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244B1 - 변량교체장치 - Google Patents

변량교체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244B1
KR0126244B1 KR1019930020058A KR930020058A KR0126244B1 KR 0126244 B1 KR0126244 B1 KR 0126244B1 KR 1019930020058 A KR1019930020058 A KR 1019930020058A KR 930020058 A KR930020058 A KR 930020058A KR 0126244 B1 KR0126244 B1 KR 0126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name
variable name
conversion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0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9861A (ko
Inventor
가즈히로 사와
Original Assignee
세끼자와 다다시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끼자와 다다시,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세끼자와 다다시
Publication of KR940009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2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74Form filling; Me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변환주체로 지정된 원고(11,11A)로 부터 하나 또는 복수의 변량명을 추출하는 변량명추출부(16), 변량명추출부에 의해서 추출된 각각의 변량명에 대응한 변량치를 구하는 변량치획득부(17), 변량명을 형성하는 각문자의 표시포오멧을 분석하는 변량명분석부(18), 변량치획득부에 의해서 얻어진 변량치의 표시포오멧을 변량명분석부에 의해서 분석된 변량명을 형성하는 각 문자의 표시포오멧에 상당하도록 변환시키는 변량치변환부(19) 및 변량치 변환부에 의해서 변환된 변량치에 의해서 변환된 변량치에 의해서 원고 중의 변량명을 변량을 포함하는 원고의 각 변량부가 그 변량치로 교체되도록 교체시키는 변량교체부(20)를 구비한 변량교체장치.

Description

변량교체장치
제1도는 종래의 변환의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의 동작원리를 설명하는 시스템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변량교체장치의 제1실시예에서 변환을 설명하는 도면,
제4도는 제1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후로우챠트,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변량교체장치의 제2실시예에서 변환을 설명하는 도면,
제6도는 제2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후로우챠트,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변량교체장치의 제3실시예에서 변환을 설명하는 도면,
제8도는 제3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후로우챠트,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한 변량교체장치의 제4실시예에서 변환을 설명하는 도면,
제10도는 제4실시에의 동작을 설명하는 후로우챠트.
본 발명은 변량교체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변환부를 특정형식으로 변환함으로써 얻은 변량치들에 의해 변량들을 포함하는 여러 종류의 한정 데크들, 문서들 및 프로그램들과 같은 원고의 변환부를 교체하는 변량교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변량교체기능은 컴퓨터시스템에 구비되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컴퓨터시스템 내에서 처리되는 전자원고의 일부는 변량항목 즉 변량으로서 한정되어 있다. 이러한 변량부를 실제로 사용할 시에, 변량부는 변량에 대해 특정된 내용으로 교체된다. 이후, 이 내용을 변량치라 칭한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에 의해 표시부에 행한 표시가 표시필드한정데크(display field define deck)로서 한정될 경우, 표시필드한정데크의 원고 내에 변량을 기재하고, 표시필드한정데크의 일부를 임의로 변경사용하기 위해 그 변량을 필요한 문자열 등으로 교환한다.
그러한 컴퓨터시스템에서는 변량의 표현을 원고 내에 간단한 방식으로 명시하는 것이 좋다.
제1도는 종래의 변환의 일 예를 나타낸다. 컴퓨터시스템은 변량을 사용하여 데이타를 교환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예를 들어, 변환부(81)는 제1도에서 보인 바와 같은 변량을 포함하는 입력(80)에 응답하여 변량관리부(82)에 의해 관리되는 변량의 내용(변량치)을 교체하여, 교환된 데이타를 출력결과(82)로서 출력한다.
입력(80)의 변량은 헤드에 문자 를 첨가한 문자열(변량명)로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변량명은 ABCDE이다. 변환정보(L)는 변환 포오멧을 특정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 변환정보(L)는 변량명 ABCD를 갖는 변량의 내용이 대문자로 변환되고 변량치로서 간주되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다른 변환정보는 변량의 제1문자만 즉, 문자열 만이 대문자로 변환됨을 나타내는 변환정보(1)를 포함한다.
입력(80)과 변량 ABCDE에 근거하여, 변환부(81)는 변량관리부(82)로 부터 변량, ABCDE의 내용 value을 얻어서, 이 내용 value을 변환정보(L)에 따라 대문자 VALUE로 변환하고실 대문자(변량치) VALUE를 출력결과(83)로서 출력한다.
그러므로, 종래의 시스템에 따라 변량의 내용을 변량치로 변환할 시에 그 내용은 변량치를 얻는데 필요한 변량명 이외에 변환에 필요한 추가정보로서 변환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였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변환이 필요 없는 경우에 비해, 변량을 나타내는 방법이 복잡해 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 밖에도, 만일 여러 종류의 변환을 실행할 경우에, 사용자가 모든 종류의 변환정보를 알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왜냐하면, 사용자가 각 변량치를 변량명과 여러 변환정보를 포함하는 원고를 간단히 조사함으로써 각 변량치를 변환하는 포오멧을 아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들이 제거된 신규하고도 유용한 변량교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변환주체로서 특정된 원고로 부터의 하나 또는 복수의 변량명들을 추출하는 변량명추출수단과 상기 변량명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된 각 변량명에 상응하는 변량치를 얻기 위한 변량치획득수단과, 상기 변량명을 형성하는 각 문자의 표현형식을 분석하는 변량명분석수단과, 상기 변량치획득수단에 의해 얻은 변량치의 표현포오멧을 상기 변량명분석수단에 의해 분석된 변량명을 형성하는 각 문자의 표현포오멧으로 변환하는 변량치 변환수단과, 원고 내의 변량명을 상기 변량치 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변량치로 교환하여 줌으로써 변량들을 포함하는 원고의 각 변량부를 상응하는 변량치로 교체하는 변량교체수단을 포함하는 변량교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변량교체장치에 의하면 변량치의 표현 포오멧을 변량명 만에 의해 간단히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표시필드 한정데크를 한정할 시에, 소정 프레임 내에 변량치의 표현포오멧을 자유롭게 특정가능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성에 맞는 변량치를 얻는 것이 가능해 진다. 그 밖에도 변량치의 표현포오멧이 변량명의 포오멧에 의해 특정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변량치를 변환하는 방법을 변량명으로 부터 쉽게 가시적으로 영상화할 수 있으므로, 변환결과를 휠씬 쉽고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기타목적 및 특징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원리를 설명한다.
제2도에 보인 변량교체장치는 중앙처리부(CPU), 메모리 등을 포함하는 처리부(10) ; 사용자의 터미날장비(13), 표시부와 프린터 등의 출력부(23)를 포함한다.
처리부(10)를 형성하는 CPU의 기능은 변환부(12), 변량치설정부(14), 변량관리부(15), 변량결과출력부(21) 및 변환요구원 프로그램(22)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간구될 수 있다.
변량치설정부(14)는 변량명에 상응하는 변량치를 특정한다. 변량관리부(15)는 변량명, 변량치 및 변량치의 길이와 같은 정보를 관리한다. 변환요구원 프로그램(22)은 변환결과를 수신한다.
변환부(12)는 변량명추출부(16), 변량치획득부(17), 변량명분석부(18), 변량치 변환부(19) 및 변량교체부(20)를 포함한다. 변환부(12)는 변량치에 의해 변량명을 교환한다.
예를 들어, 변량의 주체인 원고(11)는 소오스 프로그램, 워드처리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문서, 표시필드한정데크 등으로 변량치로 변환될 변량을 포함한다. 변량은 변량명으로 나타낸다. 변량명과 변량치 간의 상응하는 관계는 터미날장비(13)로 부터된 입력에 의해 또는 사용자 프로그램으로 부터의 사양 등에 의해 변량치설정부(14)로 부터 변량관리부(15)로 세트된다.
만일 원고(11)를 변환하기 위한 변환명령이 있을 경우, 변환부(12)의 변량명추출부(16)는 원고(11)를 검색하여 변량명을 추출한다. 변량치획득부(17)는 변량관리부(15)로 부터 변량명추출부(16)에 의해 추출된 변량명에 상응하는 변량치를 얻는다.
변량명분석부(18)는 예를 들어, 변량명을 형성하는 문자들의 표현포오멧 즉, 변량명을 형성하는 문자들이 대문자 또는 소문자인지 여부와, 변량명의 어느 문자코드들이 속하는 자를 나타내는 코팅구성(coding scheme)과, 변량명을 위해 사용되는 서체(penmanship)의 스타일을 분석한다.
변량치변환부(19)는 변량명획득부(17)에 의해 얻은 변량치의 표현포오멧을 분석된 변량명을 형성하는 문자들의 표현포오멧으로 변환한다. 변량교체부(20)는 입력원고(11) 내의 변량명을 상기 변량치변환부(19)에서 실행된 변환에 의해 얻은 변량치로 교체한다.
변환결과출력부(21)는, 변환결과를 출력부(23), 변환요구원 프로그램(22), 터미날장비(13)등으로 출력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추가정보로서 변환에 필요한 변환정보를 변량명에 부가할 필요성이 없으며, 변환포오멧이 변량치를 구하는데 필요한 변량명에 의해 간단히 특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변량치의 변환포오멧은 변량명을 형성하는 문자들의 변환포오멧에 의해 판정된다.
예를 들어, 만일 변량명의 일부를 대문자로 표현할 경우. 변량치의 대응부는 대문자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그에 따라서 원고(11) 내의 변량명이 원고(11)에 나타난 바와 같은 변량치로 교체되므로 오퍼레이터가 원고(11)로 부터의 변환결과를 쉽게 영상화할 수 있다.
그 밖에도, 원고(11) 내의 변환포오멧도 쉽게 특정될 수 있다.
그 다음, 제3 및 4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변량교체장치의 제1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3도는 제1실시예에서 행한 변환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제4도는 제1실시예에 동작설명을 위한 후로우챠트이다.
본 실시예에서, 변량명의 대문자들에 상응하는 변량의 내용들(값들)은 대문자로 변환되어 원고 내의 변량과 교체된다.
각 변량은 문자 와 이 문자 에 후속하는 변량명으로 나타낸다. 제3도에 나타면 원고(11)의 경우에, 4변량들 즉, Who, ANIMAL, who 및 animal이다. 비록 변량들 who와 Who가 동일한 변량내용(값)을 특정하더라도, 이들은 상이한 변환포오멧을 특정한다. 마찬가지로 변량들 ANIMAL과 animal이 동일변량치를 특정하더라도 그들은 상이한 변환포오멧들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제2도에 나타낸 변환부(12)는 원고(11)를 입력하여 변량명을 추출한다. 변량명들 WHO와 ANIMAL은 표현포오멧이 무시될 경우 추출된다. 그러므로, 이들 변량명에 상응하는 변량내용(값)은 변량관리부(15)로 부터 얻어 진다. 이러한 특정 경우에, 변량명들 WHO와 ANIMAL에 상응히는 변량내용들은 he와 monkey이다.
변환부(12)는 원고(11)의 변량명들의 대문자/소문자 표현포오멧들에 따라 다음과 같은 변량내용들로 변환한다. 다시 말하여, 변량내용 he는 변량명 WHo의 경우에 He로 변환되고, 변량내용 monkey는 변량명 ANIMAL의 경우에 MONKEY로 변환된다. 한편, 변량명이 소문자들만 who와 animal인 경우, 변량내용들 he와 monkey가 사용된다. 결과적으로, 변환부(12) 내의 변환결과는 제3도에서 출력결과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제4도의 후로우챠트는 제1실시예에서의 변환부(12)의 동작을 나타낸다.
제4도에서, 단계 S1은 원고(11)를 검색하여 원고(11)의 변환을 요청하는 변환요구에 대한 변량명들을 추출하여 변량명이 존재하는지를 판정한다. 만일 원고(11) 내의 모든 변량명에 대한 처리가 종료될 경우, 단계 S1에서의 판정결과가 아니오이면, 이 경우에, 변환결과 출력 후 처리가 종료된다.
한편, 만일 단계 S1에서의 판정결과가 예일 경우, 단계 S1에서 추출된 변량명에 상응하는 변량내용을 얻은 후, 단계 S3에서 변량길이를 얻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변량관리부(15)에 등록된 변량내용의 길이와 변량명의 길이 중 짧은 것이 변환길이로서 간주된다. 예를 들어, 만일 변량내용의 길이가 변량명의 길이 보다 일정길이 만큼 길 경우, 그 일정길이에 상당하는 변량내용의 후반절반을 잘라서 줄인다.
그 후, 단계 S4에서 변량명의 대문자에 상응하는 변량내용을 대문자로 변환한다. 그 밖에도, 단계 S5에서 변환이 완료됐는지를 판정하여 판정결과가 아니오일 경우, 단계 S4로 복귀한다. 즉, 변량명의 각 문자에대해, 단계 S4가 변환길이에 상응하는 양만큼 반복된다. 만일 변환이 종료되고 단계 S5에서의 판정결과가 예일 경우, 단계 S6에서, 원고(11) 내의 입력변량명을 변량내용으로 교체하고, 단계 S1로 복귀한다.
이 후, 그 다음 변량명에 대해 마찬가지로 상술한 동작을 반복한다.
그 다음, 제5 및 6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변량교체장치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5도는 제2실시예에서 행한 변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제6도는 제2실시예의 동작설명을 위한 후로우챠트이다.
이 실시예에서, 변량내용(값)은 변량명에 의해 특정된 코드에 따라 변환되어 원과 내의 변량과 교체된다. 각 코드는 영어코드의 경우 1바이트로 구성되고. 일어코드의 문자코드의 경우에 2바이트로 구성된다. 만일 변량명들이 영어와 일어코드들의 혼합으로 특정될 경우, 변량내용자체가 변량치로서 사용된다.
만일 영어문자를(알파벳)이 동일하더라도, 각 문자는 예를 들어 EBCDIC코드의 경우에 이 후 영어코드로서 호칭되는 1바이트로 나타내며, 또한 일본 JIS코드의 경우에 이 후 일어코드로서 호칭되는 2바이트로 나타낸다. 통상적으로, 표시부 상에서 영어코드는 절반사이즈문자로서 표시하는 한편 일어코드는 전체 사이즈문자로서 표시되므로 영어코드와 일어코드는 서로 구별될 수 있다.
제5도에 보인 원고(11)의 경우에, 3변량들 즉, 변량명을 전체적으로 영어코드로 하여 절반사이즈 문자들로 구성한 변량 $VARIABLE 전체 일어코드로 하여 전체사이즈문자들로 구성한 변량 VARIABLE, 영어와 일어코드혼합으로 하여 절반 및 전체사이즈문자로 구성한 VARIABLE이 있다. 이 경우에, 문자를 R과 I는 절반크기문자들인 한편 나머지 문자들은 전체사이즈 문자들이다. 비록 이들 3변량들이 동일한 변량내용(값)을 특정할 지라도 이들은 서로 상이한 변환포오멧을 특정한다.
제2도에 나타낸 변환부(12)는 원고(11)를 입력하여 변량명들을 추출한다. 변량명은 표현포오멧을 무시할경우 VARIABLE이고, 이 변량의 변량내용(값)은 변량관리부(15)로 부터 얻어 진다. 이 경우에, 변량내용은 VALUE이다. 여기서, 문자들 V, L 및 E는 전체사이즈문자들이고, 문자들 A와 U는 절반사이즈사이즈문자들 이다.
변환부(12)는 원고 내의 변량명이 영어코드만으로 구성되는지, 일어코드만으로 구성되는지 또는 영어와 일어코드 혼합으로 구성되는 지에 따라 변량내용을 변환한다. 그 이후, 변환부(12)의 변환결과는 제5도에 보인 출력결과(30)가 된다.
제6도의 후로우챠트는 제2실시예의 변환부(12)의 동작을 나타낸다.
제6도에서, 단계 S1은 원고(11)를 검색하여 원고(11)의 변환을 요청하는 변환요구에 대한 변량명들을 추출하여 변량명이 존재하는지를 판정한다. 만일 원고(11) 내의 모든 변량명에 대한 처리가 종료될 경우, 단계 S1에서의 판경결과가 아니오이면, 이 경우에, 변환결과 출력 후 처리가 종료된다.
한편, 만일 단계 S1에서의 판정결과가 예일 경우, 단계 S1에서 추출된 변량명에 상응하는 변량내용을 얻은 후, 단계 S11에서 변량명이 영어와 일어코드의 혼합으로 표현됐는 지를 판정한다. 판정결과가 예일 경우, 단계 S6으로 진행한다.
만일 판정결과가 아니오일 경우, 단계 S12에서, 변량명이 영어코드만으로 표현됐는 지를 판정한다. 단계S14에서, 상기 변량내용을 단계 S12에서의 판정결과가 아니오일 경우 일어코드로 변환된다. 그러나, 예일 경우, 단계 S13에서 변량내용을 영어코드로 변환하고 단계 S6으로 진행한다.
만일 단계 S11의 판정결과가 예 또는 단계 S13 또는 S14후 일 경우, 단계 S6에서 원고(11) 내의 입력변량명을 변량내용으로 교체하고, 단계 S1로 복귀한다. 이 후 그 다음 변량명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상술한 동작을 반복한다.
그 다음, 제7 및 제8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변량교체장치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제7도는 제3실시예에서 행한 변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제8도는 제3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후로우챠트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변량내용(치)이 변량명에 의해서 특정된 필적(체 또는 폰트)의 스타일로 변환되어 원고중의 변량과 교체한다.
제7도에 나타낸 원고(11)인 경우에는 변량은 VARIABLE이다. 한편 변량명은 4종류 즉 표준체(폰트)로 나타낸 변량명, 고딕체로 나타낸 변량명, 이태리체로 나타낸 변량명 및 연부를 강조한 볼드(Bold) 또는 강조체로 나타낸 변량명을 갖고 있다.
제2도에 나타낸 변환부(12)는 원고(11)를 입력하여 변량명을 추출한다. 표현포오멧이 무시되면 변량명은 VARIABLE이고 변량내용(치) 이 변량관리부(15)로 부터 얻어진다. 변량내용은 VALUE이다.
변환부(12)는 원고(11) 내의 변량명의 필적(체 또는 폰트)의 스타일에 따라서 변량내용을 변환한다. 따라서 변환부(12)의 변한결과가 제7도에 나타낸 출력결과(30)로 된다.
제8도의 후로우챠트는 제3실시예의 변환부(12)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제8도에서 원고(11)를 검색하여 원고(11)의 변환을 요구하는 변환요구에 대해서 변량명을 추출하여 변량명의 존재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 원고(11) 중의 모든 변량명에 대한 처리를 종료하면 단계 S1에서의 판정결과가 아니오일 경우에 변환결과를 출력한 후에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 S1에서의 판정결과가 예일 경우에는 추출된 변량명에 대응하는 변량내용을 얻는다(단계 S2). 그런 후에 변량명의 필적(체 또는 폰트)의 스타일을 검초하여 변량명이 변환될 필적(체 또는 폰트)의 스타일을 판정한다(단계 S31). 그리고 고딕체 변량명의 필적 스타일이 고딕체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32), 단계 32에서의 판정결과가 예일 경우에는 변량내용을 고딕체로 변환하고(단계 S33), 단계 S6으로 진행한다(단계 S33).
단계 S32에서의 판정결과가 아니오일 경우에는 변량명의 필적스타일이 이태리체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5), 단계 S35의 판정결과가 예일 경우에는 처리가 변량내용을 이태리체로 변환하여 단계 S6으로 진행한다(단게 S36).
한편 단계 S35에서의 판정결과가 아니오일 경우에 그 변량명의 필적스타일이 볼드 또는 강조체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37). 단계 37에서의 판정결과가 예일 경우에 변량내용을 볼드 또는 강조체로 변환한다(단계 S38). 그리고 단계 S6으로 진행하고 단계 S37에서의 판정결과가 아니오인 경우에 처리는 단계S6으로 진행한다.
변량내용으로 원고(11) 중의 입력변량명을 고체한다(단계 S6), 그리고 단계 S1로 되돌아 간다. 그리고 상술한 동작이 다음 변량명에 대해서 반복한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변량교체장치의 제4실시예를 제9도 빛 제10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제9도를 제4실시예에서 행해진 변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제10도는 제4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후로우챠트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변량내용(치)은 교통신호 등에 관계된 칼러그래픽 데이타이다. 예를 들면 변량명에 의해서 특정지워지는 문자 또는 정보의 색에 따라서 변환되고 표시필드한정메크(11A) 내의 변량을 교체한다. 이 특정 경우에 변량명의 최좌측 문자에 교통신호 등의 최좌단의 발광부에 상당하고 변량명의 중앙문자가 교통신호 등의 중앙발판부에 상당하고 변량명의 최우측문자가 교통신호 등의 최우측 발광부에 상당한다.
상기 원고에 상당하는 제9도에 나타낸 표시필드한정데크의 경우에 변량명 SIG는 전체로써 상이한 색에 의해서 특정지워진다. 제9도에서 변량명의 최좌측 문자 S는 청색에 상당하고 중앙문자 I는 황색에 상당하고 최우측 문자 G는 적색에 상당한다.
제2도에 나타낸 변환부(12)는 표시필드한정데크(11A)를 입력하여 변량명을 추출한다. 이 경우에 변량명은 SlG이고 대응하는 변량내용(치)이 변량관리부(15)로 부터 얻어 진다. 이 변량내용은 고통신호 등에 관계된 칼라그래픽데이타이다.
변환부(12)는 표시필드한정데크(11A) 내의 변량명의 색에 따라서 변량내용을 변환하고 이 경우의 변량내용은 교통신호 등의 발광부의 색에 관계된 칼러그래픽데이타이다.
변환부(12)의 변환결과가 제9도에 나타낸 출력결과(30A)로써 출력된다.
이 출력결과(30A), 변량명의 교통신호 등이 최좌측 발광부가 청색이고 중앙발광부가 황색이과 최우측 발광부가 적색이 되게 교체된다.
제10도의 후로우챠트는 제4실시예의 변환부(12)의 동작을 나타낸다.
제10도에서 표시필드한정데크(11A)를 검색하여 표시필드한정데크(11A)의 변환을 요구하는 변환요구에 대해서 변량명을 추출하여 변량명의 존재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 이 표시필드한정데크(11A) 중의 모든 변량명에 대해서 처리가 종료되면 단계 S1에서의 판정결과가 아니오이고 이 경우에 변환결과를 출력한 후에 처러가 종료된다.
한편 단계 S1의 판정결과가 예인 경우에 추출된 변량명에 대응하는 변량내용을 얻는다(단계 S2). 그리고 변환수를 얻는다(단계 S41). 그리고 변환수를 얻는다(단계 S41), 이 특정경우에는 추출된 변량내용에서 찾은 변량명의 길이 중 작은 것과 제9도의 원형부의 수(교통신호 등의 발광부에 해당하는)를 변환수로써 취한다.
예를 들면 변량명의 길이 보다도 변량내용 중의 원형부의 수가 일정량 클 경우에 그 일정량에 해당하는 변량내용 중의 원형부는 변환되지 않는다.
다음에 변량내용 중의 원형부를 대응하는 변량명의 색들에 의해서 변환한다(단계 S42).
그리고 변환의 종료에 도달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43). 단계 S43에서의 판정결과가 아니오일 경우에 단계 S42로 되돌아 간다. 그리고 변량 수에 대응하는 양만큼 단계 S43을 반복한다.
한편 단계 S43에서의 판정결과가 예일 경우에는 표시필드한정데크(11A) 중의 입력된 변량명을 변량내용으로 교체한다. 그리고 단계 S1로 되돌아 간다. 상술한 동작은 다음 변량명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반복한다.
제4도의 후로우챠트와 관련시켜 설명한 제1실시예의 제1변형예로써 변량명의 첫 째 문자의 속성에 따라서 변량내용(치)의 제1데이타를 단계 S4에서 변환해도 좋고 변량내용 중의 두 번째 이후의 데이타를 변량명의 두 번째 문자의 속성에 따라서 변환한다.
또 제1실시예의 제2변형예로써 변량명의 n번째 문자의 속성에 따라서 변량내용(치)의 n째 데이타를 단계 S4에서 변환해도 좋다. 여기서 n은 임의의 정수이다.
또 제1실시예의 제3변형예로써 변량내용(치)의 m째 데이타를 변량명의 n째 문자의 속성에 따라서 단계S4에서 변환해도 좋다. 여기서 m와 n는 상이한 임의의 정수이다. 제1실시예의 제4변형예로써 전체 변량명의 속성에 따라서 전체 변량내용(치)를 단계 S4에서 변환해도 좋다. 이 경우에 단계 S3에서 변량명의 길이가 변량내용(치)의 길이 보다도 짧은 것을 검출한 경우에 제4도의 단계 S3후와 단계 S4 전에 더미문자들을 추가하는 단계를 설비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변량명이 변량내용의 길이 보다도 짧은 경우에 두길이 간의 차에 대응하는 길이에 대한 변량명의 문자 수순을 반복할 수 있다.
또 제1실시예의 제5변형예로써 단계 S4에서 전체 변량명의 속성에 따라서 변량내용(치) 중의 m째 데이타를 변환해도 좋다.
여기서 m은 임의의 정수이다.
또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개변을 할 수 있다.

Claims (15)

  1. 변환주체로써 지정된 원고(11,11A)로 부터 하나 또는 복수의 변량명을 추출하는 변량명 추출수단(16),상기 변량명 추출수단(16)에 의해서 추출된 각각의 변량명에 대응하는 변량치를 구하는 변량치획득수단(17)과, 변량명을 형성하는 각 문자의 표시포오멧을 분석하는 변량명분석수단(18), 상기 변량치획득수단(17)에의해서 얻은 변량치의 표시포오멧을 상기 변량명분석수단(17)에 의해서 분석된 변량명을 형셩하는 각 문자의 표시포오멧에 상당하도록 변환하는 변량치 변환수단(19) 및 상기 원고(11,11A) 증의 변량명을 상기 변량치변환수단(19)에 의해서 변환된 변량치로 교체하고 변량을 포항하는 상기 원고(11,11A)의 각 변량부를대응하는 변량치로 교체하는 변량교체수단(2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량교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량교체수단(20)에 의해서 얻은 변환결과를 출력하고 그 안에서 상기 원고(11,11A) 증의 변량명을 변량치로 교체하는 출력수단(21)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량교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21)이 단말기, 출력부 및 상기 원고(11,11A)의 변환을 요구하는 변환요구된 프로그램으로 된 군에서 선택된 요소로 변환결과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부가 디스플레이 및 프린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량교체장치.
  4. 제1∼3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원고(11,11A)가 표시필드한정데크, 문서 및 소오스 프로그램으로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량교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량명 분석수단(18)이 변량명을 형성하는 문자들의 표시포오멧을 분석하고 상기 문자들이 대문자와 소문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량교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량명 분석수단(18)이 변량명을 형성하는 문자들의 표시포오멧을 분석하고 상기 문자들이 상이한 문자코오드들로 한정되는 문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량교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량명분석수단(18)이 변량명을 형성하는 문자들의 표시포오멧을 분석하고 상기 문자들이 상이한 스타일의 필적, 체 또는 폰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량교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량명분석수단(18)이 변량명을 형성하는 문자들의 표시포오멧을 분석하고 상기 문자들이 상이한 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량교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량치변환수단(19)이 변량명의 첫 번째 문자의 속성에 따라서 변량치의 첫 째 데이타를 변환하고 변량명의 두 번째 문자의 속성에 따라서 두 번째 및 그 후의 데이타를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량교체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량치변환수단(19)이 변량명의 n번째 문자의 속성에 따라서 변량치의 n번째 데이타를 변환(여기서 n은 임의의 정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량교체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량치변환수단(19)이 변량명의 n번째 문자의 속성에 따라서 변량치의 m번째데이타를 변환(여기서 m 및 n는 상이한 상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량교체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량치변환수단(19)이 전체 변량명의 속성에 따라서 전체변량치를 변환시키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량교체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변량치변환수단(19)이 변량명의 길이가 변량치의 길이 보다도 짧을 경우에 변량명에 더미문자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량교체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변량치변환수단(19)이 변량명의 길이가 변량치의 길이 보다는 짧을 경우에 변량명의 문자수순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량교체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량치변환수단(19)이 전체 변량명의 속성에 따라서 변량치의 m번 째 데이타를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량교체장치.
KR1019930020058A 1992-10-01 1993-09-28 변량교체장치 KR01262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6261892A JP3174168B2 (ja) 1992-10-01 1992-10-01 変数置き換え処理装置
JP92-262618 1992-10-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9861A KR940009861A (ko) 1994-05-24
KR0126244B1 true KR0126244B1 (ko) 1998-04-03

Family

ID=17378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0058A KR0126244B1 (ko) 1992-10-01 1993-09-28 변량교체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412566A (ko)
EP (1) EP0590949B1 (ko)
JP (1) JP3174168B2 (ko)
KR (1) KR0126244B1 (ko)
AU (1) AU650207B2 (ko)
DE (1) DE6932827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7853A (en) * 1994-06-30 1999-06-29 Academy Of Applied Science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raining high speed digital telephonic modems to obviate imperfections in the telephone channel, while simultaneously allowing conversation
US5537628A (en) * 1994-08-29 1996-07-16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for handling different code pages in text
US6952801B2 (en) * 1995-06-07 2005-10-04 R.R. Donnelley Book assembly process and apparatus for variable imaging system
US6327599B1 (en) * 1995-06-07 2001-12-04 R. R. Donnelley & Sons Company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press to print fixed and variable information
US6332149B1 (en) 1995-06-07 2001-12-18 R. R. Donnelley & Sons Imposition process and apparatus for variable imaging system
US6088710A (en) * 1997-10-29 2000-07-11 R.R. Donnelley & Sons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fulfillment pieces on demand in a variable imaging system
US6246993B1 (en) 1997-10-29 2001-06-12 R. R. Donnelly & Sons Company Reorder system for use with an electronic printing press
US6205452B1 (en) 1997-10-29 2001-03-20 R. R. Donnelley & Sons Company Method of reproducing variable graphics in a variable imaging system
US6330617B1 (en) 1998-02-27 2001-12-11 Sabre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ata conversion in a computer network
US8275661B1 (en) 1999-03-31 2012-09-25 Verizon Corporate Services Group Inc. Targeted banner advertisements
WO2000058863A1 (en) 1999-03-31 2000-10-05 Verizon Laboratories Inc. Techniques for performing a data query in a computer system
US6374241B1 (en) * 1999-03-31 2002-04-16 Verizon Laboratories Inc. Data merging techniques
US8572069B2 (en) 1999-03-31 2013-10-29 Apple Inc. Semi-automatic index term augmentation in document retrieval
US6718363B1 (en) * 1999-07-30 2004-04-06 Verizon Laboratories, Inc. Page aggregation for web sites
US7278094B1 (en) 2000-05-03 2007-10-02 R. R. Donnelley & Sons Co. Variable text processing for an electronic press
US6912525B1 (en) 2000-05-08 2005-06-28 Verizon Laboratories, Inc. Techniques for web site integration
DE102008022839A1 (de) 2008-05-08 2009-11-12 Dspace Digital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Engineering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orrektur von digital übertragenen Informationen
US9442944B2 (en) 2013-11-12 2016-09-13 Dropbox, Inc. Content item purgin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7322A (en) * 1981-06-16 1983-11-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port generation control system for text processing machines
US4459049A (en) * 1982-03-24 1984-07-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bbreviated typing with special form display
US4773039A (en) * 1985-11-19 1988-09-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compaction and replacement of phrases
JPS63133260A (ja) * 1986-11-26 1988-06-06 Pfu Ltd 差込み文字列属性指定方法
JPS63149760A (ja) * 1986-12-01 1988-06-22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テキスト処理システムと方法
US5091878A (en) * 1987-11-09 1992-02-25 Sharp Kabushiki Kaisha Word processing apparatus
US5101375A (en) * 1989-03-31 1992-03-31 Kurzweil Applied Intelligenc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inding and capitalization in structured report generation
DE69030841D1 (de) * 1989-04-17 1997-07-10 Ibm Kundenspezifisches Dokument mit variablen Dokumentbefehlen
US5148366A (en) * 1989-10-16 1992-09-15 Medical Documenting Systems, Inc. Computer-assisted documentation system for enhancing or replacing the process of dictating and transcribing
US5019868A (en) * 1989-12-28 1991-05-28 Am International, Inc. Developer electrode and reverse roller assembly for high speed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device
JPH04195529A (ja) * 1990-11-28 1992-07-15 Nec Corp 注釈文付加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90949A3 (en) 1994-05-18
EP0590949B1 (en) 2000-04-05
EP0590949A2 (en) 1994-04-06
JP3174168B2 (ja) 2001-06-11
AU650207B2 (en) 1994-06-09
DE69328279D1 (de) 2000-05-11
DE69328279T2 (de) 2000-08-24
KR940009861A (ko) 1994-05-24
AU4874493A (en) 1994-04-21
US5412566A (en) 1995-05-02
JPH06119158A (ja) 199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6244B1 (ko) 변량교체장치
US7111011B2 (en)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document processing method, document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950001940B1 (ko) 데이터 처리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편집장치
Bos et al. Cascading style sheets level 2 revision 1 (css 2.1) specification
US5966127A (en) Graph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20040181746A1 (en) Method and expert system for document conversion
CA2559198C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complex text in a presentation data stream
DE69428265T2 (de) Verfahren und system zur erzeugung, spezifizierung und generierung von parametrischen schriftarten
EP1126379A1 (en) Conversion of directly assigned document format attributes
Peels et al. Document architecture and text formatting
JPH076168A (ja) Dbcsコード・ページを使ってsbcsフォント及びdbcsフォントを与える構造化された文書を編集する方法
KR100702105B1 (ko) 표시장치, 표시방법, 표시 프로그램, 및 표시 프로그램을기록한 기록매체
JP2003132078A (ja) データベース構築装置、データベース構築方法、データベース構築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H0668748B2 (ja) 文書整形方法
JPH035878A (ja) ホストコンピュータ日本語帳票印字イメージデータの変換方法
Molesworth The open interchange of electronic documents (open document architecture (ODA))
JP2002229984A (ja) 構造化文書処理装置、構造化文書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に構造化文書処理を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Warbrick et al. Essential LaTEX+: LaTEX2 and LaTEX 2.09
Cohen Adaptive character generation and spatial expressiveness
Ausbrooks Mathematical Markup Language (MathML) Version 2.0
TSO ADOBE® FONT METRIC FILES Specification Version 3.0
JPH01255986A (ja) マルチフオント辞書の作成法
JP2003131932A (ja) データベース構築装置、データベース構築方法、データベース構築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H06332892A (ja) 表生成処理装置
JPH0895975A (ja) 論理構造化文書の生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1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