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292B1 - 음료 제조기 - Google Patents

음료 제조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292B1
KR0126292B1 KR1019890003450A KR890003450A KR0126292B1 KR 0126292 B1 KR0126292 B1 KR 0126292B1 KR 1019890003450 A KR1019890003450 A KR 1019890003450A KR 890003450 A KR890003450 A KR 890003450A KR 0126292 B1 KR0126292 B1 KR 0126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e
cam
arm
drive
beverage m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3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4057A (ko
Inventor
토마스 뉴만 알렉
차알스 벤틀리 앤드류
앤 킹 크리스틴
존 맥마혼 엘리스테어
윌리암 탄스리 로버트
로버트 깁스 앤드류
Original Assignee
크리스토퍼 케이. 캐쉬
제너럴 후드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리스토퍼 케이. 캐쉬, 제너럴 후드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크리스토퍼 케이. 캐쉬
Publication of KR890014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42Cartridge magazin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28Perforat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33Means to perform transfer from a loading position to an infus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92Means to read code provided on ingredient pod or cartrid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음료 제조기
도 1은 제1음료 제조기의 사시도.
도 2는 사용 중에 최상부 표면인 패키지 표면을 나타내는 부분적으로 절취된 도1의 기계에 사용하기 위한 패키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의 패키지의 하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의 기계 내에 저장된 4개의 적층 중의 하나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슬롯 도어가 밀폐된 상태로 있는, 패키지를 선택하기 전의 캠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패키지가 슬롯 내로 수동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슬롯 도어를 개방시키도록 후방 회전된 캠을 나타내는 도 5와 유사한 도면.
도 7은 패키지가 슬롯 내로 삽입되어 조합 스테이션을 향해 전방 구동된 후 슬롯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캠이 도6과 동일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패키지를 조합 스테이션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캠 및 아암 사이에 위치하는 마찰 커플링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캠이 도 7과 동일한 위치에 있는 도 8과 유사한 도면.
도 10는 아암이 패키지를 이동시키기 위해 도 8 및 도 9의 상기 아암 위치들 중의 중간에 위치하여 활주된 상태에 있는 마찰 커플링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평판 사이에 체결된 패키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패키지의 출구를 천공하기 위해 상승된 천공 바늘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발출되고 후방 선회된 천공 바늘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조합 사이클이 끝난 후의 패키지의 방출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물 및 공기 주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물 및 공기를 동시에 펌핑하기 위한 연동 펌프의 부분적으로 절취된 사시도.
도 17은 제2음료 제조기의 확대도.
도 18은 도 17의 기계에서 처리되는 패키지의 저면도.
도 19는 천공 공구의 절단 작용 및 절곡 작용을 나타내는 도 18의 선 19-19를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0 : 패키지16,209 : 삽입 지점
21,208 : 랙24,217,221,222 : 구동장치
30 : 아암35,243 : 단부 정지부
65 : 공급부87 : 폐기물 상자
120 : 환형부121 : 카운터보어
122,123,227,228 : 커플링222 : 기어
230 : 치형부.
본 발명은 음료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료 함유 패키지로부터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의 유럽 특허 출원 제87311325.2호에는 예컨대 커피와 같은 최소한 하나의 음료 성분을 포함하는 패키지가 기재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패키지는 대체로 공기 및 물의 불투과성 재료로 형성되고 밀봉된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음료 성분을 함유하는 격실 및 제조된 음료가 여과되어 외부 여과기의 필요성을 제거하도록 설계된 출구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럽 특허 출원 제87311325.2호에는 음료를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는데 있고, 상기 방법은 음료를 함유한 패키지를 조합 스테이션(brewing station)에 위치시키는 단계, 물 주입 장치를 통하여 물을 패키지 내로 주입하는 단계, 물이 음료 성분과 혼합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의 단계로 제조된 음료를 패키지 내에 형성된 출구를 통하여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음료 성분을 포함하는 패키지를 이용하여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는데, 상기 장치는 패키지를 제조기 내로 삽입하기 위한 삽입 지점과, 패키지에 필요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수성 매체(aqueous medium)가 공급되는 제조기 내의 조합 스테이션과, 삽입 지점에서 패키지를 결합시키고 또한 패키지를 조합 스테이션으로 이송시키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장치는 구동 부분과 패키지와 결합된 부분 사이의 커플링을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은 패키지에 대한 구동이 결합 및 분리될 수 있게 하며 또한 패키지와 결합된 부분을 구동 부분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패키지는 랙(rack)을 수반하고, 구동 장치는 마찰 커플링을 통해 캠에 의해 구동되는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아암은 패키지를 조합 스테이션의 예정된 위치로 구동시키기 위해 패키지 내의 랙과 결합되며, 또한 마찰 커플링은 아암이 캠에 대해 회전되도록 하여 아암에 대한 캠의 구동이 무효(overridden)가 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암은 캠과 동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아암과 캠 사이의 마찰 커플링은 아암이 회전에 대향하여 유지될 때 구동 결합을 벗어나 이동 가능한 아암 및 캠 상의 각각의 궁형면들을 포함한다.
아암은 캠 내의 카운터 보어 내에서의 회전을 위한 환형부를 가지고 있고, 궁형 면들은 아암의 환형부 상의 외측으로 돌출한 볼록면 및 캠의 카운터 보어 내의 내측으로 돌출한 오목면으로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패키지는 랙(rack)을 수반하고, 구동 장치는 패키지를 조합 스테이션의 예정된 위치로 구동시키도록 패키지 내의 랙과 결합되는 캠상의 치형부(tooth)로 구성되고, 캠을 구동하기 위한 커플링은 패키지에 의해 캠을 캠에 대한 구동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커플링은 바람직하게는 모터 구동부와 캠 중간의 기어로 구성되고, 상기 기어는 하나가 다른 하나를 구동하기 전에는 회전의 일부분에 걸쳐서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2개의 부품들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캠은 각각의 조합 사이클 동안에 1회전하여 기계의 부품들의 기능적인 운동들을 야기시킨다.
단부 정지부는 조합 스테이션에서 패키지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음료 제조 사이클의 완료 후에 사용된 패키지를 조합 스테이션으로부터 방출시키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고, 단부 정지부는 패키지가 조합 스테이션으로 이동될 때와 동일한 방향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접어 넣을 수 있다. 폐기물상자는 사용된 패키지들을 수집하기 위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기계는 패키지를 조합 스테이션에서 체결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
기계는 또한 제조된 음료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패키지 내에 출구 개구를 형성하기 위한 수단 또는 패키지 내의 밀봉된 출구를 개방시키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수성 매체로서 고온수 공급부, 및 공급부로부터 패키지 내로 물을 도입하기 위한 장치로 고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압축 공기를 패키지를 관통하게 통과시키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수성 매체를 주입하기 위한 장치와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패키지들을 저장하기 위한 장치 및 사용자가 저장장치로부터 필요한 패키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일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특정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술한다.
본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음료 성분을 보유하는 패키지를 제조기내로 삽입시키고 제조기는 요구되는 음료를 분배하게 되는 음료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기재된 특정 실시예에서, 음료는 예컨대, 로우스트/그라운드(roast and ground) 커피와 같은 커피이나, 제조기는 적당한 음료 패키지들로부터 예컨대, 차, 쵸콜렛 또는 수우프와 같은 다른 음료들을 분배하는 데에도 동등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냉수를 공급시, 제조기는 적합한 패키지의 삽입시 냉음료를 용이하게 분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적합한 패키지는 본 출원과 함께 계류 중인 유럽 특허 제87311325.2호의 명세서의 도 1 내지 도 6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본 패키지(본 출원의 도 2 및 3도)는 평평한 상부 및 바닥 표면들을 갖는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슬롯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제조기 내로 삽입시키기에 적합하다. 패키지(10)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강성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형성된 본체 부분(110)을 갖는데, 이는 본 실시예에서는 로우스트/그라운드 커피인 소정의 음료 성분을 보유하기 위한 격실(111)의 벽을 제공한다. 격실의 저부에는, 본 실시예에서는 알루미늄박으로 되어 있는, 가요성 재료의 바닥 밀봉층(118)(도 3)이 구비되어 있다. 본체 부분(110)은 또한 패키지의 선단부에서 물 입구(112)를 제공하는데, 상기 입구는 패키지의 상부에서 개구되며 패키지의 내부로 격실(111)의 바닥과 연통된다. 마찬가지로, 타단부에서 패키지의 바닥으로 개방되는 커피 출구(38)는 패키지의 내부로 통로(114)들과 상기 통로와 격실 사이의 슬롯(115)들을 통해 격실의 상부와 연통된다. 슬롯(115)들은 통로(114)를 격실(111)로부터 분할시키는 본체 부분(110)의 벽들 내의 케스텔레이션(116)들에 의해 한정된다. 본체 부분(110)의 전체의 상부 표면은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 부분의 주연부 둘레로 연속적으로 연부 밀봉된 알루미늄박의 밀봉층(119)(도 2)에 의해 덮혀있고, 또한 슬롯(115)들 사이의 케스텔레이션들에 스폿 밀봉되어 있다. 따라서 박판의 층(119)은 각각의 슬롯(115)의 상부 표면을 제공한다. 초기에, 출구공(38)도 역시 알루미늄박(117)(도 3)으로 별도로 밀봉된다. 이에 따라 커피는 저장 중에 패키지 내에 신선하게 유지된다. 사용시, 입구(112) 및 출구(38)는 개방되고 충분한 물이 가압하에 패키지를 통해 통과된다. 물은 입구(112)를 통해 격실(111)의 바닥 내로 아래로 이송되고, 커피 그라운드들을 통해 위로 분산되며, 여과된 커피는 칸막이의 상부로부터 슬롯(115)들을 통해 통로(114)내로 분배되고 출구(38)를 통해 출구 밑에 위치된 컵(40)내로 분배된다.
도 1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커피 분배기는 패키지(10)의 4개의 적층들을 힌지된 전방 판재(99) 후방에 나란히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분배기는 동전-작동식으로 되어 있으므로 동전을 슬롯(11)을 통해 삽입시키고, 특정 적층의 버튼(12)을 누름으로써, 적층과 관계된 방출 기구는 사용자에 의해 제거되도록 적층의 바닥 패키지를 트레이(14)내로 낙하시킨다. 패키지가 제공되지 않은 경우에는, 몇 가지 이유로 인해, 버튼(15)을 누름으로써 리세스(13)에서 동전을 회수할 수 있다.
또한, 동전-작동식 기구가 생략되거나 바이패스될 수 있으므로, 적당한 버튼(12)을 누름으로써 요구되는 패키지를 이용할 수 있다.
각각의 적층에 대한 방출 기구(도 4)는 전기 모터(91)에 의해 수평 평면 내에서 왕복, 회전 운동되도록 장착된 핑거(finger)(90) 장치를 포함한다. 핑거(99)들의 세트들은 패키지들의 기둥의 반대측에 배설되어 있으며, 각각의 세트는 위로 하나씩 이격 설치된 3개의 핑거(92,93,94)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세트의 핑거들은 고정식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부 및 중간 핑거(92,93)들은 수직으로 정렬되어 있으나, 바닥 핑거(94)는 상부 및 중간 핑거들에 대해 90℃로 변위되어 있다. 각각의 핑거들의 세트는 랙(96) 및 피니언(95)에 의해 회전되는데, 랙(96)들은 모터(91)의 작동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되고 스프링(98)에 의해 복귀되는 바닥 활주판(97)에 부착되어 있거나 상기 활주판의 일부분으로 되어 있다.
초기에, 최하부 패키지가 기계 내로 처음에 장전될 때, 상기 패키지는 하향하는,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키지를 횡단하는 4개의 상부 핑거(92)들 상에 안착된다. 버튼(12)의 누름에 의한 모터(91)의 작동은 판(97)을 후방 활주시켜 핑거들의 세트들을 한쪽에서 90℃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다른 쪽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 상부 및 중간 핑거(92,93)들은 최하부 패키지의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바닥 핑거(94)들은 패캐지의 내측으로 연장된다. 패키지들의 적층은 중력하에 4개의 바닥 핑거(94)들 상으로 낙하한다. 다음에 판(97)은 스프링(98)들에 의해 전방으로 복귀되는 것이 허용된다. 최하부 패키지는 트레이(14)내로 낙하하고, 다음의 패키지가 상부 핑거와 중간 핑거(92,93)들 사이에 유지된다. 기구가 매회 작동될 때마다, 최하부 패키지가 분배되고, 패키지들의 적층은 하나씩 아래로 전진한다.
저장 유니트의 한쪽에는, 기계 하우징 내의 슬롯(16)이 있고, 선택된 패키지(10)를 위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으며, 슬롯의 밑에는 자체의 내부로 커피가 분배되게 되는 컵(40)을 위한 리세스(17)가 있다. 패키지는 상기 패키지가 물을 보유하는 입구(112)의 선단 및 하향하는 자체의 출구(38)가 삽입되는 경우에만 수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를 위해, 슬롯의 측면들은 본 실시예의 특정 패키지 상의 각 플랜지(19)들의 수납을 위한 홈(18)들에 의해 형성된다. 패키지가 슬롯 내로 삽입될 때(도 6 참조) 패키지의 우측면 상의 플랜지는 패키지의 좌측면 상의 플랜지보다 더 큰 높은 치수를 갖는다. 패키지의 선단은 또한 노우즈(nose)(20)를 가지며 패키지의 우측면을 따라, 즉 두꺼운 플랜지(19) 내로 설정된, 리세스(21)들의 열을 형성하는 랙을 갖는데 상기 랙은 아암(30)의 크랭크식 단부(22)에 의한 결합을 위한 치형부들로서 작용을 하여 패키지를 기계 내의 조합 스테이션으로 구동시키는데 상기 스테이션 내에서 패키지의 노우즈(20) 상의 평면은 단부 정지부(35)와 결합된다.
정적 시동 위치에서, 단부 정지부(35)는 아래로 회동된 위치(도7)에 위치되어 있는데, 상기 위치에서 단부 정지부 상의 플랜지(81)는 스프링(86)에 의해 캠(83)의 면(82)에 대해 보유되고, 단부 정지부 상의 핀(84)은 캠 면(82)의 노치(85)와 결합된다. 따라서 단부 정지부(35)는 자체의 아래의, 작동 위치에 보유된다. 슬롯(16)은 또한 기계 케이싱의 내측의 수직으로 활주하는 도어(23)에 의해 밀폐된다. 조합 스테이션에는 역전 전기 모터(109)(도 7)에 의해 축 커플링(125)(도8)를 통해 구동되는 축(25)상에 장착된 캠(24)이 있다. 사용자에 의한 패키지의 선택은 모터(109)를 시동시켜 역방향으로 운전시키는데, 이는 캠(24)을 후방, 즉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캠 상의 견부(26)는 도어에서 후방 돌출한 핀(27)으로 결합되어 소정의 패키지(10)의 수납을 위한 슬롯(16)을 개방시키도록 도어(23)를 들어올린다. 캠(24)의 역회전은 마이크로 스위치(28)를 캠의 표면(29)으로부터 분리시킬 때 및 모터(109)를 끌 때 정지된다. 아암(30)은 마찰 커플링을 통해 캠(24)에 연결되어 있다. 특히 캠(30)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24)의 후방의 축(25)상에 장착되어 있고 캠의 후방 표면 내의 카운터보어(121) 내에 고정되는 환형부(120)(도 8 및 9도)를 갖는다. 환형부(120) 및 카운터보어(121)의 양 대면 표면들은 언더커트(undercut)되어 카운터보어 내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긴 오목면(123)과 마찰 결합 상태로 있는, 환형부(120)상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짧은 볼록면(122)을 제공한다. 환형부(120)와 아암(30)의 본체 부분의 연결부는, 볼록면(122)과 함께 정렬된 상태로 있는 예컨대, 밀링에 의한 궁형 슬롯(124)도 구비한다. 상기 슬롯(124)은 환형부(120)의 잔여부분에 의해 고정식 비임으로써 만곡식으로 지지되는 볼록면(122)을 발생시킨다. 조립 중에, 하나의 면에 의해 다른 면 상에 인가된 마찰력이 이들 사이의 구동 커플링 또는 마찰 커플링을 확실하게 하도록 아암(30)의 볼록면(122)은 캠(24)의 오목면(123)에 대해 예비 하중을 받는다. 따라서, 캠(24)이 후방 회전되어 도어(230를 개방시키면, 아암(30)은 캠에 의해 후방 정지부(31)에 대해 구동된다(도 6 및 8도). 따라서, 아암(30)의 단부(22)는 패키지가 기계 내로 삽입될 때 패키지 내의 리세스(21)들 위에 위치된다. 그 기구는 아래 패키지의 삽입을 기다리면서 정지하고 있다.
패키지(10)의 삽입시, 캠(24)은 마찰 커플링을 통해 아암(30)을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체의 위치로 전방 구동되고, 아암의 단부(22)는 패키지(10)내의 리세스(21)들의 하나와 결합되어 패키지를 단부정지부(35)에 대향하여 이동시킨다. 그러나, 캠(24)의 정상 연속 회전 동안에, 마찰 커플링은 캠의 면(123)이 캠(30)의 면(122)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또한 아암(30)의 단부(22)가 패키지(10)를 자체의 단부 정지부(35)를 향해 구동시켜서 패키지를 조합 스테이션에 위치시키는 단계 중에, 사용자가 패키지를 잡고 있거나 발출하게 되면 또는 슬롯(16)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패키지를 발출하게 되면, 마찰 커플링의 면(122)은 면(123)(도 10)에 대해 활주하게 되며, 사용자를 부상시킬 위험이 없이, 아암(30)은 중간 위치에 잔류시키고, 패키지가 발출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또는 적어도 아암의 단부에 의해 전방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마찰 커플링은 구동 장치가 무효로 되는(overidden) 것을 가능하게 하며 캠(24)은 계속 회전될 수 있다.
패키지(10)의 사용자에 의해 패키지(10)의 노우즈(20)는 측면 플랜지(19)가 슬롯의 홈(19)들 내에 결합된 상태로 삽입된다. 패키지는 또한 조합 스테이션에서 고정된 바닥판(33) 상에 안착된다. 패키지가 우측 홈의 벽면을 통해 돌출하는 제1마이크로 스위치(34)와 결합되기에 충분하도록 삽입될 경우에만 작동 사이클은 작동된다. 패키지가 마이크로 스위치(34)와 결합되게 되면 모터(109)를 작동시켜 캠(24)을 전방, 즉 도6의 시계 방향으로 구동시킨다. 아암(30)은 캠과 함께 운동하고 아암의 단부(22)는 패키지의 랙의 리세스(21)들 중 하나와 결합되어, 패캐지가 사용자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보유되지 않는 경우에는, 아암의 계속적인 전방 이동은 패키지의 노우즈가 단부 정지부(35)와 결합될 때까지 패키지를 바닥판(33)을 따라 구동시킨다(도 7 및 도 9). 동시에, 캠(24)의 전방의 이동은 도어(23)가 중력 하에 패키지 후방의 자체의 밀폐 위치 내로 낙하하는 것을 허용한다. 또한, 패키지가 단부 정지부(35)에 도달할 때 패키지는 우측 홈의 벽면을 통해 돌출하는 제2마이크로 스위치(36)(도 6)을 작동시켜 모터(109)를 정지시키고 이에 따라 캠을 전방 이동시킨다. 캠이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보유되게 되거나, 또는 단부 정지부(35)에 도달하지 않게 되면, 구동 장치는 무효로 되게 되고, 캠은 패키지가 재결합되고 단부 정지부(35)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 회전한다. 다음에 마이크로 스위치(36)가 작동되어 모터를 정지시킨다.
단부 정지부(35)에 대한 자체의 위치에서(도 7), 패키지로부터 하부의 컵(40)내로 직접 커피를 분배하기 위해 패키지는 자체의 출구(39)가 바닥판 내의 구멍(39) 상부에 있도록 바닥판(33) 상에 안착된다. 패키지의 상부에는 상판(41)이 있는데, 상기 판은 캠(24)에 의해 비작동 상승 위치와 작동 하강 위치(도 11) 사이로 수직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하강 위치에서 패키지는 판들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본 실시에에서, 상부판(41) 내에는 하향하는 출구 노즐(48)로 인도되는 입구 연결기(47)로 포함하는 물도입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노즐(48)은 상판(41)의 바닥면 밑으로 연장되어서, 상판(41) 하강될 때, 노즐(48)은 패키지의 입구(112)와 정렬된 알루미늄박 밀봉층(119) 내의 구멍을 천공하고 동시에 입구로 유입된다.
상판(41)의 하향 이동은 상판에 부착된 브래킷(44) 상에 장착된 캠 종동체(43)와 결합하는 캠(24)의 표면(42)에 의해 이루어진다. 사이클의 상기 단계에 있어서, 캠(24)의 회전은 마이크로 스위치(45)와 캠 표면(46)과의 결합에 의해 작동된다.
조합 사이클 중에 패키지를 통한 압력 하의 물의 통과로 인해 상판(41)으로 패키지를 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상판(41)이 표면 대 표면 접촉으로, 특히 슬롯(115)들 및 중첩된 케스텔레이션(116)들의 상부로, 전체의 밀봉층(119)을 덮는다는 사실은, 슬롯(115)의 선들을 따라 알루미늄박을 보강하는 작용을 하며 커피의 유동이 박판을 들어올리는 것에 대해 저항하여 슬롯들의 높이를 국소 확장시키게 되는데 이는 자체의 여과 특성에 역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패키지가 판(41,43)들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캠(24)의 계속적인 회전은 바늘(49)(도 12)을 작동시켜, 하향하는 패키지의 출구(38)의 하단부를 밀폐하는 밀봉 표면(117)(도 3)을 아래로부터 천공한다. 상기 목적을 위해서 바늘(49)은 위로 뾰족하게 되어 있고 축(51)의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 운동하도록 및 슬롯(52)의 경계들 내에서 왕복 수직 운동하도록 장착된 요크(50)에 의해 반송된다. 바늘(49)은 자체의 뾰족한 천공 단부(54)와 자체의 생크(55) 사이의 견부(53)를 갖는다. 패키지의 출구(38)는 또한 천공 작업 중에 바늘의 생크(55)를 수용하기 위한 카운터 생크부(120)(도 3)를 갖는다. 바늘은 요크(50)에 부착된 스프링(56)에 의해 자체의 최상 위치를 향해 압압되는데, 상기 스프링은 또한 캠(24)의 면(58)과 접촉상태에 있는 요크상의 돌출부(57)를 보유한다. 요크(50)를 보유하기 위해 레버(59)가 제공되어 있으므로, 바늘(49)은 스프링(56)의 힘에 대향하는 비작동 위치인, 자체의 최하 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서, 자체의 자유단부에 인접된 레버(59)는 요크상의 바아(60)와 결합하며, 캠(24)의 면(62)과 함께 결합하는 캠 종동체(61)를 갖는다. 캠의 면(62)에는 노치(63)가 있다.
캠(24)이 시계 방향으로 정상 회전하는 동안, 레버(59)와 캠(24)의 제1의 평평한 면(58a)의 조합에 의해, 바늘(49)은 아래로 보유되고 전방 회동되어, 패키지의 출구공(38) 밑의 위치로 위치된다(도 12). 캠 종동체(61)가 노치(63)와 결합될 때, 바늘이 출구를 밀폐하는 밀봉 표면(117)을 천공하도록 스프링(56)은 요크(50) 및 그 상부에 지지된 바늘(49)을 들어올린다. 밀봉 표면(117)을 형성하는 알루미늄은 상기와 같이 천공되고 자체의 파열된 연부들은 바늘의 생크(55)에 의해 내측으로 선회되어 출구(38)의 카운터보어(120)내에 깔끔하게 위치하게 된다. 이는 박판이 패키지의 출구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여, 조합 사이클의 적당한 단계에서 커피가 박판 상에 걸림이 없이 패키지 밖으로 유동할 수 있게 한다. 커피가 박판 연부에 접촉하게 되면, 커피는 균일한 유선으로 아래의 컵 내로 유동하지 않게 된다. 패키지의 출구를 천공한 후, 바늘(49)은 캠(24)의 계속적인 회전에 의해 후퇴되고, 패키지로부터 캠(24)의 제2의 평평한 면에 의해 컵 내로의 커피 유동 경로 밖으로 자체의 후방 회동된 위치(도 13)로 경사진다. 기구는 다음에 시간이 맞추어진 조합 사이클이 발생하도록 조절된다.
바늘(49)의 커피 경로 밖으로의 회동 운동은 중요하므로 바늘은 커피에 의해 접촉되지 않으며 따라서 오염되거나 또는 다음의 패키지의 출구(38)을 천공하기 전에 세척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물 입구 연결기(47)는 파이프(64)에 의해 탱크(65)에 연결되어, 본 실시예에서는 온수를 패키지로 공급한다(도 15). 탱크(65)는 턴디쉬(turndish)(132)를 통해 충전되는데, 플로우트(134)는 탱크가 충만될 때를 지시한다. 탱크(65)내의 히터 장치(110)는 항온식으로 제어되어 수온을 98℃로, 즉 비등점 바로 밑으로 유지시킨다. 또한 온도의 최소 손실은 탱크(65)를 떠나는 물과 패키지를 통한 자체의 통로 사이에서 발생하는 것이 적합하다. 상기 목적을 위해서, 파이프(64)는 짧은 것이 유리하며 패키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제공된 펌프(66)는 뜨거운 탱크 자체에 가능한 근접하게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펌프(66)는 탱크(65)의 상부의 연장부 상에 장착되어 있다. 펌프(66)는 모터(131)에 의해 작동되는 연동 펌프이다. 본 실시예에서, 펌프 하우징(94) 내에는 13개의 로울러(133)(도 16)들이 제공되어 있는데 상기 로울러들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모터(131)에 의해 구동되는 축(104)에 의해 반송되는 판(101,102)들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각각의 로울러(133)는 또한 일단부에 피니언(103)을 갖는데, 상기 피니언은 펌프 하우징에 부착된 정지 랙(105)과 맞물린다. 이에 따라, 로울러 조립체가 펌프 하우징 내에서 회전함에 따라 각각의 로울러(133)는 자체의 축을 중심으로 확실하게 회전된다. 로울러 조립체의 회전이 파이프(64)를 통한 물의 유동에 영향을 미치도록 파이프(64)는 로울러 조립체 주위로, 즉 로울러(133)들과 펌프 하우징의 내측 주연부 표면 사이로 반시계 방향으로 통과한다. 동시에, 펌프(66)의 로울러(133)들은 파이프(67)의 개방단부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데 상기 파이프도 역시 로울러 조립체 주위로(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통과하나, 펌프의 반대 측면으로부터 출발하여 파이프(64,67)들을 펌프의 로울러들 주위로 반대 방향으로 효과적으로 통과시킨다. 파이프(67)의 타단부는 저장기(68)(도 5)에 연결되어 저장기 내에 압축 공기를 생성시킨다. 적어도 로울러 조립체가 파이프(64,67)들을 전방 구동시키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각각의 파이프는 파이프의 제조 중에 형성된 일체로 돌출된 플랜지(107)를 갖는데 상기 파이프는 펌프 하우징의 내측 표면(106)내의 대응하는 형태로 된 홈(108)과 결합되어 각각의 파이프를 펌프 하우징 내에 확실하게 고정시킨다. 펌프(66)의 하류에서, 파이프(67)는 물 도입 노즐로 인도되고 솔레노이드 작동식 밸브(70)에 의해 제어되는 분기 파이프(69)를 갖는다. 따라서 펌프(66)는 한쪽에서는 물을 공급하고 다른쪽에서는 공기를 공급하는 2중 펌프로서의 역할을 하는데, 밸브(70)는 필요할 때까지 공기가 저장기(68)의 밖으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물이 저장기 내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조합 사이클의 시작시, 밸브(70)는 밀폐되어 있다. 펌프(66)는 물을 탱크(65)로부터 노즐(48)로 공급하도록 작동되고, 동시에 저장기(68)를 압축 공기로 충전한다. 노즐에 공급된 물은 패키지를 통해 여과되고, 여과된 커피는 천공된 출구를 통해 아래의 컵 내로 빠져나오게 된다. 다음에 펌프는 정지되게 되고, 밸브(70)는 개방된다. 이는 저장기로부터의 공기가 짧은 파열로 패키지를 통해 즉시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여 2가지 기능들을 수행한다. 이는 먼저 파이프(64)를 펌프의 하류에서 씻어내므로 물은 자체의 내부에 정지 상태로 잔존하지 않는다. 이는 또한 비교적 건조한 패키지를 이탈하는 패키지 자체를 같은 높이로 만든다. 또한, 펌프를 사용하여 압축 공기를 동시에 공급 물로 저장시키게 되면 공기가 시간의 지연이 없이 패키지가 통과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패키지를 같은 높이로 만드는 단계 중에, 중단(shut off) 펌프(66)는 공기 또는 물이 후방으로 통과하여 온수 탱크(65)내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정지 밸브로서 작용한다.
시간이 맞추어진 조합 사이클에 후속하여, 사용된 패키지는 조합 스테이션으로부터 제거된다. 패키지를 방출시키기 위해서, 상부판(41)은 캠(24)의 계속적인 회전에 의해 상승되며, 캠의 면(71)(도 11)은 상판에서 상향 연장되는 브래킷(74) 내의 구멍(73)의 하향해서 면하는 표면(72)과 결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캠(83)은 회전되어 핀(84)과 결합되므로 단부 정지부가 패키지의 상부로 올 때까지 단부 정지부(35)를 스프링(80)에 대향하여 들어올린다. 캠(83)은 단지 자체의 주연부 부분 주위에서만 치형부(76)들을 갖는 피니언(75)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캠(83)의 정지 위치에서, 치형부(76)들은 패키지가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지 않는다. 피니언/캠(75,83)에 구동 연결된 기어 휘일(77)은 피니언/캠과 함께 회전되도록 장착되어 있고 캠의 면(79)의 단지 일부분과, 부드럽게 되어 있는 다른 부분을 포함하는 주연부 치형부(78)들에 의해 구동된다. 또한 기어 휘일(77) 중 하나의 치형부는 언더커트되어 있으므로 상기 치형부를 피니언/캠(78,83)의 정지 기간 중에 캠의 면(79)의 부드러운 부분과 결합되도록 배열함으로써, 이에 따른 구동 연결은 효과적으로 체결된다. 그러나, 캠의 면(79)의 치형부(78)들이 기어 휘일(77)과 결합되도록 캠(24)이 회전할 때, 치형부(78)들은 기어 휘일을 회전시켜 피니언/캠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단부 정지부(35)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해제되고, 피니언(75)은 자체의 치형부(76)들이 패키지의 리세스들 또는 랙(21)과 결합되어 상기 랙을 바닥판(33)으로부터 폐기물 상자(87)내로 전방 구동시키도록 회전된다. 동시에 캠(24)은 아암(30)과 함께 구동 관계로 재결합되고 상기 아암을 전방 정지부(37)에 대향하여 전방 구동시키는데, 상기 위치에서 아암의 단부(22)는 패키지의 랙(21)으로부터 분리된다. 폐기물 상자 조합 사이클의 시작시, 밸브(70)는 밀폐되어 있다. 펌프(66)는 탱크(65)로부터 컵 리세스(17) 밑에 및 뒤에 배치되어 있고 힌지식 도어(100)를 통해 출입할 수 있다. 피니언/캠의 일회전 후에, 사용된 패키지는 조합 스테이션으로부터 제거되고, 핀(84)은 캠(83)의 노치(85)내에 재결합되며 이에 따라 단부 정지부가 자체의 하강, 작동 위치로 복귀되어 다음의 패키지를 기다리게 된다. 동시에, 캠(24)은 또한 천공 바늘(49)을 반송하는 요우크(50)가 자체의 정지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며, 상기 정지 위치에서 바늘은 다음의 패키지의 출구에 의해 점유되게 되는 수직 방향 아래의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사용에 앞서, 음료 제조 기계에는 본 발명에서 요구되는 음료 성분 도는 로우스트/그라운드 커피인 음료 성분들의 선택을 함유하는 패키지(10)들이 적재된다. 상판(41)은 상승되고, 단부 정지부(35)는 하강되며, 출구 천공 바늘(49)은 자체의 전방 회동된 위치에 있고, 슬롯 도어(23)는 밀폐되어 있다. 탱크(64)에는 히터(110)에 의해 고온 유지되는 물이 충전되어 있고, 밸브(70)는 밀폐되어 있다.
사용자는 동전을 삽입하고 각각의 버튼(12)을 눌러 필요한 패키지(10)를 선택한다. 패키지는 트레이(14)내로 낙하한다. 동시에 캠(24)은 모터(35)에 의해 작동되어 후방 회전하여 아암(30)을 자체의 후방 정지부에 대해 미리 조절하고 슬롯 도어(23)를 개방시킨다. 사용자는 컵을 리세스(17)내에 위치시키고, 패키지(10)를 슬롯(16)내로 마이크로 스위치(34)와 결합되기에 충분한 거리로 삽입시킨다. 이에 따라 캠(24)을 구동시키는 모터(109)가 작동되어 처리 프로세스를 시작한다. 캠(24)은 전방 회전되고, 아암(30)의 단부(22)는 패키지(10)의 랙(21)과 결합되어 패키지를 전방으로 바닥판 상의 위치로 구동시키는데, 상기 위치에서 패키지의 노우즈(20)는 단부 정지부(35)와 결합되고 패키지의 출구(38)는 천공 바늘(49)의 직상부에 위치된다. 상기 위치에서, 패키지는 마이크로 스위치(36)을 작동시켜 캠 모터(109)를 끄고, 조합 스테이션에 위치된다. 다음에 캠 모터는 상판(41)을 하강시키도록 작동되어 패키지를 확실하게 고정시키고 물 도입 노즐(48)을 패키지의 상부 표면(119)을 통해 삽입시키며, 다음에 천공 바늘(49)을 해제시켜 패키지의 출구를 개방시킨다. 다음에 바늘(49)은 출구로부터 후퇴되고 출구의 수직 평면의 밖으로 후방 회동된다.
다음에 조합 사이클이 후속된다. 펌프(66)는 압력하에 탱크(65)로부터의 고온수를 패키지(10) 내로 공급하고 동시에 저장기(68)를 압축 공기로 충전하도록 작동된다. 물은 패키지를 통과하고, 여과된 커피는 출구로부터 빠져나와 아래의 컵 내로 부드럽게 유동한다. 측정된 양의 물이 패키지로 공급된 후에, 펌프(66)는 정지되고 밸브(70)는 개방된다. 밸브(70)가 개방되면 저장기(68)가 즉시 비워지도록 하고, 패키지를 통과하는 공기의 파열은 펌프(66)의 하류의 파이프(65)로부터 및 견고하고 패키지 내의 배수된 그라운드들을 떠나는 패키지로부터 잔존하는 물을 비운다. 다음에 밸브(70)는 밀폐된다. 사용자가 자신의 커피 컵을 제거하는 동안, 캠 모터(109)는 다시 작동되어, 먼저, 상판(41)을 상승시킨다. 다음에 단부 정지부(35)는 보조캠(83)의 회전에 의해 상승된다. 사용된 패키지는 피니언(75)에 의해 결합되고 조합 스테이션으로부터 폐기물 상자(87)내로 방출된다. 다음에, 단부 정지부는 자체의 작동 위치로 다시 복귀하는 것이 허여되고, 동시에 천공 바늘은 자체의 전방 회동된 위치로 복귀하여 다음의 사용자에 의한 신규한 패키지의 삽입을 대기한다. 작동 사이클은 반복될 준비가 되어 있다.
도 17 내지 도 19는 도 1내지 도 16의 기계와 대체로 동일한 방법으로 작동하는 또 다른 커피 분배기에 관한 도면이다. 따라서, 기초적인 차이들만을 도시하였고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패키지(200)는 마찬가지로 자체의 선단에 인접된 패키지의 상부 표면 내의 물 입구(201), 및 기계를 통한 패키지의 이동 방향과 관계되는, 자체의 후단에 인접된 패키지의 하부 표면 내의 커피 출구(202)를 갖는다. 물 입구(201) 및 커피 출구(202)는 모두 초기에 알루미늄박(203,204)에 의해 각각 밀봉되어 있다. 커피 출구(202)의 경우(도 18 및 도 19), 박판(204)은 출구를 덮으며, 출구를 감싸는 표면 구역(256)에 대해서는 밀봉 하나 림(257) 자체는 밀봉하지 않는다. 구역(256)과 림(257) 사이에 트로프(trough)(258)가 있다. 패키지는 자체의 저부 부근의 비교적 얇은 주연부 플랜지(205) 및 노우즈형 선단(206)을 갖는다. 패키지의 우측면에서, 패키지가 기계 내로 삽입될 때, 랙을 구성하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수직 리브(208)들에 의해 두꺼운 플랜지(207)가 형성되는데, 상기 랙에 의해 패키지가 조합 스테이션으로 구동되고 다음에 이로부터 방출된다. 첫번째 2개의 리브들은 패키지의 노우즈를 향해 나머지 리브들에 대해 전방으로 이격 설치된다.
기계의 입구 슬롯(209)은 패키지의 우측면 상의 두꺼운 플랜지(207)를 보충하는 형태로 되어 패키지가 주위로 또는 거꾸로 잘못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입구 도어(210)가 기계 내의 슬롯(209) 뒤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도어는 패키지에 의해 자체의 상부 연부를 중심으로 내측으로 운동하도록 평행 측판(211)(이들 중 하나만이 도시되어 있음)들에 대해 힌지된다. 패키지가 삽입되고 조합 스테이션으로 내측으로 구동된 후에 도어는 중력에 의해 자체의 밀폐 위치로 복귀하고, 도어의 내측 표면상의 4분원(212)은 패키지의 후단에 대향하여 안착된다. 도어는 또한 자체의 정상부가 우측판(211)에 대해 회동하고, 자체의 작동 위치에서, 4분원(212) 상에 안착되는 3각형 부재(214)에 의해 체결된다. 체결 부재(214)의 자체의 작동 위치와 비작동 위치 사이의 스윙 운동은 구동 캠(217)내의 환형 트랙 또는 통로(216)내의 부재 상의 돌출부(215)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캠은 각각의 조합 사이클 중에 일회전한다. 트랙(216)은 돌출부(215)가 캠의 정지 또는 본래 위치에 위치되게 되는 구역(218)을 포함하며, 다음에 부재는 자체의 비작동 위치에 있게 되고 도어(210)는 체결되지 않는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캠(217)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표면(251)은 부재(214)를 압축하여 도어(210)를 체결하는데, 패키지가 기계내로 삽입된 후에, 상기와 같이 밀폐된다. 도어의 개방 및 밀페 중에 통로(220) 주위로 활주하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219)가 도어 상의 제2의 4분원(213)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219)는 문이 밀폐될 때 마이크로 스위치를 작동시켜 신호를 제어기로 보낸다.
캠(217)은 중간 기어(222), 기어(222)와 결합되는 모터축 상의 피니언(223), 및 캠에 고정된 기어 휘일(225)과 결합되는 기어(222) 상의 피니언(224)을 통해 모터(221)에 의해 구동된다. 중간 기어(222)는 2개의 별도의 부품(226,252)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 모두는 동일한 축(250)상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기어(222)의 부품(226)은 중심 리세스(260)를 감싸는 치형부들의 외측 링을 지지하며, 부품(252)은 리세스(260)내에 놓여 있는 판으로 구성되며 그 상부에는 피니언(224)이 장착되어 있다. 2개의 부품을 사이에 구동 커플링이 제공되어 있는데, 상기 커플링은 부품(252)의 판 상에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227)을 결합시키기 위해, 리세스(260)의 벽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는 부품(226)상의 돌출부(228)을 포함한다. 그러나 2개의 부품(226,252)들 사이의 자유로운 회전 운동이 가능하므로, 캠(217) 및 부품(252)은 또한 부품(226) 및 모터(221)를 회전시킴이 없이 패키지(20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해서, 패키지의 인도 리브(208)는 캠 상의 후방으로 접하는 표면(262)과 결합된다.
캠(217)은 또한 패키지(200)의 리브(208)들과 함께 결합되도록 도어 제어 트랙(216)의 외측 부분(229)의 주연부 둘레로 배치된 제2의 치형부들을 갖는다. 상기 제2의 치형부들은 패키지(200)의 제2리브(208)의 뒤에서 결합하여 패키지를 조합 스테이션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단일 치형부(230), 및 패키지의 후단부로 연장하는 다른 리브(208)들과 결합하여, 사용된 패키지를 방출시키기 위한 일련의 좁은 슬롯들 또는 치형부(231)들을 포함한다. 핀(261)이 또한 마지막 슬롯(231)을 바로 지나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마지막 슬롯은 패키지의 방출 중에 패키지를 마지막으로 밀어내는 작용을 한다. 치형부(230) 및 슬롯(231)의 중간에서, 캠의 연부(232)는 후방 절취되어 조합 사이클이 개입하는 동안 캠이 패키지의 상기 다른 리브(208)들 상부로 탑승하는 것을 허용한다.
패키지(200)가 조합 스테이션에 있을 때, 패키지는 아직 밀봉되어 있는 출구(202)와 함께 정렬된 절취부(234)를 갖는 통로형 하부판(233)의 저부 상에 평평하게 안착된다. 판(233)은 자체의 내측 단부에서 측판(211)들에 대해 힌지되고, 캐치형부(catch)(235)에 의해 수평으로 보유된다. 캐치형부(235)는 해제될 수 있고 판(233)은 예컨대, 잘못 공급된 패키지 또는 다른 물체들에 의해 차단되는 경우, 기계 수리를 위해서 또는 기계를 풀기 위해서 아래로 회동된다. 그러나, 기계의 정상 작동중에, 하부판(233)은 정지 상태로 남아있게 된다. 측판(211)들은 또한 통로형 하부판 내에서 아래로 연장되나, 판의 저부 상부에 간극을 제공한다. 상기 간극은 패키지의 각각의 종방향 연부 상의 주연부 플랜지(205)가 각각의 측판(211)의 하부 연부와 판의 저부 사이로 활주되는 것을 허용한다.
상부판(236)은 패키지(200)를 하부판(233)상에 고정하는데, 상부판을 패키지의 상부 표면에 대하여 표면접촉을 만들도록 평평한 하측면을 가지므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여과 슬롯들의 폭을 패키지에 유지시킨다. 또한,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상부판(236)은 기계의 물 도입 노즐(237)을 반송하는데, 이는 또한 판이 캠(217)에 의해 아래로 밀려질 때 패키지의 입구 밀봉체를 천공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수행을 위해서, 상부판(236)은 짧은 슬롯(238)들 자체의 외측 단부에서 힌지되는데, 이는 상부판의 상기 단부가 작은 크기로 수직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여 패키지에 요구되는 표면 접촉을 이루게 한다. 상부판(236)의 상부에는 캠(217)내의 원형 트랙 또는 통로(240)와 결합되는 횡단 바아(239)가 장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캠이 회전될 때, 트랙의 볼록 표면(241)은 판을 정지 위치로부터 하강시켜 패키지를 고정시킨다. 캠의 후방 돌출부에 의해 작동된 마이크로 스위치는 상부판이 완전히 하강될 때 제어기를 지시한다. 커피가 패키지로부터 분배된 후, 트랙의 오목 표면(242)은 판을 자체의 정지 위치보다 높은 위치로 상승시키는 작용을 한다.
패키지를 조합 스테이션에 위치시키기 위해 패키지(200)의 노우즈(206)에 의해 결합되도록, 상부판(236)의 하부 측면 상에는 상기 평판의 내측 단부에 인접하여 단부 정지부(243)가 제공되어 있다. 상부판이 상기 캠에 의해 완전히 상승되면, 말단 정지부는 패키지와 분리되어, 사용된 패키지가 하부판(233)으로부터 폐기물 상자 내로 방출되도록 한다. 동시에, 패키지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상부판의 내측 단부에 힌지된 플랩(244)을 개방시킨다.
플랩(244)은 작동기(245)를 반송하는데, 상기 작동기는 사용된 패키지가 폐기물 상자 내로 방출된 후 플랩이 자체의 수직 위치로 복귀되었을 때 마이크로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폐기물 상자가 너무 충만되어 플랩이 복귀될 수 없을 경우, 제조기는 폐기물 상자가 정화될 때까지 작동하지 않는다.
플랩(244)은 또한 패키지(200)의 커피 출구(202)를 덮고 있는 박판(204)을 천공하기 위해 사용되어, 밀봉된 출구를 개방시킨다. 상기 수행을 위해서, 하부판(233)의 아래 종방향으로 연장된 레버(246)는 하부판 상의 중심 피봇(247)을 중심으로 균형이 맞추어진다. 하부판 내 절취부(234) 아래의 레버(246) 단부 상에는 관형 천공 공구(248)가 장착된다. 레버가 상기 레버의 다른 단부에서 하방으로 가압되면, 공구(248)는 절취부를 통해 상승하여 출구(202)의 외측에서 패키지를 천공한다. 커피가 공급되는 동안 천공 공구(248)는 상승된 상태로 잔존하나, 커피의 경로 상에는 위치하지 않는다. 레버(246)의 상기 이동은 상부판(236)이 하부로 이동할 때 플랩(244) 상의 2개 수직 리브(249)의 하부 측면에 의해 수행된다. 공구의 복귀 이동은 커피가 분배된 후에 상부판(236)이 상승될 때 레버(246)의 인접 단부를 들어올리는 플랩(244)상의 수평 바아(250)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작동은 커피의 분배 전에 천공 바늘이 하강되어 출구 개구부(202)로부터 제거되는 제1실시예와는 다르다. 상기 이유로 인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천공 공구(248)는 출구(202)의 외측 치보다 큰 치수를 갖는 D형 단면으로된 개방 단부로된 실린더(255)를 포함한다. 공구(248)의 상단부의 궁형 부분(253)은 톱니 모양으로 되어 박판(204)을 전혀 제거함이 없이 천공하여 절단한다. 동일 단부의 직선 바아 부분(254)은 커피가 출구 개구부를 통하여 분배되기 전에 출구로부터 절단된 박판(204)를 절곡하거나 밀어내기 위해 톱니 부분의 치형부의 최소한 저부까지 실린더의 종방향으로 절취되어 있다. 공구(248)의 바아 부분(254)은 박판의 절단 부분을 트로프(258 ; 도 19)내에 유지시켜, 도 1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분배되는 커피의 경로의 외측으로 출구(202)를 제거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D형 공구(248)는 바아 부분(254)이 레버(246)를 횡단하고 궁형부분(253)보다는 레버의 인접 단부에 더욱 근접하도록 배열된다.
상기 실시예의 작동시, 사용자는 패키지(200)를 선택하고 분배되는 커피를 수집할 수 있도록 컵을 정렬시킨다. 다음에 사용자는 패키지를 삽입 슬롯(209)을 통하여 기계 내로 삽입시킨다. 도어(210)는 힌지 개방되고 마이크로 스위치를 작동시켜 제어기에 신호를 보낸다. 패키지의 전방 리브(208)는 캠의 표면(262)과 결합하고 모터(221)가 아닌 캠(217)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중간 기어(222)의 부품들(226,252) 사이의 구동 커플링에 의해 허용된 회전 운동의 자유도를 제공한다. 패키지의 후단부가 삽입 슬롯(209)과 같은 높이로 될 때, 패키지의 제2리브는 캠의 치형부(230)와 결합하도록 위치된다. 모터(221)는 구동되어 패키지가 치형부(230)에 의해 수단 내로 말단 정지부(243)까지 반입시키는데, 상기 말단 정지부는 패키지를 하부판(233)상의 조합 스테이션에 위치시킨다. 상기 지점에서 삽입 도어(210)는 패키지의 후단부에 대해 놓여 있는 4분원(212)에 접근할 수 있다. 캠(217)의 회전은 또한 다음 사이클이 시작될 때까지 도어(210)의 개방을 또한 방지하는 도어 록(214)을 작동시킨다.
패키지가 조합 스테이션에 있는 동안, 후방 절취된 연부(232)가 회전을 게속할 수 있으므로 캠(217)은 패키지의 제2리브로부터 분리된다. 캠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캠은 상부판을 상기 평판의 안착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이동시켜 패키지(200)를 2개의 평판(232,236) 사이에 체결시킨다. 상부판(236)과 패키지(200) 사이의 표면 접촉은 또한 패키지 내의 여과 슬롯의 폭을 유지시킨다. 패키지를 체결함과 동시에 물 도입 노즐(237)은 밀봉부(203)를 통해 패키지의 입구(201)내로 밀려진다. 상부판(236)의 하향 이동은 또한 천공 공구(248)가 박판(204)을 천공하고 절단하여 상기 박판을 트로프(258) 내로 절곡시킴으로써 커피 출구(202)를 개방시키도록 플랩(244)상의 수직 리브들(249)이 레버(246)를 회전시키게 한다. 이에 따라, 절단 재료 및 공구(248) 모두는 분배되는 커피의 경로 외측에 유지된다. 상부판(236)의 하향 이동이 종료되면, 캠(217)은 회전을 멈추고 제어기로의 신호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물 사이클을 개시한다.
조합 사이클이 종료되면, 캠(217)은 자체 회전을 계속하여 상부판(236)이 자체의 초기 위치보다 높은 위치로 올라가도록 한다. 이에 따라 말단 정지부(243)는 패키지(200)의 상부로 상승되고 레버는 천공 공구(248)를 하부판(233) 하향 복귀시키도록 회전된다. 캠 상의 구동 슬롯(231)은 다음에 패키지의 후방 리브세트(208)와 결합하며, 사용된 패키지가 하부판(233)을 플랩(244) 아래 및 폐기물 상자 내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패키지가 플랩(244)을 개방하면, 작동기(245)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작동시켜 제어기에 신호를 보낸다. 캠 상의 핀(261)은 패키지를 최종적으로 밀어내며 패키지가 하부판을 이탈하도록 한다. 패키지가 정화되면, 캠은 상기 캠의 본래 위치에서 정지한다. 플랩(244)의 밀폐가 실패되면, 폐기물 상자가 과다하게 차 있다는 신호를 발생시켜, 기계가 다른 패키지를 수납하여 다른 조합 사이클이 시작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특성 설명에 한정되지 않는다. 에컨대, 필요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해 물이 패키지를 통과하더라도, 예컨대, 설탕이 함유되거나 또는 제거된 물/우유와 같은, 패키지 내에서의 음료 성분으로 적합한, 임의의 수성 매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패키지(10)가 그를 통해 삽입되게 되는 슬롯(16)은 처리되는 특정 패키지에 대응하기 위해, 예컨대, 정방형 개구부와 같은 다른 형태의 구멍을 가질 수있다.
또한 물 또는 다른 수성 매체를 도입하기 위한 수단은 상부판(41)과 독립적으로 될 수 있다.

Claims (16)

  1. 패키지를 기계 내로 삽입하기 위한 삽입 지점과, 필요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패키지에 수성 매체가 공급되는 조합 스테이션과, 삽입 지점에서 패키지를 결합시키고 패키지를 조합 스테이션으로 이송시키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고,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음료 성분을 함유하는 패키지를 이용한 음료 제조기에 있어서, 구동 장치가 구동 부분과 패키지와 결합된 부분 사이에서 커플링을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은 패키지에 대한 구동이 결합 및 분리될 수 있게 하며 또한 패키지와 결합된 부분이 구동 부분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패키지는 랙을 수반하고, 구동 장치는 마찰 커플링을 통해 캠에 의해 구동되는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아암은 패키지를 조합 스테이션의 예정된 위치로 구동시키도록 패키지 내의 랙과 결합되고, 마찰 커플링은 아암이 캠에 대해 회전되도록 하여 아암에 대한 캠 구동이 무효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아암이 캠과 동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장착하며, 아암과 캠 사이의 마찰 커플링은 아암이 회전에 대항하여 유지될 때 구동 결합을 벗어나 이동 가능한 아암과 캠 상의 각각의 궁형 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아암이 캠 내의 카운터 보어 내에서의 회전을 위한 환형부를 가지고 있으며, 궁형 면들이 아암의 환형부상의 외측으로 돌출한 볼록면과 캠의 카운터 보어 내의 내측으로 돌출한 오목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패키지가 랙을 수반하고, 구동 장치는 패키지를 조합 스테이션의 예정된 위치로 구동시키도록 패키지 내의 랙과 결합되는 캠 상의 치형부를 포함하며, 캠을 구동하기 위한 커플링은 캠에 대한 구동으로부터 독립적으로 패키지에 의해 캠이 이동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기.
  6. 제5항에 있어서, 커플링은 모터 구동부와 캠 중간에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는 하나가 다른 하나를 구동하기 전에는 회전의 일부분에 걸쳐서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2개의 부품들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기.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캠은 각각의 조합 사이클 동안에 1회전하며 각각의 부품들의 기능적인 운동들을 야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기.
  8. 제1항,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조합 스테이션에서 패키지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단부 정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기.
  9. 제8항에 있어서, 음료 제조 사이클의 완료후에 사용된 패키지를 조합 스테이션으로부터 방출시키기 위한 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단부 정지부는 패키지가 조합 스테이션으로 이동되는 동일한 방향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후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사용된 패키지를 수집하기 위한 폐기물 상자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기.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패키지를 조합 스테이션에 체결하기 위한 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기.
  12. 제1항에 있어서, 패키지 내에 출구 개구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패키지 내의 밀봉된 출구를 개방시켜 제조된 음료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배출될 수 있게 하기 위한 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기.
  13. 제1항에 있어서, 수성 매체의 고온수 공급부와, 공급부로부터 패키지 내로 물을 주입하기 위한 장치로 고온수를 급송하기 위한 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패키지를 통해서 압축 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압축 공기를 패키지로 통과시키기 위한 장치가 수성 매체를 주입하기 위한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기.
  16.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패키지들을 저장하기 위한 장치와, 사용자가 저장장치로부터 필요한 패키지를 선택하도록 하는 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기.
KR1019890003450A 1988-03-21 1989-03-20 음료 제조기 KR01262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806670 1988-03-21
GB888806670A GB8806670D0 (en) 1988-03-21 1988-03-21 Beverage preparing machin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057A KR890014057A (ko) 1989-10-21
KR0126292B1 true KR0126292B1 (ko) 1997-12-19

Family

ID=10633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3450A KR0126292B1 (ko) 1988-03-21 1989-03-20 음료 제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873915A (ko)
EP (1) EP0334571A1 (ko)
JP (1) JP2874757B2 (ko)
KR (1) KR0126292B1 (ko)
CA (1) CA1300905C (ko)
GB (1) GB8806670D0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906320D0 (en) * 1989-03-20 1989-05-04 Gen Foods Ltd Beverage packages
US5110469A (en) * 1990-06-29 1992-05-05 Kraft General Foods, Inc. Coffee grounds disposal unit
CA2061106A1 (en) * 1992-02-12 1993-08-13 Rodney Lewis Baxter Beverage preparing assemblies
IT1310537B1 (it) * 1999-02-22 2002-02-18 Simac Vetrella Spa Macchina per la produzione di caffe' espresso
US7418899B2 (en) 2001-02-08 2008-09-02 Kraft Foods R & D, Inc. Cartridg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CA2439991C (en) 2001-03-16 2007-05-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everage brewing devices for preparing creamy beverages
DE20105672U1 (de) * 2001-03-31 2001-09-13 Eugster Frismag Ag Romanshorn Espressobrüheinrichtung
WO2003030696A1 (en) * 2001-10-05 2003-04-17 Hp Intellectual Corp. Coffee maker
US20040045443A1 (en) * 2002-06-19 2004-03-11 Lazaris Nicholas G. Disposable beverage filter package
US7340990B2 (en) 2003-01-24 2008-03-11 Kraft Foods R & D, Inc. Cartridge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US7592027B2 (en) 2003-01-24 2009-09-22 Kraft Foods R & D, Inc.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US7533604B2 (en) 2003-01-24 2009-05-19 Kraft Foods R & D, Inc. Cartridge system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id system
US7213506B2 (en) 2003-01-24 2007-05-08 Kraft Foods R & D, Inc. Cartridg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GB2397500B (en) * 2003-01-24 2005-03-23 Kraft Foods R & D Inc Cartridg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US7231869B2 (en) 2003-01-24 2007-06-19 Kraft Foods R & D Inc. Machin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US7322277B2 (en) 2003-01-24 2008-01-29 Kraft Foods R & D, Inc. Cartridge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US7640843B2 (en) 2003-01-24 2010-01-05 Kraft Foods R & D, Inc. Cartridge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US7219598B2 (en) 2003-01-24 2007-05-22 Kraft Foods R & D, Inc. Cartridg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US7287461B2 (en) 2003-01-24 2007-10-30 Kraft Foods R & D, Inc. Cartridg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US7243598B2 (en) 2003-01-24 2007-07-17 Kraft Foods R & D, Inc. Cartridg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US7328651B2 (en) 2003-01-24 2008-02-12 Kraft Foods R & D, Inc. Cartridg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US7607385B2 (en) 2003-01-24 2009-10-27 Kraft Foods R & D, Inc. Machin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US7533603B2 (en) 2003-01-24 2009-05-19 Kraft Foods R & D, Inc. Cartridg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GB2397494B (en) 2003-01-24 2005-03-02 Kraft Foods R & D Inc Cartridg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cartridge
US7097074B2 (en) 2003-01-24 2006-08-29 Kraft Foods R&D, Inc. Machin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US7255039B2 (en) 2003-01-24 2007-08-14 Kraft Foods R & D, Inc. Machin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US7316178B2 (en) 2003-01-24 2008-01-08 Kraft Foods R & D, Inc. Machin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GB2411105B (en) * 2004-02-17 2006-08-30 Kraft Foods R & D Inc An insert and a system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GB2413480B (en) * 2004-02-17 2006-08-30 Kraft Foods R & D Inc An insert and a system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GB2411106B (en) 2004-02-17 2006-11-22 Kraft Foods R & D Inc Cartridge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GB2413479B (en) * 2004-02-17 2006-06-28 Kraft Foods R & D Inc An insert and a system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GB2447024A (en) 2007-02-27 2008-09-03 Kraft Foods R & D Inc A dispensing machine for hot or cold drinks
ITMC20070095A1 (it) * 2007-05-11 2007-08-10 Dario Marinozzi Cialda e camicia personalizzate per macchina da bevande calde.
GB2449421B (en) * 2007-05-18 2009-09-09 Kraft Foods R & D In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GB2449422B (en) 2007-05-18 2009-09-16 Kraft Foods R & D In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GB2463350B (en) * 2007-05-18 2010-07-28 Kraft Foods R & D In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GB2449630B (en) 2007-05-18 2010-01-06 Kraft Foods R & D Inc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and methods for operating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GB2449213B (en) 2007-05-18 2011-06-29 Kraft Foods R & D In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and beverage cartridges
GB2454656A (en) * 2007-11-09 2009-05-20 Kraft Foods R & D Inc A beverage cartridge
EP2233051B1 (en) * 2009-03-27 2014-05-07 Kraft Foods R & D, Inc. Beverage concentrates
WO2012048728A1 (en) * 2010-10-11 2012-04-19 Sara Lee/ De B.V.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from a capsule
CN103260484B (zh) * 2010-08-13 2016-07-06 皇家戴维艾格伯茨有限公司 用包囊制备饮料的装置、系统及方法
USD637484S1 (en) 2010-09-02 2011-05-10 Keurig, Incorporated Beverage cartridge
US8361527B2 (en) 2010-09-02 2013-01-29 Keurig, Incorporated Beverage cartridge
USD647398S1 (en) 2010-09-02 2011-10-25 Keurig Incorporated Beverage cartridge
USD647399S1 (en) 2010-09-02 2011-10-25 Keurig, Incorporated Beverage cartridge
ES2564666T3 (es) * 2010-11-11 2016-03-28 Nestec S.A. Cápsula y sistema para la preparación de un producto nutricional
USD694620S1 (en) 2011-03-08 2013-12-03 Kraft Foods R&D, Inc. Beverage cartridge
GB2488799A (en) 2011-03-08 2012-09-12 Kraft Foods R & D Inc Drinks Pod without Piercing of Outer Shell
GB2489409B (en) 2011-03-23 2013-05-15 Kraft Foods R & D Inc A capsule and a system for, and a method of, preparing a beverage
USD708057S1 (en) 2012-09-10 2014-07-01 Kraft Foods R & D, Inc. Beverage cartridge
USD697797S1 (en) 2012-09-12 2014-01-21 Kraft Foods R&D, Inc. Beverage cartridge
US20150257586A1 (en) * 2014-03-11 2015-09-17 Starbucks Corporation Dba Starbucks Coffee Company Single-serve beverage production machine
AU2015325097B2 (en) 2014-10-01 2019-12-05 Kraft Foods Group Brands Llc Coffee pod
USD757536S1 (en) 2014-10-01 2016-05-31 Kraft Foods Group Brands Llc Container
US20170252996A1 (en) * 2016-03-03 2017-09-07 Juicero, Inc. Juicer cartridge with secondary flow channel
US11635073B2 (en) * 2017-12-18 2023-04-25 Flex Ltd. Linear peristaltic pump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15384A (en) * 1949-06-30 1952-10-28 Frank S Ranz Automatic beverage maker
US2883922A (en) * 1956-12-13 1959-04-28 Apco Inc Hot beverage machine
US3181734A (en) * 1962-05-14 1965-05-04 Gen Foods Corp Container structure
US3295998A (en) * 1962-05-28 1967-01-03 Vendcor Inc Apparatus for preparing and dispensing hot potables
DE2129070B2 (de) * 1971-06-11 1974-08-29 Joh. Jacobs & Co Gmbh, 2800 Bremen Vorrichtung zur maschinellen Zubereitung eines Kaffeegetränks aus über eine Fördereinrichtung einer Brühstation zugeführten Kaffeeportionen
US4134332A (en) * 1977-01-31 1979-01-16 Merman Richard J Continuous beverage brewer
CH664886A5 (fr) * 1985-04-30 1988-04-15 Nestle Sa Appareil pour la confection automatique d'une boiss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057A (ko) 1989-10-21
GB8806670D0 (en) 1988-04-20
JPH029362A (ja) 1990-01-12
US4873915A (en) 1989-10-17
JP2874757B2 (ja) 1999-03-24
EP0334571A1 (en) 1989-09-27
CA1300905C (en) 199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6292B1 (ko) 음료 제조기
KR0126290B1 (ko) 음료 제조 방법 및 음료 제조기
KR0126291B1 (ko) 음료 제조 방법 및 음료 제조기
US4990352A (en) Method for preparing beverages
KR101271789B1 (ko) 신선한 고온 음료를 위한 자동 포드 이송기 및 추출기 조립체
US20220205296A1 (en) Container for preparation of a beverage and machine for automated filling of the container
KR101225896B1 (ko) 개선된 음료 준비 기계 및 음료 카트리지
RU2279242C2 (ru) Система переноса отдельных упаковок кофе из контейнера в камеру экстрагирования машины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кофе "эспрессо"
CA1206450A (en)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HUT70698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coffee making
KR101229666B1 (ko) 음료 준비 기계
KR101218432B1 (ko) 음료 준비 기계
EP2747608B1 (en) Long-lasting cartridge piercer
US8490542B2 (en) Automatic single cup brewing vender
JP2014509537A (ja) カバーおよび原材料入口を有する飲料マシン
WO2006126230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beverages, in particular coffee, from single portion packages
KR102218870B1 (ko) 브루잉 모듈 및 장치
JPH0368685B2 (ko)
KR20180069902A (ko) 식품 재료를 포함하는 캡슐에 온수를 통과시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KR20040105374A (ko) 단위포장된 차(茶)류 자동 판매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