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670B1 - 수신신호의 파워 분포를 이용한 수정된 공간 다이버시티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수신신호의 파워 분포를 이용한 수정된 공간 다이버시티 장치 및 그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670B1
KR0128670B1 KR1019940036866A KR19940036866A KR0128670B1 KR 0128670 B1 KR0128670 B1 KR 0128670B1 KR 1019940036866 A KR1019940036866 A KR 1019940036866A KR 19940036866 A KR19940036866 A KR 19940036866A KR 0128670 B1 KR0128670 B1 KR 0128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ower
received
learning
dif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6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7630A (ko
Inventor
최승원
안명균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최승원
안명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최승원, 안명균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36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8670B1/ko
Publication of KR960027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7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6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07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 H04B10/075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 H04B10/079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transmission systems; Arrangements for fault measurement of transmission systems using an in-service signal using measurements of the data signal
    • H04B10/0795Performance monitoring; Measurement of transmission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1. 청구범위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여러개의 안테나로 같은 정보를 가진 신호를 독립적인 채널로 수신하여 그 중 가장 정확히 수신된 신호를 선택하여 복원하는 기술이다.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디지탈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송신전력을 증가 시키지 않고 잡음 및 외부간섭에 의한 성능저하를 해결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동일한 신호를 독립된 채널을 통해 여러개의 안테나로 수신시켜서 그 신호들 중에서 학습심볼의 파워 분포와 데이타 기간의 파워분포가 비슷한 것을 원신호를 재생하기에 가장 적절하게 수신된 신호로 선택하거나, 또는 데이타 심볼의 파워변화가 적은 것을 원 신호를 재생하기에 가장 적절하게 수신된 신호로 선택하여 복원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디지탈 무선통신 시스템의 다이버시티장치에 적용한다.

Description

수신신호의 파워 분포를 이용한 수정된 공간 다이버시티 장치 및 그 방법
제1도는 안테나로 수신된 신호에서 적절한 수신신호의 파워분포도.
제2도는 안테나로 수신된 신호에서 적절치 못한 수신신호의 파워 분포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적절한 수신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흐름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분포를 이용한 공간다이버시티기법을 사용한 디지탈 통신 시스템의 개략 블럭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차이합 계산부의 구체적인 블럭도.
본 발명은 디지탈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러개의 안테나로 같은 정보를 가진 독립적인 채널로 수신하여 그 중 가장 정확히 수신된 신호를 선택하는 공간 다이버시티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탈통신 시스템에서는 전송신호가 다양한 방식의 변조기술을 이용하여 심볼형태로 전송된다. 이 전송심볼은 통신채널에 통상적으로 포함되는 간섭 및 잡음과 여러가지 통신을 방해하는 요소에 의해 전송심볼과 상당히 왜곡되어 안테나에 수신되어진다. 그러므로 원래의 수신신호를 좀더 정확히 재생하기 위하여 여러개의 안테나로 동일한 신호를 수신시켜 그 중 원신호를 재생하기에 가장 절적한 수신된 신호를 선택한 후에 등화기등의 수신시스템을 통과시킨다. 이러한 방법 은 송신전력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간섭 및 잡음에 의한 시스템의 성능 저하를 개선시킬 수 있는 공간다이버시티기법의 기본 개념이며, 아날로그 및 디지탈 통신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공간다이버시티기법이 유용하기 위해서는 안테나간의 간격을 충분히 멀리 떨어지게 하여 각 안테나에는 독립적인 채널을 통한 신호가 수신되도록 하여야 한다. 즉 여러개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는 서로 상관이 없고(uncorrelated), 수신되는 잡음성분도 서로 독립적이고 동일한 분포를 갖는다.
하지만 기존의 공간다이버시티기법에서는 여러개의 안테나를 통해 들어온 수신신호들 중 어떤 아테나로 수신된 신호가 원신호를 재생하기에 가장 적절한가에 대한 정확한 정보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각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어진 수신신호들의 특징을 관찰하여 원신호를 재생하기에 가장 적절한 수신신호를 선택 할 수 있는 신뢰성 있는 근거가 필요하며, 이 신뢰성있는 근거를 이용해 적절하게 수신된 신호를 선택한 후 수신기를 통과시킴으로써 수신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하고자하는 요구가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탈 통신 시스템에서 여러개의 안테나를 통해 독립적인 채널로 수신된 신호중에 파원분포를 이용하여 원신호를 재생하기 적절한 수신신호를 선택하는 공간 다이버시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간다이버시티기법을 이용해 수신시스템 이전에 같은 정보를 가진 신호를 멀리 떨어진 여러개의 안테나로 각기 독립적인 채널을 통해 수신시킨 후 각 안테나에 수신된 신호들 중에서 그 신호들의 파워분포를 이용하여 원신호를 재생하기에 가장 적절한 수신신호를 선택할 수 있는 공간다이버시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이버시티방법에 따르면, 같은 정보를 가진 신호를 다수개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는 1단계와, 상기 수신되는 신호의 파워분포 또는 파워변화를 조사하는 2단계와, 상기 수신신호들의 파워 분포가 서로 비슷하거나 또는 수신신호의 파워변화가 적은 것을 원신호를 재생하기에 가장 적절한 수신신호로 선택하는 3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이버시티장치에 따르면, 서로 같은 정보를 가진 신호들 각각의 독립적인 채널을 통해서 수신하기 위한 다수개의 안테나와,각 안테나로 수신된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다수개의 버퍼와, 각 버퍼에 저장된 신호들의 파워차이합을 계산하는 다수개의 파워차이합계산부와, 이 파워차이합을 비교하여 가장 적은 파워차이합이 되는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비교기와, 이 선택되어진 수신신호를 수신기에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안테나로 수신된 신호에서 적절치 못한 수신신호의 파워 분포도이고, 제2도는 안테나로 수신된 신호에서 적절한 수신신호의 파워분포도이다.
원 메세지 심볼 I(k)는 통신채널을 통과하면서 잡음과, 여러 경로를 경유한 신호들이 서로 더해지거나 상쇄되는 다중경로 페이딩(Multipath fading)에 의한 간섭을 받게되고, 이는 신호의 진폭을 급격히 변화시켜 수신단에서 신호를 검출할 때 오류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같은 정보를 가진 신호를 다수개의 안테나로 독립적인 채널을 통과시켜 수신한 후 각 안테나로 수신된 신호 중 원신호를 재생하기에 가장 적절하게 수신된 신호를 선택하는 공간다이버시티기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보통의 통신에서 신호는 프레임 단위로 전송한다. 프레임 앞부분에는 채널의 영향을 보상하기 위해 송신부와 수신부 서로가 미리 알고 학습심볼을 전송하거나 특정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수신시스템의 초기 파라메타를 결정하고 그 이후 통신을 하기 위한 데이타심볼 기간 동안에는 미리 구한 수신시스템의 초기 파라메타를 근거로하여 원래의 신호를 복원하게 된다. 그러므로 학습기간이 있는 경우 학습기간으로 사용되는 심볼들이 어떠한가에 의해 수신기의 성능은 달라지며 학습심볼로 사용될 심볼들이 전송채널을 통과하면서 상기한 다중경로 페이딩에 의한 간섭 및 잡음등에 의해 특이하게 수신신호 파워가 커지거나 작아져서, 데이타 심볼이 전송되었을 때 수신되는 신호파워와는 상당히 다를 경우 수신기의 성능은 상당히 저하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또한 데이타심볼이 전송될 때 이 데이타심볼의 파워변화가 상당히 크게 수신되는 경우에도 수신기의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학습기간이 있는 경우, 이 학습볼에 구한 수신 시스템의 파라미터들이 데이터심볼을 효과적으로 원신호로 재생하기 위해서는 학습심볼의 파워분포와 데이타심볼의 파워분포가 비슷하게 수신되어야 한다는 것이 본 발명의 개념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개념은 데이타 수신기간 동안에 데이타심볼들의 파워분포가 적은 수신호가 이 데이타심볼을 효과적으로 원신호로 재생하기에 적절하다는 것이다.
제1도와 제2도는 같은 정보를 가진 파워가 1인 신호가 프레임 단위로 각기 독립적인 채널을 통해서 2개의 안테나에 수신되었을 때 각각의 안테나에 수신된 학습심볼과 데이타심볼에서의 신호들의 파워분포를 0.3단위로 나타낸 것이다. 제1도는 우리가 적절한 수신신호로 볼 수 있는 것으로 학습심볼의 평균파워는 0.83이고, 데이타심볼의 파워는 1.08으로써 학습심볼과 데이터심볼의 파워분포가 서로 비슷한 경우를 나타낸다. 제2도는 우리가 부적절한 수신신호로 볼 수 있는 것으로 학습심볼의 평균파워는 2.30이고 데이타 심볼의 파워는 0.94로써 학습심볼과 데이타심볼의 파워분포가 서로 차이가 많이 나는 경우를 나타낸다.
즉 본 발명은 같은 정보를 가진 신호가 N개의 안테나를 통해서 수신되었을 때 그 신호중에서 학습심볼의 파워분포와 데이타 기간의 파워분포가 비슷하게 수신되어지거나 또는 데이타심볼들의 파워변화가 작게 수신되어지는 안테나의 수신신호를 가장 적절한 수신신호로 선택하는 것이다. 이렇게 선택되어진 수신신호로 수신기에 입력하여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학습심볼이나 특정한 알고리즘에 의해 구한 수신시스템의 초기 파라미터들이 데이타 심볼을 효과적으로 원신호로 재생하게하여 수신시스템의 성능을 개선시킬수 있다.
원신호를 재생하기에 적절한 신호를 선택하는 방법은 수신시스템의 초기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한 학습심볼이 있는 경우, 이 학습심볼에서 구한 수신시스템의 파라미터들의 데이타 심볼을 효과적으로 원신호로 재생하도록 학습심볼의 파워분포와 데이타심볼의 파워분포가 비슷한 수신신호를 선택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학습심볼의 파워와 데이타심볼의 파워가 비슷한 것을 찾기 위해서 먼저 각각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의 학습기간에서의 학습신호의 평균파워 Ep를 하기1과 같이 각각 계산한다.
여기서 PRE는 학습심볼의 갯수이다.
그리고 난 후 데이타심볼 기간에서는 데이타심볼의 파워와 학습심볼의 평균파워 사이의 파워 차이를 합하여 각 안테나에서의 파워차이합을 하기 식2에 의해 각각 계산한다.
여기서 FRAME이란 프레임 전체의 심볼 갯수이다. 계산되어진 각 안테나 중에서 가장 작은 파워차이합으로 수신되는 것이 합습심볼의 파워분포와 데이타심볼의 파워분포가 비슷한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원신호를 재생하기에 가장 적절한 수신신호로 선택한다. 이렇게 선택되어진 적적한 수신호를 수신시스템에 통과시켜 원래의 신호로 복원한다.
원신호를 재생하기에 적절한 신호를 선택하는 또 다른 방법은 데이타 기간 동안에 데이타심볼들의 파워변화가 적은 수신신호를 선택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데이타심볼들의 파워변화가 작게 수신되어지는 수신신호를 찾기 위해 먼저 각각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데이타신호의 평균 파워 Ep를 하기 식3에 의해 각각 계산한다.
데이타 심볼기간에서 데이타심볼의 파워와 데이타심볼의 평균파워 사이의 파워차이를 합하여 각 안테나에서의 분산 개념인 파워차이합을 하기 식4에 의해 각각 계산한다.
여기서 FRAME이란 프레임 전체의 심볼 갯수이다. 계산되어진 각 안테나 중에 서 가장 작은 파워차이합으로 수신되는 것이 데이타심볼의 파워변화가 크지 않다는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원신호를 재생하기에 가장 적절한 수신신호로 선택한다. 이렇게 선택되어진 적절한 수신신호를 수신시스템에 통과시켜 원래의 신호로 복원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적절한 수신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가 되어 있다.
제3도를 참고하면 31단계에서 같은 정보를 가진 신호가 다수개의 안테나로가 수신되면 32단계에서 각각의 안테나는 k=0으로 설정하고 초기 파워값P(k)=0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33단계에서 k를 하나증분시킨 후 34단계에서 첫 심볼을 받아들여서 파워를 계산한다. 그리고 35단계에서 이전의 파워값과 합한다. 이때 36단계에서 k 가 학습심볼인지를 검사하여 만약 학습심볼이면 33단계로 돌아가 k를 1 증분시켜서 그 다음 학습심볼을 받아들인 후 파워를 계산하고 이전의 파워값과 합하는 앞의 과정을 되풀이하여 학습심볼기간에서의 누산된 파워합을 구한다. 여기서 PRE는 학심볼의 갯수이다. 그러나 k가 데이타심볼이 되면 루프를 빠져나와 37단계 학습심볼에서 평균파워 Ep를 계산하고, 38단계에서 초기 파워 차이합 D(k)를 0으로 설정한다. 그후 39단계에서 k를 하나 증분시킨 후 40단계에서 첫 데이타심볼을 받아들여서 파워를 계산하고 이 파워와 이전에 계산된 학습심볼 평균파워와의 차이를 계산한 후 절대값을 취하여 파워차이합을 계산한다. 그리고 41단계에서 이 계산된 파워차이합을 이전의 파워차이합과 합한다. 그후 k를 1증분 시켜서 그 다음 데이타심볼을 받아들인 후 파워를 계산하고 이 파워와 이전에 계산된 학습심볼 평균파워와의 차이를 계산한 후 절대값을 취하여 파워차이합을 계산하고 42단계에서 이 계산된 파워차이합을 이전의 파워차이합과 합하는 앞의 과정을 데이차 심볼이 들어오는 동안 되풀이하여 데이타심볼기간에서의 누산된 파워차이합을 구한다. 여기서 프레임(frame)은 한 프레임의 전체 심볼수이다. 그런후 43단계에서 이렇게 구해진 각각의 안테나에서의 파워차이합중 가장 작은 파워차이합으로 수신되는 안테나의 수신신호를 가장 적절한 수신신호 rD(k)로 선택혹 4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44단계에서는 이 선택되어진 신호를 수신기에 통과시켜 원래의 신호로 복원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분포를 이용한 공간 다이버시티기법을 사용한 디지탈 통신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러도로서,
공중으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다수의 안테나(101-10n)와, 상기 다수의 안테나(101-10n)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프레임단위로 저장하는 다수의 버퍼(201-20n)와, 상기 다수의 버퍼(201-20n)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받아 데이타 심볼과 학습심볼의 평균파워차이 또는 데이타심볼과 데이타심볼의 평균파워와의 차이를 계산하여 파워차이합을 누적계산하는 다수의 파워차이합 계산부(301-30n)와, 상기 다수의 파워차이합 계산부(301-30n)로부터 출력된 파워합차이신호를 비교하여 가장작은 파워합차이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400)와, 상기 비교기(40)로부터 출력된 파워합차이신호를 원신호로 복원하는 수신기(500)로 구성되어 있다.
제4도에서 같은 정보를 가진 프레임 다위의 신호가 독립적인 채널을 통해 다수개의 안테나(101-10n)로 수신되면 다수의 버퍼(201-20n)는 프레임단위로 신호를 각각 저장한다. 이때 파워차이합계산부(301-30n)는 각각에 대해 원신호를 재생하기에 적합한 신호를 찾기 위한 방법에 따라 데이타심볼과 학습심볼의 평균파워와의 차이 또는 데이타심볼과 데이타심볼의 평균파워와의 차이를 계산하여 파워차이합을 누적계산한다. 비교기(400)는 각각의 안테나로 수신된 신호로부터 계산되어진 파워차이합을 비교하여서 그중 가장 작은 파워차이합이 되는 안테나로 수신된 신호를 가장 적절한 신호r(k)로 선택하고, 수신기(500)는 이 선택된 신호를 통과시켜 원래의 신호로 복원 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4도의 파워차이합계산부에 대한 구체적인 블럭도로 나타낸 것이다.
제5도를 보면 원신호를 재생하기에 적합한 신호를 찾기 위한 방법의 한 예로 학습심볼과 데이타심볼의 파워가 비슷하게 수신되는 것을 찾기 위해서 검사부(601)는 현 수신된 신호 r(k)가 학습신호인지 데이타 신호인지를 검사하여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학습신호인 경우는 스위치(602)를 단절시키고 스위치(603)를 연결시키도록 제어한다. 그러므로 합습신호가 들어오는 기간동안에는 스위치(602)를 연결시키고 스위치(603)를 단절시킨다. 그러면 파워계산부(604)는 각 학습 신호의파워를 계산하여 파워누적 합산부(605)로 출력한다. 상기 파워누적 합산부(605)는 이전의 파워값과 합하여 학습신호기간에서의 누산된 파워합 P(k)를 구한다. 그리고 학습신호가 모두 수신되면 평균파워 계산부(606)는 학습신호의 평균파워 Ep를 계산한다. 그 후, 데이타신호가 수신되는 기간동안에는 스위치(602)를 단절시키고 스위치(603)를 연결시켜 파워계산부(607)에서는 각 데이타신호의 파워를 계산한다. 가산기(608)는 상기 파워계산부(607)로부터 계산된 파워와 상기 평균파워 계산부(606)로부터 계산된 학습신호 평균파워와의 차이를 계산하여 절대값 변환기(609)로 출력한다. 상기 절대값 변환기(609)는 상기 가산기(608)로부터 출력된 파워차이값에 대해 한 후 절대값을 취하여 파워차이합 Dk를 계산하여 파워차이 누적부(610)로 출력한다. 파워차이 누적부(610)는 상기 계산된 파워차이합을 이전의 파워차이합과 누적합산한다. 데이타 심볼의 모두 수신되면 이 누적합산된 파워차이합을 비교기(400)에 출력한다.
원신호를 재생하기에 적합한 신호를 찾기 위한 또 다른 방법의 예로 데이타 심볼의 파워의 변화가 작게 수신되는 것을 찾기위해서 검사부(601)는 수신신호의 평균파워를 계산할 것인지 파워차이합을 계산할 것인지를 검사하여 스위치(602) 및 스위치(603)를 제어한다. 우선 한 프레임에 걸쳐 수신신호의 평균파워를 계산하기 위해, 스위치(602)를 연결시키고 스위치(602)를 단절시켜 파워계산부(604)에서 데이타신호의 파워를 계산한다. 파워누적합산부(605)에서 상기 계산된 파워값과 이전의 파워값을 합하여 데이타간에서의 누산된 파워합 P(k)를 구한다. 그리고 평균파워 계산부(606)에서는 한 프레임의 전체 데이타 신호가 모두 수신되면 데이타 신호의 평균파워 Ep를 계산한다. 그 후 이전에 평균파워를 계산하기 위해 사용된 그 프레임의 파워차이합을 계산하기 위해 스위치(602)을 단절시키고 스위치(602)는 연결시켜 파워계산부(607)에서 각 데이타신호의 파워를 계산하여 가산기(608)로 출력한다. 상기 가산기(608)는 상기 파워계산부(607)로부터 계산된 파워와 이전에 계산된 데이타신호 평균파워와의 차이를 계산하여 절대값 변환기(609)로 출력한다.
상기 절대값 변환기(609)는 상기 가산기(608)로부터 출력된 파워차이값에 대해 한후 절대값을 취하여 파워차이합 Dk를 계산하여 파워차이 누적부(610)로 출력한다.
파워차이 누적부(610)는 상기 계산된 파워차이합을 이전의 파워차이합과 누적합산 한다. 한 프레임의 데이타 심볼이 모두 수신되면 이 누적합산된 파워차이합을 비교기(400)에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동일한 신호를 독립된 채널을 통해 여러개의 안테나로 수신시켜서 그 신호들 중에서 학습심볼의 파워 분포와 데이타 기간의 파워분포가 비슷한 것을 원신호를 재생하기에 가장 적절하게 수신된 신호로 선택하거나,또는 데이타 심볼의 파워변화가 적은 것을 원 신호를 재생하기에 가장 적절하게 수신된 신호로 선택한 후, 이렇게 선태되어진 수신신호를 수신기에 입력하여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수신시스템의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1)

  1. 다수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의 파워분포를 이용한 공간 다이버시티방법에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안테나를 통해 동일한 정보를 가진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과정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파워분포 또는 파워변화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파워검출과정에서 수신신호들의 파워분포가 서로 비슷하거나 또는 수신신호의 파워변화가 적은 것을 원신호를 재생하기에 가장 적절한 수신신호로 선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다이버시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검출과정은, 상기 다수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 대해서 학습신호 또는 데이타신호 인지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다이버시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검출과정에서 학습신호로 검출될 시 학습신호의 평균 파워를 계산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다이버시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검출과정에서 데이타 신호로 검출될 시 데이타신호의 파워를 계산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다이버시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검출과정에서 상기 학습신호가 있고 데이타신호가 들어오는 기간동안 데이타 신호들의 파워와 학습신호의 평균파워와의 차이를 누적 합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다이버시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신호의 파워와 학습신호의 평균파워와의 차이누적 합산은 프레임단위로 계산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다이버시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다수의 파워차이 누적값을 각각 비교하여 가장 적은 값을 거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다이버시티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정보를 가진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의 갯수는 수신채널을 통과한 수신신호의 파워분포를 고려하여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다이버시티 방법.
  9. 다수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의 파워분포를 이용한 공간 다이버시티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안테나로 수신된 신호를 각각 저장하기 위한 다수개의 버퍼와, 상기 다수의 버퍼에 각각 저장된 신호들이 파워차이합을 계산하는 다수개의 파워차이합 계산부와, 상기 다수개의 파워차이합 계산부로부터 계산된 파워차이합을 비교하여 가장 적은 파워차이합이 되는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비교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다이버시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로부터 선택되어진 수신신호를 원신호로 복원하기 위한 수신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는 공간 다이버시티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차이합 계산부는, 원신호를 재생하기에 적합한 신호를 찾기 위한 방법에 따라 현재 수신신호가 학습심볼인지 데이타 심볼인지를 검사하여 스위칭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검사수단과, 상기 검사수단의 스위칭 선택 신호에 따라 학습신호를 선택하는 제1스위칭수단과, 상기 검사수단의 스위칭 선택신호에 따라 데이타신호를 선택하는 제2스위칭수단과, 상기 학습신호의 파워를 계산하는 제1파워계산수단과, 상기 학습신호의 파워를 누적합산하는 파워누적합산수단과, 상기 검사수단의 스위칭 선택신호따라 데이타신호를 선책하면 상기 학습신호 파워의 평균을 구하기 위한 평균계산수단과, 상기 데이타신호의 학습신호 사이의 평균파워 차이를 계산하기 위한 가산수단 과, 상기 가산수단으로부터 계산된 차신호에 대해 절대값을 취하는 절대값변환수단과,상기 절대값을 취한 파워차신호를 누적합산하기 위한 파워차이누적합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 다이버시티 장치.
KR1019940036866A 1994-12-26 1994-12-26 수신신호의 파워 분포를 이용한 수정된 공간 다이버시티 장치 및 그 방법 KR0128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6866A KR0128670B1 (ko) 1994-12-26 1994-12-26 수신신호의 파워 분포를 이용한 수정된 공간 다이버시티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6866A KR0128670B1 (ko) 1994-12-26 1994-12-26 수신신호의 파워 분포를 이용한 수정된 공간 다이버시티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630A KR960027630A (ko) 1996-07-22
KR0128670B1 true KR0128670B1 (ko) 1998-04-10

Family

ID=19403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6866A KR0128670B1 (ko) 1994-12-26 1994-12-26 수신신호의 파워 분포를 이용한 수정된 공간 다이버시티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867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630A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1971B1 (ko) 적어도 두개의 수신분기를 구비하는 수신기
US6985544B2 (en) Diversity receiver
KR101400852B1 (ko)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간섭 제거 장치 및 방법
RU2490797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адаптивного переключения режима со множеством входов и множеством выходов в нисходящей линии связи
KR100568647B1 (ko) 채널 임펄스 응답 길이 판정
CN1130853C (zh) 干扰的时间和空间去相关方法和设备
US778297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antennas in MIMO multi-carrier system
EP15057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shuffling pattern based on a minimum signal to noise ratio in a double space-time transmit diversity system
AU2002324021A1 (en) Receiver, Transmitter,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on
US6714769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smart antennas and diversity techniques
CN101588335B (zh) 利用信道相关性的mimo检测方法及系统
KR19990076683A (ko) 다이버시티 신호의 어레이 프로세싱을 사용하여심볼간 간섭을 줄이는 방법 및 장치
KR20070081786A (ko) 통신시스템에서 다중입출력을 위한 신호 수신 방법 및 장치
KR20090003006A (ko) 다중 입출력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다변 다항식을 이용한신호검출 장치 및 방법
KR100587457B1 (ko) 다중 송수신 시스템에서의 신호 검파 방법 및 다중 송수신시스템의 수신 장치
KR101005877B1 (ko)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수신기에서 근사적인 최대 우도(ml) 검색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0128670B1 (ko) 수신신호의 파워 분포를 이용한 수정된 공간 다이버시티 장치 및 그 방법
WO2008025149A1 (en) Decision-feedback detection for block differential space-time modulation
KR101238919B1 (ko) 공간 다중화 다중안테나 시스템에서의 신호 대 간섭 및 잡음비 예측 장치 및 방법
JPH0613951A (ja) 移動通信用一周波数交互通信方式におけるダイバーシチ方式
KR20050053438A (ko)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간섭신호제거 장치 및 방법
KR20050053274A (ko)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간섭신호제거 장치 및 방법
KR100785024B1 (ko) Mimo 송수신 방법 및 장치
NZ272086A (en) Digital transmission quality estimation: impulse response coefficient comparison
KR100939357B1 (ko)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향상된신호 검출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