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104B1 - 고체폐기물분별처리시스템의 분별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고체폐기물분별처리시스템의 분별처리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104B1
KR0129104B1 KR1019970016002A KR19970016002A KR0129104B1 KR 0129104 B1 KR0129104 B1 KR 0129104B1 KR 1019970016002 A KR1019970016002 A KR 1019970016002A KR 19970016002 A KR19970016002 A KR 19970016002A KR 0129104 B1 KR0129104 B1 KR 0129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waste
electric
conveyor
belt conveyo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6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카 미츄히로
Original Assignee
미츄히로 오키
오카산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츄히로 오키, 오카산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미츄히로 오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9/00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 B03B9/06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9/00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 B03B9/06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B03B9/061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 B03B9/065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the refuse being building rub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2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8Construction or demolition [C&D] was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9/00Classifying, separating, and assorting solids
    • Y10S209/93Municipal solid waste sorting

Abstract

고체폐기물분별처리시스템의 분별처리장치는 제1속도로 고체폐기물군을 반송가능한 벨트콘베어(11, 12, 13)와 일단이 벨트콘베어(11, 12, 13)의 하류측 단부에 배치되고 제1속도보다 큰 제2속도로 고체폐기물군을 반송가능한 벨트콘베어(16, 17, 18)를 가지고 있다.
벨트콘베어(11, 12, 13)는 저류부(2)의 투입방향 전방에 있어서, 투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보다 투입방향 전방으로 나아간 반송방향 상류측단부(11a, 12a, 13a)가 보다 전방에 연장되고 있다.
벨트콘베어(16, 17, 18)로 분별작업을 행한 고체폐기물군은 풍력선별기(10)에 공급된다.
풍력선별기(10)는 낙하된 고체폐기물군을 받는 경사면(51)과 경사면(51)에 연하여 낙하된 고체폐기물군에 대하여 횡으로부터 경사진 상방에 송풍하는 플로어(55)와 플로어(55)에 의해 분별된 고체폐기물군을 다른 루우트로 분배하는 분배경로(53, 54)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고체폐기물 분별처리시스템의 분별처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채용된 건설폐기물처리플랜트의 평면부분도이고,
제2도는 그 나머지 부분의 평면부분도이고,
제3도는 제1도의 Ⅲ-Ⅲ 단면도이고,
제4도는 전기 플랜트의 제2도에 나타난 부분의 측면도이고,
제5도는 제1도의 V-V단면도이고,
제6도는 자선기의 개략 구성도이고,
제7도는 풍력 선별기의 종단면 개략 구성도이고,
제8도는 풍력 선별기의 변형예의 종단면 개략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건설폐기물처리플랜트 2 : 저류부
3 : 제1콘베어부 4 : 제2콘베어부
5 : 자선기 6 : 제3콘베어부
7 : 핀트부 8 : 제4콘베어부
9 : 체부 10 : 풍력선별기
11, 12, 13 : 벨트콘베어 14 : 구(構)
15 : 가이드판 16, 17, 18 : 벨트콘베어
19 : 족장 21 : 롤러
22 : 박막벨트 23 : 자석
24, 25, 26, 27, 28, 29 : 벨트콘베어
31, 32, 33, 34, 35, 36 : 처리핀트
37 : 진동체 38, 39 : 벨트콘베어
31a : 파쇄기 34a : 압축기
44, 45, 46 : 벤트콘베어 43 : 진동체
50 : 투입구 51 : 경사면
52 : 송풍구 53, 54 : 분배경로
53a, 54a : 벨트콘베어 55 : 플로아
56 : 제1케이싱 57 : 제2케이싱
58 : 방벽판 59 : 공기출구
60 : 집진장치 61 : 흡인덕트
62 : 단부 63 : 플로아
61a : 중량물통과덕트 61b : 경량물통과덕트
64a, 64b : 송풍구 66 : 불연물배출구
65 : 가연물배출구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분별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체폐기물군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불를 갖는 고체폐기물분별처리시스템에서의 분별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설폐기물 등을 포함하는 고체폐기물은 환경보전의 관점에서 자재의 재이용을 목적으로 분별처리가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분별처리는 고체폐기물분별시스템을 갖는 폐기물 처리 플랜트에 의해 행해지고 있으나 다음과 같은 과제를 가지고 있다.
분별처리에는 사람의 손으로 행하는 수선별처리나, 진동체, 버게트스크린 및 인클라인 선별기 등의 선별기를 이용한 선별처리가 있다.
그러나, 수선별처리는 금속, 마분지, 폐프라스틱, 나무찌꺼기 등의 비교적 대형의 자재물을 분별할 수는 있지만 작은 것에 대하여는 분별할 수가 없다.
또한 버게트스크린과 인클라인선별기로도 작은 폐기물의 선별은 불가능하다. 진동체는 작은폐기물을 분별할 수는 있지만, 입경을 기초로 선별을 하는 것이므로 불충분하다.
예를들면 블록형상의 시멘트, 흙 및 모래가 혼재하는 나무조각, 종이찌꺼기 및 플라스틱편 등을 분별처리하기 위하여는 입경을 기준으로한 분별만으로는 불충분하다.
고체폐기물 분별시스템은 고체폐기물군을 반송하기 위한 벨트콘베어가 설치되고, 벨트콘베어에 의해 반송된 고체폐기물군에 대하여 수선별이 행해진다. 그래서 고체폐기물은 벨트콘베어 위에 두껍게 쌓이게 되면 분별처리가 곤란하다. 한편, 분별처리를 원활하게 행하기 위해 고체폐기물의 적재량을 적게 하게 되면 폐기물 처리량도 저하된다.
고체폐기물군의 저류부(貯溜部 )에는 1개의 벨트콘베어가 인접하여 있어서 대량의 고체폐기물을 반송할 수 없다. 반송량을 크게 할 수 없기 때문에 분별처리량을 증대시킬 수가 없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목적은 고체폐기물의 분별효율을 높이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시스템 전체의 가동효율을 높이는데 있다.
1. 제1의 관점에 관계되는 고체폐기물분별처리장치는 낙하되는 고체폐기물군을 받는 경사면과, 그 경사면에 연하여 낙하된 고체폐기물군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송풍하는 플로아와, 플로아에 의해 분별된 고체폐기물군을 별도 루우트로 분배하는 분배경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분별처리장치는 낙하되는 고체폐기물군이 먼저 경사면에 충돌한다. 그 결과 고체폐기물군의 낙하속도가 감소한다. 그래서 낙하속도가 감소된 고체폐기물군에 횡방향으로 플로아가 송풍을 행한다. 이러한 송풍에 의해 풍압의 영향을 받기 쉬운 경량물은 송풍방향 전방으로 날리게 된다. 그 결과 풍압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중량물과 풍압의 영향을 받기 쉬운 경량물로 분별된다. 분별된 고체폐기물군은 분재경로에 의해 별도의 루우트에 분배된다.
2. 제2의 관점에 관계되는 고체폐기물 반송장치는 제1속도로 고체폐기물군을 반송할 수 있는 제1벨트콘베어와, 일단이 제1벨트콘베어의 하류측 단부에 배치되어 제1속도보다 큰 제2속도로 고체폐기물군을 반송할 수 있는 제2벨트콘베어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고체폐기물군이 제1벨트콘베어에 대량으로 투입되어도 제2벨트콘베어 위에는 분별이 적합한 두께로 전개될 수 있다. 따라서 고체폐기물군의 분별처리를 대량으로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3. 제3의 관점에 관계되는 고체폐기물 수입장치(受入裝置)는 고체폐기물군을 저류(貯溜)하기 저류부와, 저류부로부터 투입되는 고체폐기물을 받아 분별처리부에 반송하는 반송부를 가지고 있다.
반송부는 저류부의 투입방향 전방에 놓여 투입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투입방향 전방으로 나아갈수록 방송방향 상류 측단부가 전방으로 더욱 연장되어 있는 복수의 콘베어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복수의 콘베어에 대하여 측방으로부터 고체폐기물군을 투입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분별처리부로의 고체폐기물군의 반송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또는 다른 목적 및 잇점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료하게 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제1도 내지 제4도에 있어서, 본 발명의 1실시예가 채용된 건설폐기물처리플랜트(1)는 건설폐자재 등으로 된 고체폐기물을 저류(貯溜)하기 위한 저류부(貯溜部)(2), 저류부(2)로부터 투입된 고체폐기물군을 받기 위한 제1콘베어부(3)와, 제1콘베어부(3)에 접속된 제2컨베어부(4)와, 제2콘베어부(4)의 하류측단부 상방에 배치된 자선기(5)와, 제2콘베어부(4)와 직교하는 콘베어군으로 된 제3콘베어부(6)와, 제3콘베어부(6)에 의해 반송된 분별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핀트부(7)와, 제2콘베어부(4)의 하류측단부의 하방에 상류측단부가 배치된 제4콘베어부(8)와, 제4콘베어부(8)의 하류측단부에 접속된 체부(9)와, 체부(9)의 하류측단부에 접속된 풍력선별기(10)로 구성되어 있다.
저류부(2)는 대체로 평탄한 지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덤프트럭등의 반송차량으로부터 내려진 고체폐기물군(A)를 산 보양으로 저류하고, 또한 저류부(2)에는 불도저등을 이용하여 고체폐기물군(A)를 화살표방향(투입방향)로 밀어내다.
제1콘베어부(3)는 저류부(2)에 인접 배치되고 그 반송방향(도면의 우방향)은 저류부(2)의 투입방향에 직교되어 있다.
제1콘베어부(3)는 고무로 된 환상의 벨트를 갖는 3개의 벨트콘베어(11, 12, 13)로 구성되어 있다.
벨트콘베어(11, 12, 13)는 서로 평행 또는 수평으로 배치되고 제5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면에 형성된 구(構)(14)의 저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각 벨트콘베어(11, 12, 13)에 있어서, 저류부(2)로부터 이탈된 측부에는 저류부(2)로부터 투입된 고체폐기물군을 각 벨트콘베어(11, 12, 13)로 인도하기 위한 가이드판(15)이 부착되어 있다.
가이드판(15)는 구(14)의 측벽면에 연하여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여기에 저류부(2)보다도 상류로 연장되어 있다.
벨트콘베어(11, 12, 13)는 저류부(2)의 투입방향의 전방으로 나아갈수록 그 연장된 양이 크게 된다. 즉, 벨트콘베어(12)의 상류측단부는 벨트콘베어(11)의 상류측단부와 제2콘베어부(4)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벨트콘베어(13)의 상류측단부는 벨트콘베어(12)의 상류측단부와 제2콘베어부(4)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도에서 도시된 것처럼 각 가이드판(15)을 저류부(2)에 대하여 투입방향으로 노출된 부분에서 벨트콘베어(11, 12, 13)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저류부(2)로부터 투입된 고체폐기물군을 3개의 벨트콘베어(11, 12, 13)에서 축방향으로부터 대량으로 받을 수 있게 되는데, 제2벨트콘베어부(4)로의 고체폐기물군의 반송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2콘베어부(4)는 그 상류측단부가 제1콘베어부(3)의 하류측단부에 하방으로 중복되게 배치되어 있다.
제2콘베어부(4)는 서로 평행 또는 수평으로 배치된 벨트콘베어(16, 17, 18)를 가지고 있다.
벨트콘베어(16, 17, 18)는 고무로 된 환상의 벨트를 가지고 있고, 평면적으로볼 때 각각 벨트콘베어(11, 12, 13)의 연장선위에 배치되어 있다.
벨트콘베어(16, 17, 18)의 반송속도는 벨트콘베어(11, 12, 13)의 반송속도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예를들면, 벨트콘베어(11, 12, 13)의 반송속도가 2.5m/분, 벨트콘베어(16, 17, 18)의 반송속도가 8.0m/분으로 설정되어 있다.
벨트콘베어(16, 17, 18)의 반응속도는 벨트콘베어(11, 12, 13)의 반송속도의 2배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속도치 및 속도비는 도시되지 않은 콘트롤러에 의해 설정 변경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벨트콘베어(11, 12, 13)의 반송속도보다도 벨트콘베어(16, 17, 18)의 반송속도가 크기 때문에 벨트콘베어(16, 17, 18)위의 고체폐기물의 층이 벨트콘베어(11, 12, 13)위의 고체폐기물의 층보다도 얇게 된다.
따라서 제1콘베어부(3)에 의해 반송된 고체폐기물군을 제2콘베어부(4)의 각 벨트콘베어(16, 17, 18)위에서 수선별을 행하기 쉬운 두께로 전개된다.
각 벨트콘베어(16, 17, 18)의 측방에는 족장(19)이 형성되어 있다.
작업원은 족장(19) 위에 서서 수선별 작업을 행한다. 자선기(5)는 제6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1대의 롤러(21)와, 그 롤러(21)에 가설된 박막벨트(22)와, 롤러(21) 사이에 있는 박막벨트(22)의 하부 주행면 상방에 설치된 복수의 자석(23)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선기(5)는가 벨트콘베어(16, 17, 18)의 상류측단부위에 5cm 정도의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다.
밸트(22)는 벨트콘베어(16, 17, 18)와 직교되도록 배치되고, 또한 그 하류측단부는 각 벨트콘베어(16, 17, 18)보다도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벨트(22)의 돌출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자석(23)이 배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제3콘베어부(6)는 제2콘베어부(4) 보다도 하방에 배치되어 있고 제2콘베어부(4)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3콘베어부(6)는 그 상류측부분이 제2콘베어부(4)에 하방으로 중복되게 배치되어 있다.
제3콘베어부(6)는 서로 평행 또는 수평으로 배치된 벨트콘베어(24∼29)를 가지고 있다.
벨트콘베어(24∼29)는 고무로 된 환상 벨트를 가지고 있다. 벨트콘베어(24∼29)의 하류측단부는 핀트부(7)의 대응하는 핀트내에 배치되어 있다.
벨트콘베어(24∼29)중 벨트콘베어(24)는 폐플라스틱을 반송하기 위한 것이다.
벨트콘베어(25)는 비교적 대형의 잔재를 반송하기 위한 것이다.
벨트콘베어(26)는 스크랩을 반송하기 위한 것이다.
벨트콘베어(27)는 마분지류를 반송하기 위한 것이다.
벨트콘베어(28)는 비교적 대형의 가연물을 반송하기 위한 것이다.
벨트콘베어(29)는 자선기(5)로 선별된 금속류를 반송하기 위한 것이다.
핀트부(7)는 삼방을 경계벽으로 구획된 복수의 처리핀트(31∼36)로 되어 있다.
핀트(31)는 벨트콘베어(24)의 하류측단부, 핀트(32)는 벨트콘베어(25)의 하류측단부, 핀트(33)는 벨트콘베어(26)의 하류측단부, 핀트(34)는 벨트콘베어(27)의 하류측단부, 핀트(35)는 벨트콘베어(28)의 하류측단부, 그리고 핀트(36)는 벨트콘베어(29)의 하류측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핀트(31)에는 폐플라스틱을 파쇄하기 위한 파쇄기(31a)가 배치되어 있고, 핀트(34)에는 마분지류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34a)가 배치되어 있다.
제4콘베어부(8)는 제2콘베어부(4)의 하류측부분에 하방으로 중복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제4콘베어부(8)는 그 상류측부분이 제2콘베어부(4)의 하류측부분에 하방으로 중복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제4콘베어부(8)는 제2콘베어부(4)보다도 하방에 있고, 평면적으로 볼 때 제2콘베어부(4)의 연장선 위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제 4콘베어부(8)는 그 상류측부분이 제2콘베어부(4)의 하류측부분에 하방으로 중복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제4콘베어부(8)는 서로 평면 또는 수평으로 배치된 벨트콘베어(44, 45, 46)로 구성되어 있다.
벨트콘베어(44, 45, 46)는 고무로 된 환상의 벨트를 가지며, 그 하류측단부가 체부(9)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체부(9)는 빗살모양의 체를 갖는 진동체(37)와, 진동체(37)의 체 하부를 반송하는 1대의 벨트콘베어(38, 39)와, 벨트콘베어(39)의 하류측부에 배치된 별개의 진동체(43)로 구성되어 있다.
진동체(43)는 망상(網狀)의 체를 가지고 있다. 풍력선별기(10)는 제7도에 나타난 것처럼 진동체(9)(제4도)로부터 고체폐기물군을 받아들이는 투입구(50)와, 투입구(50)에서 경사되게 하방으로 연장된 경사면(51)과 경사면(51)의 하단에 배치된 송풍구(52)와, 송풍구(52)의 하부에 배치되어 분기하는 1대의 분배경로(53, 54)를 가지고 있다.
분배 경로(53)는 중량불용이고, 그 하단은 제4도에 나타난 벨트콘베어(53a)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분배경로(54)는 경량물이고, 그 하단은 제4도에 표시된 벨트콘베어(54a)의 상단에 배치되어 있다.
각 벨트콘베어(53a, 54a)에 분배된 고체폐기물군은 소정의 핀트(도시되지 않음)에 반송되어 저류된다. 송풍구(52)에는 플로아(55)의 토출구가 접속되어 있고, 플로아(55)로부터의 압축공기가 횡으로 경사지게 상방으로 분출되게 되어 있다.
압축공기의 분출방향(화살표로 도시)은 수직방향에 대하여 50-60。의 각도로 되어 있고, 압축공기의 토출방향 전방에는 제1케이싱(56)으로 둘러쌓인 스페이스(S1)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스페이스(S1)의 공기 토출방향 전방에는 제2케이싱(57)으로 둘러쌓인 제2 스페이스(S2)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스페이스(S1)과 제 2스페이스(S2)와의 사이에는 상하로 연장된 방벽판(58)이 배치되어 있다. 제2스페이스( S2)의 용적은 제 1 스페이스(S1)의 용적보다도 크게 설명되어 있고, 이렇게 하여 제1스페이스(S1)내의 공기의 유속에 대하여 제2스페이스(S2)내의 공기의 유속이 저하되게 되어 있다.
제2케이싱(57)의 상단에는 공기출구(59)가 설치되어 있다.
공기출구(59)에는 제4도에 나타난 것처럼 집진장치(60)이 흡인덕트(61)의 선단이 접속되어 있다.
집진장치(60)는 풍력선별기(10)의 배기로부터 미소립자를 제거하기 위해 장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건설폐기물처리 플랜트에 있어서 고체폐기물로의 처리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저류부(2)에 담프트럭 등에 의해 고체폐기물군(A)가 적치된다. 적치된 고체폐기물군은 불도저등에 의해 제1콘베어부(3)에 투입된다.
이때 각 벨트콘베어(11, 12, 13)의 상류측단부에는 가이드판(15)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구(14)의 내부에 과잉으로 압입된 고체폐기물군의 오버플로어가 방지 된다. 또한 가이드판(15)의 상부까지 고체폐기물이 산 모양으로 쌓이는 경우에 있어서도 가이드판(15)에 의해 과잉의 폐기물은 순차로 벨트콘베어(16, 17, 18)위에 인도된다.
따라서 불도저 등에 의하여 폐기물을 압입할 때의 투입량을 증가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각 벨트콘베어(16, 17, 18)에 의한 고체폐기물군의 반송효율을 높일 수 있고 수입(受入)되는 양을 크게 할 수 있다.
제1콘베어부(3)의 가 벨트콘베어(11, 12, 13)에 적치된 고체폐기물군은 예를들면 2.5m/분의 반송속도로 제2콘베어부(4)로 반송된다. 그래서 고체폐기물군은 벨트콘베어(11, 12, 13)로부터 제2벨트콘베어부(4)의 가 벨트콘베어(16, 17, 18)위에 낙하된다. 여기에서, 벨트콘베어(16, 17, 18)의 반송속도가 예를들면 8m/분으로 설정되고, 고체폐기물군의 제1콘베어부(3)에 두껍게 산적된 상태가 되어도 벨트콘베어(16, 17, 18)위에는 수선벌에 적절한 두께로 전개된다. 이렇게 하여 족장(19)위의 작업원은 용이하게 선별작업을 할 수 있다. 선별작업에서 취출된 고체폐기물은 하방에 배치된 제3콘베어부(6)의 가 벨트콘베어(24∼29)에 각 종류가 투하되고 핀트부(7)의 각 핀트(31∼36)에 각각 수용된다.
여기에서는 제2콘베어부(4)가 제3콘베어부(6)와 교차되어 있기 때문에 분별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제2콘베어부(4)의 하류측단부에는 상방에 배치된 자선기(5)에 의해 고체폐기물로부터 금속편이 제거된다. 여기에서 금속편은 자석(23)에 의해 박막벨트(22)의 하면에 부착되고 콘베어(29)의 상방으로 낙하된다. 벨트콘베어(29)에 낙하된 금속편은 핀트(36)에 소용된다. 또한 고체폐기물군은 제4콘베어를 통하여 진동체(37)에 도달된다. 여기에서 고체폐기물군은 빗살모양의 체에 걸리게 되고 그 체의 하부는 벨트콘베어(38, 39)를 매개로 다시 진동체(43)에 걸리게 된다.
진동체(37)의 체 상부는 풍력선별기(10)에 투입구(50)로부터 투입된다. 출력선별기(10)에 투입된 고체폐기물군은 먼저 경사면(51)에 충돌하고, 그 속도가 저하되게 된다. 따라서, 경사면(51)에 연하여 낙하된 고체폐기물에 대해서 플로아(55)가 송풍구(52)로부터 경사진 상방으로 송풍을 행한다.
여기에서, 송풍이 경사진 상방에 행하기 때문에, 그 상방의 벡터에 의해 낙하속도가 감소되고, 그 횡방향의 벡터에 의해 충압의 영향을 받기 쉬운 경량물이 제1스페이스(S1)측으로 날리게 된다.
풍압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중량물은 그대로 낙하되고 분배경로(53)내에 들어가 벨트콘베어(53a)에 인도된다.
제1스페이스(S1)내에 들어온 경량물은 방벽판(58)에 의해 제2스페이스(S2)로 이행되지 않고 분배경로(54)로 낙하되어 벨트콘베어(54a)위에 배치된다.
제1스페이스(S1)내의 송풍공기는 방벽판(58)의 하측을 통과하여 제2스페이스(S2)내로 들어간다.
여기에서 제2스페이스(S2)의 용적은 크기 때문에 공기유속이 저하되고 송풍공기중에 포함된 직경이 큰 분진이 낙하된다.
낙하된 분진은 분배경로(54)를 통해 벨트콘베어(54a )에 이르게 된다. 함유된 분진량이 저하된 송풍공기는 공기출구(59)로부터 덕트(61)를 통하여 집진장치(60)에 공급된다. 집잔장치(60)는 다시 송풍공기내의 분진을 제거한다. 실시예는 풍력선별기(10)에 투입된 고체폐기물군이 그 낙하속도가 경사면(51)에서 저감되고, 또한 경사된 상방으로 송풍하는 플로아(55)에 의해 분별처리가 시행되기 때문에 높은 분배효율이 달성된다.
[변형 예]
(a)풍력선별기(10)를 제8도와 같이 구성하여도 좋다.
이풍력선별기(10)는 상단에 배치된 테어퍼상으로 개구되어 있는 투입구(60)와, 투입구(60)으로부터하방으로, 연장된 덕트(61)와, 덕트(61)의 내부로 송풍가능한 1대의 플로아(63)로 구성되어 있다. 덕트(61)는 격벽에 의해 중량물 통과덕트(61a)와 경량물 통과덕트(61b)로 분리되어 있고, 그 격벽에는 플로아(63)의 토출구와 대향한 위치에 송풍구(64a, 64b)가 설치되어 있다.
플로아(63)는 대체로 수평방향으로 송풍구(64a, 64b)를 향하여 공기를 토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중량물 통과덕트(61a)에는 고체폐기물의 낙하속도를 저감하고, 고체폐기물의 분리를 촉진하기 위한 단부(62)가 설치되어 있다.
중량물 통과덕트(61a) 및 경량물 통과덕트(61b)의 하단은 풍력 선별된 불연물을 배출하기 위한 불연물 배출구(66) 및 가연물을 배출하기 위한 가연물 배출구(65)로 되어 있다.
투입구(60)로부터 투입된 가라는 덕트(61a)에 인도되어, 상측단부(62a)에 충돌한다. 이때 가라중에 혼재하는 플라스틱, 지류 및 나무찌꺼기 등의 가연물이 감속되고 어느 정도 분리된다.
또한 가라는 덕트(61a)에 인도되어 플로아(63)의 흡출구의 전방을 통과한다. 이때 가라중의 풍력의 영향을 받기 쉬운 가연물은 풍압에 의해 날리게 되고, 송풍구(64a)로부터 인접된 덕트(61b)로 분별된다. 또한 , 가라는 단부(62b) 및 플로아(63b)에 의해 동일한 분별을 다시 받게 되고, 이렇게 하여 가연물 배출구(65) 및 불연물 배출구(66)로부터 각각 분별된 고체폐기물이 회수된다.
가연물 배출구(65)로부터 분별된 가연물은 소각로 등에 의해 처리되고, 불연물 배출구(66)로부터 분별된 불연물은 다시 자선기등에서 분별된다. 또한 폐플라스틱류는 폐플라스틱감용 고화장치등에서 처리된다.
(b) 제2콘베어부(4)와 제4콘베어부(8)의 사이에 진동체(37)를 배채하여도 좋다.
(c) 벨트콘베어 열(列)리 2열 또는 4열 이상의 경우에도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이 발명의 범위로부터 일탈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종류의 변경이 가능하다. 이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의 앞에서의 설명은 예시로서 설명하기 위해서만 제시되어 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에서 규정된 발명을 개시된 종류의 태양으로 한정하는 의도는 없다.

Claims (6)

  1. 고체폐기물군의 분별하기 위한 분별처리부를 갖는 고체폐기물 처리시스템의 고체폐기물 수입장치에 있어서, 전기 고체폐기물군을 저류하기 위한 저류부와, 전기 저류부로부터 투입된 전기 고체폐기물을 받아 전기 분별처리부로 반송하기 위한 반송부를 가지며, 전기 반송부는 전기 저류부의 투입방향 전방에서 전기 투입방향과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투입방향 전방으로 나아갈수록 반송방향 상류측단부가 전방으로 더욱 연장되어있는 복수의 반송콘베어를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폐기물 처리시스템의 고체폐기물 수입장치.
  2. 제2항에 있어서, 전기 고체폐기물 저류부에 대하여 전기 벨트콘베어를 떨어져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하도, 전기 고체폐기물군을 전기 벨트콘베어로 인도하기 위한 고체폐기물 가이드판을 추가로 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폐기물 처리시스템의 고체폐기물 수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전기 가이드판은 전기 저류부에 대하여 투입방향으로 노출된 부분에서 전기 벨트콘베어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폐기물 처리시스템의 고체폐기물 수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전기 반송용 콘베어의 하류측에 배치된 선별용 콘베어를 추가로 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고체폐기물 처리시스템의 고체폐기물 수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전기 선별용 콘베어는 그 반송속도가 전기 제1콘베어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폐기물 처리시스템의 고체폐기물 수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전기 제2벨트콘베어의 하류측단에 배치된 체부와, 전기 체부위 하류측에 배치된 분별부를 추가로 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폐기물 처리시스템의 고체폐기물 수입장치.
KR1019970016002A 1992-10-20 1997-04-28 고체폐기물분별처리시스템의 분별처리장치 KR01291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040192A JPH0768241A (ja) 1992-10-20 1992-10-20 固体廃棄物分別処理システム
JP92-280401 1992-10-2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1844A Division KR0154992B1 (ko) 1992-10-20 1993-10-20 고체폐기물분별처리시스템의 분별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29104B1 true KR0129104B1 (ko) 1998-04-08

Family

ID=1762452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1844A KR0154992B1 (ko) 1992-10-20 1993-10-20 고체폐기물분별처리시스템의 분별처리장치
KR1019970016002A KR0129104B1 (ko) 1992-10-20 1997-04-28 고체폐기물분별처리시스템의 분별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1844A KR0154992B1 (ko) 1992-10-20 1993-10-20 고체폐기물분별처리시스템의 분별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464100A (ko)
JP (1) JPH0768241A (ko)
KR (2) KR01549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10137A3 (nl) * 1996-04-10 1998-01-06 Bruynooghe Constructie Nv Werkwijze voor het kuisen van produkten, zoals groenten, fruit en dergelijke, en inrichting die deze werkwijze toepast.
NL1006686C2 (nl) * 1997-07-30 1999-02-02 Tno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sorteren van tapijt of soortgelijke stukken textiel.
DE19801286C1 (de) * 1998-01-15 1999-07-22 Der Gruene Punkt Duales Syst Verfahren und Aufbereiten von Mischabfällen, Aufbereitungsanlage sowie Puffersilos dafür
DE19820284A1 (de) * 1998-05-07 1999-11-11 Bezner Maschinen Gmbh Einzelplatz-Sortierer
US7090080B2 (en) * 2003-01-15 2006-08-15 Action Equipment Co., Inc. Free wire reclaimer system for scrap tire processors
US7438187B2 (en) * 2003-01-15 2008-10-21 Action Equipment Company, Inc. Free wire reclaimer with improved magnetic separation
EP1663520A1 (en) * 2003-02-12 2006-06-07 Michel Couture, Consultant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mixing particles/fluids
US7264124B2 (en) 2003-11-17 2007-09-04 Casella Waste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orting recyclables at a material recovery facility
US7757863B2 (en) 2003-11-17 2010-07-20 Casella Waste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lass recycling at a beneficiator and/or a material recovery facility
AU2005306872A1 (en) 2004-11-12 2006-05-26 Casella Waste Systems, Inc. System for and method mixed-color cullet characterization and certification, and providing contaminant-free, uniformly colored mixed color cullet
AT504639B1 (de) 2007-05-09 2008-07-15 Ife Aufbereitungstechnik Gmbh Mülltrennvorrichtung
US8459466B2 (en) 2007-05-23 2013-06-11 Re Community Energy, Llc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a single-stream materials recovery facility
KR101065753B1 (ko) * 2008-07-22 2011-09-19 주식회사 화인매카트로닉스 선별장치
SI2576086T1 (sl) * 2010-05-31 2017-04-26 Manuel Samarkos Naprava za sortiranje odpadkov in postopek
CN107999399A (zh) * 2017-12-27 2018-05-08 华侨大学 基于点阵高光谱检测的建筑垃圾在线分拣系统和方法
CN108636983A (zh) * 2018-04-27 2018-10-12 浙江欧导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移动式建筑工地垃圾分类筛检装置
CN109127453B (zh) * 2018-08-02 2020-10-16 泉州昌荣贸易有限公司 物流调度装置
CN115870303B (zh) * 2022-10-28 2023-07-04 安吉纳海环境有限公司 一种固废前处理系统及固废处理工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8483A (en) * 1971-11-08 1973-06-12 Kenzie H Mac Method of and means for classification of heterogeneous shredded refuse materials
JPS59203684A (ja) * 1983-05-07 1984-11-17 Kyokuto Kaihatsu Kogyo Co Ltd 塵芥選別装置
US4778061A (en) * 1987-06-15 1988-10-18 Williams Patent Crusher And Pulverizer Company Air classifier apparatus
ATE101545T1 (de) * 1990-01-31 1994-03-15 Fdc Eng Ag Mehrstufiges trennverfahren zum sortieren und aufbereiten von inhomogenem baustellenmuell sowie vorrichtung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US5263591A (en) * 1991-12-12 1993-11-23 Taormina Industries, Inc. Refuse recycl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464100A (en) 1995-11-07
KR940008752A (ko) 1994-05-16
JPH0768241A (ja) 1995-03-14
KR0154992B1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9104B1 (ko) 고체폐기물분별처리시스템의 분별처리장치
IE42268B1 (en) Refuse fractionation
JPH02502892A (ja) 低速空気分別装置
US4089422A (en) Air classifier
US3986949A (en) Air classifier
JP2002177890A (ja) 風力選別装置
JP2007061737A (ja) 廃プラスチックの選別装置および選別方法
US4230559A (en) Apparatus for pneumatically separating fractions of a particulate material
EP0703838B1 (en) Method and device for separating heavy particles from a particulate material
KR0155083B1 (ko) 고체폐기물 분별처리시스템의 분별처리장치
US416602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neumatically separating fractions of a particulate material
KR101473939B1 (ko) 폐비닐 선별장치
JP3225816B2 (ja) ごみの風力選別装置
JP3596995B2 (ja) 風力選別機
JP2509056B2 (ja) 固体廃棄物分別処理システムの分別処理装置
US2021019876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ry ablation benefication of ore
EP0065493A1 (en) Device to sort compost
JP2574615B2 (ja) 固体廃棄物分別処理システム
KR102074634B1 (ko) 폐기물 선별 장치
GB1591650A (en) Air classifier
JP2003080173A (ja) 廃棄物搬送シュート
CN212550492U (zh) 一种陈腐垃圾筛分用风选机
TWM641547U (zh) 未燃物的分選裝置
KR20100113754A (ko) 폐냉장고의 미세 플라스틱 스크랩 선별장치
JPH0824792A (ja) 破砕物分別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