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008Y1 - 트랙터용 그레이더 - Google Patents

트랙터용 그레이더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008Y1
KR0128008Y1 KR2019960001739U KR19960001739U KR0128008Y1 KR 0128008 Y1 KR0128008 Y1 KR 0128008Y1 KR 2019960001739 U KR2019960001739 U KR 2019960001739U KR 19960001739 U KR19960001739 U KR 19960001739U KR 0128008 Y1 KR0128008 Y1 KR 01280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der
tractor
frame
pins
longitudinal sec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17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0530U (ko
Inventor
김종규
Original Assignee
김종규
주식회사세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규, 주식회사세웅 filed Critical 김종규
Priority to KR20199600017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8008Y1/ko
Publication of KR9700505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05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0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0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14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drawn by animals or tractors
    • A01B63/24Tools or tool-holders adjustable relatively to the frame
    • A01B63/245Tools or tool-holders adjustable relatively to the frame laterally adjustab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랙터용 그레이더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그레이더는 트랙터의 양측바퀴 내측부분에 대한 그레이더 작업이 용이하나, 작업여건에 따라서는 양측바퀴의 외측부분을 작업하여야 할 경우 프레임으로부터 그레이더의 편심이 불가능하여 그레이더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트랙터의 상/하부링트와 연결 가능하도록 선단의 상/하부에 연결홀(12)과 연결핀(14)이 마련되고 그 후단양측에 각각 브라켓트(16a)(16b)가 연장되어 있는 프레임(10) ; 이 프레임(10)에 선단이 힌지핀(20a)으로 연결되어 후방으로 연장되고 다수의 핀(24)이 일정간격으로 돌출된 2개의 종간(18a)(18b) ; 이 종간(18a)(18b)의 각 후단부에 프레임(10)으로부터 일정한 폭으로 평행하게 4절링크를 이루도록 종간(18a)(18b) 후단의 힌지핀(20b)으로 연결되어 있는 그레이더(22) ; 상기 종간(18a)(18b)이 브라켓트(16a)(16b)의 힌지핀(20a)을 중심으로 하여 임의의 방향과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종간(18a)(18b)의 폭보다 길은 거리의 핀(24)과 대각선으로 일치하는 다수의 핀홀(28)을 갖는 고정바(26) ; 로 구성된 트랙터용 그레이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트랙터용 그레이더
본 고안은 트랙터용 그레이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과 종간 및 그레이더가 4절링크 방식으로 연결되어 그레이더의 편심이 가능하고 그레이더의 편심 상태에서 고정이 가능하여 편심 그레이더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트랙터용 그레이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랙터의 상/하부링크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피견인식의 토 그레이더( Tow Grader), 즉 트랙터용 그레이더는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 후단의 힌지핀에 단순히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힌지핀을 중심으로하여 대략 120。 범위 내에서만 회전된다.
이러한 종래의 트랙터용 그레이더는 트랙터의 양측바퀴 내측부분에 대한 그레이더 작업이 용이하나, 작업여건에 따라서는 양측바퀴의 외측부분을 작업하여야 할 경우 프레임으로부터 그레이더의 편심이 불가능하여 그레이더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프레임에 그레이더가 종간을 통해 4절링크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종간에 종간의 폭보다 길은 거리로 고정바를 연결 가능하므로 트랙터의 양측바퀴 외측부분에 이르기까지 그레이더의 편심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서 편심 그레이더 작업(양측바퀴의 외측부분까지)이 가능한 트랙터용 그레이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용 그레이더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프레임 12 : 연결홀
14 : 연결핀 16a,16b : 브라켓트
18a, 18b : 종간 20a, 20b : 힌지핀
22 : 그레이더 24 : 핀
26 : 고정바 28 : 핀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트랙터의 상/하부링크에 연결가능한 프레임 ; 이 프레임에 선단이 힌지핀으로 연결되어 후방으로 연장되고 다수의 핀이 일정간격으로 돌출된 2개의 종간 ; 이 종간의 각 단부에 프레임으로부터 일정한 폭으로 평행하게 4절링크를 이루도록 연결된 그레이더 ; 상기 종간이 브라켓트의 힌지핀을 중심으로 하여 임의의 방향과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종간의 폭보다 길은 거리의 핀과 대각선으로 일치하는 다수의 핀홀을 갖는 고정바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용 그레이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및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용 그레이더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들이다.
프레임(10)은 트랙터(도시되지 않았음)의 상/하부링크에 연결가능하게 연결홀(12)과 연결핀(14)이 선단의 상/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그 후단양측의 브라켓트(16a)(16b)에 각각의 종간(18a)(18b)이 힌지핀(20b)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종간(18a)(18b)의 단부에는 그레이더(22)가 연결되되 상기 프레임(10)으로부터 일정한 폭으로 평행하게 4절링크를 이루도록 힌지핀(20b)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종간(18a)(18b)에는 핀(24)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돌출되어 있고, 이 종간(18a)(18b)의 핀(24)에는 2개의 종간(18a)(18b)을 가로 질른 상태로 고정바(26)가 연결되어 있다. 이 고정바(26)에는 종간(18a)(18b)이 회전됨에 따라 종간(18a)(18b)의 폭보다 길은 거리의 핀(24)과 일치되는 거리를 갖도록 다수의 핀홀(2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종간(18a)(18b)의 핀(24)에 브라켓트(16a)(16b)의 핀홀(28)을 일치시켜 연결하면 프레임(10)과 종간(18a)(18b) 및 그레이더(22)의 연결상태가 유동이 불가능한 4절링크로 고정되면서 종간(18a)(18b)의 유동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트랙터용 그레이더는, 트랙터의 상/하부링크에 연결한 후 트랙트의 양측바퀴 보다 벗어난 외측부분에 이르기까지 그레이더 작업이 요구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종간(18a)(18b)으로부터 고정바(26)를 분리한 다음 그레이더 작업을 행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종간(18a)(18b)을 임의의 각도로 회전시키면 그레이더(22)가 편심되게 된다.
이와같이 종간(18a)(18b)이 편심된 상태에서 고정바(26)의 핀홀(28) 간격이 종간(18a)(18b)의 폭보다 길도록 종간(18a)(18b)을 가로질러 종간(18a)(18b)의 핀(24)에 고정바(26)의 핀홀(28)을 끼워 조립한다. 이때, 종간(18a)(18b)과 프레임(10) 및 그레이더(22)가 고정바(26)에 의해 종간(18a)(18b) 및 프레임(10)은 물론 고정바(26)의 연결길이가 각기 다르므로 종간(18a)(18b)은 유동되지 않고 편심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트랙터를 전진시키면 트랙터의 바퀴보다 외측부분까지 그레이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트랙터의 양측바퀴의 외측부분은 그레이더 작업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 상기 종간(18a)(18b)이 프레임(10)의 브라켓트(16a)(16b)와 평행하게 위치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트랙터의 양측바퀴보다 벗어난 외측부분에 이르기까지 그레이더 작업을 행하는 경우와 같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트랙터용 그레이더는 그레이더의 편심수단이 전혀 없는 선행기술과는 달리 프레임에 그레이더가 종간을 통해 4절링크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트랙터의 양측바퀴 외측부분에 이르기까지 그레이더의 편심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서 양측바퀴의 외측부분까지 그레이더 작업이 가능한 특유의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은 종간에 고정바를 종간의 폭보다 길은 거리를 갖도록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함에 따라 간단하게 종간이 고정되므로 그레이더의 편심이 용이한 특유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트랙터의 상/하부링크에 연결가능하게 선단의 상/하부에 연결홀(12)과 연결핀(14)이 마련되고 그 후단양측에 각각 브라켓트(16a)(16b)가 연장되어 있는 프레임(10) ; 이 프레임(10)에 선단이 힌지핀(20a)으로 연결되어 후방으로 연장되고 다수의 핀(24)이 일정간격으로 돌출된 2개의 종간(18a)(18b) ; 이 종간(18a)(18b)의 각 후단부에 프레임(10)으로부터 일정한 폭으로 평행하게 4절링크를 이루도록 종간(18a)(18b) 후단의 힌지핀(20b)으로 연결되어 있는 그레이더(22) ; 상기 종간(18a)(18b)이 브라켓트(16a)(16b)의 힌지핀(20a)을 중심으로 하여 임의의 방향과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종간(18a)(18b)의 폭보다 길은 거리의 핀(24)과 대각선으로 일치하는 다수의 핀홀(28)을 갖는 고정바(26) ;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그레이더.
KR2019960001739U 1996-02-06 1996-02-06 트랙터용 그레이더 KR01280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1739U KR0128008Y1 (ko) 1996-02-06 1996-02-06 트랙터용 그레이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1739U KR0128008Y1 (ko) 1996-02-06 1996-02-06 트랙터용 그레이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0530U KR970050530U (ko) 1997-09-08
KR0128008Y1 true KR0128008Y1 (ko) 1998-10-15

Family

ID=19450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1739U KR0128008Y1 (ko) 1996-02-06 1996-02-06 트랙터용 그레이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800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395B1 (ko) * 2002-02-08 2004-09-04 진랑규 트랙터 견인형 그레이더
KR102201039B1 (ko) * 2020-09-18 2021-01-08 박동윤 트랙터에 분할 결합되는 착탈식 그레이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0530U (ko) 199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44569B1 (de) Zusammen- und auffaltbares Gerät oder Werkzeugträger, insb. für landwirtschaftliche Maschinen
EP0538721B1 (de) Chassis für Raupenfahrzeuge
US4570722A (en) Free floating foldable tool bar
DE3425838C2 (ko)
KR0128008Y1 (ko) 트랙터용 그레이더
CA1236326A (en) Foldable frame flexing hinge
US3841412A (en) Multiple-piece wing sections for cultivator and selectively locking means for same
KR100200683B1 (ko) 트랙터용 써레
US2452408A (en) Grade builder blade mounting
US4044842A (en) Flexible multi-section implement
US4069874A (en) Swivel hitch for chisel plows
DE60319555T2 (de) Untergestell für baumaschine
US4621973A (en) Tractor loader having multi-adjustment mountings
DE60319731T2 (de) Gleiskettengestell für baumaschine
US5957497A (en) Steering device in a riding mower
CA1050332A (en) Tillage tool wing folding kit
US4817731A (en) Ripper mechanism
US4078616A (en) Track-type vehicle frame
US3910605A (en) Gang hitching apparatus
AU629023B2 (en) Harrow frame
US3613801A (en) Implement carrier
DE60019010T2 (de) Maschine zur Kupplung an einem Schlepper oder dergleichen
US2626496A (en) Land roller
JP4459387B2 (ja) 作業機
US4653592A (en) Flexible winged culti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