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357Y1 - 테이핑장비의 웨이퍼 정렬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핑장비의 웨이퍼 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357Y1
KR0127357Y1 KR2019950038010U KR19950038010U KR0127357Y1 KR 0127357 Y1 KR0127357 Y1 KR 0127357Y1 KR 2019950038010 U KR2019950038010 U KR 2019950038010U KR 19950038010 U KR19950038010 U KR 19950038010U KR 0127357 Y1 KR0127357 Y1 KR 01273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fer
guide
mounting plate
fixed
ta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80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6880U (ko
Inventor
박신규
Original Assignee
문정환
엘지반도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정환, 엘지반도체주식회사 filed Critical 문정환
Priority to KR20199500380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357Y1/ko
Publication of KR9700468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68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3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3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ositioning, orientation or align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 H01L21/6836Wafer tapes, e.g. grinding or dicing support t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팹(Fab)공정에서 패턴형성이 완료된 웨이퍼를 단위칩(Chip)으로 절단하기 위해 상기 웨이퍼를 테이프에 테이핑하는 테이핑장비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테이핑하고자 하는 웨이퍼의 지름에 구애받지 않고 테이핑되는 웨이퍼를 턴텐이블상에 정렬(Align)하여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안착판(4)에 고정되는 가이드(11)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접속면(11a)(11b)이 형성되도록 상기 가이드(11)를 계단형상으로 형성하고 설치판(1)의 일측으로는 상기 설치판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수평가이드(12)를 설치판(1)과 고정되게 설치하여 테이블(2)에 안착되는 웨이퍼(5)의 지름에 따라 상기 수평가이드(12)가 설치판(1)의 높이를 가변시키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테이핑장비의 웨이퍼 정렬장치
제1도는 종래의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설치판 2 : 테이블
3 : 공기실린더 4 : 안착판
7,9,13,15 : 공기공급관 8,10,14,16 : 솔레노이드밸브
11 : 가이드 11a,11b : 접속면
12 : 수평가이드
본 고안은 팹(Fab)공정에서 패턴형성이 완료된 웨이퍼를 단위칩(Chip)으로 절단하기 위해 상기 웨이퍼를 테이프에 테이핑하는 테이핑장비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테이핑하고자 하는 웨이퍼의 지름에 구애받지 않고 테이핑되는 웨이퍼를 턴텐이블상에 정렬(Align)하여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팹공정에서 제조완료된 웨이퍼는 소잉(Sawing)공정에서 단위칩으로 절단되어야 칩본딩공정에서 리드프레임의 패들에 접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웨이퍼가 단위칩으로 절단될 경우 절단된 칩이 상호 분리되지 않아야만 공정중에 안정적으로 절단된 칩을 이송시킴과 동시에 절단된 칩을 자동화공정에 의해 리드프레임의 패들에 정확한 위치가 되게 접착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소잉공정전에 공간부를 갖는 하우징의 일면에 테이프를 접착하여 상기 공간부내에 위치하는 테이프면에 웨이퍼를 접착고정하므로써 소잉공정을 마치더라도 절단된 칩이 흐트러지지 않고 절단된 상태로 테이프에 붙어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공정전에 웨이퍼를 하우징에 형성된 공간부내에 정확히 접착시켜야만 자동화공정이 가능해지게 된다.
즉, 하우징의 공간부내에 위치된 테이프상에 웨이퍼를 부착하기전에 웨이퍼의 위치를 정확히 정렬시킨 다음 부착하여야만 소잉공정 또는 칩본딩공정시 하우징을 장비에 정확히 로딩시킬 수 있게 되므로 웨이퍼를 하우징의 정확한 위치에 정렬시키기 위한 장비가 필요하게 된다.
첨부도면 제1도는 종래의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로써, 설치판(1)의 중앙에 테이블(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설치판의 상측에는 공기실린더(3)의 동작에 따라 좌,우 수평이동하는 안착판(4)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판에는 얹혀지는 웨이퍼(5)의 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가이드(6)가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6″용 웨이퍼(5)를 위치정렬하기 위해서는 공기공급관(7)상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8)를 개방, 공기실린더(3)측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안착판(4)이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한 다음 이송수단(도시는 생략함)이 1개의 웨이퍼(5)를 흡착하여 테이블(2)상의 임의의 위치에 웨이퍼를 로딩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또 다른 공기공급관(9)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10)가 개방, 공기실린더(3)측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면 외측으로 벌어졌던 안착판(4)이 상호 내측으로 오므러 들면서 테이블(2)에 얹혀져 있던 웨이퍼(5)가 가이드(6)의 내측면에 접속되어 위치를 교정하게 되므로 웨이퍼가 테이블(2)상에 정확히 정렬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6″용 웨이퍼를 위치결정하다가 웨이퍼의 지름이 다른 8″용 웨이퍼의 위치를 정렬하고자 할 경우에는 안착판(4)에 고정되어 있던 가이드(6)를 분리시킨 다음 8″용 웨이퍼에 알맞는 가이드를 안착판에 고정시켜 주어야만 되었으므로 가이드의 교체작업에 따른 작업중단으로 생산성이 저하되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그 구조를 개선하여 가이드를 교체하지 않고도 지름이 다른 복수개의 웨이퍼를 정렬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안착판에 고정되는 가이드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접속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가이드를 계단형상으로 형성하고 설치판의 일측으로는 상기 설치판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수평가이드를 설치판과 고정되게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장비의 웨이퍼 정렬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3도 및 제4도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3도는 본 고안의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제4도는 제3도의 B-B선 단면도로써, 본 고안의 구성중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안착판(4)에 고정되는 가이드(11)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접속면(11a)(11b)이 형성되도록 상기 가이드가 계단형상으로 되어 있고 설치판(1)의 일측으로는 상기 설치판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수평가이드(12)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가이드(12)에는 솔레노이드밸브(13)(14)가 설치된 공기공급관(15)(16)이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설치판(1)상에 좌,우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안착판(4)이 양측으로 벌어지고, 상기 설치판이 수평가이드(12)에 안내되어 높낮이가 조절되어 가이드(11)의 위치가 테이블(2)에 얹혀지는 웨이퍼(5)의 지름에 알맞게 조절된 상태에서 이송수단에 의해 1개의 웨이퍼가 이송되어와 테이블(2)의 상면에 얹혀지고 나면, 상기 설치판(1)에 설치된 공기실린더(3)가 동작한다.
이를 위해 공기공급관(7)상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8)가 동작하여 압축공기를 공기실린더(3)측으로 공급하면 상기 설치판(1)에 설치된 가이드(11)가 상호 내측으로 이동하여 어느 하나의 접속면(11a)(11b)에 웨이퍼의 가장자리면이 접속되므로 웨이퍼의 정렬이 완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지름이 다른 웨이퍼를 정렬하고자 할 경우에는 수평가이드(12)에 연결된 공기공급관(13)(15)상의 솔레노이드밸브(14)(16)를 조절하여 설치판(1)의 위치를 가변시킨 다음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므로 웨이퍼의 정렬작업을 계속해서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시 웨이퍼의 가장자리와 접속되는 접속면을 테이블의 상면과 일치되게 위치시킴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가이드(11)에 2개 이상의 접속면(11a)(11b)을 형성하고 설치판(1)은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하여 정렬하고자 하는 웨이퍼의 지름이 달라지더라도 가이드를 교체하지 않고도 계속적인 정렬작업이 가능해지게 되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1)

  1. 안착판에 고정되는 가이드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접속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가이드를 계단형상으로 형성하고 설치판의 일측으로는 상기 설치판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수평가이드가 고정되게 설치하여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장비의 웨이퍼 정렬장치.
KR2019950038010U 1995-12-04 1995-12-04 테이핑장비의 웨이퍼 정렬장치 KR01273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8010U KR0127357Y1 (ko) 1995-12-04 1995-12-04 테이핑장비의 웨이퍼 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8010U KR0127357Y1 (ko) 1995-12-04 1995-12-04 테이핑장비의 웨이퍼 정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6880U KR970046880U (ko) 1997-07-31
KR0127357Y1 true KR0127357Y1 (ko) 1998-12-01

Family

ID=19431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8010U KR0127357Y1 (ko) 1995-12-04 1995-12-04 테이핑장비의 웨이퍼 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735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6880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30183A1 (en) Releasing method and releasing apparatus of work having adhesive tape
JP3062517B2 (ja) 物品整列装置
KR100292612B1 (ko) 반도체 웨이퍼 정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는 웨이퍼 정렬방법
KR102158024B1 (ko) 절단 장치, 반도체 패키지의 부착 방법 및 전자 부품의 제조 방법
TW201812968A (zh) 半導體導帶排列裝置及半導體導帶排列方法
US6578567B2 (en) Wafer sawing apparatus
US6095506A (en) Vacuum clamping system
KR0127357Y1 (ko) 테이핑장비의 웨이퍼 정렬장치
KR102556329B1 (ko) 반도체 기판을 지지하는 진공척
CN105739235A (zh) 掩膜板检测用带背光多功能吸盘装置
KR100558473B1 (ko) 웨이퍼 안착장치
CN218647904U (zh) 基板对位装置
JP3758932B2 (ja) マウンタの基板セット装置及びバックアップピン切替え方法
KR100237326B1 (ko) 솔더볼 범핑 장비의 bga 반도체 패키지 이송장치
KR100537057B1 (ko) 칩 분리용 홀더 어셈블리
KR100433015B1 (ko) 반도체 패키지 절단장치의 패키지 커버 조립체
KR100248864B1 (ko) 웨이퍼 이송장치를 위한 챠저 어셈블리
KR100223970B1 (ko) 반도체 웨이퍼 캐리어의 위치정렬용 공구
JPS62230561A (ja) 半導体基板へのテ−プ貼着方法およびテ−プ貼着装置
KR20040005129A (ko) 의장공장의 배터리 자동 장착 시스템
KR0138904B1 (ko) 세라믹패키지 정렬장치
KR20230155683A (ko) 다이 본딩 시스템 및 방법
JPH01120841A (ja) プリアライメント装置
KR20010035341A (ko) 반도체 패키지 테이핑 머신의 레일 간격 조절장치
JPH0193134A (ja) リードフレーム押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