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426Y1 - 수평편향회로 - Google Patents

수평편향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426Y1
KR0126426Y1 KR2019940009290U KR19940009290U KR0126426Y1 KR 0126426 Y1 KR0126426 Y1 KR 0126426Y1 KR 2019940009290 U KR2019940009290 U KR 2019940009290U KR 19940009290 U KR19940009290 U KR 19940009290U KR 0126426 Y1 KR0126426 Y1 KR 01264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horizontal
aspect ratio
switching
horizontal def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92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1640U (ko
Inventor
양준현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400092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6426Y1/ko
Publication of KR9500316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16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4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4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04N3/223Controlling dimen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16:9 화면비를 갖는 CRT 디스플레이 회로에 있어서, 4:3 화면비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아나로그 수평편향 회로가 개시되고 있다. 본 고안은 16:9 및 4:3의 화면비전환을 위한 화면비전환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과, 16:9 화면비 CRT를 구비하는 칼라텔레비전에 있어서, 제1및 제2출력단을 통해 16:9 화면비의 CRT수평편향조정을 위한 제1전압과 4:3 화면비의 CRT수평편향조정을 위한 제2전압을 각각 출력하는 전원공급부와, 소정 수평발진신호를 입력받아 수평구동신호로 출력하는 수평 구동부와, 1차권선의 권선비를 각각 다르게하는 제1,2입력단을 통해 상기 제1전압 또는 제2전압을 인가받는 FBT와, 상기 FBT의 1차권선과 기준전위단자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제2전압 또는 제2전압을 인가받는 수평편향 요크코일과, 상기 FBT(131)와 상기 수평편향 요크코일의 연결점에 연결되며 상기 수평구동부로부터 수평구동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수평편향 요크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스위칭제어하는 출력제어부로 구성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전압의 인가에 대응하여 CRT의 수평편향을 조절하는 수평출력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의 제1,2출력단과 상기 FBT의 제1,2입력단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화면비전환신호를 입력받아 이에 응답하여 상기 제1,2입출력단간의 연결을 스위칭제어하는 스위칭제어부로 구성한다.

Description

수평편향회로
제1도는 NTSC방식 텔레비젼의 수평편향회로의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르는 수평편향회로의 구성도.
제3도는 4:3 화면의 경계부에서 나타나는 화면말림현상 상태도.
제4도는 제2도의 구성 중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블랭킹회로의 상세 구성도.
본 고안은 수평편향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탈 압축(Digital Compression)없이 화면비 전환이 가능한 수평편향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NTSC방식 텔레비전은 4:3의 화면비를 구비하며, 와이드 텔레비전(Wide Television)은 16:9의 화면비를 구비한다. 와이드 텔레비전은 상술한 바와 같이 화면 가로비가 NTSC방식과 다르기 때문에 일반 NTSC 방식 방송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화면비의 조정이 불가피하다.
제1도는 NTSC방식 텔레비젼의 수평편향회로의 구성도로서, 전원공급부(Switch Mode Power Supply: 10)은 수평편향을 위한 B+전압을 출력한다.
수평구동부(20)은 수평발진부(도시되지않음)로부터 수평발진신호를 입력받으며, 상기 수평발진신호에 응답하여 수평출력회로(30)를 구동하며, 수평구동트랜스포머(HDT)와, 제2스위칭소자(Q2)를 구비한다.
수평 출력회로(30)는 프라이백 트랜스포머(FlyBack Transformer: 31, 이하 FBT라 함)와 제1스위칭소자로서 트랜지스터 Q1을 구비하여, 상기 전원공급부(10)로부터 B+전압을 인가받으며, 상기 수평구동부(20)에 동작 제어되어 고압 및 중압의 수평편향전압을 출력한다.
상술한 구성을 참조하여 종래 수평편향회로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수평발진부로부터 수평발진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수평구동부(20)내의 제2스위칭소자(Q2)가 상기 수평발진신호에 응답하여 턴 온/오프 스위칭동작을 반복한다. 따라서 수평구동부(20)내의 수평구동 트랜스포머(HDT)가 구동되어 수평출력부(30)의 제1스위칭소자(Q1)를 턴 온/오프 스위칭한다.
이후 상기 전원공급부(10)로부터 B+전압을 인가받는 FBT(31)는 상기 제1스위칭소자(Q1)의 온/오프 스위칭동작에 대응하여 고압 및 중압의 수평편향전압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1스위칭소자(Q1)의 스위칭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전원공급부(10)로 부터 인가되는 전압이 상기 FBT(31)를 통해 상기 제1스위칭소자(Q1)에 가해지며, 수평편향요크코일(Lhy)에 수평편향전류가 흐르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수평편향회로는 상기 수평편향요크코일(Lhy)에 흐르는 수평편향전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없으며, 16:9의 화면비를 갖는 CRT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는 영상신호자체의 압축이 이루어져야 4:3의 화면비를 표현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수평편향회로에서는 영상신호의 압축을 위한 디지탈 압축회로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16:9 화면비를 갖는 CRT 디스플레이 회로에 있어서, 4:3 화면비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아나로그 수평편향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 및 동작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르는 수평편향회로의 구성회로도로서, 전원공급부(Switch Mode Power Supply: 110)는 2개의 출력단(a, b)를 통해 16:9 화면비 CRT수평편향을 위한 B+ 전압과, 4:3 화면비의 CRT 수평편향을 위한 3/4B+ 전압을 출력한다.
텔레비전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16:9 및 4:3의 화면비전환을 위한 화면비전환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120)과, 수평구동부(20)은 수평발진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수평발진신호를 입력받아 수평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수평구동부(20)은 종래 수평구동부가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수평출력회로(130)는 1차권선의 권선비를 달리하는 두 입력단(c, d)을 통해 B+ 전압, 또는 3/4B+.전압을 인가받는 FBT(131)와, 상기 FBT(131)의 1차권선과 기준전위단자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B+전압 또는 3/4B+전압을 인가받는 수평편향요크코일(Lhy)과, 상기 FBT(131)와 상기 수평편향요크코일(Lhy)의 연결점에 연결되며 상기 수평구동부(20)로부터 수평구동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수평편향요크코일(Lhy)의 인가전압을 제어하는 제1트랜지스터(Q1)와, 상기 FBT(131)와 상기 수평편향요크코일(Lhy)의 연결점과 기준전위단자사이에 연결되는 파형보정부(132)로 구성되며, 상기 B+전압 및 3/4B+전압의 인가에 따라 CRT(도시되지 않음)의 수평편향을 이룬다.
스위칭제어부(140)은 상기 전원공급부(110)의 두 출력단자(a,b)와 상기 FBT(131)의 두 전원입력단자(c, d) 사이에 연결되어 각 단자들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141)와 상기 마이컴(120)으로부터 화면비전환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스위칭부(141)의 스위칭 연결을 제어하는 제3트랜지스터(Q3)로 구성되며, 16:9화면비 전환시 상기 a단자와 c단자를 연결하여 B+전압이 상기 FBT(131)에 인가되도록 하고, 4:3화면비 전환시 상기 b단자와 상기 d단자를 연결하여 3/4B+전압이 상기 FBT(131)에 인가되도록 스위칭 제어한다.
수평 블랭킹회로(150)는 마이컴(120)의 제어하에 CRT구동부(도시되지 않음)로 입력되는 R, G, B 신호를 수평 블랭킹 출력한다.
제3도는 4:3 화면의 경계부에서 나타나는 화면말림현상 상태도이다.
제4도는 제2도의 구성중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블랭킹회로(150)의 상세 구성도로서, 블랭킹부(200)는 색채 디코더(210)로부터 출력되는 R, G, B신호를 각각 블랭킹하기 위한 제1-3제어소자(Q4 - Q6)로 구성되어 색채 디코더(210)와 CRT 구동부(220)의 연결점과, 기준전위단자사이에 연결되어 마이컴(120)으로부터 입력되는 수평브랭킹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색채 디코더(210)로부터 출력되는 RGB신호를 각각 블랭킹시킨다.
상기 구성에서 제1 - 3제어소자(Q4 - Q6)는 트랜지스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제2도 및 제4도의 구성과 제3도의 상태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제2트랜지스터(Q2)는 마이컴(120)으로부터 16:9의 화면비를 수평편향 조절하기 위한 로우상태(일례로 '로우상태' )의 화면 변환신호가 입력되면 턴오프 된다. 따라서 스위칭소자(141)는 B+전압을 스위칭 제어입력받아 전원공급부(110)의 a 출력단자와 FBT(131)의 c입력단자를 연결한다. 이후 상기 FBT(131)는 상기 스위칭 소자(141)를 통해 B+전압을 1차권선측으로 인가받아 수평편향을 이룬다.
또한 제2트랜지스터(Q2)는 마이컴(120)으로부터 4:3의 화면비를 수평편향 조절하기 위한 하이상태의 화면 변환신호가 입력되면 턴온스위칭된다. 따라서 스위칭소자(141)는 제2트랜지스터(Q2)의 턴온스위칭동작에 응답하여 전원공급부(110)의 b출력단자와 FBT(131)의 d입력단자를 연결한다. 이후 상기 FBT(131)는 상기 스위칭소자(141)를 통해 3/4B+전압을 1차권선측으로 인가받아 16:9화면비를 갖는 CRT의 중간부위에 4:3에 해당하는 크기로만 수평편향을 이룬다.
그러나 상기 4:3의 화면비로 디스플레이할때에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4:3 화면의 경계부에 화면 말림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제4도에 도시된 수평 블랭킹회로로서 추가하여 화면말림현상을 제거한다.
즉 마이컴(120)은 수평동기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신호의 앞, 뒤로 시간여유(4:3 화면 디스플레이시 오버스캔량까지 고려)를 둔 수평브랭킹신호를 출력하며, 블랭킴킹부(200)은 상기 수평블랭킹신호에 응답하여 온오프 스위칭하여 색채디코더(210)의 R,G,B출력신호를 블랭킹하게 된다. 따라서 CRT구동부(220)는 상기 수평블랭킹된 R,G,B신호를 입력받아 CRT를 구동한다. 그러나 16:9화면 디스플레이시에는 상기 마이컴(120)으로부터 수평블랭킹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므로 블랭킹부(200)은 동작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16:9 화면비를 갖는 텔레비전에서 4:3 화면비의 화면의 수평편향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디지탈 압축회로의 구성이 필요없어 제작비가 감소된다.

Claims (8)

16:9 및 4:3의 화면비전환을 위한 화면비전환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과, 16:9 화면비 CRT를 구비하는 칼라텔레비전에 있어서, 제1및 제2출력단을 통해 16:9 화면비의 CRT수평편향조정을 위한 제1전압과 4:3 화면비의 CRT수평편향조정을 위한 제2전압을 각각 출력하는 전원공급부와, 소정 수평발진신호를 입력받아 수평구동신호로 출력하는 수평구동부와, 1차권선의 권선비를 각각 다르게하는 제1,2입력단을 통해 상기 제1전압 또는 제2전압을 인가받는 FBT와, 상기 FBT의 1차권선과 기준전위단자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제2전압 또는 제2전압을 인가받는 수평편향 요크코일과, 상기 FBT(131)와 상기 수평편향 요크코일의 연결점에 연결되며 상기 구평구동부로부터 수평구동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수평편향 요크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스위칭제어하는 출력제어부로 구성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전압의 인가에 대응하여 CRT의 수평편향을 조절하는 수평출력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의 제1,2출력단과 상기 FBT의 제1,2입력단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화면비전환신호를 입력받아 이에 응답하여 상기 제1,2입출력단간의 연결을 스위칭제어하는 스위칭제어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편향회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압이 제1전압의 3/4전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편향회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제어부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제1,2출력단과 상기 FBT의 제1,2입력단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입출력단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스위칭수단과,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화면비전환신호를 입력받으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스위칭수단의 제1입출력단간 연결 또는 제2입출력단간 연결을 스위칭제어하는 스위칭제어수단으로 구성하여, 16:9화면비 전환신호입력시 상기 제1전압이 상기 FBT에 인가되도록하고, 4:3화면비 전환신호입력시 상기 제2전압이 상기 FBT에 인가되도록 하는 스위칭제어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편향회로.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압이 제1전압의 3/4전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편향회로.
16:9 및 4:3의 화면비전환을 위한 화면비전환신호와 수평동기신호의 앞뒤 시간지연을 갖는 수평블랭킹신호틀 출력하는 마이컴과, 16:9 화면비 CRT와, R, G, B색채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CRT를 구동하는 CRT구동부를 구비하는 칼라텔레비전에 있어서, 제1및 제2출력단을 통해 16:9 화면비의 CRT수평편향조정을 위한 제1전압과 4:3 화면비의 CRT수평편향조정을 위한 제2전압을 각각 출력하는 전원공급부와, 소정 수평발진신호를 입력받아 수평구동신호로 출력하는 수평구동부와, 1차권선의 권선비를 각각 다르게하는 제1,2입력단을 통해 상기 제1전압 또는 제2전압을 인가받는 FBT와, 상기 FBT의 1차권선과 기준전위단자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제2전압 또는 제2전압을 인가받는 수평편향 요크코일과, 상기 FBT(131)와 상기 수평편향 요크코일의 연결점에 연결되며 상기 수평구동부로부터 수평구동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수평편향 요크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스위칭제어하는 출력제어부로 구성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전압의 인가에 대응하여 CRT의 수평편향을 조절하는 수평출력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의 제1,2출력단과 상기 FBT의 제1,2입력단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화면비전환신호를 입력받아 이에 응답하여 상기 제1,2입출력단간의 연결을 스위칭제어하는 스위칭제어부와,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수평블랭킹신호를 입력받으며, 이에 응답하여 상기 CRT구동부로 입력되는 R,G,B신호를 각각 수평 블랭킹하기 위한 블랭킹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편향회로.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압이 제1전압의 3/4전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편향회로.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제어부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제1,2출력단과 상기 FBT의 제1,2입력단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입출력단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스위칭수단과,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화면비전환신호를 입력받으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스위칭수단의 제1입출력단간 연결 또는 제2입출력단간 연결을 스위칭제어하는 스위칭제어수단으로 구성하여, 16:9화면비 전환신호입력시 상기 제1전압이 상기 FBT에 인가되도록하고, 4:3화면비 전환신호입력시 상기 제2전압이 상기 FBT에 인가되도록 하는 스위칭제어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편향회로.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압이 제1전압의 3/4전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편향회로.
KR2019940009290U 1994-04-29 1994-04-29 수평편향회로 KR01264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9290U KR0126426Y1 (ko) 1994-04-29 1994-04-29 수평편향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9290U KR0126426Y1 (ko) 1994-04-29 1994-04-29 수평편향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640U KR950031640U (ko) 1995-11-22
KR0126426Y1 true KR0126426Y1 (ko) 1998-12-15

Family

ID=19382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9290U KR0126426Y1 (ko) 1994-04-29 1994-04-29 수평편향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642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640U (ko) 1995-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0505B1 (ko) 2 화면 영상 처리 회로
JP3301803B2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100238673B1 (ko) 고선명 텔레비젼 수상기의 모니터 출력장치
KR0126426Y1 (ko) 수평편향회로
JPH06101805B2 (ja) ビデオ信号処理装置
JPS61206380A (ja) 画像デイスプレイ装置
WO1997013360A1 (fr) Procede de commande d'un affichage video matriciel
JPH0793694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S61267469A (ja) 出力装置
US5523789A (en) High definition television monitor for displaying video images reproduced from normal standard video signals
JPH04110069U (ja) 高品位テレビ受像機の垂直偏向装置
KR0156852B1 (ko) 와이드 스크린 텔레비젼의 화면 변환장치
JP2916392B2 (ja) カラー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3316282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3297266B2 (ja) ハイビジョン受像機
KR970002993B1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전원온시의 과도현상 방지회로
JP3057681B2 (ja) 水平s字補正容量の切換回路
KR930002683Y1 (ko) 온 스크린 색상의 자동 보색 변환회로
JP2591132B2 (ja) ブランキング回路
JP2603673Y2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200203912Y1 (ko) 4채널 스위처를 구비한 모니터
JP3244346B2 (ja) スイッチ回路
JP2000106670A (ja) カラ―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000138848A (ja) アスペクト比切替え付き電子ビューファインダー
JPS632555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