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161Y1 - 모니터의 전원 스위치 동작장치 - Google Patents

모니터의 전원 스위치 동작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161Y1
KR0127161Y1 KR2019940022877U KR19940022877U KR0127161Y1 KR 0127161 Y1 KR0127161 Y1 KR 0127161Y1 KR 2019940022877 U KR2019940022877 U KR 2019940022877U KR 19940022877 U KR19940022877 U KR 19940022877U KR 0127161 Y1 KR0127161 Y1 KR 01271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witch
circuit board
operating shaft
monit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28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2242U (ko
Inventor
차성길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400228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161Y1/ko
Priority to US08/453,523 priority patent/US5577601A/en
Priority to JP7131808A priority patent/JP2740137B2/ja
Publication of KR9600122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2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1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1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20Driving mechanis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396Hand operated
    • Y10T74/20468Sliding rod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니터의 전원스위치 동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메인회로기판을 간단하게 고정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몰드기판프레임에 전원스위치를 온/오프시키는 동작축을 내측 또는 외측으로 가동끼워 맞춤하여 전ㆍ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직접 조립함으로써, 전원스위치를 온/오프시키는 동작축을 별도의 부품없이 안전규정상 일정한 거리로 이격시켜 부품수 및 부품단가를 감소시킴과 아울러 동작축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고, 메인회로기판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면적이 증가한 방열판으로 용이하게 방열시킬 수 있으며, 메인회로기판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니터의 전원스위치 동작장치
제1도의 (a),(b)는 종래 기술을 보인 요부 분리사시도 및 조립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보인 분리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 요부를 보인 평면개략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평면 개략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보인 분리사시도.
제6도의 (a),(b)는 제5도의 요부 분리사시도 및 요부 동작 정면도.
제7도는 제5도의 동작을 보인 평단면도.
제8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다른 실시 상태도.
제9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제10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제11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런트케이스 10 : 메인회로기판
11 : 전원스위치 12 : 방열판
20,20a,20b : 몰드기판프레임 20c : 샤시기판프레임
21 : 스냅 22 : 돌출부
23,23' : 제1 및 제2가이드홀 24 : 이동규제홀
25 : 지지부재 30,30a,30b,30c,30d : 동작축
31 : 이탈방지편 32a : 가이드편
33 : 스톱퍼 32,32' : ㄴ자형 가이드돌기
38 : 걸림돌기 40 : 전원 노브
본 고안은 모니터의 메인회로기판에 설치되는 전원스위치를 동작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스위치를 온/오프시키는 동작축의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모니터에 대한 전자파의 영향을 방지하도록 하는 동시에 전원스위치를 정확하게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한 모니터의 전원스위치 동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니터에 있어 전원스위치는 메인회로기판상에 설치되는 한편, 상기 전원스위치는 프런트케이스에 설치되는 전원노브에 의해 온(on)/오프(off)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전원스위치와 전원노브 간격을 상당히 떨어져 있는 상태를 이루게 되고, 그로 인해 전원노브로 부터 전원스위치까지는 동작축에 의한 매체를 이용하여 노브 누름력이 전원스위치까지 도달되어 온/오프 되는 기능을 수행토록 하고 있다.
제1도의 (a),(b)는 그러한 선행기술의 일예를 보여 주는 것으로서, 샤시프레임(200)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01)의 레일홈(202)에 메인회로기판(10)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이러한 메인회로기판(10)상에 전원스위치(11)가 장착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전원스위치(11)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길다란 동작축(300)이 구비되며, 이 동작축(300)은 방열판(12)의 가이드구멍(13)에서 슬라이딩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동작축(300)에 형성된 스톱퍼(301)에 의해 가이드구멍(13)에서 이탈이 방지되면서 전원스위치(11)의 입력부를 접촉하여 전원스위치(11)를 동작시키도록 된 것이다.
상기 동작축(300)은 프런트케이스(1)에 설치되고 스프링(41)에 의해 리턴작동되는 전원노브(40)에 의해 동작력이 전달되어 전원스위치(11)를 온/오프시키도록 동작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전원스위치 동작장치는 전원스위치를 온/오프 동작시키는 동작축을 안전규격상 일정한 거리로 이격시키기 위하여 열을 방열시키는 방열판에 가이드구멍을 가공하여 삽입시켰기 때문에 회로기판의 하중이 가중되고, 가이드 구멍의 가공으로 인하여 방열판의 면적이 줄어 방열효과의 저하를 초래하게 하는 문제가 따랐다.
또한, 메인회로기판의 효율적 공간 활용이 어려움은 물론 정밀가공과 조립공수 증대등에 따른 제조원가상승이 야기되고, 메인회로기판을 고정 시키는 샤시프레임의 조립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등을 수반하게 하였다.
본 고안은 메인회로기판의 전원스위치를 온/오프시키는 동작축을 별도의 부품없이 안전규격상의 일정한 거리로 이격시켜 설치할 수 있는 전원 스위치 동작 장치를 제공하므로서, 메인회로기판의 효율적 공간활용을 도모하고 방열판의 방열면적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게 하여 회로기판에서 발생되는 열의 방열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동작축의 조립성을 좋게하고 가공공정을 줄일 수 있는 전원스위치 동작장치를 제공하므로서 조립공수 절감과 제조원가 절감을 도모하게 하려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인쇄회로기판 후면에 전원스위치가 장착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 전면 일측방에 노브가 설치되며, 상기 노브 및 전원스위치와 동일축선상에 장착되어 노브의 가압력에 따라 전원스위치를 온/오프시키는 모니터의 전원스위치 동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양측면을 삽입시켜 인쇄회로기판을 간단하게 고정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제1 및 제2가이드홀이 형성된 몰드기판 프레임과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홀에 가동 끼워맞춤되어 인쇄회로기판상에 장착된 전원스위치를 간접적으로 온/오프동작시킬 수 있도록 동작축으로 구성되는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참조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도면의 제2도 내지 제3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여기서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의 전원스위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전자부품들이 장착된 메인회로기판(10) 후단부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스위치(11)가 장착되고, 상기 전원스위치(11)와 동일축선상에는 스프링(41)에 의해 리턴작동되는 전원노브(40)가 프런트케이스(1)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회로기판(10)를 쉽게 고정 및 분리시키기 위한 몰드기판프레임(20)이 구비된다.
상기 몰드기판프레임(20) 양측면에는 소정의 탄성을 지닌 스냅(21)이 일체로 형성되며, 바닥부에는 전자부품의 하중에 의한 메인회로기판(10)의 휨을 방지하기 위해 수평방향으로 돌기부(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원스위치(11)를 온/오프시키는 간접작동부재인 동작축(30) 일측면에는 소정의 탄력을 지닌 ㄴ자형 가이드돌기(32)(32')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ㄴ자형 가이드돌기(32)(32')에 있어 몰드기판프레임(10)에 형성된 제1가이드홀(23)에 끼워맞춤되는 ㄴ자형 가이드돌기(32)의 길이는 제1가이드홀(23)의 길이와 같거나 또는 짧게 형성되도록 하는 한편, 제2가이드홀(23')에 조립되는 ㄴ자형 가이드돌기(32')는 그 길이가 제2가이드홀(23')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도록 하며, 이와같이 길이를 달리하는 것은 조립을 용이하게 하려는 것으로서 이후에 조립과정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그리고 조립의 용이성을 위해 ㄴ자형 가이드돌기(32)(32')의 일끝에는 제1,2 가이드홀(23)(23')에 수월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챔퍼(champer) 형상으로 가공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2 가이드홀(23)(23') 사이의 몰드기판프레임(10) 일측면에는 가동거리를 제한하는 이동규제홀(24)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규제홀(24)에는 동작축(30) 측면에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38)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동작축(30)의 조립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2가이드홀(23')에 길이가 긴 ㄴ자형 가이드돌기(32')를 제3도의 가상선 도시와 같이 경사지게 하여 삽입시키면서 가압시키게 되면 ㄴ자형 가이드돌기(32')가 갖는 탄력에 의해서 제2가이드홀(23')에 밀려 들어가는 상태로 끼워지게 조립된다.
다음, 몰드기판프레임(10)의 제1가이드홀(23)에 동작축(30)의 ㄴ자형 가이드돌기(32)가 일치되도록 한후 상기 가이드돌기(32)가 제1가이드홀(23)에 끼워지도록 동작축(30)을 강하게 밀어서 조립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동작축(30)을 제1,2 가이드홀(23)(23')에서 빠지지 않도록 전진방향으로 밀어 동작축(30)을 완전하게 조립시키게 되는데, 이때 걸림돌기(38)가 이동규제홀(24) 측부의 몰드기판프레임(10)면에 약간 걸려있다가 동작축(30)을 밀어 조립시키는 힘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이동규제홀(24) 내로 삽입되어 동작축(30)의 이동거리가 제한되도록 한다.
즉, 동작축(30)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거리는 몰드기판프레임(10)에 형성되어 있는 이동규제홀(24) 내에서 동작축(30)이 가지고 있는 걸림돌기(38)가 이동되는 거리가 되는 것이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평면 개략도로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동작축(30a)은 가이드돌기(37)(37')가 내측으로 형성되도록 함에 따라 몰드기판프레임(20) 외측에 동작축(30a)을 조립되게 하여 작동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몰드기판프레임(20)에는 상기 동작축(30a)의 경사절곡부(35)가 통과하는 관통공(25)이 뚫리도록 형성된다.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제2실시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제6도의 (a),(b)는 상기한 제5도의 요부 분리사시도 및 요부동작 정면도이며, 제7도는 그 동작을 보인 평단면도를 보인 것으로서, 몰드기판프레임(20a)의 일측부에는 전원스위치(11)를 온/오프시키는 간접작동부재인 동작축(30b)이 몰드기판프레임(20a) 내측에서 끼워맞춤되어 조립될 수 있는 조립공(23b)과 직선이동공(23c)을 가진 제1 및 제2가이드홀(23a)(23a)이 전ㆍ후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동작축(30b)은 일측면에 상기 조립공(23b)으로 삽입되는 이탈방지편(31)과 직선이동공(23c)을 따라 유동되는 가이드편(32a)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편(32a) 일측에 스톱퍼(33)가 돌출형성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동작축(30b)은 선단부 일부가 절곡되어 노브누름부(34)를 구성하고, 후단부는 경사절곡부(35) 및 단자누름부(36)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그 동작을 설명하면, 상기 메인회로기판(10)상에 설치된 전원스위치(11)를 온/오프시키는 동작축(30b)의 이탈방지편(31)을 몰드프레임(20a) 내측의 조립공(23b)에 삽입시킨 다음 가이드편(32a)이 직선이동공(23c)으로 밀려 들어가도록 밀어끼운다.
즉, 몰드프레임(20a)에 형성된 제1 및 제2가이드홀(23a)(23a)에 가이드편(32a)이 각각 삽입되어 직선 이동공(23c)내에 위치한 상태가 되면 이탈방지편(31)이 넓이가 직선이동공(23c)보다 크기 때문에 동작축(30b)이 몰드기판프레임(20a)으로 부터 이탈되지 않는 상태로 직선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제6도 참조)
제8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동작축(30c)이 몰드기판프레임(23a)의 외측에서 조립되어 동작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몰드기판프레임(23a)의 일측부는 동작축(30c)의 경사절곡부(35)가 통과될 수 있는 관통공(25)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는 동작축을 플라스틱재질로 사출 성형된 몰드기판프레임(20,20a,20b)에 설치되도록하여 작동되는 실시예를 설명한 것이다.
즉, 동작축들은 플라스틱재질로 사출 성형시켜 제조되는 것이 사용되며, 이러한 동작축이 설치되는 몰드기판프레임도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하여 사용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므로 동작축과, 이 동작축이 설치되어 작동되는 몰드기판프레임이 다같이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된 것이 사용되므로 플라스틱 재질의 특성상 매끄러운 면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동작축이 작동하는데 원만하고 부드럽게 동작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메인회로기판(10)을 지지하는 기판프레임이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와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된 몰드기판프레임이 아니고, 금속으로 된 샤시기판프레임에 본 고안이 실시되는 경우에는 플라스틱으로 된 동작축과 금속으로 된 샤시기판프레임간에 재질 특성이 다르고 그 재질강도 및 마찰계수가 틀리기 때문에 동작축이 원만하게 동작되지 못하게 된다. 여기서 참고적으로 플라스틱 재질로 된 기판프레임을 몰드기판프레임이라고 정의하고, 금속으로 된 기판프레임은 샤시기판프레임이라고 정의한다.
따라서, 메인회로기판(10)을 받치는 역할을 하는 기판프레임이 금속으로 된 샤시프레임으로 된 경우에 본 고안의 동작축이 원만하게 동작될 수 있도록 구성되게 한 것을 제9도 내지 제11도를 참조하여 제3실시예로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금속으로 된 샤시기판프레임(20c)에 본 고안의 동작축(30d)이 설치되도록 할 경우에는 제1 및 제2가이드홀(23a)(23a)이 형성되고 플라스틱재질로 사출 성형된 지지부재(25)를 별도로 구비하여 이 지지부재(25)를 샤시기판프레임(20c) 일측에 나사(26)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고정시키도록 한다.
다음, 제11도와 같이 지지부재(25)의 가이드홀(23a)(23a)에 동작축(30d)의 가이드편(32a)이 끼워맞춤되게 조립되도록 설치하는 것으로서, 그 조립과정과 동작축(30d)의 작용 및 부품명칭과 부호에 대해서는 제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제3실시예는 제2실시예와 작용이 동일하며, 다만 메인회로기판(10)이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기판프레임이 플라스틱 재질로 된 동작축(30d)과 재질이 상이한 금속으로 된 샤시기판프레임(20c)에 동작축(30d)을 설치되도록 하는데 있어 상기한 플라스틱 재질로 된 동작축(30d)과 동일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지지부재(25)를 이용하여 설치되도록하여 동작축의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는데 원만한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의 전원스위치 동작장치에 의하면, 전원스위치를 온/오프시키는 동작축을 별도의 부품없이 안전규정상 일정한 거리로 이격시킴과 아울러 가공공정을 줄일 수 있고, 회로기판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면적이 증가한 방열판으로 용이하게 방열시킬 수 있으며, 회로기판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인쇄회로기판 후면에 전원스위치가 장착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 전면 일측방에 노브가 설치되며, 상기 노브 및 전원스위치와 동일축선상에 장착되어 노브의 가압력에 따라 전원스위치를 온/오프시키는 모니터의 전원스위치 동작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양측면을 삽입시켜 인쇄회로기판을 간단하게 고정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제1 및 제2가이드홀이 형성된 몰드기판프레임; 및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홀에 가동될 수 있게 끼워맞춤되어 인쇄회로기판상에 장착된 전원스위치를 간접적으로 온/오프동작시킬 수 있도록 한 동작축으로 구성되는 모니터의 전원스위치 동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프레임의 제1 및 제2가이드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몰드프레임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동되게 끼워맞춤되는 동작축의 가동거리를 제한시킬 수 있도록 이동규제홀이 형성되는 모니터의 전원스위치 동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축은 상기 몰드프레임 일측면에 형성된 제1,2 가이드홀에 가동되게 끼워 맞춤되어 직선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제1 및 제2걸림돌기가 일체로 형성되는 모니터의 전원스위치 동작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돌기의 길이가 제2걸림돌기의 길이보다 길도록 돌출되게 형성되는 모니터의 전원스위치 동작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스위치를 온/오프동작시키는 동작축이 몰드프레임 일측면에 형성된 제1 및 제2가이드홀 내측에서 외측으로 가동되게 끼워맞춤되는 모니터의 전원스위치 동작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축이 몰드프레임에 형성된 제1,2 가이드홀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동 끼워맞춤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니터의 전원스위치 동작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축의 제1,2 걸림돌기 사이에는 몰드프레임에 형성된 이동규제홀에 삽입되는 돌기가 돌출형성되는 모니터의 전원스위치 동작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기판프레임의 제1 및 제2가이드홀이 조립공과 직선이동공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직선이동공으로 직선왕복이동되는 동작축의 가이드편에 이탈방지편을 구비하도록 구성되는 모니터의 전원스위치 동작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축의 가이드편 일측에 가이드홀에 걸림되는 스톱퍼를 구비하여 직선이동거리를 제한시킬 수 있도록 한 모니터의 전원스위치 동작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회로기판이 고정되는 몰드기판프레임 대신에 샤시기판프레임이 설치되고, 그 일측에는 제1 및 제2가이드홀을 가진 플라스틱재질의 지지부재를 고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홀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편을 가진 동작축이 지지부재 측면에서 동작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전원스위치 동작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축의 선단부에 전원노브의 누름력을 전달받는 노브누름부를 형성하고, 후단부에는 전원스위치의 입력부와 접촉되도록 경사절곡부와 단자누름부를 구비하도록 한 모니터의 전원스위치 동작장치.
KR2019940022877U 1994-05-30 1994-09-06 모니터의 전원 스위치 동작장치 KR01271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2877U KR0127161Y1 (ko) 1994-09-06 1994-09-06 모니터의 전원 스위치 동작장치
US08/453,523 US5577601A (en) 1994-05-30 1995-05-30 Actuating device for a monitor power switch
JP7131808A JP2740137B2 (ja) 1994-05-30 1995-05-30 モニターの電源スイッチ動作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2877U KR0127161Y1 (ko) 1994-09-06 1994-09-06 모니터의 전원 스위치 동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2242U KR960012242U (ko) 1996-04-17
KR0127161Y1 true KR0127161Y1 (ko) 1998-10-15

Family

ID=19392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2877U KR0127161Y1 (ko) 1994-05-30 1994-09-06 모니터의 전원 스위치 동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716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2242U (ko) 1996-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9506B2 (en) Mounting apparatus for power supply
EP1422982A3 (en) Snap-in heat sink semiconductor mounting
JP3266221B2 (ja) 電気機器の端子カバー装置
JP2740137B2 (ja) モニターの電源スイッチ動作装置
CN111587320B (zh) 致动器
KR0127161Y1 (ko) 모니터의 전원 스위치 동작장치
EP1020883B1 (en) Operating device having operating button adapted to slide in housing while being pushed to effect switching operation
US6049460A (en) Trigger actuated control having supplemental heat sink
CA2965021C (en) Electrical switch and slider assembly therefor
KR960008248Y1 (ko) 모니터의 전원 스위치 동작장치
JP2003197061A (ja) 押しボタン装置
JP2005093419A (ja) スイッチ保持装置
US6180904B1 (en) Activation keyboard, particularly for motor-vehicle climate controls
US20010048588A1 (en) Printed circuit board retaining device for monitors
KR910008873Y1 (ko) 슬라이드형 전자부품
US20230246396A1 (en) Connector assembly
US11677190B2 (en) Shielded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thermal management
KR0116701Y1 (ko) 메인 회로기판의 와이어 고정장치
CN210575611U (zh) 开关组件
JPH0755783Y2 (ja) 小形電気機器
KR960001572Y1 (ko) 전자제품의 도어 개방 장치
KR0136721Y1 (ko) 전자제품의 전원스위치 동작장치
US4404540A (en) Slide rheostat
KR0131105Y1 (ko) 가전제품의 동작스위치
JPH06203701A (ja) プッシュ・スライドスイッチ操作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