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289Y1 - 노이즈 방지 기능을 갖는 케이블 커넥터 - Google Patents

노이즈 방지 기능을 갖는 케이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289Y1
KR0128289Y1 KR2019930027027U KR930027027U KR0128289Y1 KR 0128289 Y1 KR0128289 Y1 KR 0128289Y1 KR 2019930027027 U KR2019930027027 U KR 2019930027027U KR 930027027 U KR930027027 U KR 930027027U KR 0128289 Y1 KR0128289 Y1 KR 01282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nnector
cable
connector according
inductive
signal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70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1615U (ko
Inventor
한상열
Original Assignee
정장호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장호,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장호
Priority to KR20199300270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8289Y1/ko
Publication of KR9500216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16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2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2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64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adding capaci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74Devices having four or more poles, e.g. holders for compact fluorescent lamp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노이즈 방지 기능을 갖는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케이블 커넥터는 다수의 신호 전송선(31)의 각각의 일측에 접속된 다수의 인덕티브 수단(33)과, 상기 각 인덕티브 수단(33)의 중앙부에 결합되며 일측면이 접지된 다수의 캐패시티브 수단(35)과, 상기 각 캐패시티브 수단(35)과 일측에 접속된 다수의 플러그(34)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노이즈 방지 기능을 갖는 케이블 커넥터
본 고안은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주파에서의 노이즈 방지 기능을 갖는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들의 성능이 현저히 증가됨에 따라 소정의 전자 장치내에서나 또는 결합된 장치들 사이에서의 전기 신호전송의 문제가 시스템 관점에서 다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그러한 관점에서 신호전송 시스템의 각 개별부품이 고속신호 전송에 최적이어야 할 뿐 아니라, 신호전송 시스템의 부품들 사이의 접촉장치들이 인접 부품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상호 작용적으로 작동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런 점에서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신호전송 시스템의 주요한 부품들 중 하나는 전송 케이블 그 자체이다.
고속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이 전송되는 신호들의 파장에 비해 전기적으로 큰 거리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는 점에서 그 케이블은 전송선과 전기적으로 대등하다고 인식되어 있다.
그것은 대부분의 경우 케이블이 소정 장치들의 부품들 사이 또는 협동하는 장치들 사이에서 실제로 짧은 거리만큼 뻗어 있을지라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신호전송 시스템의 주요한 부품중 다른 하나는 케이블 종단기이다. 특히 종단기의 밀도, 즉 종단기를 통과할 수 있는 신호들의 수는 중요한 고려사항이다.
따라서 종단기의 밀도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인접도체들 사이에 누화(corss talk)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며 그리고 신호전송의 저하를 방지하거나 최소화 하게끔 종단기내의 접점 요소들을 전기 절연하는 다심 케이블용 또는 인쇄 회로기판용 종단기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1도는 종래의 케이블 종단에 형성된 케이블 커넥터 세트의 개략사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케이블 커넥터의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4도는 제3도에서 하나의 전송라인 터미널에 대한 전기적 등가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도체 31 : 도선
32 : 터미널 33 : 페라이트 버드
34 : 플러그 35 : 3단자 캐패시터
36 : 도전성 라인 37 : 절연기판
본 발명은 다심 케이블과 다심 케이블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다심 케이블용 커넥터의 일예가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된 케이블 커넥터는 각각 케이블(1A,1B)의 종단에 금속 케이블(2A,2B)로 수용된 다수의 핀 또는 플러그(4A)를 갖는 숫 커넥터(10A)와 암 커넥터(10B)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각 커넥터(10A,10B)의 전면에 위치된 금속판(3A,3B)의 좌, 우측에는 커넥터를 나사 체결하여 상호 고정시키기 위한 구멍(5A,5B)을 갖고 있다.
제2도에는 예를 들어 숫 커넥터의 금속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커넥터는 다심 케이블(1A)로부터 연장된 다수의 절연 피복물로 피복된 도선(11)에 절연 피복물을 제거하고 핀 또는 플러그(4A)를 연결한 상태에서 플러그 수용 구조물(6)에 수용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상기한 종래의 커넥터는 신호 라인의 인터페이스 케이블을 통해 복사 또는 전도되는 노이즈를 금속 케이스 및 금속 구조물을 통해서 저감시켰다.
그러나 금속 케이스나 실드를 통해 접지시키는 방식은 크게 효과적이지 못하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쇄회로 기판에 캐패시터, 인덕터, 노이즈 필터 등을 사용하여 처리했기 때문에 기판상의 일정공간을 차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노이즈 방지 기능을 갖는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수의 신호 전송선의 각각의 일측에 접속된 다수의 인덕티브 수단과, 상기 각 인덕티브 수단의 중앙부에 결합되며 일측면이 접지된 다수의 캐패시티브 수단과, 상기 각 캐패시티브 수단과 일측이 접속된 다수의 플러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한다.
이하에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를 나타낸 것으로, 외부 금속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내부구조가 표시되어 있다.
제3도에는 단지 1층 구조로 배열된 것으로 표현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설명의 편의상 다심 케이블(1)로부터 나온 하나의 도선(31)에 대한 것만 예시하였다.
도선(31)에서 절연 피복물이 제거된 도체(30)의 끝부분에는 도전성 터미널(32)이 접속되어 있으며 터미널(32)의 타단은 플래트한 형태를 갖고 있다.
플래트한 터미널(32)의 일측단에는 페라이트 비드(33)의 일측단(33A)이 접속되며 페리이트 비드의 다른 일측단(33B)은 도전성 플러그(34)의 일측단과 접속되어 있다. 또한 페라이트 비드(33)의 중앙부에는 외형이 4각형태로 된 3단자 캐패시터(35)가 둘러싸고 있다.
여기서, 플러그(34)의 타측단은 숫형의 핀 또는 암형의 접촉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3단자 캐패시터(35)의 일측면은 예를 들어 고무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재로 이루어진 절연기판(37)위에 형성된 도전성 라인(36)에 접촉되어 있으며, 이 도전성 라인(36)은 금속 케이스 등과 같은 접지에 연결된다.
이러한 신호 전송라인인 각 도선(31)과 플러그(34)사이에 형성된 페라이트 비드(33)과 3단자 캐패시터(35)로 구성된 필터의 등가회로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3단자 캐패시터를 채택한 필터회로를 각 도선마다 채택하여 고주파에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2단자 캐패시터나 코일은 고주파에서 노이즈 제거효과를 크게 얻을 수 있으나 리드 와이어나 전극 구조에 의한 잔류 인덕턴스와 권선간의 부유용량이 문제가 되어 수십 MHz 이상의 고주파에서는 노이즈 제거효과가 저하되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3단자 캐패시터를 채택한 필터구조의 채택에 의해 고주파 특성을 크게 개선하였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의 프린트 기판에 실장되던 노이즈 방지 부품들을 커넥터내에 효율적으로 실장되도록 하여 프린트 기판 크기를 줄일 수 있으므로 전자, 전기 제품의 스페이스를 축소할 수 있고 커넥터의 결합부위에서 바로 노이즈를 제거할 수가 있다.

Claims (6)

  1. 다수의 신호 전송선(31)의 각각의 일측에 접속된 다수의 인덕티브 수단(33)과, 상기 각 인덕티브 수단(33)의 중앙부에 결합되며 일측면이 접지된 다수의 캐패시티브 수단(35)과, 상기 각 캐패시티브 수단(35)과 일측에 접속된 다수의 플러그(3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인덕티브 수단(33)은 페라이트 비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캐패시티브 수단(35)은 3단자 캐패시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캐패시티브 수단(35)은 절연성 기판(37)위에 형성된 도전성 라인(36)에 공통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인덕티브 수단(33)과 각 신호 전송선(31)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도전성 터미널(3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금속 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전성 라인(36)은 상기 금속 케이스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커넥터.
KR2019930027027U 1993-12-09 1993-12-09 노이즈 방지 기능을 갖는 케이블 커넥터 KR01282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7027U KR0128289Y1 (ko) 1993-12-09 1993-12-09 노이즈 방지 기능을 갖는 케이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7027U KR0128289Y1 (ko) 1993-12-09 1993-12-09 노이즈 방지 기능을 갖는 케이블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1615U KR950021615U (ko) 1995-07-28
KR0128289Y1 true KR0128289Y1 (ko) 1998-12-15

Family

ID=19370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7027U KR0128289Y1 (ko) 1993-12-09 1993-12-09 노이즈 방지 기능을 갖는 케이블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828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1615U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3504A (en) Ferrite and capacitor filtered coaxial connector
CA2109701C (en) Low cross talk electrical connector system
US5257950A (en) Filtered electrical connector
US4401355A (en) Filtered connector
CA2065195A1 (en) Controlled impedance electrical connector
US20120064762A1 (en) Terminal structure of coaxial cable, connector, and substrate unit
KR20020020783A (ko) 임피던스가 조정되는 커넥터
US4731031A (en) Transmission cable connector having a contoured shell
JP6994081B2 (ja) 超高周波信号伝送用小型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US5340333A (en) Shielded modular adapter
CN113013680B (zh) 连接器组件
KR101034491B1 (ko) 방해 전자파 차폐용 컨택트 구조
US5662483A (en) Surge voltage preventing D-sub connector
US6096980A (en) Non-ohmic energy coupling for crosstalk reduction
JP2000123925A (ja) 容量性プレ―ト付きモジュラコネクタ
EP0074205B1 (en) A connector for coaxially shielded cable
KR950007426B1 (ko) 차폐 전기 접속기
CA2311802A1 (en) A method of reducing high frequency coupling between pairs of conductors in a connector, and a connector for transferring differential signals
KR0128289Y1 (ko) 노이즈 방지 기능을 갖는 케이블 커넥터
CN213936629U (zh) 一种防高频杂讯的水晶头连接器
WO2023199827A1 (ja) ケーブル組立体及びコネクタ
KR100978186B1 (ko) 유티피 케이블용 터미널 블록
KR20190000888A (ko) 접지된 고속 통신 잭
AU666932C (en) Low cross talk electrical connector system
KR950011615B1 (ko) 이엠아이(emi) 필터가 장착된 케이블 접속용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18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