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419Y1 - 셋 탑 박스의 리모콘을 이용한 전화 송수화 장치 - Google Patents

셋 탑 박스의 리모콘을 이용한 전화 송수화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419Y1
KR0126419Y1 KR2019950054005U KR19950054005U KR0126419Y1 KR 0126419 Y1 KR0126419 Y1 KR 0126419Y1 KR 2019950054005 U KR2019950054005 U KR 2019950054005U KR 19950054005 U KR19950054005 U KR 19950054005U KR 0126419 Y1 KR0126419 Y1 KR 01264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box
signal
set top
remote control
wireless trans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40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7920U (ko
Inventor
이기석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540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6419Y1/ko
Publication of KR9700479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79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4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4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셋 탑 박스의 리모콘을 이용한 전화 송수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2.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셋 탑 박스의 리모콘으로 전화 송수화를 한다.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셋 탑 박스의 리모콘이 전화 송수화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화 송수화 장치는 전화 다이얼링으로 위한 DTMF 발생부와 음성을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송화기와 음성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수화기와, 상기 송화기에서 발생한 음성신호를 변조하는 변조부와, 상기 변조부에서 발생한 신호를 인가받아 RF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으로 셋 탑 박스의 RF 수신부에 전송하고, 셋 탑 박스에서 무선으로 전송되는 RF 신호를 전송받아 변환하는 제1무선 송수신기와, 상기 제1무선 송수신기에서 전송받아 변환한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수화기에 전송하는 복조부로 구성된다. 셋 탑 박스 본체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셋 탑 박스 본체의 구성요소외에 제2무선 송수신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무선 송수신기는 상기 리모콘에서 전송된 신호를 외부 전화선로로 전송한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셋 탑 박스 시스템에서 사용되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셋 탑 박스의 리모콘을 이용한 전화 송수화 장치
제1도는 통상적인 셋 탑 박스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셋 탑 박스 본체의 블럭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리모콘의 블럭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리모콘의 키입력부의 외형을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TV 12 : 셋 탑 박스 본체
14 : 전화기 16 : 외부 전화선로
18 : 리모콘 20 : 스위칭부
22 : 코일부 24 : OP 앰프
26 : 모뎀 콘트롤러 28 : 모뎀 IC
30 : 비디오 인코더 32 : 비디오 프로세서
34 : 채널 디코더 36 : 콘트롤러
38 : 리모콘 수광부 40 : 제1무선 송수신기
42 : RF 수신부 44 : RF 송신부
46 : 리모콘 발광부 48 : 리모콘 IC
50 : 키입력부 52 : 송수화부
54 : 제2무선 송수신기 56 : DTMF 발생부
58 : 복조부 60 : 변조부
62 : 수화기 64 : 송화기
본 고안은 셋 탑 박스(set top box)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셋 탑 박스의 리모콘을 이용한 전화 송수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셋 탑 박스는 유선 TV의 수신장치나, VOD(vidio on demand)의 수신장치나, 위성방송 DBS(direct broadcasting by satellite)의 수신장치에 사용된다.
제1도는 통상적인 셋 탑 박스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셋 탑 박스 세트는 텔레비젼(10)과, 셋 탑 박스 본체(12)와, 전화기(14)와 외부전화 송수신을 위한 외부 전화선로(16)와, 셋 탑 박스를 콘트롤하기 위한 리모콘(18)를 구비한다. 전화 송수신을 위한 외부 전화선로(16)는 셋 탑 박스의 본체(12)를 거쳐서 전화기(14)에 연결된다. 기존의 셋 탑 박스 시스템의 리모콘(18)은 전화기(14)와는 무관하게 동작되었다. 셋 탑 박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텔레비젼(10)을 시청하고 있을 경우에 사용자는 전화기(14)의 송수화기를 사용하지 않고서는 통화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셋 탑 박스의 리모콘으로 전화 송수화를 할 수 있는 셋 탑 박스의 리모콘을 이용한 전화 송수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셋 탑 박스의 리모콘이 전화 송수화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화 송수화 장치는 전화 다이얼링으로 위한 DTMF 발생부와 음성을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송화기와 음성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수화기와, 상기 송화기에서 발생한 음성신호를 변조하는 변조부와, 상기 변조부에서 발생한 신호를 인가받아 RF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으로 셋 탑 박스의 RF 수신부에 전송하고, 셋 탑 박스에서 무선으로 전송되는 RF 신호를 전송받아 변환하는 제1무선 송수신기와, 상기 제1무선 송수신기에서 전송받아 변환한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수화기에 전송하는 복조부로 구성된다. 셋 탑 박스 본체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셋 탑 박스 본체의 구성요소외에 제2무선 송수신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무선 송수신기는 상기 리모콘에서 전송된 신호를 외부 전화선로로 전송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 도면들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셋 탑 박스 본체의 블럭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의 셋 탑 박스 본체(12)에서는 통상적인 셋 탑 박스에서 사용되는 콘트롤러(36)와 리모콘 수광부(38)와 비디오 프로세서(32)와 채널 디코더(34)와 비디오 인코더(30)와 모뎀 콘트롤러(26)와 모뎀 IC(28)와 OP 앰프(24)와 스위칭부(20)와 코일부(22)를 사용하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상적인 구성요소외에 제1무선 송수신기(40) RF(radio frequency) 수신부(42)와 RF 송신부(44)를 더 구비하는 셋 탑 박스 본체(12)를 사용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셋 탑 박스 리모콘(18)의 블럭도이다. 본 고안의 리모콘(18)에서는 통상적인 리모콘에서 사용되는 리모콘 발광부(46)와 리모콘 IC(48)를 사용하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상적인 구성요소외에 키입력부(50)와 전화 송수신부(52)를 더 구비하는 리모콘(18)을 사용한다. 전화 송수신부(52)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발생부(56)와 복조부(58)와 변조부(60)와 송화기(64)와 수화기(62)와 제2무선 송수신기(54)로 구성된다.
제4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셋 탑 박스 리모콘(18)의 키입력부의 외형을 도시한 것이다.
제2도와 제3도와 제4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셋 탑 박스의 리모콘(18)과 셋 탑 박스의 본체(12)의 동작을 설명하며, 본 고안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제3도의 리모콘 키입력부(50)에서 통화버튼을 누르고, 원하는 전화번호를 선택하여 누르면, 이 키입력에 대한 데이타는 DTMF 발생부(56)에 인가된다. DTMF 발생부(56)는 상기 데이타에 대응하는 DTMF 신호를 발생하여 제2무선 송수신기(54)에 전송된다. 이때 DTMF 발생부(56)에서 DTMF 신호가 발생하는 것은 통상적인 전화기와 동일하다. 제2무선 송수신기(54)에서는 DTMF 발생부(56)에서 발생한 DTMF 신호를 인가받아 RF 신호로 변환한다. 제2무선 송수신기(54)는 RF 신호를 무선으로 셋 탑 박스의 본체(12)의 RF 수신부(42)에 전송한다. RF 수신부(42)는 상기 RF 신호를 제1무선 송수신기(40)에 전송한다. 제1무선 송수신기(40)는 전송된 RF 신호를 다시 DTMF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 전화선로(16)로 전송하고, 외부 전화선로(16)를 통하여 원하는 상대방과의 통화로가 형성된다. 통화가 시작되면 외부 전화선로(16)로부터 변조된 음성신호가 전송되고, 상기 변조된 음성신호는 제1무선 송수신기(40)에 전송되고, 제1무선 송수신기(40)는 상기 변조된 음성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RF 송신부(44)로 전송한다. RF 송신부(44)는 상기 RF 신호를 리모콘(18)의 제2무선 송수신기(54)에 전송한다. 제2무선 송수신기(54)는 RF 신호를 전송받아 이를 변조된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복조부(58)에 전송한다. 복조부(58)에서는 상기 변조된 음성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수화기(62)에 전송한다. 이때 수화기(62)에서는 상기 음성 신호를 인가받아 음성으로 재생하여 출력한다.
한편 사용자가 음성을 전송할 경우에는 송화기(64)에 음성을 입력하면 송화기(64)는 상기 음성을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변조부(60)에 인가한다. 변조부(60)에서는 상기 음성신호를 인가받아 변조하여 제2무선 송수신기(54)에 인가하고, 제2무선 송수신기(54)는 상기 변조된 음성신호를 RF 신호로 변화하여 셋 탑 박스 본체(12)의 RF 수신부(42)에 무선으로 전송하고, RF 수신부(42)는 상기 RF 신호를 전송받아 제1무선 송수신기(40)에 전송한다. 제1무선 송수신부(40)는 상기 RF 신호를 변조된 음성신호로 변환한 뒤에 외부 전화선로(16)로 전송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의 셋 탑 박스 본체(12)의 콘트롤러(36)는 셋 탑 박스 시스템의 전반적인 제어외에 제1무선 송수신기(40)를 제어하는 기능을 더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셋 탑 박스의 리모콘으로 전화 송수화를 가능하게 하여, 셋 탑 박스를 사용시에 사용자가 리모콘으로 전화 송수화를 할 수 있는 편리함을 주는 잇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 등록 청구의 범위와 실용신안 등록 청구의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

  1. 셋 탑 박스 시스템에서 셋 탑 박스의 리모콘을 이용한 전화 송수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셋 탑 박스 시스템의 셋 탑 박스 리모콘이 통상적인 셋 탑 박스 리모콘에서 사용되는 리모콘 발광부와 리모콘 IC외에, 통상적인 리모콘의 키입력부에 전화 다이얼링을 선택하는 키를 더구비하는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의 키입력에 대응하여 DTMF 신호를 발생하는 DTMF 발생부와, 음성이 인가되면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송화기와, 상기 송화기에서 발생한 음성신호를 변조하는 변조부와, 상기 DTMF 신호와 상기 변조된 음성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셋 탑 박스 본체에 무선으로 전송하거나 셋 탑 박스 본체로부터 RF 신호를 전송받아 변환하는 제1무선 송수신기와, 상기 제1무선 송수신기에서 변환된 신호를 인가받아 음성신호로 복조하는 복조부와, 상기 복조부로부터 음성신호를 인가받아 음성으로 변환하는 수화기와, 상기 셋 탑 박스 시스템의 셋 탑 박스 본체가 통상적인 셋 탑 박스 본체에서 사용되는 리모콘 수광부와 콘트롤러와 채널 디코더와 비디오 프로세서와 비디오 인코더외에, 상기 리모콘의 제1무선 송수신부로부터 전송되는 RF 신호를 수신하는 RF 수신부와, 상기 RF 수신부에서 수신된 RF 신호를 인가받아 변환하거나 외부 전화선로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는 제2무선 송수신기와, 상기 제2무선 송수신기에서 발생한 RF 신호 인가받아 리모콘의 제1무선 송수신기로 무선으로 전송하는 RF송신부와, 상기 셋 탑 박스 본체의 전반적인 제어와 제2무선 송수신기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셋 탑 박스의 리모콘을 이용한 전화 송수화 장치.
KR2019950054005U 1995-12-30 1995-12-30 셋 탑 박스의 리모콘을 이용한 전화 송수화 장치 KR01264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4005U KR0126419Y1 (ko) 1995-12-30 1995-12-30 셋 탑 박스의 리모콘을 이용한 전화 송수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4005U KR0126419Y1 (ko) 1995-12-30 1995-12-30 셋 탑 박스의 리모콘을 이용한 전화 송수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920U KR970047920U (ko) 1997-07-31
KR0126419Y1 true KR0126419Y1 (ko) 1998-11-02

Family

ID=19442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4005U KR0126419Y1 (ko) 1995-12-30 1995-12-30 셋 탑 박스의 리모콘을 이용한 전화 송수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641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064B1 (ko) * 2004-09-21 2011-06-23 주식회사 케이티 리모컨 겸용 인터넷 전화기를 일체로 구비한 셋탑박스장치 및 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920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3495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use with both a broadband distribution network and a telephone network
US6195548B1 (en) Method and systems for providing audio and video telephone communications using a personal computer and a television
US20090015726A1 (en) Receiver and receiving system provided therewith
KR0126419Y1 (ko) 셋 탑 박스의 리모콘을 이용한 전화 송수화 장치
FI86937C (fi) Telefonsystem
JP2005229495A (ja) 浴室テレビ等の制御装置
JP3781744B2 (ja) 無線通信端末装置の音声出力方法、無線通信端末装置
US20080313693A1 (en) Set top box, digital broadcast view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broadcast viewing system
KR100770568B1 (ko) Rf 리모컨을 이용한 다중출력 방송수신 시스템
KR200233492Y1 (ko) 전화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위성방송수신기
JPH02119489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0320162Y1 (ko) 텔레비젼, 비디오, 오디오의 리모콘 찾기
KR100202681B1 (ko) 무선 헤드폰 겸용 원격 제어장치
KR100651283B1 (ko) 원격제어시스템
KR101253163B1 (ko) 방송 수신기
KR100490434B1 (ko) 비디오와 오디오 신호간의 타임 딜레이를 해결한 무선송수신 시스템
KR20050017613A (ko) 무선송신장치 및 방법
JPH0575889A (ja) Catvホームターミナル用リモコン送信機
KR19980018105U (ko) 리모컨 기능이 마련된 무선전화 장치
KR19980021858U (ko) 리모콘을 이용한 원격 이어폰 수신기
JPH04336743A (ja) 遠隔制御システム
JPH011386A (ja) テレビドアホン装置
KR19990069692A (ko) 전화기능이 구비된 텔레비젼
JPH11298817A (ja) 通信衛星放送用チューナ制御装置
KR19990039706A (ko) 위성 방송 수신기의 모뎀통신을 이용한 피시통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