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113Y1 - 소켓용 보강링이 구비된 콘크리트 흄관 - Google Patents

소켓용 보강링이 구비된 콘크리트 흄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113Y1
KR960009113Y1 KR2019940012581U KR19940012581U KR960009113Y1 KR 960009113 Y1 KR960009113 Y1 KR 960009113Y1 KR 2019940012581 U KR2019940012581 U KR 2019940012581U KR 19940012581 U KR19940012581 U KR 19940012581U KR 960009113 Y1 KR960009113 Y1 KR 9600091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reinforcing ring
fume pipe
concrete
concrete f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25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3755U (ko
Inventor
전채성
전대용
Original Assignee
대광콘크리트 주식회사
전채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광콘크리트 주식회사, 전채문 filed Critical 대광콘크리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125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113Y1/ko
Publication of KR9500337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37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1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1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8Rigid pipes of concrete, cement, or asbestos cement,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16L9/085Reinforc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소켓용 보강링이 구비된 콘크리트 흄관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절결 사시도.
제2도는 제2도의 정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부착수단이 형성된 보강링이 접합된 상태의 일부 정단면도 (b)는 패킹홈이 형성된 보강링이 접합된 상태의 일부 정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흄관이 연결배관된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관체부 20 : 소켓부
30 : 삽입부 40 : 금속보강링
40a : 단턱부 41 : 고리부
42 : 패킹홈 43 : 돌출앵커
본 고안은 콘크리트 흄관의 소켓부 내면에 일체로 접합되는 보강링을 구비하여 소켓부의 구조적 강도를 증대시켜주어 제품의 신뢰성을 재고하여 주는 소켓용보강링이 구비된 콘크리트 흄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흄관은 각종의 오수 또는 하수등을 배수하여주도록 연결배관하여 지중에 매설되며, 이러한 콘크리트 흄관은 그 사용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로 만들어져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같이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지는 콘크리트 흄관중의 하나인 평면형태의 흄관에 있어서는, 관체부가 전체적으로 평활면을 이루도록 성형되기 때문에 제작이 간편하며, 비교적 저렴한 제품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평면형태의 흄관은 연결수단이 배려돼 있지 않으므로, 연결배관에 따른 작업상의 불편을 감수하게 됨은 물론이고, 실질적으로 흄관의 연결배관이 확실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많은 문제점을 수반하게 되었다.
한편, 콘크리트 흄관의 다른 형태인 연결수단을 가지는 흄관에 있어서는, 관체부의 일측에는 소켓부를 형성하고, 그 타측에는 삽입부를 형성하여 흄관을 상호 간편하게 연결배관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콘크리트 흄관은 첫째, 소켓부가 관체부 두께에 비하여 얇은 두께로 성형되기 때문에 구조적 강도가 저하되었으며:둘째, 관체부의 관경보다 큰 관경으로 소켓부가 돌출 형성되어 외압하중에 의하여 쉽게 파손되는 등의 문제로 인하여 콘크리트 흄관의 연결배관시 연결부위가 취약한 단점을 수반하게 되었다.
또한, 부수적으로는 콘크리트 흄관을 성형하기 위하여는 성형틀 내부에 일정량의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원심력을 이용하여 흄관을 제작하게 된다. 이때, 얇은 두께를 가지는 소켓부보다 큰 자갈이 매립되어 위치하게 되면, 소켓부의 내면이 공극(空隙)현상으로 인하여 표면이 균일하지 못하여 표면처리를 위한 별도의 미장작업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인력 및 자재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소켓부 내부에 일체로 접합 설치되는 보강링을 구비하여 첫째, 소켓부의 구조적 가도를 보완하여 주는 동시에, 외부압력에 대응하는 내압강도를 가지도록 하여 안정적인 연결배관이 되게하여 주며:둘째, 소켓부 내면을 미려하게 표면처리되도록 하여 불필요한 인력 및 자재의 낭비를 배제하여 신뢰성있는 제품을 제공하여 주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도,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관체부(10)의 일측단에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소켓부(20)와, 상기 소켓부(20)의 타측단에 삽입구(30)가 형성되는 콘크리트 흄관(100)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다를 바 없다.
단, 본 고안의 콘크리트 흄관(100)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소켓부(20)의 내면(10a)에는 금속판재를 원통형으로 말아서 형성되는 금속보강링(40)이 일체로 접합되어서, 소켓부의 내압강도를 증대시킴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성형틀(미도시) 내부에 금속보강링(40)을 미리 설치하여 콘크리트가 투입된 상태의 성형틀을 빠른 속도로 회전시켜 작용되는 원심력에 의하여 콘크리트 흄관(100)으로 성형 제작하게 된다. 이때, 미리 설치된 금속보강링(40)이 콘크리트 흄관(100)의 소켓부(20) 내면(10a)에 일체로 접합하여서 된 콘크리트 흄관(100)으로 만들어지게 된다.
이와같이 제작되고 구성되는 본 고안의 소켓용 보강링이 구비된 콘크리트 흄관은, 제2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급속보강링(40)을 구기하여 상기 소켓부(20) 내면에 접합설치 함으로써, 취약한 소켓부(20)의 구조적인 강도를 보완하여 주는 동시에, 외압하중에 대응하는 내압강도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소켓부(20)의 내면(20a)이 감싸지게 일체로 접합됨으로써 별도의 미장작업없이도 소켓부(20)의 내면(20a)이 미려하게 성형되는 작용 및 효과를 가지게 된다.
상기 금속보강링(40)은 금속박판을 원통형으로 성형한 것을 보여 주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일정한 강도를 가지는 합성수지재질로 성형되도록 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제3도의 (a)도에서와 같이, 상기 금속보강링(40)의 일측단에는 단턱부(40a)를 형성하여 상기 관체부(10)의 내면(10a)과, 상기 소켓부(20)의 내면(20a)에서 단턱지는 관체부(10)의 내면(10a)이 일단이 감싸지도록 접합하고, 그 단턱부(40a)의 끝단과 상기 급속보강링(40)의 타측단을 외측으로 절곡되는 걸고리(41)를 형성하되, 그 사이의 일정위치에 돌출앵커(43)를 형성하여, 상기 금속보강링(40)이 소켓부(20)의 내면에 경고하게 접합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제3도의 (b)는 상기, 소켓부(20)와 삽입부(30)사이에 끼워지는 패킹(50)이 유동됨이 없도록 급속보강링(40)의 내면에 패킹홈(42)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패킹홈(42)이 형성된 것을 보여주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복수개 이상의 패킹홈(42)을 가지도록 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그러므로, 제4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콘크리트 흄관(100)의 삽입부(30)가 소켓부(20)에 끼워지는 연결배관할 때 상기 소켓부(20)와 삽입부(30)의 사이가 밀실하게 끼워지지 못하여 그 틈새로 관체부(10)내부로 흐르는 하수등의 누수를 차단하여 주기 위한 패킹(50)이 상기 금속보강링(40)의 패킹홈(42)에 유동됨이 없도록 밀실하게 끼워져 상기 콘크리트 흄관(100)이 상호 수밀성있는 연결배관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작용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콘크리트 흄관의 소켓부에 구조적 강도를 부여하여, 콘크리트 흄관의 연결배관시 연결부위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관체부(10)의 일측단에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소켓부(20)와, 상기 소켓부(20)의 타측단에 삽입구(30)가 형성되는 콘크리트 흄관(100)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20)의 내면(10a)에는 금속판재를 원통형으로 말아서 형성되는 금속보강링(40)이 일체로 접합되어서, 소켓부의 내압강도를 증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용 보강링이 구비된 콘크리트 흄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속보강링(40)의 일측단에는 단턱부(40a)를 형성하여 상기 관체부(10)의 내면(10a)과, 상기 소켓부(20)의 내면(20a)에서 단턱지는 관체부(10)의 내면(10a)이 일단이 감싸지도록 접합하고, 그 단턱부(40a)의 끝단과 상기 금속보강링(40)의 타측단을 외측으로 절곡되는 걸고리(41)를 형성하되, 그 사이의 일정위치에 돌출앵커(43)를 형성하여, 상기 금속보강링(40)이 소켓부(20)의 내면에 견고하게 접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용 보강링이 구비된 콘크리트 흄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20)와 삽입구(30) 사이에 끼워지는 패킹(50)이 유동됨이 없도록 급속보강링(40)의 내면에 패킹홈(42)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용 보강링이 구비된 콘크리트 흄관.
KR2019940012581U 1994-05-31 1994-05-31 소켓용 보강링이 구비된 콘크리트 흄관 KR9600091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2581U KR960009113Y1 (ko) 1994-05-31 1994-05-31 소켓용 보강링이 구비된 콘크리트 흄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2581U KR960009113Y1 (ko) 1994-05-31 1994-05-31 소켓용 보강링이 구비된 콘크리트 흄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755U KR950033755U (ko) 1995-12-18
KR960009113Y1 true KR960009113Y1 (ko) 1996-10-15

Family

ID=19384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2581U KR960009113Y1 (ko) 1994-05-31 1994-05-31 소켓용 보강링이 구비된 콘크리트 흄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11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778B1 (ko) * 2014-12-16 2015-06-05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조립식 빗물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72416B1 (ko) * 2020-11-11 2021-07-02 권태웅 파이프용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755U (ko) 1995-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31865A (ko) 합성수지 파형관
JP3947987B2 (ja) 壁体への螺旋管体連結用コネクタ
WO1999019654A1 (en) A flexible pipe with an associated end-fitting
US3394952A (en) Sewer pipe joint
US6406067B1 (en) Lateral pipe adaptor
KR960009113Y1 (ko) 소켓용 보강링이 구비된 콘크리트 흄관
RU2018763C1 (ru)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концов двух труб
FI75414B (fi) Roerkoppling.
KR19990085346A (ko) 배수로관연결용 거푸집 및 연결장치
JPH02266189A (ja) ホース継手
EP1222418B1 (en) Connection piece
KR100490956B1 (ko) 토목및도로공사용하수로관연결용거푸집
KR100326547B1 (ko) 굴절배관이 가능한 합성수지관
KR19990081227A (ko) 배수로관연결용 거푸집 및 연결장치
KR0120993Y1 (ko) 콘크리트관 접속링
JPH0577816B2 (ko)
JPH04277394A (ja) 樹脂製可撓継手
FI20185525A1 (en) Connecting ring, welding ring and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wo sewer pipes made of thermoplastic material and sewer pipe connection
KR200231022Y1 (ko) 합성수지 라이닝 콘크리트관
KR200299131Y1 (ko) 파이프 이음구
KR0117471Y1 (ko) 하수도관 연결구
KR200395243Y1 (ko) 편수관 및 연결구 조립체
KR200332727Y1 (ko) 고정용 결합관이 구비된 관로구 삽입관
JP7313209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内埋設管の継手部材、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内埋設管の継手構造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の設置方法
KR100490026B1 (ko) 건축 및 도로와 같은 토목공사에서의 합성수지제 전선관 및 하수관용연결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