 스텝식으로 공급하게 되어, 이 수정자가 규정된 방법 및 신뢰할 수 있는 방법으로 공진을 하게 된다.
상기 레벨 검출기가 증폭 회로의 바이어스 전류원을 스위칭 온하는 전원 전압의 값은 당연히 증폭 회로의 구현 및 종류에 의존하며 이는 사전에 결정될 수도 있다(예를 들어 실험에 의해서).
상기 규정된 방식으로 발진 회로를 시동함으로써, 발진 회로가 공진을 명확히 달성하게 될 시기는 수정 발진 회로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를 테스팅할 때 미리 정확히 정해질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수정 발진 회로를 테스팅하는데 실제로 이용되는 대기 시간은 본 발명에 따른 레벨 검출 회로를 사용하는 경우 공진을 달성하는데 최소한 필요한 시간으로 감소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0.5초의 대기 시간은 본 발명에 따른 회로로 수십 밀리초로 감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수정 발진 회로를 포함하는 집적 회로의 테스트 기간은 공지된 수정 발진기들을 포함하는 대응 회로의 테스트 기간 보다 더 짧아질 수 있다.
좀더 빠른 처리 속도, 또는 보다 짧은 시간 사이클의 장점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수정 발진 회로는 증폭 회로의 루프 이득이 이와 같은 회로의 스텝식 여기로 인해 수정자 제조자들이 정상적으로 수정자의 공진을 달성하기 위해 권고하는 루프 이득값보다 더 낮게 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보다 낮은 루프 이득은 발진 회로의 잡음 특성을 개선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수정 발진 회로의 실시예는 레벨 검출기가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를 갖는 에미터 결합 트랜지스터쌍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는 임계 회로에 결합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는 전원 단자에 결합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는 제1 전류 미러의 입력단에 결합되고, 이 제1 전류 미러의 제1 출력은 제2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의 베이스에 결합되고, 제1 전류 미러의 제2 출력은 바이어스 전류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런 방식으로 형성된 레벨 검출기는 전원 전압 상의 뱅해 신호들에 감응하지 않는 비교기 및 트리거 회로의 결합 회로이고, 따라서 피드백 증폭 회로의 원치 않는 여기를 방지한다.
이제 본 발명이 집적 회로에서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수정 발진 회로에 관해 예로서 보다 상세히 기술된다.
개략적인 블록도로 도시되어 있는 제1도의 수정 발진 회로는, 출력 단자(2)를 갖는 피드백 증폭 회로(1)를 포함하고, 이 증폭 회로의 상기 출력 단자(2)는 수정자(3)와 캐패시터(4)의 직렬 배열을 포함하는 공진 회로의 한쪽 단에 접속되고, 이 공진 회로의 다른 한 단은 접지된다. 또한 이 공진 회로는 접지에 접속되는 대신에, 출력 단자(2) 및 발진 회로의 포지티브나 네가티브 전원 단자 사이에 접속될 수 도 있다. 필요하다면, 캐패시터(4)는 단락 회로도 대체될 수도 있다. 도시된 공진 회로 대신에, 앞에서 인용된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4,754,257호에 기술되어 있는 공진호로가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발진 회로의 출력 신호는 단자(5)에서 얻을 수 있다. 증폭 회로(1)는 전원 전압 VB가 접속되어 있는 전원 단자(20)로부터 전원 공급받으며, 상기 증폭 회로는 차동 증폭기(21)와, 직류를 이 차동 증폭기에 공급하는 스위칭가는 바이어스 전류원(22)을 포함한다.
비교기(7)의 출력 신호에 의해 트리거되는 트리거 회로(6)를 포함하는 레벨 검출기 또한 증폭 회로(1)에 결합된다. 전원 전압 VB는 비교기(7)의 한 입력 단자(8)에 접속되고, 임계 전압 Vd는 다른 입력 단자(9)에 존재한다. 전체 전원 전압 VB대신에, 전원 전압의 일부만이 예를 들어 분압 회로(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해 비교기(7)의 입력 단자(8)에 인가될 수 있다.
비교기(7)의 입력 단자(8)에서의 전압이 입력 단자(9)에서의 임계 전압을 초과하자마자, 트리거 신호는 스텝 여기서(excitation) 신호를 증폭 회로(1)에 인가시키는 트리거 회로(6)에 인가된다. 이러한 스텝 여기 신호로 결과로서, 수정자(3)를 공진시키는데 요구되는 에너지의 양이 갑작스럽게 이 수정자에 인가된다.
비교기(7)의 입력 단자(9)에서 임계 전압 Vd의 선택은 증폭 회로(1)가 공진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설정 상태에 이르는 전원 전압 VB의 값에 의해 결정된다. 물론 Vd의 값은 증폭 회로의 종류 및 각종 직류 바이어스 회로의 구현에 의존한다.
제2도는 집적 회로에 사용하기에 특히 접합한 본 발명에 다른 레벨 검출기를 포함하는 발진 회로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기본 회로도를 도시한 것이다.
레벨 검출기는 트랜지스터 T1및 T2로 구성되는 에미터 결합 트랜지스터쌍으로 이루어지는 비교기/트리거 회로의 결합 회로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 T1의 베이스는 트랜지스터 T3,T4및 T5로 구성된 세 개의 반도체 접합의 임계 회로를 통하여 공통 네가티브 전원 단자와, 저항 R1을 통하여 공통 포지티브 전원 단자에 접속된다. 저항 분압기 R2,R3로 미리 결정된 전원 전압의 일부는 트랜지스터 T2의 베이스에 존재한다. 트랜지스터 T1의 콜렉터는 포지티브 전원 단자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 T2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 T6,T7및 T8로 구성되는 공지된 전류 미러 회로의 입력단에 접속되며,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배열된다. 트랜지스터 T7의 콜렉터로 구성된 전류 미러의 출력은 트랜지스터 T2의 베이스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T1및 T2의 에미터들은 함께 접속되어 전류 기준 소자(10)를 통하여 네가티브 전원 단자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레벨 검출기는 슈미트형(Schmitt-type)의 쌍안정 트리거회로의 집적 형태이다. 트랜지스터 T2의 베이스에서의 전압이 트랜지스터 T1의 베이스에서의 세 반도체 접합에 의해 형성된 임계값보다 작게 되는 한, 트랜지스터 T2의 콜렉터 리드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트랜지스터 T2의 베이스에서의 전압이 상기 회로의 전압 전압 VB의 증가에 따른 결과로서 트랜지스터 T1의 베이스에서 임계 전압을 초과하는 즉시, 트랜지스터 T1을 통하는 전류는 스텝형으로 트랜지스터 T2에 인계된다. 전류 미러 T6, T7, T8의 출력 즉 트랜지스터 T7의 콜렉터가 트랜지스터 T2의 베이스에 결합되기 때무네, 트랜지스터 T2역시 트랜지스터 T2의 베이스에서의 전압이 예를들어 방해 펄스 또는 기타 다른 영향들의 결과로서 트랜지스터 T1의 베이스에서의 전압보다 낮게 될 때 턴 온 상태로 유지된다.
전류 미러 T6, T7, T8을 통과하는 전류에 기인하여,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들에 접속되어 있는 트랜지스터 T9을 통하여 전류가 또한 흐를 것이다. 트랜지스터 T9의 콜렉터 리드는 T10과 T11을 포함하는 부가적인 전류 미러와 결합한다. 트랜지스터 T10과 T11의 베이스들은 상호 접속되어 트랜지스터 T9의 콜렉터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T10의 에미터는 저항 R4를 통하여 네가티브 전원 단자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 T11의 에미터는 저항 R5를 통해서 상기 네가티브 전원 단자에 접속된다. 저항 R4, R5의 값은 이와 같은 전류 미러의 각각의 입력 및 출력 전류를 결장한다.
트랜지스터 T11는, 트랜지스터 T13와 T14를 포함하고 반전 대칭 전압 미리터로서 동작하는 자동 증폭기를 통해 피드백되는 증폭기로서 배열된 트랜지스터 T12와, 에미터 폴로워(follower)로서 배열된 트랜지스터 T15로 구성되는 실제 공진 회로의 전원 회로에서 스위칭가능 전류원으로서 결합되어 있다.
트랜지스터 T12의 콜렉터는 저항 R10을 통하여 포지티브 전원 단자의 접속 되고, 상기 트랜지스터 T12의 에미터는 전류원(13)을 통하여 네가티브 전원 단자에 접속된다. T12의 에미터는 제1도에 따라 공진 회로를 위한 단자(2)를 구성한다. 트랜지스터 T13와 T14의 에미터들은 상호 접속되어 트랜지스터 T11의 콜렉터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T13의 베이스트 전류원(11)을 통하여 네가티브 전원 단자와 접속되고, 저항 R6을 통하여 포지티브 전원 단자와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T13의 콜렉터는 또한 저항 R7을 통하여 포지티브 전원 단자에 결합된다. 트랜지스터 T14의 콜렉터는 두 저항 R8및 R9의 직렬 배열을 통하여 포지티브 전원 단자에 접속되는 한편, 두 저항의 접합점은 트랜지스터 T15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이 트랜지스터 T15의 콜렉터는 포지티브 전원 단자에 접속되고, T15의 에미터는 전류원(12)을 통하여 네가티브 전원 단자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T15의 에미터 역시 트랜지스터 T12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 T14의 베이스는 트랜지스터 T12의 콜렉터에 접속된다.
공진 동안에 트랜지스터 T12의 콜렉터는 정현파 신호를 전달하고 이 신호의 주파수는 단자 2와 접속된 공진 회로의 공진 주파수에 상응한다. 트랜지스터 T12의 콜렉터에서의 신호는 차동 트랜지스터쌍 T13및 T14에 의해서 대칭적으로 제한되고, 반던되며, R8와 R9로 구성된 분압기를 통하여 트랜지스터 T12의 베이스로 트랜지스터 T15를 통하여 피드백된다. 증폭 트랜지스터 T12는 트랜지스터 T12의 콜렉터에서의 정현파 전압의 진폭을 수백 밀리볼트로 제한시키는 약간의 네가티브 콜렉터-베이스 전압을 갖는다. 그러나, 이 값은 트랜지스터 T13및 T14의 콜렉터들이 공진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고 있는 방형파 형태 신호들을 전달하도록 트랜지스터 T13및 T14로 구성된 차동상들이 스위치로서 동작하게 하는 충분하다. 에미터 폴로워로서 배열된 트랜지스터 T15는 증폭 회로의 제어 범위를 증가시키지만, 필요하다면 트랜지스터 T15는 저항 R8와 R9의 접합점과 트랜지스터 T12의 베이스 사이의 단락 회로로 대체될 수도 있으며 전류원(12)은 여러부의 것이다.
트랜지스터 T14의 콜렉터에서 방형파의 진폭은 이 방형파 전압의 준압기 R8, R9및 트랜지스터 T15를 통하여 수정자에 인가될 때, 수정자에서 전류 피크값이 전류원(13)에 의해 공급된 트랜지스터 T12의 바이어스 전류를 초과하지 않게 되는 정도이어야 한다. 수정자의 직렬 공진 저항이 50오옴 전도이기 때문에, 전체 회로가 저전력으로 동작하는 경우, 전압의 피크값은 매우 작게 유지되어야 하고, 그것은 거의 예를 들어 집적 회로의 경우일 것이다.
트랜지스터 T14의 베이스와 콜렉터 사이에 배열된 피드백 캐패시턴스 C는 저항 R9와 함께, 증폭 트랜지스터 T12의 용량성 부하를 높이도록 작용하므로, 공진 회로에 포함되어 있는 패패시턴스에 기인한 루프 이득의 증가가 줄어들고 발진 회로의 안정성이 개선된다. 공진 회로의 동작은 미국, Syracuse, 1987년 6월 3-5일, Proceedings 30th Midwest Symposium on Circuits and Systems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2도에 도시된 수정 발진기로 행한 테스트에 의해, 수정자의 직렬 공지 저항이 원치 않은 범위까지 수정자의 제어 레벨에 의존했기 때문에 제조자들로부터 외면당해온 수정자를 이용하여, 매우 안정되고 신뢰할 수 있는 시동 특성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증폭 회로가 전류원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받으므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유사한 방식으로 전류 미러 T10, T11에 의해 스위치 온 될 수 있는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4,574,257호에 따른 발진 회로에 대해 이용될 수도 있음이 명백하다.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비교적 용이한 방식으로 각종 공지된 트리거회로 및 비교 회로에 의해, 도시된 쌍안정 트리거 회로 및 비교 회로의 결합 회로를 대체할 수 있다. 바이폴라형의 트랜지스터들만이 제2도에 도시되어 있을지라도, 본 발명에 따른 발진 회로 역시 당연히 CMOS 또는 BIMOS와 같은 다른 반도체 기술로 디자인될 수도 있다.

Claims (6)

  1. 전원 단자(20)를 갖는 피드백 증폭 회로(1), 및 수정자(3)를 포함하는 공진 회로(3, 4)를 포함하고, 상기 공진 회로(3, 4)는 상기 피드백 증폭 회로(1)의 한 단자(2)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피드백 증폭 회로(1)는 바이어스 전류원(22)과 결합되는 차동 증폭기(21)를 포함하는 발진 회로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전류원(22)은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스위치 가능하고, 레벨 검출기(6, 7)가 제공되어 상기 전원 단자(20)에서의 전압이 소정의 전위를 초과하는 경우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 회로.
  2. 수정자(3)를 포함하는 공진 회로(3, 4)를 접속시켜 주는 한 단자(2), 및 전원 단자(20)를 갖는 피드백 증폭 회로(1)를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증폭 회로(1)는 바이어스 전류원(22)과 결합되는 차동 증폭기(21)를 포함하는 집적 발진 회로에 있어서, 사익 바이어스 전류원(22)은 스위칭 신호에 응답하여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스위치 가능하고, 레벨 검출기(6, 7)가 제공되어 상기 전원 단자(20)에서의 전압이 소정의 전위를 초과하는 경우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발진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검출기(6, 7)는 제1 트랜지스터(T1) 및 제2 트랜지스터(T2)를 갖는 에미터 결합 트랜지스터쌍(T1, T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T1)의 베이스는 임계 회로(T1, T3, T4, T5)에 결합되며, 상기 제2 트랜지스터(T2)의 베이스는 상기 전원 단자(20)에 결합되며, 상기 제2 트랜즈스터(T2)의 콜렉터는 제1 전류 미러(T6, T7, T8, T9)의 입력단 (T6, T8)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전류 미러(T6, T7, T8, T9)DLM 제1 출력단은(T7)은 상기 제2 트랜지스터(T2)의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제 1전류 미러(T6, T7, T8, T9)의 제2 출력단(T9)은 바이어스 전류원(T11, R5)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 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서 전류원(T11, R5)은 제2 전류 미러 (T10, R4, T11, R5)의 출력 가지(branch)이고, 상기 제2전류 미러(T10, R4, T11, R5)의 입력 가지 (T10, R4)는 상기 제1 전류 미러(T6, T7, T8, T9)의 제2 출력단(T9)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 회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검출기(6, 7)는 제1 트랜지스터(T1) 및 제2 트랜지스터(T2)를 갖는 에미터 결합 트랜지스터쌍(T1, T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T1)이 베이스는 입계 회로(T1, T3, T4, T5)에 결합되고, 상기 제2트랜지스터(T2)의 베이스는 상기 전원 단자(20)에 결합되며, 상기 제2트랜지스터(T2)의 콜렉터는 제1전류 미러(T6, T7, T8, T9)의 입력단(T6, T8)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전류 미러(T6, T7, T8, T9)의 제1 출력단(T7)은 상기 제2 트랜지스터(T2)의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전류 미러(T6, T7, T8, T9)의 제2 출력단(T9)은 바이어스 전류원(T11, R5)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적 발진 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어서(T11, R5)은 제2 전류 미러(T10, R4, T11, R5)의 출력 가지(branch)이고, 상기 제2 전류 미러(T10, R4, T11, R5)의 입력 가지(T10, R4)는 상기 제1 전류 미러(T6, T7, T8, T9)의 제2 출력단(T9)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집적 발진 회로.
KR1019880017547A 1987-12-30 1988-12-27 발진 회로 KR01291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8703160 1987-12-30
NL8703160 1987-12-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1189A KR890011189A (ko) 1989-08-14
KR0129171B1 true KR0129171B1 (ko) 1998-10-01

Family

ID=19851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7547A KR0129171B1 (ko) 1987-12-30 1988-12-27 발진 회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870383A (ko)
EP (1) EP0322969B1 (ko)
JP (1) JPH01212106A (ko)
KR (1) KR0129171B1 (ko)
DE (1) DE3888656T2 (ko)
HK (1) HK6259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2325A (en) * 1993-10-08 1995-08-1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and system with reduced sensitivity to power supply variation
US5675294A (en) * 1996-01-04 1997-10-07 Sierra Semiconductor Single pin crystal oscillator circuit
US5909152A (en) * 1997-02-28 1999-06-0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Low power CMOS crystal oscillator circuit
US6278336B1 (en) 1998-02-27 2001-08-2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Low-current oscillator with hysteresis input buffer
AU2002251595A1 (en) * 2002-04-05 2003-10-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Oscillator circuit and oscillator bias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301905A (nl) * 1983-05-30 1984-12-17 Philips Nv Oscillatorschakeling.
US4617534A (en) * 1984-03-23 1986-10-14 U.S. Philips Corporation High-speed switched oscil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1212106A (ja) 1989-08-25
US4870383A (en) 1989-09-26
EP0322969A2 (en) 1989-07-05
EP0322969A3 (en) 1989-11-23
EP0322969B1 (en) 1994-03-23
DE3888656T2 (de) 1994-09-22
KR890011189A (ko) 1989-08-14
HK62596A (en) 1996-04-19
DE3888656D1 (de) 199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45405A (en) Composite transistor device with over current protection
KR0134914B1 (ko) 아날로그 방식의 발진회로
US20020135433A1 (en) Piezoelectric oscillator
KR0129171B1 (ko) 발진 회로
KR970024508A (ko) 발진회로 및 발진방법
US4871985A (en) Low noise relaxation oscillator
JPH09116412A (ja) 電圧発生回路
EP0106953B1 (en) Amplifier
US6046623A (en) Signal detecting circuit
US3512106A (en) Clock oscillator
US5103123A (en) Phase detector having all NPN transistors
US6952140B2 (en) Ocillator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4071832A (en)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US4336507A (en) Current output relaxation oscillator
US4065728A (en) Crystal oscillator including a pair of push-pull complementary transistor amplifiers
US4931750A (e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US4763086A (en) Automatic gain control for tank typ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JP3255581B2 (ja) 発振回路
JPS5928936B2 (ja) 光電スイッチ
JPH039650B2 (ko)
GB2218544A (en) Bandgap startup circuit
JPH02168704A (ja) 発振回路
KR100669831B1 (ko) 기생-전류 제한기를 구비한 증폭기 출력단
JP2788731B2 (ja) 電圧制御発振器のクランプ回路
US3828273A (en) Condition-responsive control circuit including pulse-energized oscillator and amplif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