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009B1 - 아이피(ip) 프로토콜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아이피(ip) 프로토콜 처리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009B1
KR0128009B1 KR1019940034759A KR19940034759A KR0128009B1 KR 0128009 B1 KR0128009 B1 KR 0128009B1 KR 1019940034759 A KR1019940034759 A KR 1019940034759A KR 19940034759 A KR19940034759 A KR 19940034759A KR 0128009 B1 KR0128009 B1 KR 0128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
resource manager
user
connection
commun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4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7820A (ko
Inventor
서연희
변영준
장형규
최고봉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40034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8009B1/ko
Publication of KR960027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7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0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3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usage predi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P내 세부 기능중 프로토콜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고도지능망의 구현이 용이하고 새로이 요구되는 다양한 지능망 서비스를 쉽고, 빠르게 도입할 수 있는 아이피(IP) 프로토콜 처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IP 연결 요청 메세지를 수신하여 연결이 가능한지를 검사하는 제 1 단계(41 내지 44): 접속망이 무엇인지 판별한 후에 연결 응답을 부호화하여 송신하는 제 2 단계(45 내지 48): 자원 요청 메세지를 수신하여 IP에서 제공 가능한지를 검사하는 제 3 단계(49내지 53): 자원 기능과 이용자를 연결하여 상호 작용을 수행 하는 제 4 단계(54 내지 56): 및 연결을 해제하고 결과를 부호화하여 상호 작용 결과를 알리는 제 5 단계(57 내지 60)를 포함하여 고도지능망의 구현이 용이하며 새로이 요구되는 다양한 지능망 서비스를 쉽고, 빠르고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아이피(IP) 프로토콜 처리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IP의 구조도.
제2도는 PHB의 상태도.
제3도는 PHB의 구조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부 시스템들 2 : IP(Intelligent Peripheral)
3 : 통신부 4 : 자원 관리자
5 : 종합정보통신망 접속부 6 : 공통선 신화망 접속부
7 : 전기통신 관리망 접속부 8 : 프로토콜 처리부
9 : 라인 접속부 10 : 메시지 처리부
본 발명은 IP(Inelligent Peripheral)내 세부 기능중 프로토콜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능망 이용하여 지능망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는 종래의 지능망 시스템들(SSP, SCP,STP,SMS) 이외에 IP(Intelligent Peripheral)의 기능이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에는 IP의 세부 기능에 대한 정의 및 설계가 되지 않은 상태이다.
통신 이용자의 요구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이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등장한 초기 지능망은 집중화된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인SCP(Service Control Point), 서비스 호를 식별하여 지능망 호에 대한 서비스를 SCP에게 요구하는 교환기인 SSP(Servie Switching Point)를 게이트웨이 구조로 하는 망으로서 그 기간은 공통선 신호 방식(No.7)에 두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새로운 서비스의 추가시 SSP 및 SCP의구조 변경이 요구되어 통신 이용자가 신속하고 다양한 새로운 서비스의 도입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초기 지능망은 고도 지능망으로 발전하게 되었는데 두망의 차이점중의 하나가 바로 IP의 등장이다. IP는 하나 이상의 SSP에 직접 연결된 망 시스템으로서 안내방송, DTFM(Dual Tone Multiple Frequency) 수집, 음성인식, 음성합성등과 같은 특화된 자원 (Specialized resource)을 제공하며, 이러한 자원들을 이용자에게 연결시키기 위한 교환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음성 채널을 이용한 이용자와 망 사이의 정보교환을 담당한다. 이와같이 IP는 교환기에서 제공할 수 없는 특수한 자원뿐만 아니라 교환기에서 제공할 수 있다하더라도 경제적인 면 혹은 구조적인 면에서 장점을 많이 가질 수 있다면 그러한 자원들도 제공할 수 있다. 앞으로 IP는 음성 인식, 음성확인, 팩스 저장 및 전송(FAX store forward)등과 같은 새로운 기술을 실현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도지능망의 구현이 용이하고 새로이 요구되는 다양한 지능망 서비스를 쉽고, 빠르게 도입할 수 있는 아이피(IP)프로토콜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의 다수 시스템과 접속되며, 통신부와 자원 관리자를 구비하는 IP(Intelligent Peripheral)에 적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 부터 이용자와 IP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독한 후에 제1 IP 내부 공통 프리미티브(ConnectToIPResource indication)으로 변환하여 상기 자원 관리자에게 송신하면 상기 자원 관리자는 상기 외부 시스템과의 연결이 가능한지를 검사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 수행 후, 검사 결과 연결이 가능하지 않으면 비정상 상황 처리 루틴으로 넘어가고, 연결 가능하면 연결 응답( ConnectToIPResource response) 프리미티브를 수신한 상기 통신부는 접속량이 무엇인지 판별한 후에 연결 응답을 부호화하여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 수행후,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 부터 자원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해독한 후에 제2 IP 내부 공통 프리미티브(SpecializedIPResource indication)으로 변환하여 상기 자원 관리자에게 송신하면 상기 자원 관리자는 요구된 자원 기능의 유용성을 검사한 다음에 요구하는 자원기능이 IP에서 제공 가능한지를 검사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수행 후, 검사 결과 IP에서 제공할 수 없는 자원 기능 이거나, 모든 자원이 통화중(busy) 상태라 가용하지 않다면 비정상 상황 처리 루틴으로 넘어가고, 할당 가능하다면 상기 자원 관리자는 요구된 자원 기능과 이용자를 연결하여 이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수행 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4 단계 수행 후, 상기 자원 관리자는 사용한 자원 기능과 이용자의 연결을 해제하고 자원 기능으로 부터 결과를 얻어 자원 요청 응답(SpecializedIPResource response) 프리미티브를 상기 통신부로 송신하여 이용자의 상호 작용 결과를 알리고 상기 자원 관리자로 부터 결과를 수신한 상기 통신부는 각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메시지로 변환하고 부호화하여 상기 외부 시스템에게 이용자와의 상호 작용 결과를 알리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IP의 구조도이다.
IP(2)는 여러 종류의 망(ISDN, PSTN, CCS No.7등)과 접속이 가능하나 시스템이다. 그러므로, 접속되는 모든 망과의 인터페이스가 가능 하도록 통신부(3)가 처리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3)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어진다.
한 부분은 접속망에 의존적(dependent)인 기능을 수행하고 다른한 부분은 IP 내부 기능들이 접속망에 독립적(independent)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처리해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접속망에 의존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블럭은 라인 접속부( LAB :line Access Block)와 메시지 처리부(MPB : Message Processing Block)로 연결된 망의 프로토콜에 따라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해독하거나 메시지를 부호화하여 외부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일을 담당한다.
IP 내부 기능들이 접속망에 독립적(independent)으로 수행될 수있도록 처리해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블럭은 프로토콜 처리부(PHM :Protocol Handing block)로서 MPM들로 부터 수신된 여러 종류의 메시지들을 IP내의 다른 블럭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즉, 연결된 망과 관련없는 공통 프리미티브(common primitive)를 생성하여 송신하고 역으로 IP내의 다른 블럭으로 부터 수신한 고통 프리미티브 (common primitive)를 송신할 시스템과 IP와 연결된 망의 종류에 따라 알맞게 번역하여 MPB로 송신한다.
이와 같은 구조는 고도 지능망의 목적과도 잘 부합된다. 이는 새로운 망과의 접속을 원할때 IP내의 다른 블럭들에 대한 커다란 변경이나 추가 없이 연결망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새로운 LAB, MPB의 추가와 PHB의 적은 부분의 변경만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제2도는 PHB의 상태도이다.
o. 휴지(Idle) 상태
- 초기화 상태
-MPB로 부터 이용자와 IP의 연결 요청을 수신하면 셋업 응답대기(Wait_for_Setup_Resp)상태로 천이가 일어난다.
0. 셋업 응답 대기(Wait-for-Setup-Resp) 상태
- 자원 관리자로 부터 이용자와 IP의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명령 대기(Wait_for-Istruction)상태로 천이가 일어난다.
-MPB로 부터 이용자와 IP연결 요청 해제를 수신하면 휴지(Idle)상태로 천이가 일어난다.
0. 명령대기(Wait-for-Instruction) 상태
- MPB로 부터 IP내의 자원 연결 요청(이용자의 상호 작용 요청)을 수신하면 결과 대기(Wait-for-Results) 상태로 천이가 일어난다.
MPB로 부터 이용자와 IP의 연결 요청 해제를 수신하면 휴지(Idle) 상태로 천이가 일어난다.
o. Wait-for-Results 상태
- 자원 관리자로 부터 이용자와 IP와의 상호 작용 결과를 수신하면 명령 대기(Wait-for-Instruction) 상태로 천이가 일어난다.
-MPB로 부터 이용자와 IP의 연결 요청 해제를 수신하면 휴지(Idle) 상태로 천이가 일어난다.
제3도는 IP PHB의 구조도이다.
프로시쥬어의 이름은 해당 블럭(PHB)의 이름으로 시작되며 각 프로시쥬어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PHB는 MPB, RM 과의 통로를 개설하고 PHB에서 운영되는 테이블, 콘 아이디_테이블(ConnID_table)의 초기화를 수행하며 메시지의 수신을 검사하기 위한 프로시쥬어를 호출하는 프로시쥬어(PHB_main), 수신된 메시지가 MPB로부터 전송된 것인지, RM으로부터 전송된 것인지를 판단하여 메시지 종류를 가리기 위한 프로시쥬어를 호출하는 프로시쥬 어(PHB_RcvMsg),MPB 또는 RM으로 프리미티브를 전송하는 프로시쥬어(PHB_SndMsg), 메시지의 종류를 판별하여 각각을 처리하는 프로시쥬어를 호출하는 프로시쥬어(PHB_MsgHandling), 커넥트 투 아이피 리소오스 인디케이션(ConnectToIPResource indication)을 형성하며 RM으로 송신하기 위해 MPH 또는 RM으로 프리미티브를 전송하는 프로시쥬어(PHB_SndMsg)를 호출하며 MPB로 부터 이용자의 연결 요청을 위한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 호출되는 프로시쥬어(PHB_SetupInd), 스페셜 라디즈드 아이피 리소오스 인디케이션(SpecializedIPResource indication)을 형성하며 RM으로 송신하기 위해 MPB 또는 RM으로 프리미티브를 전송하는 프로시쥬어(PHB_SndMsg)를 호출하며 MPB로 부터 자원 요청을 위한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 호출되는 프로시쥬어(PHB_FacilityInd), 디스커넥크 프롬 에스에스피 인디케이션(DisconnectFromSSP indication)을 형성하며 RM으로 송신하기 위해 MPB 또는 RM으로 프리미티브를 전송하는 프로시쥬어(PHB_SndMsg)를 호출하며 MPB 부터 종료를 위한 메시지를 수신하였을 때 호출되는 프로시쥬어(PHB_DisconnectInd), 전송할 MPB의 종류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프리미티브를 생성하며 RM으로 송신하기 위해 MPB 또는 RM으로 프리미티브를 전송하는 프로시쥬어(PHB_SndMsg)를 호출하며 RM으로 부터 이용자와의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 전송을 위한 커넥트 투 아이피 리소오스 리스판스(ConnectTOIPResource response)를 수신하였을 때 호출되는 프로시쥬어(PHB_CTIPRresp), 전송할 MPB종류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프리미티브를 생성하며 RM으로 송신하기 위해 MPB 또는 RM으로 프리미티브를 전송하는 프로시쥬어(PHB_SndMsg)를호출하며 RM으로 부터 이용자와의 상호 작용 결과의 전송을 위한 스페셜라이즈드 아이피 리소오스 리스판스(SpecializedIPResource Response)를 수신하였을때 호출되는 프로시쥬어(PHB_SIPResp) 및 전송할 MPB의 종류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프리미티브를 생성하며 RM으로 송신하기 위해 MPB 또는 RM으로 프리미티브를 전송하는 프로시쥬 어(PHB-SndMsg)를 호출하며 RM으로부터 이용자와의 상호 작용 결과의 전송을 위한 스페셜라이즈드 아이피 리소오스 리스판스(SpecializedIPResourceresponse)를 수신하였을 때 호출되는 프로시쥬어(PHB_SIPRresp) 및 전송할 MPB의 종류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프리미티브를 생성하며 RM으로 송신하기 위해 MPB 또는 RM으로 프리미티브를 전송하는 프로시쥬어(PHB_SndMsg)를 호출하며 RM으로부터 이용자와의 상호 작용 결과의 전송을 위한 스페셜라이즈드 아이피 리소오스 리스판스(SpscializedIPResource response)를 수신하였을때 호출되는 프로시쥬어(PHB_SIPRresp) 및 전송할 MPB의 종류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프리미티브를 생성하여 RM으로 송신하기 위해 MPB 또는 RM으로 프리미티브를 전송하는 프로시쥬어(PHB_SndMsg)를 호출하여 RM으로 부터 이용자와의 연결 해제 요청을 위한 디스커넥트 프롬 아이피 리퀘스트(DisconnectFromIP request)를 수신하였을 때 호출되는 프로시쥬어(PHB_DiscFromIPreq)를 구비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흐름도이다.
MPB가 외부 시스템(SSP)로 부터 이용자와 IP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다(41). 만약, IP가 외부 시스템과 ISDN으로 연결되어 있다면 이 메시지는 셋업(Setup)이다. MPB는 이를 해독하여 PHB로 송신하다 (42). PHB는 IP 내부 공통 프리미티브인 커넥트 투 아이피 리소오스인디케이션(ConnectTOIPResource indication)으로 변환하여 자원 관리자에게 송신한다(43). 연결된 망에서 수신된 각기 다른 프리미티브들을 PHB에서는 공통 프리미티브로 변환하게 된다. 다시 말해 각 정합장치에서는 수신한 IP 연결 요청 메시지의 형태는 다르지만 PHB에서는 이를 커넥트 투 아이피 리소오스 인디케이션(ConnectTOIPResource indication)이라는 IP내부 공통 프리미티브로 변환하게 된다.
자원 관리자는 외부 시스템과의 연결이 가능한지 검사한다(44).
검사 결과 연결이 가능하지 않으면 비정상 상황 처리 루틴으로 넘어가고(45), 연결 가능하다면 이를 알리기위해 PHB로 커넥트 투 아이피 리소오스 리스판스 (ConnectTOIPResource response) 프리미티브를 송신한다(46). 이를 수신한 PHB는 접속망이 무엇인지 판별하여 이에 맞게 번역하여 MPB로 송신한다.(47). MPB는 이를 부호화 하여 IP 연결요청에 대한 응답을 외부 시스템으로 송신한다(48). 만약, IP가 외부시스템과 ISDN으로 연결되어 있다면 이 메시지는 커넥트(Connect)이다.
IP와 연결 과정이 성립된 후 MPB가 외부 시스템으로 부터 자원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48). MPB는 이를 해독하여 PHB로 송신한다 (50). 자원 요청 메시자를 수신한 PHB는 IP 내부 공통 프리미티브인 스레셜라이즈드 아이피 리소오스 인디케이션(SpeializedIPResourse indication)으로 변환하여 자원 관리자에게 송신한다(51). 자원 요청 프리미티브를 수신한 자원 관리자는 요구된 자원 기능의 유용성을 검사하게 된다(52). 요구하는 자원 기능이 IP에서 제공하고 있는 것인지, 제공하는 것이라면 지금 사용 가능한 것이 있는지와 같은 상태를 검사한다(53). 검사 결과 IP에서 제공할 수 없는 자원 기능 이거나, 모든 자원이 화중(busy) 상태라 가용하지 않다면 비정상 상황 처리 루틴으로 넘어가게 되고(54), 할당 가능하다면 자원 관리자는 요구된 자원 기능과 이용자를 연결한다(55). 자원 관리 자의 요청에 따라 연결된 자원 기능은 이용자의 상호 작용을 실시 한다(56). 자원 관리자는 사용한 자원 기능과 이용자의 연결을 해제하고(57), 자원 기능으로 부터 결과를 얻어 스페셜라이즈드 아이피 리소오스 리스판스(SpecializedIPResource response) 프리미티브를 PHB 로 송신하여 이용자와의 상호 작용 결과를 알린다(58). 자원 관리자로 부터 결과를 수신한 PHB는 외부 시스템으로 부터 자원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때와는 반대로 각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메시지로 변환하여 MPB로 송신한다(59). MPB는 이를 부호화하여 외부 시스템에게 이용자와의 상호 작용 결과를 알린다(60).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IP내 프로토콜 처리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고도지능망의 구현이 용이하며 새로이 요구되는 다양한 지능망 서비스를 쉽고, 빠르고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외부의 다수 시스템(1)과 접속되며, 통신부(3)와 자원 관리자(4)를 구비하는 IP(Intelligent Peripheral)에 적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3)는 상기 외부 시스템(1)으로 부터 이용자와 IP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독한 후에 제 1 IP 내부 공통 프리미티브(ConnectTOIPResource indcation)으로 변환하여 상기 자원 관리자(4)에게 송신하면 상기 자원 관리자는 상기 외부 시스템(1)과의 연결이 가능한지를 검사하는 제 1 단계(41 내지 44); 상기 제 1 단계(41 내지 44) 수행 후, 검사 결과 연결이 가능하지 않으면 비정상 상황 처리 루틴으로 넘어가고, 연결 가능하면 연결 응답(ConnectTOIPResource response) 프리미티브를 수신한 상기 통신부(3)는 접속망이 무엇인지 판별한 후에 연결 응답을 부호화하여 상기 외부 시스템(1)으로 송신하는 제 2 단계(45 내지 48); 상기 제 2 단계(45 내지 48) 수행 후, 상기 통신부(3)는 상기 외부 시스템(1)으로 부터 자원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해독한 후에 제2 IP 내부 공통 프리미티브(SpecializedIPResource indication)으로 변환하여 상기 자원 관리자(4)에게 송신하면 상기 자원 관리자(4)는 요구된 자원 기능의 유용성을 검사한 다음에 요구하는 자원 기능이 IP에서 제공 가능한지를 검사하는 제 3 단계(49 내지53); 상기 제 3 단계(49 내지 53) 수행 후, 검사 결과 IP에서 제공할수 없는 자원 기능 이거나, 모든 자원이 화중(busy) 상태라 가용하지않다면 비정상 상황 처리 루틴으로 넘어가고, 할당 가능하다면 상기 자원 관리자(4)는 요구된 자원 기능과 이용자를 연결하여 이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수행 하는 제 4 단계(54 내지 56): 및 상기 제 4 단계(54 내지 56) 수행 후, 상기 자원 관리자(4)는 사용한 자원 기능과 이용자의 연결을 해제하고 자원 기능으로 부터 결과를 얻어 자원 요청 응답(SpecializedIPResource responce) 프리미티브를 상기 통신부(3)로 송신하여 이용자와의 상호 작용 결과를 알리고 상기 자원 관리자(4)로 부터 결과를 수신한 상기 통시부(3)는 각 피로토콜에 해당하는 메시지로 변환하고 부호화하여 상기 외부 시 스템(1)에게 이용자와의 상호 작용 결과를 알리는 제 5 단계(57 내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피(IP) 프로토콜 처리 방법.
KR1019940034759A 1994-12-16 1994-12-16 아이피(ip) 프로토콜 처리 방법 KR0128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4759A KR0128009B1 (ko) 1994-12-16 1994-12-16 아이피(ip) 프로토콜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4759A KR0128009B1 (ko) 1994-12-16 1994-12-16 아이피(ip) 프로토콜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820A KR960027820A (ko) 1996-07-22
KR0128009B1 true KR0128009B1 (ko) 1998-04-10

Family

ID=19401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4759A KR0128009B1 (ko) 1994-12-16 1994-12-16 아이피(ip) 프로토콜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800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820A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1937B1 (ko) 호출 가입자 식별 고지 서비스용 장치
US5386467A (en) Intelligent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EP1679866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viding communication over a computer network
JP4125806B2 (ja) 通信ルーチング装置および方法
US5995610A (en) Cooperative call processing across public and private intelligent networks
CA2226447C (en) Distributed network control and fabric application interface
JP2002513534A (ja) 信号方式ネットワークゲートウェイ装置および信号方式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その使用
JPH10500542A (ja) 電気通信制御のための方法、方式(システム)、及び、装置
JPH0998165A (ja) 通信呼中の呼帯域幅の調整
GB2325122A (en) Bus connection set up and tear down
JP3285698B2 (ja) マルチメディア通信制御システム、およびマルチメディア通信制御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6504852B1 (en) Intelligent gateway between a service control point and a signalling network
KR0128009B1 (ko) 아이피(ip) 프로토콜 처리 방법
US8842816B2 (en) Implementation of the intelligent network in the next generation networks and its interconnection to the PSTN
US6577724B1 (en) Method and apparatus in a communication network for switching messages to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EP1263260A1 (en) Automation of provisioning of private line packet network connections
KR100285716B1 (ko) 교환기에서아날로그가입자를위한발신번전송방법
KR100202988B1 (ko)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에 있어서 안내대 호 전환 방법
KR950003726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호전환 서비스 방법
KR20010057113A (ko) 지능망 교환 시스템에서 발신 번호 메일 통지 서비스 방법
KR100391174B1 (ko) 차세대 지능망의 메시지 처리 장치 및 방법
KR960013271B1 (ko) 아이피 시스팀 운용 방법
JPH10260915A (ja) 通信方法およびその通信方法が適用される通信端末並びに交換機
KR20010059636A (ko) 전전자교환기에서 발신자 정보표시 서비스를 위한 이름데이터베이스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53867A (ko) 음성교환기에서 데이터통신서비스 사용 중 착신호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