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2843Y1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2843Y1
KR200172843Y1 KR2019990020504U KR19990020504U KR200172843Y1 KR 200172843 Y1 KR200172843 Y1 KR 200172843Y1 KR 2019990020504 U KR2019990020504 U KR 2019990020504U KR 19990020504 U KR19990020504 U KR 19990020504U KR 200172843 Y1 KR200172843 Y1 KR 2001728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box
precast concrete
steel wire
side walls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05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재명
Original Assignee
선진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58985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72843(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선진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선진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05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28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28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28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하수도, 관로구, 공동구, 암거 등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에 관한 것이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의 양측벽의 각각에 하나 이상의 강선 통과용 구멍이 형성되고, 양측벽의 각각의 외면에는 강선 통과용 구멍과 연통되는 방식으로 강선 장착부가 마련된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의 양측벽에 형성되는 강선 통과용 구멍의 개수는 제품의 규격 및 용도에 따라 대체로 2 내지 20 개의 범위이내에서 선택된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의 양측벽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융기부가 형성되고, 각각의 융기부에 각각의 강선 통과용 구멍이 마련된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Precast Concrete Box}
본 고안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에 관한 것이고, 특히 두 개 이상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가 작은 크기를 갖는 경우에도 강선에 의해 신뢰성있는 방식으로 서로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박스 내부를 따라 흐르는 하수나 용수가 강선 장착부의 내부로 유입될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배제하므로써 강선 통과용 구멍을 따라 설치되는 강선의 부식 및 파손을 방지하고 전체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며 더욱 많은 강선이 콘크리트 박스와 콘크리트 박스를 연결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콘크리트 박스들간의 연결성 및 연속성을 향상시키고 수밀성을 증대시키며 콘크리트 박스의 매설후 되메움시 지반의 침하방지용 턱이 효과적으로 생성되도록 하므로써 전체 구조물의 안정성을 극대화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Precast Concrete Box)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수로, 하수도 또는 급경사 지반 등에는 대형 수로관, 하수관 또는 콘크리트 암거 등의 콘크리트 박스가 가설되고, 이러한 콘크리트 박스는 일반적으로 평탄한 지면상에 두 개 이상의 콘크리트 박스를 재치시킨 상태에서 상황에 따라 적당한 기법을 사용하므로써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방법은 항상 일관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가이드 라인을 제공할 수 없기 때문에,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없는 경우가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결될 콘크리트 박스의 단부에 소켓부와 플러그부를 형성하므로써 플러그부를 소켓부에 끼우는 방식으로 두 개의 콘크리트 박스를 연결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는 콘크리트 박스와 콘크리트 박스의 연결강도가 여전히 낮기 때문에, 지반의 붕괴 또는 지반의 부등침하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 박스와 콘크리트 박스가 쉽게 격리되므로써 수밀성이 저해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50)의 네 개의 모서리 부분에는 강선 통과용 구멍(52)이 형성되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50)의 모서리 부분의 내측에는 강선 장착부(54)가 상기 강선 통과용 구멍(52)과 연통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강선 통과용 구멍(52)을 통하여 강선을 삽입시키고나서 콘크리트 박스(50)의 내부로 작업자가 들어가 강선 장착부(54)에서 강선을 고정시킴으로써 두 개 이상의 콘크리트 박스(50)는 서로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강선 장착부(54)에서의 강선의 고정 작업이 완료되면, 강선 장착부(54)는 몰탈 또는 콘크리트로 메워지므로써 마감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조되는 선행기술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에 있어서는, 강선 장착부가 콘크리트 박스의 내부에 형성됨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박스가 작업자가 들어갈 수 없을 정도로 작은 크기를 갖는 경우에는 강선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박스를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없기 때문에 수밀성 및 결속력이 저하되며; 강선 장착후 강선 장착부를 마감하기 위해 사용되는 몰탈 또는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거나 강선 장착부를 마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부분의 표면과 상기 몰탈 또는 콘크리트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박스 내부를 따라 흐르는 하수나 용수가 강선 장착부의 내부로 유입되므로써 강선 통과용 구멍을 따라 설치되는 강선이 부식 및 파손되고 이에 따라 각각의 콘크리트 박스가 독립 구체화함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박스와 콘크리트 박스간의 격리현상이 발생되고 구조물의 안정성이 상실되며 결과적으로는 엄청난 양의 침출수가 생성되어 콘크리트 박스의 본래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각각의 콘크리트 박스의 모서리 부분에만 강선 통과용 구멍이 형성되므로써 콘크리트 박스와 콘크리트 박스를 연결시키기 위해 네 개의 강선만이 사용될 수 밖에 없게 되어 콘크리트 박스의 규격 및 용도가 변화되는 경우 콘크리트 박스들간의 연결성 및 연속성이 훼손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수밀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선행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박스에 있어서는, 콘크리트 박스가 대체로 정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취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박스의 매설후 되메움시 지반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제공될 수 없고, 이에 따라 지반의 부등침하가 발생되는 경우 전체 구조물의 안정성이 저해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두 개 이상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가 작은 크기를 갖는 경우에도 강선에 의해 신뢰성있는 방식으로 서로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박스 내부를 따라 흐르는 하수나 용수가 강선 장착부의 내부로 유입될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배제하므로써 강선 통과용 구멍을 따라 설치되는 강선의 부식 및 파손을 방지하고 전체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며 더욱 많은 강선이 콘크리트 박스와 콘크리트 박스를 연결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콘크리트 박스들간의 연결성 및 연속성을 향상시키고 수밀성을 증대시키며 콘크리트 박스의 매설후 되메움시 지반의 침하방지용 턱이 효과적으로 생성되도록 하므로써 전체 구조물의 안정성을 극대화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선행기술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a, 10b: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12: 융기부(protrusion) 14: 함몰부(depression)
16: 강선 통과용 구멍 18: 강선 장착부
20: 내부 공간 22: 소켓부
24: 플러그부 50: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52: 강선 통과용 구멍 54: 강선 장착부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 상하수도, 관로구, 공동구, 암거 등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가 제공되고: 상기 박스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양측벽의 각각에 하나 이상의 강선 통과용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양측벽의 각각의 외면에 상기 강선 통과용 구멍과 연통되는 방식으로 강선 장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의 양측벽에 형성되는 상기 강선 통과용 구멍의 개수가 제품의 규격 및 용도에 따라 대체로 2 내지 20 개의 범위이내에서 변화된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의 양측벽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융기부가 형성되고, 각각의 융기부에 각각의 강선 통과용 구멍이 마련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의 일단부면에는 플러그부가 형성되고 다른 일단부면에는 다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의 플러그부와 정합되는 소켓부가 형성된다.
본 고안의 상기 특성들에 따라, 각각의 강선 통과용 구멍과 연통되는 강선 장착부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의 외면에 형성되므로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가 작은 크기를 갖는 경우에도 두 개 이상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가 강선에 의해 신뢰성있는 방식으로 서로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박스 내부를 따라 흐르는 하수나 용수가 강선 장착부의 내부로 유입될 가능성이 원천적으로 배제되므로 강선 통과용 구멍을 따라 설치되는 강선의 부식 및 파손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전체 구조물의 안정성이 신뢰성있는 방식으로 확보된다. 또한, 콘크리트 박스의 규격과 용도에 따라 강선 통과용 구멍의 개수를 변화시킴으로써 더욱 많은 강선이 콘크리트 박스와 콘크리트 박스를 연결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게 되어 콘크리트 박스들간의 연결성 및 연속성이 향상되고 수밀성이 증대될 수 있다. 아울러, 콘크리트 박스의 외면에 다수의 융기부가 높이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므로써 콘크리트 박스의 매설후 되메움시 지반의 침하방지용 턱이 효과적으로 생성되어 전체 구조물의 안정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고안의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10)의 양측벽에는 두 개의 융기부(12)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융기부(12)를 제외한 부분에는 함몰부(14)가 마련된다. 각각의 융기부(12)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강선 통과용 구멍(16)이 형성되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10)의 양측벽의 외면에는 상기 강선 통과용 구멍(16)과 연통되는 강선 장착부(18)가 각각 형성된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10)의 내부에는 내부 공간(20)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 공간(20)은 하수나 용수가 유동되거나 사람 또는 차량이 통행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한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10)의 일단부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러그부(24)가 형성되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10)의 다른 일단부면에는 내측으로 리세스되는(recessed) 소켓부(22)가 형성된다. 따라서, 두 개 이상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10)가 서로 연결되는 경우 하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10)의 플러그부(24)가 다른 하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10)의 소켓부(22)내로 끼워맞춤되므로써 조합체의 수밀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강선 통과용 구멍(16)을 통하여 강선을 삽입시키고 나서 상기 강선 장착부(18)에서 강선의 단부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10)에 대해 고정시킴으로써 두 개 이상의 콘크리트 박스(10)는 서로 긴밀하고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도 3에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고안의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10a)의 양측벽에는 각각 두 개씩 총 네 개의 융기부(12)가 형성되며, 상기 융기부(12)를 제외한 부분에는 함몰부(14)가 마련된다. 각각의 융기부(12)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10a)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강선 통과용 구멍(16)이 형성되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10a)의 양측벽의 외면에는 상기 강선 통과용 구멍(16)과 연통되는 강선 장착부(18)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총 네 개의 융기부(12)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10a)의 양측벽에 형성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본 실시예의 구성은 상기한 바 있는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고안의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10b)의 양측벽에는 각각 다섯 개씩 총 열 개의 융기부(12)가 형성되며, 상기 융기부(12)를 제외한 부분에는 함몰부(14)가 마련된다. 각각의 융기부(12)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10b)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강선 통과용 구멍(16)이 형성되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10b)의 양측벽의 외면에는 상기 강선 통과용 구멍(16)과 연통되는 강선 장착부(18)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총 열 개의 융기부(12)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10b)의 양측벽에 형성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본 실시예의 구성은 상기한 바 있는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따라, 콘크리트 박스의 규격과 용도에 따라 융기부의 적당한 개수가 선택되므로써 콘크리트 박스의 신뢰성있는 기능이 보장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각각의 강선 통과용 구멍과 연통되는 강선 장착부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의 외면에 형성되므로써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가 작은 크기를 갖는 경우에도 두 개 이상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가 강선에 의해 신뢰성있는 방식으로 서로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박스 내부를 따라 흐르는 하수나 용수가 강선 장착부의 내부로 유입될 가능성이 원천적으로 배제되므로 강선 통과용 구멍을 따라 설치되는 강선의 부식 및 파손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전체 구조물의 안정성이 신뢰성있는 방식으로 확보된다. 또한, 콘크리트 박스의 규격과 용도에 따라 강선 통과용 구멍의 개수를 변화시킴으로써 더욱 많은 강선이 콘크리트 박스와 콘크리트 박스를 연결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게 되어 콘크리트 박스들간의 연결성 및 연속성이 향상되고 수밀성이 증대될 수 있다. 아울러, 콘크리트 박스의 외면에 다수의 융기부가 높이 방향에서 서로 이격되는 방식으로 형성되므로써 콘크리트 박스의 매설후 되메움시 지반의 침하방지용 턱이 효과적으로 생성되어 전체 구조물의 안정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4)

  1. 상하수도, 관로구, 공동구, 암거 등으로 사용되기에 적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양측벽의 각각에 하나 이상의 강선 통과용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양측벽의 각각의 외면에 상기 강선 통과용 구멍과 연통되는 방식으로 강선 장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의 양측벽에 형성되는 상기 강선 통과용 구멍의 개수가 제품의 규격 및 용도에 따라 대체로 2 내지 20 개의 범위이내에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의 양측벽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융기부가 형성되고, 각각의 융기부에 각각의 강선 통과용 구멍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의 일단부면에 플러그부가 형성되고 다른 일단부면에는 다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의 플러그부와 정합되는 소켓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KR2019990020504U 1999-09-22 1999-09-2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KR2001728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504U KR200172843Y1 (ko) 1999-09-22 1999-09-2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504U KR200172843Y1 (ko) 1999-09-22 1999-09-2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2843Y1 true KR200172843Y1 (ko) 2000-03-15

Family

ID=19589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504U KR200172843Y1 (ko) 1999-09-22 1999-09-2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28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1017B1 (ko) * 1999-12-18 2006-10-31 주식회사 케이티 통신구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1017B1 (ko) * 1999-12-18 2006-10-31 주식회사 케이티 통신구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27821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KR200172843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KR100454816B1 (ko) 지하공동구조물
JP5053064B2 (ja) メス部端部同士を対向させて接続するトラフ接合構造を有するトラフシステム
KR100359294B1 (ko) 조립식 암거
JPH10322867A (ja) ハンドホールまたはマンホール用接続管体とブロック体及びハンドホールまたはマンホール
KR100776778B1 (ko) 송·배전용 파형관의 보호 및 고정을 위한 간격재
KR200275363Y1 (ko) 거푸집 설치가 필요 없는 조립식 원형 도로 배수관
KR200251305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조합체
KR200193604Y1 (ko) 조립식 암거
KR100320086B1 (ko) 조립식암거설비
KR102225978B1 (ko) 맨홀의 수로관연결구조
KR100293688B1 (ko) 암거설비
KR950006220Y1 (ko) 조립식 암거
KR200233157Y1 (ko) 조립식 암거설비
KR200340985Y1 (ko) 배수로 유닛의 보강 브라켓
KR102446074B1 (ko) 트라프와 배관의 연결구 방수장치
KR200236768Y1 (ko) 조립식 암거
KR200401119Y1 (ko) 전선 삽입요홈을 형성한 경계석
KR101841348B1 (ko) 수로관의 이중 연결 소켓 구조
JP3044243B2 (ja) ケーブル地中敷設用管路
KR200335682Y1 (ko) 누수방지 구조를 갖는 수로용 침수 라이닝
KR200236767Y1 (ko) 조립식암거
KR200259998Y1 (ko) 조립식암거
KR200256267Y1 (ko) 조립식 암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CORRECTION REQUESTED 20001221

Effective date: 2001022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10201

Effective date: 2001092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01116

Effective date: 20020104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TRIAL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01116

Effective date: 20020104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0207

Effective date: 2002092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