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257Y1 - 흄관 연결부용 받침대 - Google Patents

흄관 연결부용 받침대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257Y1
KR0126257Y1 KR2019950005166U KR19950005166U KR0126257Y1 KR 0126257 Y1 KR0126257 Y1 KR 0126257Y1 KR 2019950005166 U KR2019950005166 U KR 2019950005166U KR 19950005166 U KR19950005166 U KR 19950005166U KR 0126257 Y1 KR0126257 Y1 KR 01262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me pipe
pedestal
fume
support
plat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51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1649U (ko
Inventor
변무원
Original Assignee
변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무원 filed Critical 변무원
Priority to KR20199500051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6257Y1/ko
Publication of KR9600316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16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2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2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흄관 연결부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경질의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굴신되는 정도의 두께 및 폭을 가지는 판체부(10)와 상기 판체부(10)의 하부 양측단이 지면에 접지되어 지탱하여 주도록 돌출되는 지지부(20)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판체부(10)의 하부 양측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부(20)의 중앙에 각각 보강철심(30)이 일체로 매립되도록 구성됨으로서, 첫째, 수밀벨트로 감싸져 맞대어지게 연결된 흄관 상호간이 부등침하됨이 없이 바르게 연결된 상태가 유지되어, 흄관 연결부의 기밀성 및 수밀성이 확보되고, 둘째 판체부가 흄관의 자중에 의하여 굴신되면서 흄관 연결부위를 받치게 되므로 다양한 크기의 흄관을 융통성 있게 받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흄관 연결부용 받침대
제1도는 종래의 소켓 연결식 흄관 연결부 시공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제2도는 종래의 칼라 연결식 흄관 연결부 시공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제3도는 종래의 수밀벨트 연결식 흄관 연결부 시공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제4도는 종래의 수밀벨트 연결식에 의한 부등침하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상하로 부등침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b)는 좌우로 부등침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흄관 연결부용 받침대를 도시한 일부절결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흄관 연결부용 받침대를 도시한 일측면도.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흄관 연결부용 받침대로 흄관 연결부가 받쳐진 상태를 도시한 일부절결 정면도.
제8도는 본 고안에 따른 흄관 연결부용 받침대로 흄관 연결부가 받쳐진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9도는 본 고안에 따른 흄관 연결부용 받침대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10도는 본 고안에 따른 흄관 연결부용 받침대의 제1실시예로 흄관 연결부가 받쳐진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1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흄관 연결부용 받침대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1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흄관 연결부용 받침대의 제2실시예로 흄관 연결부가 받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흄관 2 : 소켓
3 : 칼라 4 : 수밀벨트
10 : 판체부 10a : 연접면
11 : 걸림턱 12 : 돌기
20 : 지지부 30 : 보강철심
100 : 받침대
[산업상 이용분야]
본 고안은 흄관 연결부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수 또는 오수 등의 배수를 위하여 지중에 매설되는 흄관의 연결부위를 받쳐주어 맞물리도록 연결되는 흄관 상호간의 부등침하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관경크기에 구애됨이 없이 다양한 규격의 흄관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흄관 연결부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일반적으로 흄관은 지중에 매설되어 하수 및 오수를 배수시키며, 이러한 흄관의 연결부는 누수 발생의 우려가 상존하는 만큼 기밀성 및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보다 정밀한 시공이 요구되는 부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흄관 연결부 시공중 하나인 소켓 연결식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흄관(1) 자체에 형성된 소켓(2)에 연결 배관되고, 이때의 소켓(2)은 지면에 접지된 상태에서 흄관(1) 상호간을 받치는 받침대의 기능을 가지게 되어, 연결된 상태의 흄관(1) 상호간이 엇갈리는 현상인 부등침하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흄관 연결부 시공중 하나인 칼라 연결식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경이 동일한 흄관(1) 상호간이 대접된 외주면이 칼라(3)로써 감싸져 연결 배관되고, 이때의 칼라(3)는 지면에 접지된 상태에서 흄관(1) 상호간을 견고하게 받치는 받침대의 기능을 가지게 되어, 연결된 상태의 흄관(1) 상호간이 엇갈리는 현상인 부등침하를 방지하게 된다.
한편, 흄관 연결부 시공중 하나인 수밀벨트 연결식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경이 동일한 흄관(1) 상호간이 맞물려져 대접된 외주면에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수밀벨트(4)로써 감싸져 연결 배관된다.
[종래기술의 문제점]
상기한 바와 같은 수밀벨트 연결식 흄관 연결방법에 있어서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 재질로 제조되는 수밀벨트(3)는 흄관(1)을 지탱하여 받쳐주기에는 역부족으로, 흄관(1) 상호간이 바르게 연결된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고, 상하 또는 좌우로 엇갈리는 현상인 부등침하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수밀벨트 연결식으로 흄관(1)을 지중에 매설할 때는, 상기 흄관(1) 상호간이 바르게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여 기밀성 및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흄관 연결부위를 받치는 받침대가 필요하게 되었다.
[목적]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밀벨트 연결식으로 연결되는 흄관 연결부를 견고하게 받쳐주도록 하여, 첫째, 흄관 상호간이 부등침하되어 엇갈리는 일이 없이 바르게 연결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둘째, 다양한 규격의 흄관에 맞추어 융통성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흄관 연결부용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흄관 연결부용 받침대는 경질의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굴신되는 정도의 두께 및 폭을 가지는 판체부와 상기 판체부의 하부 양측단이 지면에 접지되어 지탱하여 주도록 돌출되는 지지부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판체부의 하부 양측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부의 중앙에 각각 보강철심이 일체로 매립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구성]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흄관 연결부용 받침대를 도시한 일부절결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흄관 연결부용 받침대를 도시한 일측면도,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흄관 연결부용 받침대로 흄관 연결부가 받쳐진 상태를 도시한 일부절결 정면도, 제8도는 본 고안에 따른 흄관 연결부용 받침대로 흄관 연결부가 받쳐진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9도는 본 고안에 따른 흄관 연결부용 받침대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10도는 본 고안에 따른 흄관 연결부용 받침대의 제1실시예로 흄관 연결부가 받쳐진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1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흄관 연결부용 받침대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1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흄관 연결부용 받침대의 제2실시예로 흄관 연결부가 받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흄관 연결부용 받침대는 경질의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굴신되는 정도의 두께 및 폭을 가지는 판체부(10)와 상기 판체부(10)의 상기 판체부(10)의 하부 양측단이 지면에 접지되어 지탱하여 주도록 돌출되는 지지부(20)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판체부(10)의 하부 양측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부(20)의 중앙에 각각 보강철심(30)이 일체로 매립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흄관 연결부용 받침대는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흄관(1)의 연결부위 저부에 받침대(100)를 설치하여, 상기 받침대(100)의 판체부(10)가 흄관(1)의 자중에 의하여 눌리면서 받치도록 하여, 수밀벨트)(4)로서 감싸져 맞대어지는 연결된 흄관(1) 상호간이 부등침하됨이 없이 바르게 연결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받침대(100)의 판체부(10)가 흄관(1)의 자중에 의하여 굴신되면서 연접면(10a)을 이르면서 흄관(1) 연결부위를 받침으로써, 흄관(1)의 관경 크기에 구애됨이 없이 다양한 규격의 흄관(1)을 융통성 있게 받쳐줄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흄관 연결부용 받침대는 흄관(1)에 의하여 판체부(10)가 눌려지는 힘에 의하여 지지부(10)가 외측으로 벌어져 유동될 때, 매립된 보강철심으로 내력을 가지는 지지부(20)가 임의로 변형되거나 뒤틀리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판체부(10)의 하부 양측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부(20)의 중앙에 각각 보강철심(30)이 일체로 매립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20)의 끝단 모서리를 라운딩 처리하여 상기 지지부(20)가 눌려지는 판체부(10)에 의하여 벌어질 때 지면과 마찰력을 최소화 시키고 접지력이 상승되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흄관 연결부용 받침대의 제1실시예는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체부(10)의 하부 양측단은 지지부(20)로부터 수직 상부로 연장되어 판체부(10) 상부로 돌출되는 걸림턱(11)이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흄관 연결부용 받침대의 제1실시예는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흄관(1)의 자중에 의하여 눌리는 판체부(10)가 굴신되면서 상기 판체부(10) 상부로 돌출된 걸림턱(11)이 흄관(1)의 연결부위를 압착하는 쐐기 역할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연결된 상태의 흄관(1) 상호간이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흄관 연결부용 받침대의 제2실시예는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체부(10)의 상부면에 그 양측단에 돌출되는 걸림턱(11)과 동일높이로 등간격으로 수개의 돌기(12)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11)을 포함하는 돌기(12)의 상부측이 연접면(10a)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흄과 연결부용 받침대의 제2실시예는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체부(10) 상부에 돌출되는 돌기(12)들이 흄관(1)의 연결부위 저부전체가 균등하게 압착되어, 더욱 확실하게 흄관(1) 상호간이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관경이 작은 흄관(1)을 받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흄관 연결부용 받침대는 지면에 접지되는 지지부(20)로 지탱되는 판체부(10)가 흄관(1)의 자중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굴신됨에 따라, 상기 판체부(10)의 상부측이 흄관(1)의 외경과 밀착되는 연접면(10a)을 이루면서 탄력적으로 받쳐주게 된다.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흄관 연결부용 받침대는 첫째, 수밀벨트로 감싸져 맞대어지게 연결된 흄관 상호간이 부등침하됨이 없이 바르게 연결된 상태가 유지되어, 흄관 연결부의 기밀성 및 수밀성이 확보되고, 둘째 판체부가 흄관의 자중에 의하여 굴신되면서 흄관 연결부위를 받치게 되므로 다양한 크기의 흄관을 융통성 있게 받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경질의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굴신되는 정도의 두께 및 폭을 가지는 판체부(10)와 상기 판체부(10)의 하부 양측단이 지면에 접지되어 지탱하여 주도록 돌출되는 지지부(20)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판체부(10)의 하부 양측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부(20)의 중앙에 각각 보강철심(30)이 일체로 매립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흄관 연결부용 받침대.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체부(10)의 하부 양측단은 지지부(20)로부터 수직 상부로 연장되어 판체부(10) 상부로 돌출되는 걸림턱(1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흄관 연결부용 받침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체부(10)의 상부면에 그 양측단에 돌출되는 걸림턱(11)과 동일 높이로 등간격으로 수개의 돌기(12)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11)을 포함하는 돌기(12)의 상부측이 연접면(10a)을 이루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흄관 연결부용 받침대.
KR2019950005166U 1995-03-22 1995-03-22 흄관 연결부용 받침대 KR01262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5166U KR0126257Y1 (ko) 1995-03-22 1995-03-22 흄관 연결부용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5166U KR0126257Y1 (ko) 1995-03-22 1995-03-22 흄관 연결부용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1649U KR960031649U (ko) 1996-10-24
KR0126257Y1 true KR0126257Y1 (ko) 1998-10-15

Family

ID=19409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5166U KR0126257Y1 (ko) 1995-03-22 1995-03-22 흄관 연결부용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62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061B1 (ko) * 2008-05-21 2011-03-22 송병덕 관로용 재생 경량기초구조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매설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8458B1 (ko) * 2003-06-30 2005-10-04 김은주 반원형 배수로관의 연결용 거푸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4061B1 (ko) * 2008-05-21 2011-03-22 송병덕 관로용 재생 경량기초구조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매설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1649U (ko) 199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0966A (en) Drainage channel
US2935349A (en) Seal
IE60215B1 (en) A mould and sealing ring
US1804478A (en) Multiple conduit and spacing supports therefor
GB2033293A (en) Protecting pipe sealing areas
KR0126257Y1 (ko) 흄관 연결부용 받침대
KR200236485Y1 (ko) 높이 조절식 맨홀 조립체
RU2189518C2 (ru) Уплотнительное кольцо для трубы из полимер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меющей внешние гофры
KR200174059Y1 (ko) 지수판 연결 구조물
KR200258946Y1 (ko) 브이 블록형 지하 구조물의 이음구조
US1859864A (en) Conduit
KR200368081Y1 (ko) 분기관 연결구조
KR100356702B1 (ko) 벽부용 아웃렛 박스
KR950005532Y1 (ko) 흄관 연결구
KR960009113Y1 (ko) 소켓용 보강링이 구비된 콘크리트 흄관
KR20010027821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JPS6347226Y2 (ko)
AP900A (en) Pipe fitting.
KR900011059Y1 (ko) 맨홀동체의 관로접속구용 조립식봉합편
JPH0523702Y2 (ko)
KR930003669Y1 (ko) 오수 배수관의 연결장치
KR100585842B1 (ko) 상하수도관용 커플러
KR200343963Y1 (ko) 상하수도관용 커플러
KR200172843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KR19990024523A (ko) 주하수관과 분기하수관의 연결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0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