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641Y1 - 정수기의 농축수 배출조절 밸브장치 - Google Patents

정수기의 농축수 배출조절 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641Y1
KR0127641Y1 KR2019950011941U KR19950011941U KR0127641Y1 KR 0127641 Y1 KR0127641 Y1 KR 0127641Y1 KR 2019950011941 U KR2019950011941 U KR 2019950011941U KR 19950011941 U KR19950011941 U KR 19950011941U KR 0127641 Y1 KR0127641 Y1 KR 01276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concentrated water
passage
water
control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19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7414U (ko
Inventor
윤덕중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119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641Y1/ko
Publication of KR9600374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74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6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6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6Attachment of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16K31/0624Lif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멤브라인 여과장치를 통하여 배출되는 농축수의 배출량을 자동 및 수동으로 용이하게 조절함과 동시에, 정수기 본체(2) 외부에서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역삼투압 정수기의 농축수 조절밸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멤브라인 여과장치(9)로부터 배출되는 농축수를 도입하여 토출하는 제1 및 제2토출통로(27a)(28a)가 형성된 제1 및 제2토출부(27)(28)를 구비한 실린더와, 자동조작시에 상기 제1토출통로를 통해 토출되는 농축수를 배출시키도록 개방되고 수동조작시에 폐색되는 솔레노이드밸브(31)와, 상기 실린더부(22)내에 전·후진 가능하게 배설되어 상기 실린더부(22)내에 형성된 농축수 안내통로(50)를 개방/폐색하는 밸브체(37)와, 상기 밸브본체(23)의 대경부(22c)를 정수기본체(2)에 고정결합하는 커플링부재(41)와, 상기 밸브체(37)의 후진을 규제하도록 중간부에 플랜지부(33b)가 형성된 클러치부재(33)와, 상기 클러치부재(33)와 결합되어 상기 밸브체(37)를 후진을 규제하여 안내통로(50)를 확장/축소조절하는 조절노브(43)와, 수동조작시에는 상기 제2토출통로(28a)를 통해 토출되는 농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고, 자동조작시에는 상기 제1토출통로(27a)(28a)를 통해 토출되는 농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1)와 제2토출부(28) 사이의 배설된 이음관(3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수기의 농축수 배출조절 밸브장치
제1도는 종래의 역삼투압 정수기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역삼투압 정수기의 농축수 배출조절 밸브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정수기의 농축수 배출조절 밸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화살표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5 : 유입부 27 : 제1토출부
27a : 제1토출통로 28 : 제2토출부
28a : 제2토출통로 31 : 솔레노이드밸브
32 : 이음관 33 : 클러치부재
35 : 원통부 37 : 밸브체
39 : 시일링부재 41 : 커플링부재
43 : 조절노브
본 고안은 멤브레인 여과장치를 통하여 배출되는 농축수의 배출량을 자동 및 수동으로 용이하게 조절함과 동시에, 정수기 본체 외부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역삼투압 정수기의 농축수 배출조절 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역삼투압 정수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도전(1)에 연결된 어댑터(3)를 통하여 급수관(5)내로 공급되는 수돗물을 전처리 여과장치(7)를 통과하면서 염소성분등의 각종 유해한 유기화합물질을 제거하며, 상기 전처리 여과장치(7)를 통과한 물은 도시하지 않은 승압펌프의 작동에 따라 소정의 압력으로 승압되어 멤브레인 여과장치(9)로 보내지면, 상기 멤브레인 여과장치(9)에서 각종 중금속이나 발암물질, 박테리아 등의 세균을 제거한다. 상기 멤부레인 여과장치(9)를 통과한 물은 다시 후처리 여과장치(11)를 통과하면서 유독가스 등의 냄새가 제거된 후, 정수유출관(13)을 통하여 정수탱크(15)내로 유입되어 저류되어지며, 상기 정수탱크(15)내에 저류된 정수는 도시하지 않은 취수밸브를 통하여 배출됨으로써, 취수가 가능케 구성되어 있다.
한편, 멤브레인 여과장치(9)를 통과하지 못한 중금속이나 발암물질 및 박테리아 등을 함유하는 농축수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관(17)을 통하여 수도전(1)에 접속되어 있는 어댑터(3)의 하측에 나사결합된 조절밸브(19)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즉, 조절밸브(19)를 오른쪽으로 돌리면 상기 조절밸브(19)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9a)를 따라 후퇴하면서 시일링부(21)와 조절밸브(19)간에 안내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안내통로를 통하여 농축수가 대략 T자형상의 배수공(19b)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조절밸브(19)를 반대로 돌려 조이면, 상기 시일링부(21)와 조절밸브(19)간의 간극이 좁아져서 농축수의 유출이 적어지거나, 농축수의 유출을 차단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정수기에 있어서는 조절밸브(19)를 수동으로만 조절할 수 있어 조절밸브(19)의 위치에 따라 농축수의 배출량을 결정함으로써, 정수량에 따라 농축수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상기 조절밸브장치가 정수기의 원수를 공급하는 수도전(1)에 연결됨으로써, 조작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조절밸브의 수동조작 및 자동조작을 용이하게 하여 농축수의 배출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조절밸브 장치를 본체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역삼투압 정수기의 농축수 배출조절 밸브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정수기의 농축수 배출조절 밸브장치는 멤브라인 여과장치로부터 배출되는 농축수를 도입하여 배출하는 제1 및 제2토출통로가 형성된 제1 및 제2토출구를 구비한 실린더와, 자동조작시에 상기 제1토출통로를 통해 토출되는 농축수를 배출시키도록 개방되고 수동조작시에는 폐색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실린더부내에 전·후진 가능하게 배설되어 상기 실린더부내에 형성된 농축수의 안내통로를 개방/폐색하는 밸브체와, 상기 실린더의 대경부를 정수기본체에 고정결합하는 커플링부재와, 상기 밸브체의 후진을 규제하도록 외주면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클러치부재와, 상기 클러치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밸브체의 전·후진을 규제하여 안내통로를 확장/축소 조절하는 조절노브와, 수동조작시에는 상기 제2토출통로를 통해 토출되는 농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고, 자동조작시에는 상기 제1토출부에 각각 형성된 제1토출통로를 통해 토출되는 농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와 제2토출부 사이의 연결배수관에 접속된 이음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정수기의 농축수 배출조절밸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4도는 제3도에서 화살표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의 농축수 배출조절 밸브장치는 실린더부(22)와, 상기 실린더부(22)내에 전·후진 가능하게 배설되어 상기 실린더부(22)의 축경부(22b) 및 확경부(22a) 사이에 안내통로(50)를 형성하는 밸브체(37)와, 상기 실린더부(22)의 대경부(22c)를 정수기본체(2)에 나사 결합하여 고정하는 커플링부재(41)와, 상기 밸브체(37)의 원통부(35)내에 일측이 고정되고 중간부에 상기 커플링부재(41)내에 형성된 안내홈(41a)내에 감입되어 상기 밸브체(37)의 전·후진을 제어하는 클러치부재(33)와, 상기 클러치부재(33)의 타측단에 체결나사(45)에 의해 결합고정되어서 상기 밸브체(37)를 전·후진시켜 안내통로(50)의 간극을 확장/축소하여 가변시키는 조절노브(4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농축수 배수조절 밸브장치는 상기 제1토출부(27)의 토출통로(27a) 및 제2토출부(28)의 토출통로(28a)에 연결배수관(29a)(29b)을 통해서 접속되어 수동조작시에는 상기 제2토출부(28)의 제2토출통로(28a)를 통해 농축수를 받아 외부로 배출구로 배출하고, 자동조작시에는 상기 제1토출부(27)에 각각 형성된 제1토출통로(27a)를 통해 농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이음관(32)과, 자동조작시에는 제1토출부(27)의 제1토출통로(27a)를 통해서 농축수를 상기 이음관(32)에 도입시키도록 개방되고 수동조작시에는 상기 제1토출부(27)의 제1토출통로(27a)를 통해서 농축수의 토출을 저지하도록 폐색되는 솔레노이드밸브(3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32)은 농축수를 2방향에서 도입하고, 1방향에서 배출하는 3포오트를 구비한 배출관이다.
상기 밸브체(37)에는 상기 유입부(25)에 형성된 유입통로(25a)를 통해 도입되는 농축수가 실린더부(22)의 확경부(22a) 및 대경부(22c)를 통해서 조절노브(43)측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시일링부재(39)가 배설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시일링부재(39)의 외주면에 0링(39a)이 배설되어 있다.
또, 상기 클러치부재(33)의 외주면에는 조절노브(43)의 회전시에 특정위치 이상 상기 클러치부재(33)가 정수기본체(2) 외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커플링부재(41)의 내측바닥 근처에 형성된 안내홈(41a)과 당접되는 플랜지부(33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절노브(43)는 용기형상의 것으로서, 중앙부에 보스부(43a)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보스부(43a)의 내측으로 클러치부재(33)의 일측이 감입되도록 요홈부(43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홈부(43b)의 바닥에는 체결나사(45)에 의해 클러치부재(33)와 나합할 수 있도록 체결구멍(43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부(22)는 제1도에 도시한 역삼투압 정수기의 멤브라인 여과장치(9)에 일측이 접속되는 배수관(17)에 접속되어 상기 멤브라인 여과장치(9)로부터 배출되는 농축수를 도입하도록 유입통로(25a)가 형성된 유입부(25)와, 자동조작시에 상기 유입부(25)의 유입통로(25a)를 통해 도입된 농축수를 토출하도록 토출통로(27a)가 형성된 제1토출부(27)와, 수동조작시에 상기 유입부(25)에 형성된 유입통로(25a)를 통해 도입된 농축수를 토출하도록 토출통로(28a)가 형성된 제2토출부(28)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실린더(22)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대경부(22c)의 내주면에는 밸브체(37)의 기단부에 고착된 원통부(35)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35a)와 맞물리는 나사부(22d)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대경부(22c)의 외주면에는 커플링부재(41)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41b)와 맞물리는 나사부(22e)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플링부재(41)의 플랜지부(41c)에는 커플링부재(41)를 정수기본체(2)에 체결수단(42)에 의해 고정시키도록 다수개의 관통구멍(41d)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부(25), 제1 및 제2토출부(27)(28)는 같은 형상이며, 그 외주면에는 배수관(17), 연결배수관(29a)(29b)을 접속하였을 경우, 농축수의 압력에 의해 상기 배수관(17)(29a)(29b)이 빠지지 않도록 나사부(25b)(27b)(28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농축수 조절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수동조작을 설명하면, 수도전을 통해서 수돗물이 전처리여과장치(7)와 멤브레인 여과장치(9)와 후처리여과장치(11)를 통과하면서 정수되며, 이와같은 과정을 통해서 정수된 물은 정수탱크(15)내로 유입되어 도시하지 않은 취수밸브의 온·오프에 의해 취수된다. 상기 멤브레인 여과장치(9)를 통과하지 못한 농축수는 상기 멤브레인 여과장치 하면에 배설된 배수관(17)을 통하여 배수된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멤브레인 여과장치(9)의 하면에 배설된 배수관(17)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부(25)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25b)에 나합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멤브레인 여과장치(9)를 통과하지 못한 농축수는 상기 유입부(25)의 유입통로(25a)를 통하여 본 고안의 농축수 배수조절 밸브장치내로 유입된다.
이때, 조절노브(43)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조절노브(43)의 보스부(43a)의 요홈부(43b)내에 일측이 삽입되어 체결나사(45)에 의해 고정결합된 클러치부재(33)가 회전되고, 상기 클러치부재(3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클러치부재(33)의 타측면에 결합된 원통부(35)가 실린더부(22)의 대경부(22c)내에 형성된 나사부를 따라 후진함으로써, 상기 원통부(35)에 고착된 밸브체(37)가 회전되면서 후진되어 실린더부(22)의 축경부(22b) 내주면으로부터 떨어짐으로써, 안내통로(50)가 형성되며, 이 안내통로(50)를 통해서 농축수가 흐른다.
상기 안내통로(50)를 통과한 농축수는 제2토출부(28)에 형성된 토출통로(28a)를 통하여 T자 형상의 이음관(32)을 통하여 외부로 점선 표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 배출된다.
한편, 조절노브(43)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클러치부재(33)와 결합된 원통부(3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밸브체(37)가 회전되면서 전진하여 밸브체(37)의 선단부와 축경부(22b) 사이에 형성되는 안내통로(50)의 간극이 좁아지게 되어 농축수의 배출량이 적어진다.
다음에, 본 고안에 의한 정수기의 농축수 배출조절 밸브장치를 자동으로 개폐 제어할 때는, 일단 수동으로 밸브체(37)의 선단부와 실린더부(22)의 축경부(22b) 내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안내통로(50)의 간극을 폐색한 후, 멤브레인 여과장치(9)에 내장된 필터를 세척하기 위하여 많은 양의 농축수를 배출시킬 때는 전기적 제어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31)가 개방된다. 이때, 유입부(25)의 유입통로(25a)를 통해 실린더부(22)내에 유입된 농축수는 실선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흘러 제1토출부(27)의 제1토출통로(27a)를 통하여 토출되어 연결배수관(29a) 및 솔레노이드밸브(31)를 통과하여 T자 형상의 이음관(32)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수동조작시에는 농축수가 제2토출부(28)에 형성된 제2토출통로(28a)를 통해서 이음관(32)으로 토출되고, 자동조작시에는 농축수가 제1토출부(27)에 형성된 토출통로(27a) 및 솔레노이드밸브(31)를 통해서 이음관(32)으로 토출되는 과정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자동조작시에 조절노브(43)를 조절하여 밸브체(37)의 선단부와 실린더부(22)의 축경부(22b) 내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안내통로(50)의 간극을 조절해서 상기 제1 및 제2토출부(27)(28)에 형성된 제1 및 제2토출통로(27a)(28a)를 통해서 농축수를 이음관에 토출할 수도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37)의 외주면에 배설된 시일링부재(39) 및 0링(39a)은 상기 수동 및 자동조작에 의해 농축수가 배출될 때, 클러치부재(33)와 원통부(35)가 맞물린 곳으로 상기 농축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39)의 중간부외주면에는 천연고무 또는 인조고무 등으로 제조된 0링(39a)이 배설되어 있으므로, 농축수가 조절노브(43)측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정수기의 농축수 배수 조절장치는 수동조작은 물론 자동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농축수 배출량의 조절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정수기의 수명을 연장할 뿐만 아니라, 정수기 본체에 농축수 배출조절장치를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조작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8)

  1. 일측에 멤브라인 여과장치(9)로부터 배출되는 농축수를 도입하여 토출하는 제1 및 제2토출통로(27a)(28a)가 형성된 제1 및 제2토출부(27)(28)를 구비한 실린더와, 자동조작시에 상기 제1토출통로를 통해 토출되는 농축수를 배출시키도록 개방되며 수동조작시에는 폐색되는 솔레노이드밸브(31)와, 상기 실린더부(22)내에 전·후진 가능하게 배설되어 상기 농축수의 안내통로(50)를 개방/폐색하는 밸브체(37)와, 상기 실린더부(22)의 대경부(22c)를 정수기본체(2)에 고정결합하는 커플링부재(41)와, 상기 밸브체(37)의 후진을 규제하도록 외주면에 플랜지부(33b)가 형성된 클러치부재(33)와, 상기 클러치부재(33)와 결합되어 상기 밸브체(37)의 전·후진을 규제하여 안내통로를 확장/축소 조절하는 조절노브(43)와, 수동조작시에는 상기 제2토출통로(28a)를 통해 토출되는 농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고, 자동조작시에는 상기 제1토출부(27)에 형성된 제1토출통로(27a)를 통해 토출되는 농축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1)와 제2토출부(28) 사이에 배설된 이음관(3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농축수 배출조절 밸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32)은 농축수를 2방향에서 도입하고, 1방향에서 배출하는 3포오트를 구비한 배출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농축수 배출조절 밸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토출부(27)(28)는 그 외주면에는 연결배수관(29a)(29b)을 접속하였을 경우, 농축수의 압력에 의해 상기 배수관(17)(29a)(29b)이 빠지지 않도록 나사부(25b)(27b)(28b)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농축수 배출조절 밸브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22)는 멤브라인 여과장치(9)에 일측이 접속되는 배수관(17)에 접속되어 상기 멤브라인 여과장치(9)로부터 배출되는 농축수를 도입하도록 유입통로(25a)가 형성된 유입부(25)와, 자동조작시에 상기 유입부(25)의 유입통로(25a)를 통해 도입된 농축수를 토출하도록 토출통로(27a)가 형성된 제1토출부(27)와, 수동조작시에 상기 유입부(25)에 형성된 유입통로(25a)를 통해 도입된 농축수를 토출하도록 토출통로(28a)가 형성된 제2토출부(28)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농축수 배출조절 밸브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37)에는 상기 유입부(25)에 형성된 유입통로(25a)를 통해 도입되는 농축수가 실린더부(22)의 확경부(22a) 및 대경부(22c)를 통해서 조절노브(43)측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시일링부재(39)가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농축수 배출조절 밸브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링부재(39)에는 0링(39a)이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농축수 배출조절 밸브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부재(3)의 외주면에는 조절노브(43)의 회전시에 특정위치 이상 상기 클러치부재(33)가 정수기본체(2) 외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커플링부재(41)의 내측 바닥부 근처에 형성된 안내홈(41a)과 당접되는 플랜지부(33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농축수 배출조절 밸브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노브(43)는 그 중앙부에 보스부(43a)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보스부(43a)의 내측에는 클러치부재(33)의 일측이 감입되도록 요홈부(43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홈부(43b)의 바닥에는 체결나사(45)에 의해 클러치부재(33)와 나합할 수 있도록 체결구멍(43c)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농축수 배출조절 밸브장치.
KR2019950011941U 1995-05-30 1995-05-30 정수기의 농축수 배출조절 밸브장치 KR01276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1941U KR0127641Y1 (ko) 1995-05-30 1995-05-30 정수기의 농축수 배출조절 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1941U KR0127641Y1 (ko) 1995-05-30 1995-05-30 정수기의 농축수 배출조절 밸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414U KR960037414U (ko) 1996-12-16
KR0127641Y1 true KR0127641Y1 (ko) 1998-12-01

Family

ID=19414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1941U KR0127641Y1 (ko) 1995-05-30 1995-05-30 정수기의 농축수 배출조절 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764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563B1 (ko) * 2001-10-23 2004-07-12 이중호 역삼투압 정수기용 퇴수저항기
KR100804299B1 (ko) * 2006-12-13 2008-02-18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의 농축수 배출장치
KR101409901B1 (ko) * 2012-08-21 2014-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414U (ko) 1996-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21469A (ja) ストレーナ及び一体型ストレーナ洗浄装置付きボール弁
JPS5920062B2 (ja) スリ−ブ弁
CA2055879A1 (en) Tap water purifier to be directly coupled to faucet pipe
KR0127641Y1 (ko) 정수기의 농축수 배출조절 밸브장치
US5232590A (en) Water filtration apparatus
US5693219A (en) Apparatus for backwashing a water filter
KR20090002858A (ko) 정수기의 누수 차단장치
KR0119057Y1 (ko) 정수기의 농축수배출장치
US5766452A (en) Water purifier having control valve for discharging waste water
KR200420699Y1 (ko) 밸브를 겸하는 배관 분기용 연결구
JP3876782B2 (ja) 浄水器
KR0121139Y1 (ko) 냉장고용 음용수의 정수장치
KR100525528B1 (ko) 정수기용 관로조립체
KR200251232Y1 (ko) 보수 점검이 용이한 정수기
KR19990012584U (ko) 수도직결형 정수기
KR19980086008A (ko) 물분배기의 물흐름제어장치
KR20000071966A (ko) 절수기능을 가진 밸브 유니온
JP2547274Y2 (ja) 水処理器付水栓
JPH05115873A (ja) 電解水生成装置
JPS6122658Y2 (ko)
JPH0747652Y2 (ja) シンクタンクに設けた浄水器付湯水混合水栓
KR0172705B1 (ko) 원수공급용 펌프를 이용한 정수기의 배수장치
JP3031868U (ja) 浄水器用切替弁
KR0146832B1 (ko) 정수기의 배수장치(drainage of water purifier)
KR19990006728U (ko) 정수기의 콕크 위치 조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