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122B1 - 감열기록기의 발열소자 구동 제어 장치와 구동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감열기록기의 발열소자 구동 제어 장치와 구동 제어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122B1
KR0127122B1 KR1019930014734A KR930014734A KR0127122B1 KR 0127122 B1 KR0127122 B1 KR 0127122B1 KR 1019930014734 A KR1019930014734 A KR 1019930014734A KR 930014734 A KR930014734 A KR 930014734A KR 0127122 B1 KR0127122 B1 KR 0127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enable
mode
blocks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4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2996A (ko
Inventor
남차희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30014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122B1/ko
Publication of KR950002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122B1/ko

Links

Landscapes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열기록기(열전사 헤드(TPH)를 이용하는 프린터, 팩시밀리 등)에서 열전사 헤드의 발열소자를 구동시키는 장치와 그 구동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린트될 1라인을 소정 갯수의 구동블록으로 구분하고, 라인당 흑색 펠(PEL)의 갯수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상기 구분된 구동 블록을 적절히 활용하여 최적의 프린트 조건(시간 및 소비 전력)에 적합한 블록 구동 알고리즘으로 열전사 헤드를 구동시키는 감열기록기의 발열소자 구동 제어 장치와 구동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감열기록기의 구동 제어 장치와 구동 제어 방법에 의하면 프린트 방식에 4개 블록 동시 구동 또는 1블록으로 동시 구동의 2개 제어 방법만 실행 가능하므로, 라인당 흑색 펠수에 대응하여 효율적인 구동 제어가 어렵고, 라인당 흑색 펠수를 고려한 2블록 구동 또는 3블록 구동 제어 방법은 실행할 수 없으며, 1블록 동시 구동을 할 수 없는 경우(Bpn=1/4Ph)는 모두 4개 블록으로 나누어 구동시키게 되므로 프린트 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프린트 1라인당 흑색 펠수를 각 블록별로 카운트하고, 이 카운트된 결과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1블록, 2블록, 3블록, 4블록 구동모드를 판단하고, 판단된 구동 모드에 따라 각 블록당 열전사 헤드 인에이블 신호 발생 타이밍을 제어하여 소비전력과 프린트시간을 모두 고려한 최적의 프린트 조건을 만족하는 감열기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감열기록기의 발열소자 구동 제어 장치와 구동 제어 방법이다.

Description

감열기록기의 발열소자 구동 제어 장치와 구동 제어 방법
제1도는 종래 감열기록기의 발열소자 구동 제어 장치의 블록구성도.
제2도는 종래 장치에 의한 1라인의 구성도.
제3도의 (가) 내지 (라)는 종래 장치의 모드별 라인당 블록 구동 제어 타이밍도.
제4도의 (가) 내지 (사)는 종래 장치의 모드별 전체적인 구동 제어 타이밍도.
제5도는 종래 장치의 구동 제어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제6도는 본 발명의 감열기록기의 발열소자 구동 제어 장치의 블록구성도.
제7도는 본 발명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표.
제8도는 본 발명의 감열기록기 구동 제어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제9도의 (가) 내지 (마)는 본 발명의 모드별 동작 과정의 예를 나타낸 도표.
제10도의 (가) 내지 (자)는 본 발명의 제1모드의 구동 동작 타이밍도.
제11도의 (가) 내지 (자)는 본 발명의 제2모드의 구동 동작 타이밍도.
제12도의 (가) 내지 (바)는 본 발명의 제3모드의 구동 동작 타이밍도.
제13도의 (가) 내지 (바)는 본 발명의 제4모드의 구동 동작 타이밍도.
제14도의 (가) 내지 (바)는 본 발명의 제5모드의 구동 동작 타이밍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9 : 제1 내지 제4펄스 발생기
10-13,16 : 제1 내지 제5인에이블 제어기
14 : 제어수단 15 : 래치
17 : 인터럽트 발생기
본 발명은 감열기록기(열전사 헤드(TPH)를 이용하는 프린터, 팩시밀리 등)에서 열전사 헤드의 발열소자를 구동시키는 장치와 그 구동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린트될 1라인을 소정 갯수의 구동블록으로 구분하고, 라인당 흑색 펠(PEL)의 갯수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상기 구분된 구동 블록을 적절히 활용하여 최적의 프린트 조건(시간 및 소비 전력)에 적합한 블록 구동 알고리즘으로 열전사 헤드를 구동시키는 감열기록기의 발열소자 구동 제어 장치와 구동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감열기록기의 열전사 헤드 구동 제어장치는 도면 제1도를 참조하면, 모드신호(MODE) 및 스타트 신호(ST)를 입력으로 하여 프린트할 1라인의 각 블록당 발열소자의 인에이블 신호(BE1)(BE2)(BE3)(BE4)를 공급하는 제1 내지 제4펄스 발생기(1)(2)(3)(4)와, 상기 제1 내지 제4펄스 발생기에 의하여 각 블록당 발열소자의 인에이블 완료시 이를 검출하여 인터럽트 신호(INT)를 출력하는 인터럽트 발생기(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감열기록기 구동 제어장치의 동작을 도면 제1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내지 제4펄스 발생기(1-4)는 제2도에서와 같이 프린트할 1라인을 4개의 블록(B1-B4)으로 구분하여 각 블록에 대응하는 발열소자 인에이블 신호(BE1-BE4)를 발생시키게 되며, 이때, 1라인당 흑색 펠(PEL)수를 펄스 발생기 제어회로에서 카운트한 결과에 따라 모드신호(MODE)를 하이(모드 1) 또는 로우(모드 2)신호로 공급하여 각 펄스 발생기(1-4)를 제3도의 (가) 내지 (라)와 같이 차례로 인에이블 제어하거나 동시에 인에이블 제어하게 된다.
즉, 1라인당 흑색 펠수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에는 모드 1(MODE 1)에 해당되는 타이밍으로 헤드의 발열소자 인에이블 신호(BE1-BE4)를 순차적으로 발생시켜 열전사 헤드를 4개의 블록(B1-B4)으로 나누어 구동제어하고, 1라인당 흑색 펠수가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 모드 2(MODE 2)에 해당되는 타이밍으로 헤드의 발열소자 인에이블 신호(BE1-BE4)를 동시에 발생시켜 열전사 헤드를 4개의 블록(B1-B4) 동시 구동 제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열전사 헤드를 4개 블록으로 나누어 구동 제어하는 경우는 1라인 구동시간(Tline)이 각 블록 구동시간(Tblock)의 4배에 해당하는 시간으로 늦어지지만 이 경우 소비되는 전력은 감소되며, 4개 블록을 동시 구동 제어하는 경우는 1라인 구동시간=블록 구동시간으로 짧아지지만 소비전력은 1라인에 해당하는 전체 발열소자의 동시 구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증가하게 된다.
제4도의 (가) 내지 (사)는 이와 같은 모드별 구동 제어 타이밍을 나타낸 것으로, 제1 내지 제4펄스 발생기(1-4)에 모드신호(MODE)가 하이신호로 입력되며, 각 펄스 발생기(1-4)에서는 스타트 신호(ST) 입력시에 각 블록(B1-B4)별로 인에이블 신호(BE1-BE4)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거나(MODE 1), 모드신호(MODE)가 로우로 입력되면 각 펄스 발생기(1-4)에서 스타트 신호(ST) 입력시에 인에이블 신호(BE1-BE4)를 동시에 발생시켜 출력하고, 최종적인 인에이블 신호(BE4)가 출력 완료된 시점을 인터럽트 발생기(5)가 감지하여 그 시점에서 구동 완료를 나타내는 인터럽트 신호(INT)를 발생시키므로서 1라인 구동 완료를 제어회로에서 인식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이와 같이 1라인 프린트시의 열전사 헤드 발열소자를 블록으로 구분하여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구동시키는 것은 전력 소모량을 고려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5도에서와 같이, 1라인당 흑색 펠수를 카운트하고 이 카운트된 값(Bpn)을 1라인당 펠수(Pn)의 1/4과 비교하여 Bpn=1/4Pn이면 동시 구동을 수행하여도 소비전력이 그리 크지 않은 경우로 판단하여 1블록 동시 구동제어(MODE 2)를 수행하며, BpnPn이면 소비 전력량을 고려하여 4개 블록으로 분할 구동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감열기록기의 구동 제어 장치와 구동 제어 방법에 의하면 프린트 방식이 4개 블록 동시 구동 또는 1블록으로 동시 구동으로 2개 제어 방법만 실행 가능하므로, 라인당 흑색 펠수에 대응하여 효율적인 구동 제어가 어렵고, 라인당 흑색 펠수를 고려한 2블록 구동 또는 3블록 구동 제어방법은 실행할 수 없으며, 1블록 동시 구동을 할 수 없는 경우(Bpn=1/4Pn)는 모두 4개 블록으로 나누어 구동시키게 되므로 프린트 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프린트 1라인당 흑색 펠수를 각 블록별로 카운트하고, 이 카운트된 결과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1블록, 2블록, 3블록, 4블록 구동모드를 판단하고, 판단된 구동 모드에 따라 각 블록당 열전사 헤드 인에이블 신호 발생 타이밍을 제어하여 소비전력과 프린트시간을 모두 고려한 최적의 프린트 조건을 만족하는 감열기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감열기록기의 발열소자 구동 제어 장치와 구동 제어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그에 따른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면 제6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감열기록기의 구동 제어 장치 구성부터 설명하면, 본 발명 장치는, 프린트 1라인을 4개 블록(B1-B4)으로 분할하여 각 블록별 발열소자의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내지 제4펄스 발생기(6)(7)(8)(9)와, 모드 제어 래치(14)의 제어를 받아 동시 또는 순차 또는 몇개의 블록을 한쌍으로 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펄스 발생기(6-9)가 펄스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인에이블 제어하는 제1 내지 제4인에이블 제어기(10)(11)(12)(13)와, 1라인당 각 블록별 흑색 펠수를 카운트하고 이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입력되는 모드 선택 데이타(D0-D9) 및 모드신호(MODE)를 래치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인에이블 제어기(10-13) 및 제5인에이블 제어기(16)의 인에이블 제어동작을 정해주는 모드 제어 래치(14)와, 프린트될 1라인의 흑색 펠수를 카운트하고, 이 카운트된 값을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모드 제어 래치(14)에 모드 선택 데이타(D0-D9) 및 모드신호(MODE)를 공급하는 제어수단(15)과, 상기 모드 제어 래치(14)의 출력에 의하여 인터럽트 발생기(17)를 인에이블 제어하는 제5인에이블 제어기(16)와, 상기 제1 내지 제4펄스 발생기(6-9)의 출력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5인에이블 제어기(16)의 제어를 받아 상기 검출된 신호의 소정 타이밍에서 1라인 구동 완료를 나타내는 인터럽트 신호(INT)를 발생하는 인터럽트 발생기(17)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감열기록기의 구동 제어 방법은 도면 제8도를 참조하면, 프린트할 라인을 소정 갯수의 블록으로 나누어 각 블록당 흑색 펠수를 카운트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카운트된 각 블록당 흑색 펠수를 설정된 흑색 펠수의 기준값에 따른 제1 내지 제4조건과 비교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의 비교 결과에 따라서 제1 내지 제4조건중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그 조건에 대응하여 프린트 라인의 블록을 동시 또는 순차, 또는 어느 블록을 한 쌍으로 하는 순차적인 인에이블 제어를 수행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제1과정에서는 프린트할 라인의 블록을 4개의 블록으로 구분하여 각 블록당 흑색 펠수(Bpn1-Bpn4)를 카운트하고, 상기 제2과정의 제1조건은 카운트된 총 펠수의 합(Bpn1+Bpn2+Bpn3+Bpn4=Bpn)를 1라인 총 펠수(Pn)의 1/4과 그 대소를 비교하는 조건, 상기 제2조건은 카운트된 총 펠수의 최대값+최소값 및 상기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외한 나머지 카운트된 펠수의 합을 각각 1라인 총 펠수(Pn)의 1/4과 그 대소를 비교하는 조건, 상기 제3조건은 카운트된 총 펠수의 최대값을 제외한 나머지 카운트된 펠수의 합을 1라인 총 펠수(Pn)의 1/4과 그 대소를 비교하는 조건, 상기 제4조건은 상기 카운트된 최소값+다음 순위의 최소값을 상기 1라인 총 펠수(Pn)의 1/4과 그 대소를 비교하는 조건 판단을 수행하고, 상기 제3과정에서는 상기 제1조건의 판단 결과 카운트된 총 펠수의 합(Bpn)이 1/4Pn 이하이면 4개 블록을 동시 구동시키는 1블록 구동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제2조건의 판단 결과 최소 Bpn+최대 Bpn=1/4Pn AND 나머지 Bpn의 합이 1/4Pn 이하이면 4개 블록을 2개의 블록을 한쌍으로 하여 나누어 구동시키는 2블록 구동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제3조건의 판단 결과 최대 Bpn을 제외한 나머지 Bpn의 합이 1/4Pn 이하이면 3개 블록을 한쌍으로, 나머지 1개 블록과 순차 구동시키는 2블록 구동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제4조건의 판단 결과 최소 Bpn 및 다음 순위의 최소 Bpn의 합이 1/4Pn 이하이면 2개 블록을 한쌍으로, 나머지 블록 2개를 각각 순차 구동시키는 3블록 구동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제4조건의 판단 결과 최소 Bpn 및 다음 순위의 최소 Bpn의 합이 1/4Pn 이상이면 4개의 블록 각각을 순차적으로 구동시키는 4블록 구동제어를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감열기록기의 구동 제어 장치와 구동 제어 방법의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제6도 및 제8도에서와 같이, 프린트할 1라인의 흑색 펠수를 제어수단(15)에서 각 블록(B1-B4)(제2도 참조)별로 카운트하여 이 카운트된 값(Bpn1-Bpn4)이 설정된 조건(제1 내지 제4조건)을 만족하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제1조건이 만족되면 제10도의 (가) 내지 (자)에서와 같은 타이밍으로 1블록 구동 제어를 수행한다.
제1조건은, 카운트된 각 블록당 흑색 펠수의 총합(Bpn=Bpn1+Bpn2+Bpn3+Bpn4)을 1라인당 총 펠수(Pn)(A4 사이즈의 용지인 경우 1728펠(PELS)이다)와 비교하여 Bpn=1/4Pn이면 1블록 구동제어를 위한 모드 선택 데이타(D0-D9)와 모드신호(MODE)를 출력하여 제10도의 (가) 및 (나)와 같이 모드신호(MODE)를 래치 클록으로 래치(14)가 상기 데이타를 래치시킨다.
제10도의 (다)와 같이 래치되는 데이타는 C0=C1=C2=C3=C4=C5=C6=C7=0, C8=C9=1이다.
제1인에이블 제어기(10)는 입력 데이타(C0)(C1)가 '00'이면 제7도의 도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타트 신호(ST)와 동기된 타이밍에서 제1펄스 발생기(6)가 인에이블 신호(BE1)를 발생시키도록 제1펄스 발생기(6)를 인에이블시킨다(제6도에서 각 펄스 발생기의 출력(Q1-Q4)은 각 펄스 발생기의 인에이블 신호(BE1-BE4)와 동일함).
따라서, 제1펄스 발생기(6)는 열전사 헤드의 제1블록(B1)의 발열소자를 발열 구동시키는 인에이블 신호(BE1)를 발열 스타트 신호(ST)와 동기된 타이밍에서 발생시켜 제10도의 (라) 및 (마)와 같이 출력하게 된다(제6도에서 각 펄스 발생기의 인에이블 신호(BE1-BE4) 출력 타이밍은 스타트 신호(ST)의 라이징 엣지, 입력신호(Q1-Q4)의 폴링 엣지에서 동기되어 발생되는 로직을 구성함).
또한 제2인에이블 제어기(11)는 입력 데이타(C2)(C3)가 '00'이면 제7도의 도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타트 신호(ST)와 동기된 타이밍에서 제2펄스 발생기(7)가 인에이블 신호(BE2)를 발생시키도록 제2펄스 발생기(7)를 인에이블시킨다.
따라서, 제2펄스 발생기(7)는 열전사 헤드의 제2블록(B2)의 발열소자를 발열 구동시키는 인에이블 신호(BE2)를 발열 스타트 신호(ST)와 동기된 타이밍에서 발생시켜 제10도의 (라) 및 (바)와 같이 출력하게 된다.
제3인에이블 제어기(12)는 입력 데이타(C4)(C5)가 '00'이면 제7도의 도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타트 신호(ST)와 동기된 타이밍에서 제3펄스 발생기(8)가 인에이블 신호(BE3)를 발생시키도록 제3펄스 발생기(8)를 인에이블시킨다.
따라서, 제3펄스 발생기(8)는 열전사 헤드의 제3블록(B3)의 발열소자를 발열 구동시키는 인에이블 신호(BE3)를 발열 스타트 신호(ST)와 동기된 타이밍에서 발생시켜 제10도의 (나) 및 (사)와 같이 출력하게 된다.
제4인에이블 제어기(13)는 입력 데이타(C6)(C7)가 '00'이면 제7도의 도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타트 신호(ST)와 동기된 타이밍에서 제4펄스 발생기(9)가 인에이블 신호(BE4)를 발생시키도록 제4펄스 발생기(9)를 인에이블시킨다.
따라서, 제4펄스 발생기(9)는 열전사 헤드의 제4블록(B4)의 발열소자를 발열 구동시키는 인에이블 신호(BE4)를 발열 스타트 신호(ST)와 동기된 타이밍에서 발생시켜 제10도의 (나) 및 (아)와 같이 출력하게 된다.
즉, 4개 블록(B1-B4)에 대한 인에이블 신호(BE1-BE4)를 동시에 출력하여 1라인을 동시에 프린트하도록 하는 1블록 구동제어를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제5인에이블 제어기(16)는 입력 데이타(C8)(C9)가 '11'이면 제7도의 도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력신호(Q4)의 폴링 엣지에서 동기된 타이밍에서 인터럽트 발생기(17)가 인터럽트 신호(INT)를 발생시키도록 인터럽트 발생기(17)를 인에이블시킨다.
따라서, 인터럽트 발생기(17)는 인에이블 신호(BE4)의 인에이블 종료 시점, 즉, 1라인 프린트의 완료 시점을 검출하여 제10도의 (아) 및 (자)와 같이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제9도의 (가)는 이 경우의 각 펄스 발생기(6-9)와 인터럽트 발생기(17)의 동작을 도표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판단 결과 제2조건이 만족되면 제11도의 (가) 내지 (자)에서와 같은 타이밍으로 2블록 구동 제어를 수행한다.
제2조건은, 카운트된 각 블록당 흑색 펠수의 최소값과 최대값의 합이 1/4Pn 이하이고,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외한 나머지 흑색 펠수의 합이 1/4Pn 이하이면 2블록 구동제어를 위한 모드 선택 데이타(D0-D9)와 모드신호(MODE)를 출력하며 모드신호(MODE)를 래치 클록으로 제11도의 (가) 및 (나)와 같이 래치(14)가 상기 데이타를 래치시킨다.
제11도의 (다)와 같이 래치되는 데이타는 C0=C1=0, C2=0, C3=1, C4=C5=0, C6=C7=1, C8=C9=1이다.
제1인에이블 제어기(10)는 입력 데이타(C0)(C1)가 '00'이면 제7도의 도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타트 신호(ST)와 동기된 타이밍에서 제1펄스 발생기(6)가 인에이블 신호(BE1)를 발생시키도록 제1펄스 발생기(6)를 인에이블시킨다.
따라서, 제1펄스 발생기(6)는 열전사 헤드의 제1블록(B1)의 발열소자를 발열 구동시키는 인에이블 신호(BE1)를 발열 스타트 신호(ST)와 동기된 타이밍에서 발생시켜 제11도의 (라) 및 (마)와 같이 출력하게 된다.
또한 제2인에이블 제어기(11)는 입력 데이타(C2)(C3)가 '01'이면 제7도의 도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력 신호(Q1)와 동기된 타이밍에서 제2펄스 발생기(7)가 인에이블 신호(BE2)를 발생시키도록 제2펄스 발생기(7)를 인에이블시킨다.
따라서, 제2펄스 발생기(7)는 열전사 헤드의 제2블록(B2)의 발열소자를 발열 구동시키는 인에이블 신호(BE2)를 입력 신호(Q1=BE1)와 동기된 타이밍(폴링 엣지)에서 발생시켜 제11도의 (라) 및 (바)와 같이 출력하게 된다.
제3인에이블 제어기(12)는 입력 데이타(C4)(C5)가 '00'이면 제7도의 도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타트 신호(ST)와 동기된 타이밍에서 제3펄스 발생기(8)가 인에이블 신호(BE3)를 발생시키도록 제3펄스 발생기(8)를 인에이블시킨다.
따라서, 제3펄스 발생기(8)는 열전사 헤드의 제3블록(B3)의 발열소자를 발열 구동시키는 인에이블 신호(BE3)를 발열 스타트 신호(ST)와 동기된 타이밍에서 발생시켜 제11도의 (나) 및 (사)와 같이 출력하게 된다.
제4인에이블 제어기(13)는 입력 데이타(C6)(C7)가 '01'이면 제7도의 도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력 신호(Q1)와 동기된 타이밍에서 제4펄스 발생기(9)가 인에이블 신호(BE4)를 발생시키도록 제4펄스 발생기(9)를 인에이블시킨다.
따라서, 제4펄스 발생기(9)는 열전사 헤드의 제4블록(B4)의 발열소자를 발열 구동시키는 인에이블 신호(BE4)를 입력신호(Q1=BE1)와 동기된 타이밍(폴링 엣지)에서 발생시켜 제11도의 (나) 및 (아)와 같이 출력하게 된다.
즉, 4개 블록(B1-B4)에 대한 인에이블 신호(BE1-BE4)중에서 블록(B1)(B3)과 블록(B2)(B4)을 한쌍으로 동시에 인에이블 신호(BE1)(BE3),(BE2),(BE4)를 출력하여 1라인을 2개의 군으로 나누어 순차적이면서 동시에 프린트하도록 하는 2블록 구동제어를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제5인에이블 제어기(16)는 입력 데이타(C8)(C9)가 '11'이면 제7도의 도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력신호(Q4)의 폴리 엣지에서 동기된 타이밍에서 인터럽트 발생기(17)가 인터럽트 신호(INT)를 발생시키도록 인터럽트 발생기(17)를 인에이블시킨다.
따라서, 인터럽트 발생기(17)는 인에이블 신호(BE4)의 인에이블 종료 시점, 즉, 1라인 프린트의 완료 시점을 검출하여 제11도의 (아) 및 (자)와 같이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제9도의 (나)는 이 경우의 각 펄스 발생기(6-9)와 인터럽트 발생기(17)의 동작을 도표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판단 결과 제3조건이 만족되면 제12도의 (가) 내지 (바)에서와 같은 타이밍으로 2블록 구동 제어를 수행한다.
제3조건은, 카운트된 각 블록당 흑색 펠수의 최대값을 제외한 나머지 펠수의 합이 1/4Pn 이하이면 2블록 구동제어를 위한 모드 선택 데이타(D0-D9)와 모드신호(MODE)를 출력하여 모드신호(MODE)를 래치 클록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래치(14)가 상기 데이타를 래치시킨다.
이 경우에 래치되는 데이타는 C0=C1=1, C2=C3=0, C4=C5=C6=C7=C8=C9=0이다.
제1인에이블 제어기(10)는 입력 데이타(C0)(C1)가 '11'이면 제7도의 도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력신호(Q4=BE4)와 동기된 타이밍에서 제1펄스 발생기(6)가 인에이블 신호(BE1)를 발생시키도록 제1펄스 발생기(6)를 인에이블시킨다.
따라서, 제1펄스 발생기(6)는 열전사 헤드의 제1블록(B1)의 발열소자를 발열 구동시키는 인에이블 신호(BE1)를 입력신호(Q4)와 동기된 타이밍에서 발생시켜 제12도의 (나) 및 (마)와 같이 출력하게 된다.
또한 제2인에이블 제어기(11)는 입력 데이타(C2)(C3)가 '00'이면 제7도의 도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타트 신호(ST)와 동기된 타이밍에서 제2펄스 발생기(7)가 인에이블 신호(BE2)를 발생시키도록 제2펄스 발생기(7)를 인에이블시킨다.
따라서, 제2펄스 발생기(7)는 열전사 헤드의 제2블록(B2)의 발열소자를 발열 구동시키는 인에이블 신호(BE2)를 스타트 신호(ST)와 동기된 타이밍에서 발생시켜 제12도의 (가) 및 (나)와 같이 출력하게 된다.
제3인에이블 제어기(12)는 입력 데이타(C4)(C5)가 '00'이면 제7도의 도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타트 신호(ST)와 동기된 타이밍에서 제3펄스 발생기(8)가 인에이블 신호(BE3)를 발생시키도록 제3펄스 발생기(8)를 인에이블시킨다.
따라서, 제3펄스 발생기(8)는 열전사 헤드의 제3블록(B3)의 발열소자를 발열 구동시키는 인에이블 신호(BE3)를 발열 스타트 신호(ST)와 동기된 타이밍에서 발생시켜 제12도의 (가) 및 (라)와 같이 출력하게 된다.
제4인에이블 제어기(13)는 입력 데이타(C6)(C7)가 '00'이면 제7도의 도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타트 신호(ST)와 동기된 타이밍에서 제4펄스 발생기(9)가 인에이블 신호(BE4)를 발생시키도록 제4펄스 발생기(9)를 인에이블시킨다.
따라서, 제4펄스 발생기(9)는 열전사 헤드의 제4블록(B4)의 발열소자를 발열 구동시키는 인에이블 신호(BE4)를 스타트 신호(ST)와 동기된 타이밍에서 발생시켜 제12도의 (가) 및 (마)와 같이 출력하게 된다.
즉, 4개 블록(B1-B4)에 대한 인에이블 신호(BE1-BE4)중에서 블록(B2)(B3)(B4)을 한쌍으로 하고, 나머지 블록(B1)을 순차적으로 인에이블시키는 인에이블 신호(BE1)(BE2)(BE3)(BE4)를 출력하여 1라인을 2개의 군으로 나누어 순차적이면서 동시에 프린트하도록 하는 2블록 구동제어를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제5인에이블 제어기(16)는 입력 데이타(C8)(C9)가 '00'이면ㄹ 제7도의 도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력신호(Q1)의 폴링 엣지에서 동기된 타이밍에서 인터럽트 발생기(17)가 인터럽트 신호(INT)를 발생시키도록 인터럽트 발생기(17)를 인에이블시킨다.
따라서, 인터럽트 발생기(17)는 인에이블 신호(BE1)의 인에이블 종료 시점, 즉, 1라인 프린트의 완료 시점을 검출하여 제12도의 (나) 및 (바)와 같이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제9도의 (다)는 이 경우의 각 펄스 발생기(6-9)의 인터럽트 발생기(17)의 동작을 도표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판단 결과 제4조건이 만족되면 제13도의 (가) 내지 (바)에서와 같은 타이밍으로 3블록 구동 제어를 수행한다.
제4조건은, 카운트된 각 블록당 흑색 펠수의 최소값과 다음 순위의 최소값의 합이 1/4Pn 이하이면 3블록 구동제어를 위한 모드 선택 데이타(D0-D9)와 모드신호(MODE)를 출력하여 모드신호(MODE)를 래치 클록으로 래치(14)가 상기 데이타를 래치시킨다.
이 경우에 래치되는 데이타는 C0=C1=1, C2=0, C3=1, C4=C5=0, C6=C7=0, C8=0, C9=이다.
제1인에이블 제어기(10)는 입력 데이타(C0)(C1)가 '11'이면 제7도의 도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력 신호(Q4)와 동기된 타이밍에서 제1펄스 발생기(6)가 인에이블 신호(BE1)를 발생시키도록 제1펄스 발생기(6)를 인에이블시킨다.
따라서, 제1펄스 발생기(6)는 열전사 헤드의 제1블록(B1)의 발열소자를 발열 구동시키는 인에이블 신호(BE1)를 발열 입력신호(Q4=BE4)와 동기된 타이밍에서 발생시켜 제13도의 (마) 및 (나)와 같이 출력하게 된다.
또한 제2인에이블 제어기(11)는 입력 데이타(C2)(C3)가 '01'이면 제7도의 도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력신호(Q1)와 동기된 타이밍에서 제2펄스 발생기(7)가 인에이블 신호(BE2)를 발생시키도록 제2펄스 발생기(7)를 인에이블시킨다.
따라서, 제2펄스 발생기(7)는 열전사 헤드의 제2블록(B2)의 발열소자를 발열 구동시키는 인에이블 신호(BE2)를 입력신호(Q1=BE1)와 동기된 타이밍(폴링 엣지)에서 발생시켜 제13도의 (나) 및 (다)와 같이 출력하게 된다.
제3인에이블 제어기(12)는 입력 데이타(C4)(C5)가 '00'이면 제7도의 도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타트 신호(ST)와 동기된 타이밍에서 제3펄스 발생기(8)가 인에이블 신호(BE3)를 발생시키도록 제3펄스 발생기(8)를 인에이블시킨다.
따라서, 제3펄스 발생기(8)는 열전사 헤드의 제3블록(B3)의 발열소자를 발열 구동시키는 인에이블 신호(BE3)를 발열 스타트 신호(ST)와 동기된 타이밍에서 발생시켜 제13도의 (가) 및 (라)와 같이 출력하게 된다.
제4인에이블 제어기(13)는 입력 데이타(C6)(C7)가 '00'이면 제7도의 도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타트 신호(ST)와 동기된 타이밍에서 제4펄스 발생기(9)가 인에이블 신호(BE4)를 발생시키도록 제4펄스 발생기(9)를 인에이블시킨다.
따라서, 제4펄스 발생기(9)는 열전사 헤드의 제4블록(B4)의 발열소자를 발열 구동시키는 인에이블 신호(BE4)를 스타트 신호(ST)와 동기된 타이밍에서 발생시켜 제13도의 (가) 및 (마)와 같이 출력하게 된다.
즉, 4개 블록(B1-B4)에 대한 인에이블 신호(BE1-BE4)중에서 블록(B3)(B4)을 한쌍으로 하고, 블록(B1)가 블록(B2)은 독립하여 순차적으로 동시에 인에이블 신호(BE1)(BE2)(BE3)(BE4)를 출력하여 1라인을 3개의 군으로 나누어 순차적이면서 동시에 프린트하도록 하는 3블록 구동제어를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제5인에이블 제어기(16)는 입력 데이타(C8)(C9)가 '01'이면 제7도의 도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력신호(Q2)의 폴링 엣지에서 동기된 타이밍에서 인터럽트 발생기(17)가 인터럽트 신호(INT)를 발생시키도록 인터럽트 발생기(17)를 인에이블시킨다.
따라서, 인터럽트 발생기(17)는 인에이블 신호(BE2)의 인에이블 종료 시점, 즉, 1라인 프린트의 완료 시점을 검출하여 제13도의 (나) 및 (바)와 같이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제9도의 (라)는 이 경우의 각 펄스 발생기(6-9)와 인터럽트 발생기(17)의 동작을 도표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판단결과 제4조건에서 카운트된 각 블록당 흑색 펠수의 최소값과 다음 순위의 최소값의 합이 1/4Pn 이상이면 4블록 구동제어를 위한 모드 선택 데이타(D0-D9)와 모드신호(MODE)를 출력하여 모드신호(MODE)를 래치 클록으로 래치(14)가 상기 데이타를 래치시킨다.
이 경우에 래치되는 데이타는 C0=C1=C2=0, C3=1, C4=1, C5=0, C6=C7=C8=C9=1이다.
제1인에이블 제어기(10)는 입력 데이타(C0)(C1)가 '00'이면 제7도의 도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타트 신호(ST)와 동기된 타이밍에서 제1펄스 발생기(6)가 인에이블 신호(BE1)를 발생시키도록 제1펄스 발생기(6)를 인에이블시킨다.
따라서, 제1펄스 발생기(6)는 열전사 헤드의 제1블록(B1)의 발열소자를 발열 구동시키는 인에이블 신호(BE1)를 발열 스타트 신호(ST)와 동기된 타이밍에서 발생시켜 제14도의 (가) 및 (나)와 같이 출력하게 된다.
또한 제2인에이블 제어기(11)는 입력 데이타(C2)(C3)가 '01'이면 제7도의 도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력신호(Q1)와 동기된 타이밍에서 제2펄스 발생기(7)가 인에이블 신호(BE2)를 발생시키도록 제2펄스 발생기(7)를 인에이블시킨다.
따라서, 제2펄스 발생기(7)는 열전사 헤드의 제2블록(B2)의 발열소자를 발열 구동시키는 인에이블 신호(BE2)를 입력신호(Q1=BE1)와 동기된 타이밍(폴링 엣지)에서 발생시켜 제14도의 (가) 및 (다)와 같이 출력하게 된다.
제3인에이블 제어기(12)는 입력 데이타(C4)(C5)가 '10'이면 제7도의 도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력 신호(Q2)와 동기된 타이밍에서 제3펄스 발생기(8)가 인에이블 신호(BE3)를 발생시키도록 제3펄스 발생기(8)를 인에이블시킨다.
따라서, 제3펄스 발생기(8)는 열전사 헤드의 제3블록(B3)의 발열소자를 발열 구동시키는 인에이블 신호(BE3)를 입력신호(Q2=BE2)와 동기된 타이밍(폴링 엣지)에서 발생시켜 제14도의 (가) 및 (라)와 같이 출력하게 된다.
제4인에이블 제어기(13)는 입력 데이타(C6)(C7)가 '11'이면 제7도의 도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력신호(Q3)와 동기된 타이밍에서 제4펄스 발생기(9)가 인에이블 신호(BE4)를 발생시키도록 제4펄스 발생기(9)를 인에이블시킨다.
따라서, 제4펄스 발생기(9)는 열전사 헤드의 제4블록(B4)의 발열소자를 발열 구동시키는 인에이블 신호(BE4)를 입력신호(Q3=BE3)와 동기된 타이밍(폴링 엣지)에서 발생시켜 제14도의 (나) 및 (마)와 같이 출력하게 된다.
즉, 4개 블록(B1-B4)에 대한 인에이블 신호(BE1-BE4)를 차례로 출력하여 1라인을 4개의 블록으로 나누어 순차적으로 프린트하도록 하는 4블록 구동제어를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제5인에이블 제어기(16)는 입력 데이타(C8)(C9)가 '11'이면 제7도의 도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력신호(Q4)의 폴링 엣지에서 동기된 타이밍에서 인터럽트 발생기(17)가 인터럽트 신호(INT)를 발생시키도록 인터럽트 발생기(17)를 인에이블시킨다.
따라서, 인터럽트 발생기(17)는 인에이블 신호(BE4)의 인에이블 종료 시점, 즉, 1라인 프린트의 완료 시점을 검출하여 제14도의 (마) 및 (바)와 같이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제9도의 (마)는 이 경우의 각 펄스 발생기(6-9)와 인터럽트 발생기(17)의 동작을 도표로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감열기록기에서 프린트할 라인의 흑색 펠수에 따라 최적의 소비전력과 프린트 시간을 만족하는 타이밍으로 발열소자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되어 프린트 시간의 단축과 소비 전력의 절감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프린트 1라인을 4개 블록(B1-B4)으로 분할하여 각 블록별 발열소자의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내지 제4펄스 발생기(6)(7)(8)(9)와, 모드 제어 래치(14)의 제어를 받아 동시 또는 순차 또는 몇개의 블록을 한쌍으로 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펄스 발생기(6-9)가 펄스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인에이블 제어하는 제1 내지 제4인에이블 제어기(10)(11)(12)(13)와, 제어수단(15)으로부터 입력되는 모드 선택 데이타(D0-D9) 및 모드신호(MODE)를 래치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인에이블 제어기(10-13) 및 제5인에이블 제어기(16)의 인에이블 제어동작을 정해주는 모드 제어 래치(14)와, 프린트될 1라인의 흑색 펠수를 카운트하고, 이 카운트된 값을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모드 제어 래치(14)에 모드 선택 데이타(D0-D9) 및 모드신호(MODE)를 공급하는 제어수단(15)과, 상기 모드 제어 래치(14)의 출력에 의하여 인터럽트 발생기(17)를 인에이블 제어하는 제5인에이블 제어기(16)와, 상기 제1 내지 제4펄스 발생기(6-9)의 출력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5인에이블 제어기(16)의 제어를 받아 상기 검출된 신호의 소정 타이밍에서 1라인 구동 완료를 나타내는 인터럽트 신호(INT)를 발생하는 인터럽트 발생기(17)로 구성된 감열기록기의 발열소자 구동 제어 장치.
  2. 프린트할 라인을 소정 갯수의 블록으로 나누어 각 블록당 흑색 펠수를 카운트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카운트된 각 블록당 흑색 펠수와, 설정된 흑색 펠수의 기준값으로서 1라인 총 펠수(Pn)의 1/4을 서로 대소 비교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의 대소 비교 결과에 따라서 프린트 라인의 블록을 동시 또는 순차, 또는 어느 블록을 한쌍으로 하는 순차적인 인에이블 제어를 수행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진 감열기록기의 발열소자 구동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에서 프린트할 라인의 블록을 4개의 블록으로 구분하여 각 블록당 흑색 펠수(Bpn1-Bpn4)를 카운트하는 감열기록기의 발열소자 구동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의 대소 비교는 카운트된 총 펠수의 합(Bpn1+Bpn2+Bpn3+Bpn4=Bpn)을 1라인 총 펠수(Pn)의 1/4과 그 대소를 비교하고, 상기 제4과정에서는 상기 대소 비교 결과, 카운트된 총 펠수의 합(Bpn)이 1/4Pn 이하이면 4개 블록을 동시 구동시키는 1블록 구동제어를 수행하는 감열기록기의 발열소자 구동 제어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의 대소 비교는, 카운트된 총 펠수의 최대값+최소값 및 상기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외한 나머지 카운트된 펠수의 합을 각각 1라인 총 펠수(Pn)의 1/4과 그 대소를 비교하고, 상기 제3과정에서는 상기 대소 비교 결과, 최소 Bpn+최대 Bpn≤1/4Pn AND 나머지 Bpn의 합이 1/4Pn 이하이면 4개 블록을 2개의 블록을 한쌍으로 하여 나누어 구동시키는 2블록 구동제어를 수행하는 감열기록기의 발열소자 구동 제어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의 대소 비교는, 카운트된 총 펠수의 최대값을 제외한 나머지 카운트된 펠수의 합을 1라인 총 펠수(Pn)의 1/4과 그 대소를 비교하고, 상기 제3과정에서는 상기 대소 비교 결과 최대 Bpn을 제외한 나머지 Bpn의 합이 1/4Pn 이하이면 3개 블록을 한쌍으로, 나머지 1개 블록과 순차 구동시키는 2블록 구동제어를 수행하는 감열기록기의 발열소자 구동 제어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의 대소 비교는, 카운트된 최소값+다음 순위의 최소값을 상기 1라인 총 펠수(Pn)의 1/4과 그 대소를 비교하고, 상기 제3과정에서는 상기 대소 비교 결과 최소 Bpn 및 다음 순위의 최소 Bpn의 합이 1/4Pn 이하이면 2개 블록을 한쌍으로, 나머지 블록 2개를 각각 순차 구동시키는 3블록 구동제어를 수행하는 감열기록기의 발열소자 구동 제어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의 대소 비교는, 카운트된 최소값+다음 순위의 최소값을 상기 1라인 총 펠수(Pn)의 1/4과 그 대소를 비교하고, 상기 제3과정에서는 상기 대소 비교 결과 최소 Bpn 및 다음 순위의 최소 Bpn의 합이 1/4Pn 이상이면 4개의 블록 각각을 순차적으로 구동시키는 4블록 구동제어를 수행하는 감열기록기의 발열소자 구동 제어 방법.
KR1019930014734A 1993-07-30 1993-07-30 감열기록기의 발열소자 구동 제어 장치와 구동 제어 방법 KR0127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4734A KR0127122B1 (ko) 1993-07-30 1993-07-30 감열기록기의 발열소자 구동 제어 장치와 구동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4734A KR0127122B1 (ko) 1993-07-30 1993-07-30 감열기록기의 발열소자 구동 제어 장치와 구동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996A KR950002996A (ko) 1995-02-16
KR0127122B1 true KR0127122B1 (ko) 1997-12-29

Family

ID=19360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4734A KR0127122B1 (ko) 1993-07-30 1993-07-30 감열기록기의 발열소자 구동 제어 장치와 구동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71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994B1 (ko) * 2004-07-19 2006-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상 분할 감열 이미지 인쇄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994B1 (ko) * 2004-07-19 2006-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상 분할 감열 이미지 인쇄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996A (ko) 199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7860A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US4219824A (en) Thermal recording apparatus
JPH0640080A (ja) プリンタ
US4748455A (en) System for driving a thermal print head
US4454516A (en) Heat-sensitive recording device
EP1070593B1 (en) Thermal printer and method of controlling it
US5483273A (en) Drive control apparatus for thermal head
KR0127122B1 (ko) 감열기록기의 발열소자 구동 제어 장치와 구동 제어 방법
US4623899A (en) Recording apparatus
EP0535705B1 (en) Recording head driving device
US4707706A (en) Thermal color recording apparatus
KR900003353B1 (ko) 인자 제어장치
US5444464A (en) Thermal printer head driving circuit with thermal history based control
JP2006341534A (ja) 記録装置
JPS6115469A (ja) サ−マル記録装置
US4568948A (en) Driving system for thermal recording head
JP2701997B2 (ja) サーマルヘッドの駆動制御方法及び駆動制御装置
JPS609775A (ja) サ−マルヘツド駆動方式
JPH0538847A (ja) ドツトプリンタヘツドの出力制御装置
KR930003057B1 (ko) 비디오 칼라프린터의 색위치 편기방지방법 및 회로
JP2721150B2 (ja) 感熱記録装置
JPH0699603A (ja) サーマルプリンタの印字制御方法および印字制御装置
JP2669336B2 (ja) 印刷装置
JPH06278300A (ja) 感熱記録装置
JPH047419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