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042Y1 - 차량용 축전지 접속구 - Google Patents

차량용 축전지 접속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042Y1
KR0127042Y1 KR2019930024725U KR930024725U KR0127042Y1 KR 0127042 Y1 KR0127042 Y1 KR 0127042Y1 KR 2019930024725 U KR2019930024725 U KR 2019930024725U KR 930024725 U KR930024725 U KR 930024725U KR 0127042 Y1 KR0127042 Y1 KR 01270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elastic plate
arc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47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5671U (ko
Inventor
김동수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300247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042Y1/ko
Publication of KR9500156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56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0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0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축전지 단자와 케이블을 접속하는 접속구에 관한 것으로 접속구를 신속히 축전지 단자에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고 접촉불량의 원인도 제거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접속구 본체에 원호상의 축전지 단자 삽입부를 단자의 원둘레보다 작게 형성하여 간극을 형성하고, 일측 접속구 본체에 상기 간극에 위치되게 핀으로 원호상의 탄성판을 연결함과 동시에 그 타측에 핀으로 손잡이를 연결하며, 탄성판과 손잡이의 연결부에 절단부를 형성하여 그 절단부에 노출되는 핀이 타측접속구 본체에 설치한 걸림돌기에 걸리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축전지 접속구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전개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설치상태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가-가 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접속구 본체 2 : 단자삽입부
4 : 간극 6 : 탄성판
8 : 손잡이 9 : 절단부
10 : 걸림돌기
본 고안은 차량용 축전지 단자와 케이블을 접속하는 접속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축전지 단자와 케이블을 접속하는 접속구는 일측에 케이블을 연결한 강판에 축전지에 형성된 단자가 끼워지는 원형 삽입부를 형성한 다음 그 개방부를 보울트와 너트로서 고정한 것이므로 접속구를 축전지 단자에 연결하거나 분리할 때에는 스패너 등의 공구를 필요로 하여 번잡스럽고, 차량의 주행에 의하여 너트가 이완되는 경우에 그 접속이 불량하여 차량의 고장의 원인이 될 뿐아니라 수시로 이완여부를 점검하여야만 되어 불편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불편을 해소하여 축전지단자에 신속히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고 접속불량의 원인도 제거한 차량용 축전지 접속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접속구 본체에 원호상의 축전지 단자 삽입부를 단자의 원둘레보다 작게 형성하여 간극을 형성하고, 일측 접속구 본체에 상기 간극에 위치되게 원호상의 탄성판을 연결함과 동시에 그 타측에 손잡이를 연결하며, 탄성판과 손잡이의 연결부에 절단부를 형성하여 그 절단부에 노출되는 핀이 타측 접속구 본체에 설치한 걸림돌기에 걸리도록 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은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재질의 도체판으로 된 접속구 본체(1)(1')에 원호상의 축전지 단자삽입부(2)를 단자(3)의 원둘레보다 작게 형성하여 간극(4)을 형성하고, 일측 접속구 본체(1)에 핀(5)으로 원호상의 판성판(6)을 연결함과 동시에 그 타측에 핀(7)으로 손잡이(8)를 연결하며, 탄성판(6)과 손잡이(8)의 연결부에 절단부(9)를 형성하여 그 절단부(9)에 노출되는 핀(7)이 타측 접속구 본체(1')에 설치한 걸림돌기(10)에 걸리도록 한 것이며, 원호상의 탄성판(6)은 간극(4)보다 그 길이를 짧게 만들어서 된 것이다.
그리고 단자(3)에는 접속구 본체(1)(1')가 들어갈 수 있는 홈(11)을 형성하거나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미설명부호 12는 케이블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손잡이(8)가 탄성판(6)에서 벌어져 있고 탄성판(6)과 손잡이(8)의 연결부에 형성된 절단부(9)에 노출되는 핀(7)이 타측 접속구 본체(1')에서 분리된 상태로 축전지 단자삽입부(2)를 단자(3)에 끼운다음 탄성판(6)을 손으로 단자(3)방향으로 눌러서 원호상으로 되어 있던 탄성판(6)을 직선으로 변형시키면 그 길이가 길어지므로 손잡이(8)를 잡고 절단부(9)에 노출된 핀(7)을 타측 도체판(1')에 설치한 걸림돌기(10) 방향으로 밀어서 핀(7)이 걸림돌기(10)에 걸리게하고 손으로 누르고 있던 탄성판(6)을 놓으면 탄성판(6)이 원래의 원호상으로 복원되어 접속구 본체(1)(1')에 장력을 가하게 되면서 단자(3)에 견고하게 접속되게 된다. 그 후 손잡이(8)를 제 3 도와 같이 탄성판(6)측에 위치되게 하면 접속구의 체결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리고 단자(3)에서 접속구를 분리할때에는 손잡이(8)를 벌린다음 탄성판(6)을 누르면 위의 체결상태와 같이 그 길이가 길어지므로 걸림돌기(10)에 걸려있던 핀(7)이 자유상태로 되므로 손잡이(8)를 잡아당기면 탄성판(6)이 타측 접속구 본체(1')에서 분리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단자삽입부를 단자의 원둘레보다 작게 형성하여 간극을 형성하고 이에 원호상의 탄성판을 연결하므로서 탄성판의 탄성만을 이용하여 접속구를 신속하게 단자에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을 뿐아니라 탄성판이 접속구 본체에 장력을 가하므로서 견고하게 접속되어 접속불량의 원인도 제거되며 진동등에 의하여도 접속상태가 이완되는 등의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 등이 있다.

Claims (1)

  1. 접속구 본체에 원호상의 축전지 단자 삽입부를 단자의 원둘레보다 작게 형성하여 간극을 형성하고 일측 접속구 본체에 상기 간극에 위치되게 원호상의 탄성판을 연결함과 동시에 그 타측에 손잡이를 연결하며 탄성판과 손잡이의 연결부에 절단부를 형성하여 그 절단부에 노출되는 핀이 타측접속구 본체에 설치한 걸림돌기에 걸리도록 하여서 된 차량용 축전지 접속구.
KR2019930024725U 1993-11-23 1993-11-23 차량용 축전지 접속구 KR01270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4725U KR0127042Y1 (ko) 1993-11-23 1993-11-23 차량용 축전지 접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4725U KR0127042Y1 (ko) 1993-11-23 1993-11-23 차량용 축전지 접속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5671U KR950015671U (ko) 1995-06-19
KR0127042Y1 true KR0127042Y1 (ko) 1998-10-15

Family

ID=19368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4725U KR0127042Y1 (ko) 1993-11-23 1993-11-23 차량용 축전지 접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704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5671U (ko) 1995-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8649B1 (en) Battery cable disconnector
US5383796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strain relief means
CA1121476A (en) One-piece molded strain relief bushing for cables
US5402970A (en) Band-type clamp for wire harness
GB2218462A (en) Cable retaining device
KR0127042Y1 (ko) 차량용 축전지 접속구
US4743204A (en) Auxiliary bolt-operated connection for panelboard circuit breaker
US5964598A (en) Electrical apparatus lockout device
US4505503A (en) Locking fastener
US4095765A (en) Adjustable cable clamp
JP3193223B2 (ja) ロックホルダ
KR200155195Y1 (ko) 와이어링 단자 터미널
KR0125814Y1 (ko) 호스고정용 클립
KR100195525B1 (ko) 다용도 클램프구조
US4894028A (en) Self-expandable battery terminal clamp
JPH0515297U (ja) ヒユーズボツクス
KR0136947Y1 (ko) 축전지의 단자 연결구
KR0134171Y1 (ko) 축전지 단자 접속구
KR0136944Y1 (ko) 축전지 케이블 접속구
KR200148783Y1 (ko) 배터리 터미널의 와이어 고정장치
KR890007921Y1 (ko) 터미널 블록
KR0132936Y1 (ko) 자동차용 배터리의 터미널 구조
KR0127758Y1 (ko) 클램핑 밴드구조
KR960008415Y1 (ko) 어스 (earth)용 나사
JPH0982307A (ja) バッテリー端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