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524Y1 - 조리기의 화력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조리기의 화력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524Y1
KR0126524Y1 KR2019920021206U KR920021206U KR0126524Y1 KR 0126524 Y1 KR0126524 Y1 KR 0126524Y1 KR 2019920021206 U KR2019920021206 U KR 2019920021206U KR 920021206 U KR920021206 U KR 920021206U KR 0126524 Y1 KR0126524 Y1 KR 01265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device
bracket
glass plate
cooker
ceramic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200212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0488U (ko
Inventor
정경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200212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6524Y1/ko
Publication of KR9400104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4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5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5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4Waterproof or air-tight seals for hea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6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 plates or analogous hot-plates
    • H05B3/74Non-metallic plates, e.g. vitroceramic, ceramic or glassceramic hobs, also including power or control circuits
    • H05B3/744Lamps as heat source, i.e. heating elements with protective gas envelope, e.g. halogen lam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7Heating plates with temperature 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도성 코일이나 할로겐램프를 열원으로 사용하고 정전터치방식으로 화력을 조절하는 조리기의 화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세라믹글라스판 저면에 FPC(Flexible Printed Circuit) 필름에 형성된 콘덴서쌍을 갖는 정전터치방식의 화력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글라스판 저면에 형성된 나사공을 갖는 체결보스와, 상기 FPC를 부착하여 상기 보스에 나사로 결합되는

Description

조리기의 화력조절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조리기 화력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결합상태의 요부단면도.
제3도는 종래 정전터치방식을 사용한 조리기의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화력조절장치만을 나타낸 요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FPC필름 12 : 콘덴서쌍
20 : 브라켓 25 : 밀봉수단
30 : 지지용 브라켓 31 : 보스
35 : 나사 40 : 세라믹 글라스판
45 : 그래픽인쇄면
본 고안은 조리기의 화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도성 코일이나 할로겐 램프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조리기로 정전터치방식으로 화력을 조절하는 조리기의 화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와서 차세대 조리기구로 각광을 받는 것중 인덕션쿠커와 할로겐 쿠커가 있다.
상기 조리기구의 장점으로는 불꽃을 발생하지 않아 화재의 위험이나 실내산소의 연소로 생기는 공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었다.
또한, 조리영역인 열원이 평면구조를 하기 때문에 사용후 청소의 간편성은 물론 심플한 외형이 돋보였다.
상기 조리기의 화력조절방식으로는 세라믹글라스판(Ceramic glass plate) 일측면에 놉(Nob)으로 조절하는 기계식과 놉없이 사용하는 정전터치방식이 있다.
상기 기계식인 경우에는 돌출된 조절스위치가 상기 조리기의 장점인 청소의 간편성과 미관을 충분히 살릴 수 없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었다.
제3도는 종래 정전터치방식 화력조절장치의 상기 조리기를 나타낸 것으로 제4도는 종래 정전터치방식 화력조절장치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정전터치방식의 작용방법을 보게 되면 다음과 같다.
세라믹글라스판(110) 상부에 형성된 그래픽인쇄면(117)과, 상기 세라믹글라스판(110)의 인쇄면(117) 저면에 콘덴서쌍(127)이 형성된 PCB(Printed Circuit Board)(120)와, 상기 PCB를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제(125)와, 상기 PCB(120)를 덮어 방수막을 형성하는 실리콘수지(131)로 되어 있다.
작동방법은 상기 그래픽인쇄면(117)에 손가락을 접촉시키면 저면에 PCB(120)에 형성된 콘덴서쌍(120)의 정전용량을 변화시켜 상기 PCB(120)에 연결된 차별콤패러터의 출력으로 변화된 신호가 열원(131)의 출력을 조절하게 된다.
이와같이 사용되는 화력조절장치는 상기 세라믹글라스판(110) 저면에 콘덴서가 형성된 패턴을 부착하기 위해서는 PCB(12)와 같은 온도변화에 따른 변형이 적은 경질의 재질을 써야 했다.
왜냐하면 열원에서 발열되는 열이 600℃이상의 고온으로서, 비록 열전도성이 매우 낮은 세라믹글라스판(110)이지만 세라믹글라스판 저면에 직접 부착된 상기 패턴에 전해져 외형의 변형으로 쉽게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패턴이 유연성을 가진 경우 작업성이 좋고 원가절감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챙용하지 못하였다.
또한, 상기 PCB(120)를 사용할 경우에도 상기 세라믹글라스판(110)에 완전 부착을 위해서는 일정시간을 요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밀착의 정도나 정위치를 벗어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두가지 방법 모두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할로겐램프나 고주파를 유도시키는 유도성코일과 같은 열원(131)에서 방출되는 노이즈(Noise)에 화력조절장치가 노출되어 있어 오동작되는 요건으로 지적되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열원에 따른 외형의 변형을 방지하고 손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조리기의 화력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으로는 노이즈를 차단하여 오동작을 방지한 조리기의 화력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으로는 세라믹글라스판 저면에 유도성코일 또는 할로겐램프를 열원으로 사용하고 FPC필름에 형성된 콘넨서쌍을 갖는 정전터치방식의 화력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글라스판 저면에, 나사공을 구비한 체결용 보스가 형성된 지지용 브라켓을 구비하고 상기 보스 사이에, 상기 PFC 필름을 부착하여 상기 보스에 나사로 결합되는형의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 주위의 밀봉을 위한 밀봉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라켓은 노이즈(Noise)를 차단할 수 있는 스틸(STEEL)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봉수단은 실리콘수지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 조리기의 화력조절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결합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은, 세라믹글라스판(40) 저면 양측에 나사공(32)을 구비한 체결용 보스(31)가 형성된 지지용 브라켓(30)과, 상기 보스(31)에 나사로 고정설치되고, 콘덴서쌍(12)이 형성된 FPC(Flexble Printed Circuit) 필름(10)을 상부에 부착시키기 위한형 브라켓(20)과, 상기 FPC 필름(10)이 부착된 브라켓(20)의 주위를 밀봉하는 밀봉수단(25)을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20)은 FPC 필름을 부착하는 돌출면과 체결을 위해 절곡되어 구성된 다수의 다리에 나사공(22)을 구비하며, 노이즈의 차단을 위하여 재질은 스틸(STEEL)을 사용한다.
상기 밀봉수단(25)은 실리콘수지를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세라믹글라스판(40)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용 브라켓(30)에 체결용 보스(31)가 세라믹글라스판 그래픽인쇄면(45)의 저면에 설치되고, 콘덴서쌍(12)이 형성된 FPC필름(10)을 상기형 브라켓(20) 상부에 부착시킨 다음 보스(31)의 나사공(32)과 브라켓(20)의 다리들에 형성된 나사공(22)을 통해 나사(35)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FPC필름(10)이 상기 세라믹글라스판(40)에 형성된 그래픽 인쇄부(45) 저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브라켓(20)을 통해 나사(35)를 조정 가압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 조립되는 본 고안은, 상기형 브라켓(20)을 통해 FPC 필름(10)을 열원이 영향없이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20)은 나사(35)를 통해 부착면의 조건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형 브라켓(20)은 스틸재질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할로겐램프나 고주파를 유도시키는 유도성코일등의 열원에서 발생되는 전기적장애등의 노이즈를 차단한다.
따라서, 노이즈에 민감한 상기 FPC필름(10)에 형성된 콘덴서쌍(12)을 보호할 수 있어 성능향상도 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용으로 본 고안은 정전터치방식을 사용하는 기기에 응용되어 사용될 수 있는 이점을 지녔다.

Claims (3)

  1. 세라믹글라스판 저면에 유도성코일 또는 할로겐램프를 열원을 사용하고 FPC(Flexible Printed Circuit)필름으로 형성된 콘덴서쌍을 갖는 정전터치방식의 화력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글라스판(40) 저면에 양측에 나사공(32)을 구비한 체결용 보스(31)가 형성된 지지브라켓(30)과, 상기 FPC(10)를 부착하여 상기 보스(31)에 나사(35)로 결합되는형의 브라켓(20)과; 상기 브라켓(20) 주위에 밀봉을 위한 밀봉수단(25)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기기의 화력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0)은 노이즈를 차단할 수 있는 스틸(STEEL)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의 화력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수단(25)을 실리콘수지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의 화력조절장치.
KR2019920021206U 1992-10-31 1992-10-31 조리기의 화력조절장치 KR01265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20021206U KR0126524Y1 (ko) 1992-10-31 1992-10-31 조리기의 화력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20021206U KR0126524Y1 (ko) 1992-10-31 1992-10-31 조리기의 화력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0488U KR940010488U (ko) 1994-05-23
KR0126524Y1 true KR0126524Y1 (ko) 1998-12-15

Family

ID=19342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20021206U KR0126524Y1 (ko) 1992-10-31 1992-10-31 조리기의 화력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652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0488U (ko) 1994-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147497A (ja) 調理器の加熱源用制御装置
CA2129887A1 (en) P.t.c. resistor sensor circuit
JP4392865B2 (ja) 加熱調理器
JP2003208972A (ja) 加熱調理器
KR0126524Y1 (ko) 조리기의 화력조절장치
US20120152226A1 (en) Heat sink for a cooking appliance
CN210540811U (zh) 蒸汽烹饪器具用防冷凝灯罩及蒸汽烹饪器
KR100672457B1 (ko) 전기 레인지
KR0126521Y1 (ko) 조리기의 화력조절장치
KR100651989B1 (ko) 전기 레인지
CN210035180U (zh) 一种显示器挂灯及其灯体
JP4263220B2 (ja) 加熱調理器
KR940000426Y1 (ko) 리드스위치를 이용한 조리기의 키이 입력장치
CN210688339U (zh) 电磁炉
CN210951419U (zh) 电磁炉
CN221035859U (zh) 一种一体式岩板专用电磁炉
KR970002632Y1 (ko) 조리기의 정전터치방식 버너작동장치
KR100794824B1 (ko) 오븐용 컨트롤 유닛 및 그를 포함하는 오븐
CN218154351U (zh) 烹饪器具
KR200244101Y1 (ko) 후드램프의 밝기 조절장치
JP4460899B2 (ja) 加熱調理器
CN215597103U (zh) 一种具有除雾功能的镜灯
JPS5824094Y2 (ja) 加熱調理器
JP4910021B2 (ja) 加熱調理器
CN209819493U (zh) 一种led筒灯内置微波感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