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130B1 - 반복체결가능한 접착 테이프 폐쇄장치 - Google Patents

반복체결가능한 접착 테이프 폐쇄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130B1
KR0126130B1 KR1019890004390A KR890004390A KR0126130B1 KR 0126130 B1 KR0126130 B1 KR 0126130B1 KR 1019890004390 A KR1019890004390 A KR 1019890004390A KR 890004390 A KR890004390 A KR 890004390A KR 0126130 B1 KR0126130 B1 KR 0126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ure device
adhesive
floor
repeatable
repeatable 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4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5693A (ko
Inventor
레오날드 노린 알렌
리차드 그리싱어 딘
로렌스 멜비 윌리암
조지 로저 에릭
존 시피넨 알란
얼 우드 레이
Original Assignee
도날드 밀러 셀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날드 밀러 셀,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filed Critical 도날드 밀러 셀
Publication of KR890015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5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8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반복체결가능한 접착 테이프 폐쇄장치
제1도 내지 제7도는 본 발명의 반복체결가능한(refastenable) 감압성 접착제 폐쇄장치(closure)에 이용될 수 있는 표적 단편(target strip)의 작용면을 250배 확대한 현미경사진이다.
제8도는 본 발명의 반복체결가능한 감압성 접착제 폐쇄장치에 유용한 바람직한 미소분포상태를 500배 확대한 사진이다.
제9도 및 제10도는 본 발명의 반복체결가능한 감압성 접착제 폐쇄장치에 이용될 수 있는 표적 단편의 작용면을 280배 확대한 현미경 사진이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반복체결가능한 접착제 폐쇄장치를 가진 기저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제12도는 제11도에서 선9-9를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이다.
제13도는 활석분말에 의한 오염도에 대하여, 반복체결가능한 감압성 접착제 폐쇄장치의 내성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기저귀 및 봉투와 같은 그밖의 물품의 감압성 접착제 폐쇄장치, 특히 상기 접착제 폐쇄장치의 표적 단편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폐쇄장치가 오염으로 인해 그 접착성을 시기상조로 손실하기 쉽다는 문제점의 해결과 관련된다.
미합중국 특허 제4,163,072호(안톤센외 다수)는 안전핀 대신에 감압성 접착 테이프 폐쇄장치를 사용하므로서 1회용 기저귀가 크게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음을 설명하고 있으나 활성분말에 의한 오염은 상기 접착제의 접착능을 크게 감소시킨다고 기술하고 있다. 상기 안톤센 특허는 이러한 문제점에 대응하여 미립자 물질, 예를 들어 활석분말로 오염되었을 경우 조차도 양호한 접착력 및 전단성을 나타내는 고무상 블록 공중합체를 감압성 접착제로서 사용할 것을 제시했다. 그러한 감압성 접착제의 이용가능성에도 불구하고 1회용 기저귀에 대한 가장 보편적인 불만은 상기 접착 테이프 폐쇄장치의 파손이며, 이는 주로 활석분말 오염에 의해서 발생되는 것으로 간주했다.
반복체결성 기저귀 폐쇄장치는, 오염시 다소의 점착성을 상실하지만 여전히 기저귀를 적소에 지지하기에 충분한 점착성이 있는 건조점착성이 큰(aggressive) 감압성 접착제를 사용할 경우, 오염에 대해 내성이 더욱 강해질 수 있다. 건조점착성이 과다한 것으로 만들어질 경우, 오염되지 않았을 때, 특히 손가락이 힘이 없는 사람은 폐쇄장치를 개방하기가 곤란하다. 또한 특히 손가락 힘이 없는 사람은 폐쇄장치를 개방하기 곤란하다. 또한 접착제의 건조점착성이 과다한 경우 접착 테이프 폐쇄장치를 개방할 때 기저귀가 인열될 위험도 있다.
상기 안톤센 특허외에, 종래기술에서 기저귀의 반복체결성 접착제 폐쇄장치의 파손을 최소화시키는 방법은 교시된 바 없다. 그러나, 다른 관점에서 상기 폐쇄장치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에 대해 다수의 특허 공보가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237,889호(고브란)는 종래의 테이프 탭이 빈발적으로 찢어지는 것 또는 찢어지지 않게 제조된 경우에는 너무 비싸거나 또는 뻣뻣하여 아기의 부드러운 피부가 손상되는 것에 대한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상기 고르만 특허는 이러한 문제점에 대하여 한면이 매끄러운 표면이고 다른 한면은 특수 직조된 면인 결정성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탭의 받침면(backing)으로 사용하는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436,520호(리프코외 다수)는 1회용 기저귀의 외면 또는 배면시이트를 통상 엠보싱 처리하여 광택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엠보싱은 폐쇄 탭에 대한 엠보싱된 표면의 접착성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기 때문에 유아용 기저귀에서는 적합하지 못하다라고 기술하고 있다(제1란, 제19-22행). 상기 리프코 특허는 또한(45°) 광택이 8정도인 엠보싱 처리된 폴리에틸렌 필름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 처리된 표면의 접착력은, 상기 표면이 Surtronic 3장치로 측정하여 최대 측면 높이가 150 이하이고 골의 최대높이가 230 이하의 평균치를 가질 경우, 급격히 향상된다.
1회용 기저귀의 외면 시이트의 엠보싱 높이는 전형적으로 20 내지 30㎛이지만, 미합중국 특허 제3,484,835호(트론스틴외 다수)에서는 엠보싱 높이가 필름 두께의 약 3 내지 4배, 예를 들면 25㎛필름에 대해 75 내지 100㎛ 높이인 1회용 기저귀의 외면 시이트를 비롯한 용도에서 평직물처럼 보이는, 영구적으로 엠보싱 처리된 설계를 갖는 플라스틱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645,501호(티드)는 1회용 기저귀의 접착제 체결 탭을 느슨히 할 수 있고 재배치할 수 있음이 바람직하지만, 1회용 기저귀의 체결 탭 및 외면 플라스틱 시이트간에 강한 결합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상기 체결 탭은 일반적으로 의류의 얇은 방수 플라스틱 외장을 찢거나 잡아당기지 않고서는 상기 플라스틱 시이트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될 수 없다고 지적하였다. 상기 외장의 인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저귀를 체결 탭과 접촉될 수 있는 영역을 포장하는 플라스틱 보강 단편(reinforcing strip)[표적 단편(target strip)으로 명명되기도 함]으로 제조하는 일이 많다. 상기 티드 특허는 아래쪽으로 점차 가늘어지는 측면을 가진 사각 오목 표면부에 의해서 분리된 릿지 또는 리브를 갖도록 엠보싱처리된 것을 방수 플라스틱 커버 또는 외면 시이트로서 사용하므로써 위치 재배치가능성을 달성함과 동시에 보강 단편의 필요성을 배제한다. 실시예 I 에서, 상기 플라스틱 외면 시이트는 두께 1밀(mil)(25㎛)이고, 오목부 깊이 0.0023인치(58㎛)를 가진다.
1회용 기저귀의 보강 또는 표적 단편에 관한 공보중에는 1회용 기저귀에 사용되는 스크림 보강된 받침면 시이트를 개시한 미합중국 특허 제3,867,940호(미세크외 다수) ; 폴리에스테르의 비탄성 표적 단편을 개시한 독일연방공화국 공개공보 DE 3338201 A1(Molnlycke AB) ; 및 1회용 기저귀의 정면상의 보강된 영역, 예를 들면 접착제층에 의해서 외면 시이트에 부착된 매끄러운 표면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된 보강 영역을 개시한 유럽특허공고 제0 080 647 A1호(보우작 세인트 프레레스)가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643,730호(첸외 다수)는 1회용 기저귀의 외면 또는 받침면 시이트의 내면상에 상기 시이트를 고 에너지 방사선(high-energy-radiation) 경화성 코팅물로 코팅하고 상기 코팅물을 경화시키므로써 제공된 보강 단편을 개시하고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543,139호(프리드만외 다수)는 포장용 반복체결성 폐쇄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며, 이는 특히, 기름 및 작은 음식찌꺼기등의 오염물질에 의해 무효화되는 상기 폐쇄장치의 문제점의 해결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프리드만 특허의 폐쇄장치는 두 개의 감압성 접착층을 가지는데, 하나는 포장물의 몸체에 강하게 결합하고, 다른 하나는 상대적으로 약하게 결합하여 포장물의 커버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포장물을 방복폐쇄 및 반복개방하는 과정에서, 상기 강한 접착제는 상기 약한 접착제와 혼합되어 폐쇄장치의 개방중에 야기되는 오염을 배제시킨다.
미합중국 특허 제4,655,761호(그루브외 다수)는 외부표면은 엠보싱처리되고 접착제를 가진 표면은 매끄러운 폴리프로필렌 테이프물질을 사용한 반복체결성 테이프 시스템을 가진 1회용 기저귀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테이프상의 접착제는 중합체에 고도의 접착가를 부여하는 반고형 접착제이지만, 중합체는 박리될 수 있고 반복체결될 수 있다. 상기 기저귀의 외부받침면을 형성하는 상기 중합체는 비교적 두껍고 엠보싱처리된 중합체 시이트이다.
미합중국 특허 제4,710,190호(우드외 다수)는 접착제 체결 테이프를 수용하기 위한 개선된 보강 영역을 가진 기저귀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기저귀는 불투액성 외면필름 및 박리-방지 보강 체결영역으로서 상기 불투액성 필름에 결합된 이중층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 이중층 필름은 보강층 및 실온 비점착성 결합층을 포함하는바, 상기 결합층은 이중층 필름의 상단에 접착되었을 때 상기 체결 테이프가 가하는 힘보다 더 큰 힘으로 상기 불투액성 필름에 대해 상기 보강층을 지지하고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397,905호(데트머외 다수)는 합성 열가소성 중합체의 지지필름 및 일측면상에 접착제층을 가지는 접착 테이프를 개시하고 있는데, 상기 지지필름은 약35㎛ 이하의 두께이고, 약 5 내지 20m 범위내의 길이를 가지는 비접착성 표면의 입면상에 제공된다.
미합중국 특허 제4,536,362호(도날드슨)는 한쌍의 다이 립(die lip)을 통하여 압출된 것을 비롯한 종방향으로 리브(rib) 처리된 플라스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는데, 상기 다이 립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다이 립을 교차하는 수지 유동 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로 전개된 구멍을 가지고 있다. 겔 입자와 같은, 수지중의 불순물은 상기 다이 립의 구멍에서 수집되고 상기 필름의 두꺼운 리브 부위에서 압출된다. 상기 리브는 인열 및 파괴의 진전을 방지하는 보강된 영역을 형성한다.
미합중국 특허 제4,349,598호(화이트)는 투명한 표면층과 받침면층 사이의 일렬의 광반사 정삼각형 프리즘을 가지는 역반사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588,258호(후프만)는 다수의 육안확인면(Viewing plane)을 따라 증가된 각도를 가지는 육면체 역반사 물품을 개시하는 바, 상기 물품은 서로 180°로 회전된 육면체 역반사 요소로 된 적어도 하나의 결합된 쌍을 포함하고, 상기 요소의 상호 수직인 세 측면은 공통 평면상에 있는 직선모서리에 의해서 그것들의 기저부에서 분할되고, 상기 요소의 광학 축은 서로를 향하여 경사를 이루고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576,850호(마르텐스)는 성형된 플라스틱 모로니스층 또는 몸체를 포함하되, 경질 및 연질 부분으로 가교된 중합체를 포함하고, 복제하고자 하는 미소 구조가 함유 또는 입력된 금형 마스터를 액상의 캐스트된 일성분 방사선 부가 중합성의 합성된 가교, 유기 오리고머로서 경질 부분 및 연질 부분을 가지는 조성물로 충전하고, 수득한 캐스트 조성물을 방사선에 노출시켜 물품을 성형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된, 미소결정 함유 표면을 가지는 물품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물품은 예를 들면 역반사 육면체 시이트재, Fresnel의 렌즈 또는 비디오 디스크일 수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476,593호(판셀로우외 다수)은 가요성 기재상에 Fresnel의 패턴으로 다수의 증분반사체를 가지는 탠닝(tanning) 담요를 개시하고 있는데, 상기 반사체는 인체를 향해 입사하는 태양광을 반사시켜 인체의 옆구리를 가로질러 방사선을 분산시킨다.
유럽특허공고 제0 205 289호(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는 제 1면상에서 흐르는 유체 및 상기 제 1 면과 평행인 제 2 면상의 접착제에 의해 전진력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는 패턴으로 된 표면을 가지는, 전형적으로는 필름인, 형태정합성 전진력 감소 물품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반복체결성 감압성 접착제 폐쇄장치는 보통 사무용 우편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봉투에 널리 사용된다. 상기 봉투는 폐기전 약 30회까지 사용될 수 있도록 고안되었지만. 그 폐쇄장치는 오염되기 쉽고 10회 미만의 우송으로 그것의 접착성을 상실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감압성 접착제 함유-체결 탭, 및 상기 접착제-함유 체결 탭과 접촉시키기 위한 작용면을 가지는, 표적 부위 또는 표적 단면을 포함하며, 미립자 물질에 의한 오염에 대해 내성이 있는 반복체결가능한 접착제 폐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표적 부위의 작용면은 마루와 골로 형성되어 있고, 골 위로의 높이는 거의 균일하고 약 40 내지 300㎛이며, 상기 마루간의 간격은 약 50 내지 500㎛이고, 상기 표적 단편의 배면은 거의 편평하며, 상기 탭의 접착제층 두께가 골 위로의 높이에 대해 약 90%이하이다.
본 발명의 반복체결가능한 감압성 접착제 폐쇄장치에 있어서 표적 부위는 골내에 임의로 간헐적인 작은 돌출부를 가져서 인열의 진전을 감소키실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폐쇄장치의 표적부위를 제조하는데 유용한 테이프 롤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테이프는 작용면 및 접착제-함유면을 가지는 가요성 중합체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작용면은 톱니 모양의 릿지를 가지며, 기재와 릿지간의 높이는 거의 균일하고 약 40 내지 300㎛이고, 인접 릿지간의 간격은 약 50 내지 500㎛이고, 상기 릿지는 상기 테이프가 감기는 방향에 대해 평행하거나 교차하는, 바람직하게는 평행한 제 1및 제 2 면을 가지고, 상기 제 1 교차면은 상기 기재에 거의 수직이고, 상기 접착제-함유면은 거의 편평하다.
본 발명은 또한 방수 커버 시이트, 투수성 내면 시이트, 및 상기 커버 시이트와 상기 내면 시이트 사이에 있는 흡수층을 포함하는 1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기저귀는 돌출된 귀부분(ear)이 있는 배면 부위를 가진 전후단부, 상기 커버 시이트의 전면부상의 표적부위, 및 각 귀부분에 부착된 감압성 접착제-함유체결 탭을 가지며, 상기 표적 부위는 접착제-함유 체결 탭과 접촉하는 작용면을 가지고, 상기 표적 단편의 작용면은 마루 및 골로 형성되고 상기 골위로 높이는 거의 균일하고 40 내지 300㎛이며, 인접 마루간의 간격은 약 50내지 500㎛이고, 상기 표적 부위의 배면은 거의 편평하고, 상기 탭의 접착제 층 두께는 마루와 골간의 높이의 약 90% 이하이다. 상기 과녁부의 작용면 뿐만 아니라, 상기 기저귀의 전체 외부 커버도 마루 및 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몸체 및 플랩(flap)을 포함하는 봉투 또는 포장물에 관한 것인바, 상기 플랩은 감압성 접착제- 함유 체결 탭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접착제-함유 체결 탭과 접촉하는 작용면을 가지는 표적부위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표적 단편의 작용면은 마루와 골로 형성되고, 골위로의 높이는 거의 균일하고 약 40내지 300㎛이며, 인접 마루간의 간격은 약 50 내지 500㎛이고, 상기 표적부위의 배면은 거의 편평하고, 상기 탭의 접착제층 두께는 상기 마루와 골간의 높이의 약 90% 이하이다.
본 발명의 감압성 접착제 폐쇄장치는 반복체결가능한 기저귀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경우, 현재 시판되는 접착제 폐쇄장치보다 활석 분말에 의한 오염에 대해서 상당히 큰 저항력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신규의 감압성 접착제 폐쇄장치는 또한 반복체결성 봉투 및 기타 포장물을 제공하여 먼지, 흙 및 다른 미립자에 의한 오염에 대해서 봉투 및 포장용으로 현재 시판되는 어떠한 반복체결성 접착제 폐쇄장치보다도 더욱 큰 저항력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할때, 본 발명의 반복체결성 접착제 폐쇄장치는 미립자에 의해 오염되었을때 의외로 접착성을 거의 상실하지 않는다.
상기 표적 단편의 작용면에 있는 마루와 골의 표면적은 높이 약 10㎛ 이하의 거칠기를 무시할때 편평한 표면의 면적보다 적어도 35%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 탭의 접착제 층 두께가 마루 높이의 적어도 약 25%인 것이 바람직하고, 약 50 내지 8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접착제층의 두께가 약 50% 이하일 경우, 상기 신규의 접착제 폐쇄장치는 특정 용도에 있어서 특히 전단력이 불충분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층의 두께가 약 80% 이상일 경우, 상기 신규의 접착 폐쇄장치는 활석 분말 및 다른 입자 오염물에 의한 오염에 대해 저항력이 약해질 수 있다.
상기 신규의 표적 단편은 열가소성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엠보싱처리되는 것 보다는 캐스트 또는 측면 압출(profile extrude)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엠보싱 처리될 경우, 배면은 충전되거나 또는 그 배면을 거의 편평하게 만드는, 즉 마루를 눈에 띄지 않게 할 정도로 편평하게 만드는 특정 종류의 웹으로 적층되어야 한다. 상기 배면이 편평하게 만들어졌거나 원래 편평할때, 마루의 기저부에 제공된 측면지지부는 폐쇄장치가 재체결될때 상기 마루가 서로 부딪히는 것을 방지한다. 캐스팅 또는 측면 압출처리는 표적 단편이 마루밑에서 고착되도록 확보하기 때문에 캐스트 표적 단편의 면에서 마루는 배면이 매끄럽게된 엠보싱 표적 단편에 비하여 모양을 유지하기가 더욱 좋다. 더구나, 엠보싱처리보다는 캐스트 또는 측면 압출 처리를 사용할 경우 표적 단편의 면에서 소정의 외형을 수득하기가 더욱 용이하다.
폐쇄장치의 표적부위상의 마루 및 골의 표면형상, 및 마루와 골간의 높이의 90%를 넘지 않는, 체결 탭상의 접착제층 두께는 모두 상기 폐쇄장치의 방오성에 기여한다. 상기 접착제층은 체결시 폐쇄장치의 오염된 표적부위에 있는 마루의 일부분만 접촉하고 비오염된 접착제를 충분히 남겨 놓아 차후의 재체결시 양호한 접착성을 보유한다.
각각의 마루의 꼭대기는, 접착제 층의 체결 탭내로의 침투를 촉진시키기 위해서 약 90°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80°의 각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호한 침투성은 신규의 폐쇄장치의 접착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특히 유용한 표적 단편의 마루는 톱니모양의 릿지를 형성하는데, 이때 각 릿지는 상기 체결 탭의 제거 방향에 교차하고 표적 단편의 전체 나비를 가로질러 연장하며, 각 릿지의 한쪽면은 상기 방향에 거의 수직으로 연장하고 다른 한면은 상기 방향으로 마루로부터 경사를 이루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거의 수직이라는 의미는 약 70° 내지 110°의 각도를 뜻한다.
상기 릿지의 급경사면 및 반복체결성 접착제 폐쇄장치의 제거방향 사이의 개방각(open angle)이 70° 미만일때, 상기 폐쇄장치는 작은 전단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개방각이 110°이상일때, 상기 마루는 상기 체결 탭이 상기 표적부위로 압착될 때 충돌할 수 있다.
상기 마루의 꼭대기가 예리한다면, 상기 폐쇄장치는 둥근 마루를 가지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동이란 폐쇄장치보다 전단 파손면에서 일층 우수한 저항력을 나타낸다. 기저귀 폐쇄장치 용도로서는, 톱니 릿지가 상기 표적 단편의 양끝에서 배향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있어서, 마루 및 골의 표면, 즉, 상기 표적 단편의 작용면의 거대 표면은 약 500배 확대하였을 때 들쑥날쑥한 외관을 가지며, 높이 2 내지 30㎛이고, 상기 마루 높이의 20%를 넘지 않는 밀접하여 배치된 수많은 다수의 거친 부분을 포함하는 미소분포상태와 일치한다. 그러한 표면의 미소분포학적 측정은 편평한 상태로 존재할 때, 예를 들어 어떠한 마루 및 골도 가지지 않을때, PerthometerTM프로필로미터(profilometer)를 사용하여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반경 5㎛의 바늘이 장착된 상기 프로필로미터를 사용하는 편평한 필름상에서 측정치는 0.5 내지 6㎛의 Ra, 50 내지 200㎛의 Sm, 1.01 내지 1.15의 Lo, 및 60 내지 400/cm의 S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Ra는 상기 측면의 산술 평균 편차이고 Sm은 상기 측면 불규칙성의 평균 간격이고, Lo는 상기 측면의 상대적 길이이며, S는 cm당 높이 0.1㎛를 초과하는 마루의 수이다. 그와 같은 미소분포를 제8도에 나타내었다.
톱니형의 마루 기저부에서 예리한 모서리를 따라 인열될 수 있기 때문에, 작은 돌출부 혹은 인열 중지체(rip-stops)를 골에 형성시킬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마루 높이의 약 30 내지 100%로 연장될 수 있고 인접한 인열 중지체의 간격은 약 0.2 내지 6mm인것이 바람직하다. 각 표적 단편이 잘려지는 긴 길이의 시이트 물질을 제조하고 취급하는데 있어서, 상기 인열 중지체는 상기 시이트 물질이 감압성 접착제용층을 함유한 시이트 물질의 롤을 풀어내는데 필요한 힘과 같은 인열을 조정하는 힘에 대해 더욱 저항력이 커지게 한다. 표적 시이트 물질이 열-활성 접착제를 포함하거나 기저귀가 형성될때까지 접착제가 부착되지 않았을때, 인열 중지체의 필요성은 적다. 반면에, 인열 중지체는 기저귀가 헤어지거나 포장물의 취급중에 당면하는 전단력으로부터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인열의 진전을 방지하는데 유용할 수도 있다.
상기 마루와 골은 다양한 등고선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티드의 특허에 설명된 등고선을 사용할 수 있으나 그것의 마루는 대칭적이기 대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티드의 등고선을 바람직한 등고선으로 전환하기 위해서 제거방향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마루의 면은 상기 방향에 거의 수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면과 제거방향 사이의 개방각이 약 70° 내지 9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다른 유용한 등고선에 있어서, 상기 마루는 다수의 원통형 또는 사각형의 컬럼으로 형성되고, 그 각각은 머리 부분보다 기저부에서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유용한 컬럼으로는 피라미드 및 원추를 들 수 있다.
제1도 내지 제4도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표적 단편의 마루는 톱니 릿지를 형성하고, 상기 릿지는 각각 체결 탭의 제거 방향을 횡단하여 표적 단편의 전체 나비에 교차하여 연장된다. 각 마루의 한면은 상기 마루의 꼭대기에 의해 구획되는 평면에 거의 수직이고 다른 한면은 경사져 있다.
제1도 및 제3도의 표적 단편은 강철 실린더 상으로 캐스트된 것이고 제2도 및 제4도의 표적 단편은 알루미늄 실린더 상으로 캐스트된 것이다. 제2도에서 마루의 꼭대기 부분에서의 거칠기는 캐스팅 실린더의 표면이, 폴리프로필렌이 캐스팅실린더를 완전히 충전시키기전에 냉각되기 때문에, 제1도에서처럼 양호한 복제상태를 나타내지 못함을 보여주고 있다.
제5도의 표적 단편은 톱니 릿지에 수직으로 뻗어있는 홈을 제외하고는 제1도의 것과 유사한 마루 및 골의 패턴을 가진다.
제6도의 표적 단편은 상기 설명된 티드의 특허 제4,645,501호의 것과 전반적으로 유사한 마루 및 골의 패턴을 가진다.
제7도의 표적 단편은 마루에서보다 기저부에서 더 크고 둥근 마루를 가지는 컬럼형태의 마루패턴을 가진다.
제9도 및 제10도의 표적 단편은 인열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공된, 돌출부 또는 인열 중지체(3)과 마루(1)및 골(2)의 패턴을 가진다.
상기 표적 단편의 배면이 거의 편평하기 때문에, 상기 배면에 피복된 접착제는 신규의 표적 단편을 기저귀의 외면시이트 또는 봉투와 같은 기재에 영구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에 충분하게 매끄럽다.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감압성 접착제 및 핫 멜트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적 단편은 개별적으로 편리한 저장 및 선적을 위해 그 자체가 롤 형태로 감겨진 긴 롤 재료로부터 절취된다. 그러한 물질이 감압성 접착제층으로 예비피복되었을 경우, 상기 접착제층이 충분히 얇아서(예를들면 약 12 내지 25㎛) 상기 마루의 꼭대기에만 접촉될때는 저접착성 백사이즈(backsize)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상기 표적 단편 및 신규의 반복폐쇄성 접착제 폐쇄장치의 체결 탭간의 충분한 결합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저접착성 백사이즈의 사용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저귀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표적 단편이 얇아야만 바람직하지 못한 강직성을 피할 수 있다. 골의 기저부에서 상기 표적 단편의 두께는 약 15 내지 50㎛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약 20 내지 35㎛인 것이 바람직하다. 봉투 또는 포장용 폐쇄장치로서 사용될때는, 상기와 동일한 두께가 원료의 경제성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골의 기저부에서 약 50㎛ 이하의 두께로 된 표적 단편의 시이트물질은 더 두꺼운 단편보다 일층 빠르게 캐스팅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골의 기저부에서 두께 약 15㎛보다 얇은 시이트 물질은 너무 약하여 고속으로 취급할 수 없다.
상기 접착제층은 미합중국 특허 제4,260,659호(고브란)에 설명된 바와 같이 단일 접착제층 또는 다수의 중첩 및 확고히 일체화된 접착제층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반복체결가능한 접착제 폐쇄장치의 표적 단편은 예컨대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및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드 같은 엠보싱 또는 압출에 적합한 것으로 공지된 열가소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반복체결가능한 접착제 폐쇄장치의 표적 단편은 폴리올레핀, 특히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이들의 혼합물 및/또는 공중합체, 및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에틸렌/아크릴산, 에틸렌, 및 메타크릴산과 같은 기타 소량의 단량체와 프로필렌 및/또는 에틸렌의 공중합체로부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및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가 그들의 가공적성 및 물리특성의 조화로 인해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또는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의 용융 유동 지수(melt flow index)는 일반적으로 약 10 내지 100g/10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50g/10분이다. 상기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는 인성(toughness) 및 연성이 특히 중요시될때 바람직하다. 인성 및 연성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를, 소량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에틸렌, 및 예컨대 주성분 폴리올레핀과 상용될 수 있도록 선택된 분자량을 갖는 전제하에 소량의 비닐 아세테이트,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와 혼합시키므로써 더욱 증가될 수 있다.
1회용 기저귀상에서 사용되는 표적 단편을 형성시키는데 특별한 바람직한 폴리올레핀은 용융 유동 지수가 약 10 내지 100g/10분, 바람직하게는 약 20내지 50g/10분인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약 50 내지 80중량% 및 용융 지수가 약 1 내지 50g/10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g/10분인 저밀도 포리에틸렌 20 내지 50중량%의 혼합물이다.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양이 약 20중량% 이하일때는, 상기 표적 단편이 충분한 충격강도를 갖지 못할 수 있다.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양이 50중량% 이상일 때는 상기 표적 단편의 충분한 인장강도가 부족할 수 있다.
상기 표적 단편용으로 바람직한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는 엑손 케미칼 컴패니에서 시판하는 EscoreneTMPP-3085이다. 이는 35g/10분의 용융 유동 지수를 가진다. 바람직한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는 피나 오일 앤드 케미칼 컴패니에서 시판되는 용융 유동 지수 20g/10분인 DyproTM283-9-1이다. 바람직한 폴리프로필렌/에틸렌 임팩트(impact) 공중합체는 쉘 케미칼 컴패니에서 시판하며 용융 유동 지수가 35g/10분인 WRS-7-319이다. 바람직한 폴리에틸렌 용융 유동 지수가 35g/10분이고 밀도가 0.918인 이스트만 케미칼 컴패니에서 시판되는 TeniteTM1550 P LDPE이다.
전술한 폴리올레핀은 쉽게 캐스팅 표면을 복제하고 또한 용이하게 측면압출될 수 있다. 이들은 거칠고, 내구성이 있고 그것의 모양을 잘 유지하므로, 캐스팅된 후에 취급하기가 쉽다. 이러한 점에서 동등한 다른 열가소성 수지는 비용이 너무 높다. 대안으로서, 상기 표적 단편의 수지는 아크릴레이트,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와 같은 경화성 물질, 스티렌, 및 에폭시류로부터 캐스팅될 수 있고, 열, 화학선(예 : 자외선), 또는 전자빔 방사선과 같은 이온화 방사선에 노출시키므로써 경화시킬 수 있다.
폴리올레핀 중합체는 약 245℃ 내지 305℃의 용융 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약 260℃ 내지 290℃에서 술로트 압출다이를 통과시킨후 고무로 덮힌 롤과 조각된 수냉식 캐스팅 롤 사이의 닙에 통과시켜 압출할 수 있다. 상기 캐스팅 롤의 온도는 수지 조성물, 롤 접촉시간, 및 소정의 장력/인열특성에 따라서 약 40℃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80℃일 수 있다. 롤 접촉시간은 롤 크기,선속도, 조성 및 소정의 장력/인열특성에 좌우되어 약 0.1 내지 1.0초 일수 있다. 일반적으로, 같은 정도의 복제 및 물리적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서 짧은 롤 접촉시간은 낮은 캐스팅 롤 온도를 필요로 하고 긴 접촉시간은 보다 높은 캐스팅 롤 온도를 필요로 한다.
신규의 접착제 폐쇄장치의 체결 탭상에서 감압성 접착제층의 두께는 15 내지 70㎛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 두꺼운 두께는 접착제 양의 면에서, 또한 표적 단편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재료의 양적인 면에서 원료의 낭비일 것이다. 15㎛ 이하의 접착제 두께로는 상기 탭이 상기 표적 단편에 충분히 강하게 접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체결 탭의 감압성 접착제는 지압하에 마루에 의해서 침투되어 마루 및 골 표면적의 20내지 70%가 접착제와 접촉할 정도로 연성이 충분한 것이 바람직하다. 동시에, 상기 접착제는 이하에서 실시한 테스트에서 우수한 135° 박리가 및 전단가를 제공하도록 충분히 경질인 것이어야 한다. 이러한 수치를 제공하는 감압성 접착제의 종류는 (1) A는 비닐아렌를 포함하고, B는 공액된 디엔 및 알켄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량체의 중합체를 포함하며, A는 블럭 공중합체의 약 8 내지 50중량%를 구성하는 AB 공중합체, 및 (2) 상기 AB 공중합체가 AB 공중합체 및 점도부여제 전체의 20 내지 60중량%를 구성하는 점도부여된 수지의 혼합물이다. 상기 혼합물의 B상 및 점도부여 수지의 합성 Tg는 약 250 내지 275°K인 것이 바람직하고, 257°K 내지 267°K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AB 블럭 공중합체와 점도부여 수지의 혼합물인 B상의 Tg는 Fox 방정식 및 각 구성성분의 Tg, 즉 상기블록 공중합체의 B 블럭 및 상기 혼합물내의 각 점도부여 수지의 Tg를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상기 Fox 방정식은 1/합성 Tg=∑W1/Tg1이고 이때, W1는 각 구성성분Ⅰ의 중량 분획이고 Tg1는 각 구성성분 ⅰ의 유리전이온도이다. 약 250 내지 275°K의 바람직한 범위내에서의 합성 Tg를 얻도록 촉진시키기 위해 액체 및 고체 점도부여제를 둘다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단일 반고형 점도부여제를 사용하여 이를 달성할 수도 있다.
상기 AB 블럭 공중합체는 선형 삼중블록, 별, 부채꼴, 분지형 및 점차 가늘어지는 형태를 비롯하여 각종 형상중의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상기 A 블록은 사용 온도에서 강성이며 스티렌 또는 얄파-메틸스티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 블록은 사용 온도에서 가요성이며, 이소프렌 또는 부타디엔의 단독중합체 또는 에틸렌과 부틸렌의 공중합체중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강성 A 블록은 상기 B 블록의 주성분이 이소프렌일때 전체 블록 공중합체의 약 8 내지 30중량%이고, 상기 B 블록의 주성분이 부타디엔일때 전체 블록 공중합체의 20 내지 50중량% 범위내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AB 블록 공중합체는 KratonTM1107 및 1111로서 쉘 케미칼 컴패니에서 시판하거나, 또는 QuintacTM3420, 3430, 및 3530으로서 니뽄-제온에서 시판하는 것과 같은 약 10 내지 약 21중량%의 스티렌체는 StereonTM840A 및 845A로서 Firestone Synthetic Latex and Rubber Company에서 시판하는 스티렌 약 25% 내지 40% 범위로 된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ABA 블록 공중합체이다.
바람직한 고체 점도부여 수지는 로진 에스테르, 수소첨가된 로진 에스테르, 폴리테르펜 수지. 피페릴렌, 이소프렌, 및 4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다른 공액된 디엔을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된 탄화수소 수지, 및 이들의 수소첨가 변형체 ; 중합되고 수소첨가된 C9 탄화수소 스트림에서 유래한 수지, 시클로펜타디엔과 같은 중합되고 수소첨가된 고리형 디엔으로부터 유해한 수지, 스티렌, 비닐 톨루엔, 및 알파-메틸스티렌과 같은 중합되고 수소첨가된 순수 단량체 종으로부터 유해한 수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고체 점도부여 수지는 4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지방족 석유 유도체인 디엔 및 모노-올레핀의 스트림에서 주로 유도된 중합된 구조를 주요 구성성분으로 하는 탄화수소 수지를 포함한다. 피페릴렌 및 이소프렌이 가장 통상적인 화학종이다. 상기 수지는 EscorezTM1310 으로소 엑손 케미칼 컴패니에서 시판하며, Wingtack PlusTM및 WingtackTM95로서 굿이어(Goodyear) 케미칼 컴패니에서 시판한다.
가소제 또는 연화제로서 언급되기도 하는, 바람직한 액체 점도부여제는 액화 탄화수소 수지 및 수소첨가 탄화수소 수지, 액체 폴리스티렌, 로진 오일, 액체 로진 에스테르, 액체 폴리테프펜, 중합되고 수소첨가된 C9탄화수소 스트림으로부터 유래한 액화 수지 ; 디시클로펜타디엔과 같은 고리형 디엔의 중합화 및 수소첨가로부터 유래한 액상수지 ; 및 스티렌, 비닐 톨루엔,
Figure kpo00001
-메틸스티렌과 같은 순수 단량체 종을 중합화하고 수소첨가하므로써 형성된 액화 수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액체 점도부여제는 4 내지 6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지방족 석유 유도체인 디엔 및 모노-올레핀의 스트림으로부터 주로 유도된 중합된 구조를 주요 구성성분으로 하는 액화 탄화수소 수지를 포함한다. 그러한 수지의 일례는 WingtackTM10이다. 액체 점도부여제의 다른 부류는 EscorezTM2520과 같은 지방족 및 방향족 단량체의 중합된 혼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수지는 추가로 수소첨가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액체 점도부여제는 ZonarezTMA-25로서 입수할 수 있는, 25℃ 부근에서 연화점을 가지는 중합화된
Figure kpo00002
-피넨이다. ZonarezTMA-25는 특히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제제에 바람직하다.
다른 액체 점도부여제 또는 가소제로는 나프텐오일 및 파라핀오일을 들 수 있다. 상기 감압성 접착제는 또한 항산화제 및 충전제와 같은 통상의 첨가제를 포함한다.
제11도 및 제12도는 본 발명의 구체예, 즉 1회용 기저귀상에 이용되는 반복체결가능한 감압성 접착제 테이프 폐쇄장치를 보여준다.
제11도 및 제12도에 도시한 기저귀는 방수 커버 또는 받침면 시이트(10) 및 방수 시이트(12)를 가지며 상기 두 시이트 사이에 흡수층(13)이 있다. 표적 단편(14)는 커버 시이트(10)의 전면을 교차하여 감압성 접착제 층(16)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상기 표적 단편은 거의 평행한 하부 면(18) 및 마루와 골의 형태로 된 노출면(20)을 가지도록 캐스팅된 것이다. 상기 마루는 상기 표적 단편의 전체 나비를 횡단하고 그것의 길이를 교차하여 연장한다. 체결 탭(22)가 상기 기저귀의 배면에서 커버 시이트(10)의 각각의 귀부분(21)에 영구히 접착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 탭은 상기 가요성 받침면(24) 및 접착제(26)을 가지고, 이로써 체결 탭이 표적 단편에 붙었다 뗄 수 있도록 접착된다.
이하에서는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하나, 후술되는 실시예가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모든 부 및 퍼센트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중량에 대한 것이다.
이하의 테스트는 폐쇄장치 평가를 위하여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에 사용된 것이다.
[135° 박리가]
135°의 각도에서 박리력에 대한 폐쇄장치의 저항은 특히 의미가 있는데, 이는 기저귀의 체결 탭이 폐쇄장치를 개방시키기 위한 각도에서 박리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테스트 하부 조오(jaw)에 고정된 135°시험 지그(jig)로 일정 소고 연장 InstronTM인장시험기를 사용하여 상온 (23±2℃) 및 습도(50±2% 상대습도)하에 실시한다. 테스트하고자 하는 표적 단편(5×12.5cm)을 감압 접착제 전이테이프로 스틸판넬에 접착시킨다. 20cm의 종이 리더를 테스트하고자 하는 폭 2.54cm의 감압 체결 탭에 부착시킨후, 탭을 표적 단편상에 중앙위치시키고, 접착제를 젖혀 내린 후에, 기계적으로 작동되는 4.5lb(2.0kg)의 경질 - 고무 로울러의 각 방향에서 1회 통과시켜 종방향으로 즉시 감는다. 15초내에, 판넬을 지그 슬로트내로 활주시키고, 리더를 상부 조오에 고정시킨다. 차트를 12.5cm/분의 속도에서 시작하고, 크로스헤드는 30cm/분의 속도로 시작하여 체결 탭을 박리시킨다. 박리가를 차트로부터 판독하되, 탭의 처음 부분과 마지막 0.63cm부분을 제거함으로써 생긴 기록부분은 무시한다. 적어도 2회 측정을 반복실시하여, 그 값을 평균한다. 오염되지 않은 기저귀 폐쇄장치의 경우, 135° 박리가는 적어도 10N/d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N/dm이어야 한다.
덮개내에 슬릿(slit)이 있는 포장된 유동층을 사용하여 활석분말로 시험편을 오염시켰으며, 이 때 상기 슬릿을 통해 활석분말의 연기와 같은 흐름을 방출시켰다. 시험편을 이 흐름에 노출시켰으며, 노출 전후에 평량하였다.
[전단가]
전단가는 변형된 PSTC-7법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테스트하고자 하는 표적 단편의 비-테스트 표면을 0.089mm 두께의 폴리프로필렌 받침면을 지닌 감압 접착제(3M사에서 시판되는 Y-8450)에 적층시켜 표적 단편을 보강시켰다. 테스트하고자 하는 체결 탭의 접착층을 표적 단편의 테스트표면[1인치×1인치(2.54cm×2.54cm)테스트면적]에 적층시켰다. 100℉(38℃)로 유지되는 공기 순환 오븐에 15분간 방치한 후, 100g의 추를 즉시 부착시켜 폴리올레핀 필름에 대한 결합력을 시험했다. 추가 떨어지는 시간을 기록하고, 1000분 이내에 떨어지지 않으면 시험을 중단한다. 적어도 5회 시험하여 얻은 기록값들을 평균한다. 오염되지 않은 폐쇄장치의 경우, 전단가는 적어도 100분이어야 한다.
[감압성 접착제 A-F]
실시예에서, 감압성 접착제들은 다음의 물질을 사용해서 처방하였다 :
KratonTM1107(쉘 케미칼) : 스티렌 14부와 이소프렌 86부의 ABA 선형 삼중블록 공중합체.
KratonTM1101(쉘 케미칼) : 스티렌 30부와 부타디엔 70부의 ABA 선형 삼중블록 공중합체
SolpreneTM1205(피나) : 스티렌과 부타디엔의 고무상 공중합체.
WingtackTM10(굿이어 케미칼) : C5탄화수소 올레핀류를 주성분으로 하는 액체 점도부여 수지.
Wingtack PlusTM: C5탄화수소 올레핀류를 주성분으로 하는 고체 점도부여 수지.
ZonarezTMA-135(아리조나 케미칼) : 알파 - 피넨을 주성분으로 하는 고체 점도부여 수지.
ZonarezTMA-25 : 알파 - 피넨을 주성분으로 하는 고체 점도부여 수지.
EscorezTM1301(엑손 케미칼) : 고체 C5탄화수소 점도부여 수지.
EscorezTM2520 : 혼합 지방족/방향족 수지.
EscorezTM5300 : 수소첨가된 탄화수소 고체 점도부여 수지.
ShellflexTM371(쉘 케미칼) : 나프텐족 오일.
IrganoxTM1076(시가 가이기) : 항산화제.
하기 표 I 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기 물질의 조성물로부터 감압 접착제 A-F를 제조하였다. 각 조성물의 합성 Tg(유리전이온도)를 계산하여, 이것 또한 표 I 에 나타내었다.
[표 I]
Figure kpo00003
[표적 단편 1, 1A, 2-4 및 8]
표적 단편 1, 1A 및 2-4는폴리올레핀 필름을 65℃로 유지된 캐스팅 롤상에 캐스팅하고 표적 단편을 만들기 위해 상기 롤의 표면을 복제함으로써 제조하였으며, 그 작용면은 제1도-제4도에 도시된 마루 및 골을 가졌다. 표적 단편 8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며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루와 골을 갖고 있다. 표적 단편 I 및 1A의 각 마루의 꼭대기 부분은 약 60°의 각도를 갖고 있으며 각각의 마루의 한면은 마루의 꼭대기를 횡단하는 면에 대해 거의 수직이고 마루의 높이는 90㎛이며 인접한 마루간의 거리는 160㎛이었다. 상기 수치 및 기타 표적 단편의 수치는 표 II에 게재했다.
[표적 단편 5-7]
편평한 니켈판을 제5-7도 각각의 거울상이 되는 마루와 골을 갖도록 절삭했다. 이것을 평판 압착기(SentinalTM시일러)의 가열된 표면에 방치하였으며, 그 표면의 온도는 232℃였다. 상기 판에 저밀도 폴리에틸렌 펠릿을 놓고 실리콘 라이너로 피복했다. 압착기록 2분 동안 90psi(620Kpa) 압력으로 밀폐시켰다. 물로 냉각시킨 후 표적 단편 5,6 또는 7(각각 도면의 5,6 또는 7에 상응함)을 상기 판에서 제거했다.
표적 단편 1, 1A 및 2-8의 주요 특징은 대조군으로 사용된 폴리프로필렌의 편평한 필름의 특징과 함께 하기 표 II 에 요약했다.
[표 II]
Figure kpo00004
* PP-용융 유동 지수 35g/10분인 폴리프로필렌(엑손 케미칼 제품인 EscoreneTMPP-3085), 약 275℃에서 압출됨.
PE-약 232℃에서 압출된 용융 지수 3.7을 갖는 폴리에틸렌(NorchemTMNPE 1016).
PP/PE-용융 유동 지수 35를 갖는 프로필렌/에틸렌 임팩트 공중합체(쉘 케미칼 제품 WRS-7-319) 60부와 약 296℃에서 압출된 용융 지수 3.5를 갖는 폴리에틸렌 단독중합체(이스트만 케미칼 제품 TeniteTM1550P) 40부의 혼합물.
**SS=다이아몬드 전환후에 무전해 니켈 보호성 피복층이 부여된 1mm 두께의 구리 피복층을 갖는 스테인레스 스틸.
CP : 크롬 도금된 스테인레스 스틸.
[표적 단편 접착제 롤]
감압성 접착제 F를 표적 단편 1-5 각각의 길이방향으로 그 매끄러운 배면상에 20㎛ 두께로 핫-멜트 피복하였다. 각각의 길이 방향으로 자체로 롤에 감았으며, 이들 각각은 표적 단편의 비피복면에 저점착성 처리를 하지 않았다고 할지라도 접착제면과 표적 단편 마루간의 접촉면적이 감소되기 때문에 접착제가 전복되는 일 없이 풀려질 수 있다.
[체결 테이프]
감압성 접착제 A-F 각각을 소윤된(matte) 최종 상태를 갖도록 엠보싱된 75㎛ 폴리프로필렌 필름상에 핫-멜트 피복하였다.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비피복면은 체결 테이프가 롤 형태로 감길 수 있도록 저점착성 백사이즈 피복층을 가지고 있다.
[실시예 1-11]
본 발명의 다수의 감압성 접착제 폐쇄장치는 체결테이프 및 표적 단편 1-8중 하나에 50㎛ 두께로 감압성 접착제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이들을 활석분말(죤슨 앤드 죤슨 베이비 파우더)로 일정 수준으로 오염시켜 135°박리가를 테스트하고 오염이 없는 상태에서 전단가를 시험했다.
결과를 표 III에 나타내었다.
[표 III]
Figure kpo00005
*1 = 마루의 급경사 또는 직교 경사와 동일한 방향으로 가해진 힘, 즉
Figure kpo00006
; 2 = 마루의 급경사 또는 직교 경사와 반대 방향으로 가해진 힘, 즉; 및 대칭 = 마루상의 대칭 경사, 즉
Figure kpo00008
또는
Figure kpo00009
표 III의 자료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표적 단편의 작용면이 실시예 1-7과 같이 톱니형 마루를 포함하거나 실시예 8과 같이 톱니형 마루와 유사한 배열을 포함할때 일층 우수한 박리가 및 전단가가 얻어졌다. 이 박리가 및 전단가는 또한 폐쇄장치에 적용된 힘이 마루의 직교경사에 대향하여 가해진(방향 1) 실시예 2 와 3 및 4와 5에서 향상되었다. 덜 바람직한 표적 단편 작용면 배열을 갖는 실시예9(아래방향으로 점차 가늘어지는 측면을 갖는 사각형의 오목 표면 부분에 의해 서로 분리된 릿지 또는 리브), 실시예 10(둥근 마루) 및 실시예 11(대칭형 마루)은 톱니형 마루에 비해 낮은 박리가 및 전단가를 나타내었다.
표 III의 대조군의 135°박리가는 도면 제10도의 곡선 34로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도면은 활성분말로 오염될 경우 그 점착력이 급강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비교적 수평의 경사를 나타내고 있는 제2도의 곡선 30 및 32는 실시예 1과 6의 135° 박리가를 도시한 것으로 활석분말에 의한 오염에 대해 훨씬 더 우수한 내성을 나타냄을 보여주고 있다. 곡선 32가 약간 더 수평이므로 곡선 30보다 더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실시예 1의 폐쇄장치는 더 높은 전단가를 나타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전단가의 차이는, 실시예 6과 비교할 때 실시예 1의 표적 단편의 마루의 날카로운 꼭대기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12-15]
일련의 반복체결가능한 폐쇄장치를 체결 탭의 감압성 접착제를 변경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표적 단편1A를 사용하여 실시예 1-11에서와 같이 제조했다. 각 접착층의 두께는 50㎛이고 각 체결 탭의 받침면은 프로필렌으로서 두께는 75㎛이다. 방향 1에서의 테스트 결과(표 III의 각주 참고)는 표 IV에 기록하였으며, 이는 표적 단편이 활성분말 약 1mg/in²(1mg 2.54cm²)으로 오염된 경우의 전단가도 포함하고 있다. 실시예 14의 전단가에서 77과 103분의 차이는 실험 오차 범위내이다.
[표 IV]
Figure kpo00010
*각 대조군은 상기 표 I 의 대조군 표적 단편을 사용함.
표 IV 의 데이타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2-14의 폐쇄장치는 활석 오염물을 첨가함에 따라 상응하는 대조군의 폐쇄장치 보다 더 높은 비율의 박리가 및 전단가를 보유한다. 실시예 12의 폐쇄장치에 전단가는 낮지만, 상기 폐쇄장치는 통상적으로 전단력을 받지 않기 때문에 반복체결 가능한 봉투의 폐쇄수단으로 유용한 것이다. 폐쇄장치가 높은 전단력을 받을 것으로 예측하는 경우, 예를 들어, 1회용 기저귀 폐쇄장치로 사용할 경우, 접착제 C를 사용한 실시예 13의 폐쇄장치가 실시예 12의 폐쇄장치보다 바람직하다. 실시예 15에서 제시하고 실시예 2에서 재차 확인한 박리가 및 전단가는, 오염 전과 후 두 경우에서 모두 우수한 박리가 전단가를 가지며 특히 1회용 기저귀의 폐쇄장치에 유용한 다른 접착제를 입증하고 있다.
[실시예 16-20]
일련의 반복체결 가능한 폐쇄장치를 상기 골 위로의 높이가 70㎛인 표적 단편 2와 표 V에서 제시된 두께의 감압성 접착제 A 또는 C를 체결 탭을 사용하여 제조했다.
실시예 19는 비교예로서, 접착성 두께가 상기 골 위로의 마루 높이의 100%이다.
박리가는 오염되지 않는 폐쇄장치와 다양한 정도의 오염물을 갖는 폐쇄장치에 대해 측정하였으며, 전단가는 오염되지 않는 폐쇄장치에 대해서 측정하였는데, 모든 테스트는 마루의 급경사와 같은 방향(방향 1), 또는 직교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수행했다.
결과는 표 V에 제시하였다.
[표 V]
Figure kpo00011
*대조군은 상기 표 II의 대조군 표적 단편을 사용함.
접착제 A를 사용한 표 V의 데이타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골-마루 높이의 약 50 내지 80%인 일층 바람직한 범위의 접착제 두께(실시예 17-47%, 및 실시예 18-71%)가, 접착제 두께가 더욱 바람직한 범위 밖이고(실시예 16-24%) 필요한 범위 밖인(실시예 19-100%) 경우보다 더 우수한 박리가를 얻게 된다. 실시예 18과 동일한 두께의 접착제를 갖는 대조군의 폐쇄장치는 본 발명의 폐쇄장치에서 성취할 수 있는 개선된 활석 오염 내성을 입증하고 있으며, 실시예 18의 폐쇄장치는 4mg/6.45cm²활석으로 오염된 경우에 대해 비오염된 폐쇄장치의 박리가의 31%만이 감소한 반면, 대조군의 폐쇄장치는 4mg/6.45cm²활석으로 오염된 경우에 대해 비 오염된 박리가의 17%로 감소하였다.
실시예 17과 20의 폐쇄장치는 접착제 조성물의 선택이 대등한 두께에서 박리가 및 전단가 양자에 의해 영향을 받음을 입증하고 있다. 접착제 A가 접착제 C(4mg/6.45cm²활석 오염하에 39% 접착력 보유)에서 보다 활석의 오염에 대해 더 우수한 박리가(4mg/6.45cm²활석 오염하에 70% 접착력 보유)를 갖는 폐쇄장치를 제공하는 반면, 접착제 C는 접착제 A보다 현저하게 우수한 전단가를 갖는 폐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영역 및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예 및 개조예를 당해 기술분야의 업자들은 명백히 인지할 것이며, 본 발명은 에시할 목적으로 본 명세서에 게재한 내용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21)

  1. 감압성 접착제-함유 체결(fastening) 탭 및 상기 접착제-함유 체결 탭과 접촉시키기 위한 작용면을 가진 표적 부위를 포함하는 반복체결가능한 페쇄장치로서, 상기 표적 단편의 상기 작용면은 마루와 골로 형성되고, 마루와 골간의 높이는 거의 균일하고 약 40 내지 300㎛이며, 인접한 마루간의 간격은 약 50 내지 500㎛이고, 상기 표적 부위의 배면은 거의 편평하고, 상기 탭의 접착제 층 두께는 상기 마루와 골간의 높이의 약 90% 이하인, 반복체결가능한 폐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 부위가 열가소성인 물질인 반복체결가능한 폐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 부위가 폴리올레핀인 반복체결가능한 폐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혼합물인 반복체결가능한 폐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인 반복체결가능한 폐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이 약 10 내지 100g/10분의 용융 유동 지수(melt flow index)를 가지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약 50 내지 80중량%, 및 약 1내지 50g/10분의 용융지수를 가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20 내지 50중량%를 포함하는 반복체결가능한 폐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의 꼭대기 부분이 날카로운 형태인 반복체결가능한 폐쇄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가 상기 표적 부위로부터 상기 체결 탭을 제거하는 방향에 교차하는 제1면과 제2면을 가지는 반복체결가능한 폐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차면이 상기 제거방향에 대해 거의 수직인 반복체결가능한 폐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차면이 상기 제거방향에서 먼 쪽으로 향하고 있는 반복체결가능한 폐쇄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이 상기 마루로부터 아래로 경사를 이루는 반복체결가능한 폐쇄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면들이 상기 마루에서 90°이하의 각도를 이루는 반복체결가능한 폐쇄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가 톱니모양의 릿지를 형성하고, 각각의 릿지는 표적부위로부터 체결 탭을 제거하는 방향에 교차하여 단편의 전체 나비를 거의 가로질러 연장하는 반복체결가능한 폐쇄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마루높이의 30 내지 100%를 연장하고 0.2 내지 6mm의 간격을 두고 있는, 골내의 돌출부를 가지는 반복체결가능한 폐쇄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 및 골의 표면적이 높이 10㎛이하의 거칠기를 무시할 때, 편평한 표면의 면적의 35%이상인 반복체결가능한 페쇄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 부위가 봉투의 몸체에 영구히 접착되어 있고 상기 체결 탭이 상기 봉투의 플랩에 영구히 접착되어 있는 반복체결가능한 폐쇄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 부위가 기저귀의 커버 시이트 정면에 영구히 접착되어 있고 상기 체결 탭이 기저귀의 배면에서 커버 시이트의 각 귀부분에 영구히 접착되어 있는 반복체결가능한 폐쇄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 부위의 상기 작용면이 약 500배 확대 배율로 보았을때 요철상의 외관을 가지고 높이가 약 2 내지 30㎛이며 마루 높이의 20% 이하인 밀접하게 배치된 돌기들을 포함하는 거친 미소구조를 가지는 반복체결 가능한 폐쇄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적 부위가 상기 체결 탭을 포장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를 가진 필름 단편이고, 상기 표적 부위의 상기 배면은 접착제를 함유하는 반복체결가능한 폐쇄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감압성 접착제 또는 핫 멜트 접착제인 반복체결가능한 폐쇄장치.
  21. 제1항의 폐쇄장치의 표적 부위를 제조하느데 유용한 롤 테이프로서, 작용면 및 접착제-함유면을 가지는 가요성 중합체 기재를 포함하고, 상기 작용면은 톱니 모양의 릿지를 가지며, 상기 릿지와 기재간의 높이는 거의 균일하고 약 40 내지 300㎛이며, 인접한 릿지간의 간격은 약 50 내지 500㎛이고, 상기 릿지는 상기 테이프가 권취되는 방향에 교차하거나 또는 평행한 제1 및 제2면을 가지고, 상기 제1교차면은 상기 기재는 거의 수직이고 상기 접착제를 함유하고 있는 면은 거의 편평한 롤 테이프.
KR1019890004390A 1988-04-04 1989-04-03 반복체결가능한 접착 테이프 폐쇄장치 KR01261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749488A 1988-04-04 1988-04-04
US177,494 1988-04-04
US177494 1988-04-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693A KR890015693A (ko) 1989-11-25
KR0126130B1 true KR0126130B1 (ko) 1997-12-18

Family

ID=22648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4390A KR0126130B1 (ko) 1988-04-04 1989-04-03 반복체결가능한 접착 테이프 폐쇄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1) EP0336639B1 (ko)
JP (1) JP2695911B2 (ko)
KR (1) KR0126130B1 (ko)
AU (1) AU613718B2 (ko)
BR (1) BR8901571A (ko)
CA (1) CA1330018C (ko)
DE (1) DE68909655T2 (ko)
ES (1) ES2045415T3 (ko)
IL (1) IL89540A0 (ko)
IN (1) IN172182B (ko)
MX (1) MX171778B (ko)
ZA (1) ZA8924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074663T3 (es) * 1990-09-21 1995-09-16 Minnesota Mining & Mfg Sujetador mecanico y estructura de pañal.
JPH063315U (ja) * 1991-07-18 1994-01-18 株式会社サノテック 使い捨ておむつ
US5399177A (en) * 1991-10-25 1995-03-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efastenable adhesive fastening systems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EP0656772B1 (en) * 1992-08-21 1998-06-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efastenable adhesive fastening systems for individually package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JP3636717B2 (ja) * 1993-03-22 2005-04-06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繰り返し剥離できる接触応答性ファスナー
WO1995011655A1 (en) * 1993-10-29 1995-05-0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tructured adhesive closure systems
EP2446869B1 (en) 2005-06-16 2017-02-15 Avery Dennison Corporation "Diaper fasten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30201A (en) * 1969-08-11 1971-12-28 Kimberly Clark Co Fastening arrangement for disposable diapers
US3853129A (en) * 1973-10-01 1974-12-10 Union Carbide Corp Pressure-sensitive tape fastener for disposable diapers
US4023570A (en) * 1976-04-21 1977-05-17 Personal Products Company Adhesively attached absorbent liners
US4343848A (en) * 1980-12-15 1982-08-10 Ethyl Corporation Embossed thermoplastic material
US4376147A (en) * 1981-08-31 1983-03-08 Clopay Corporation Plastic film having a matte finish
SE446056B (sv) * 1982-10-25 1986-08-11 Moelnlycke Ab Anordning vid engangsbloja
US4645501A (en) * 1984-05-24 1987-02-24 Professional Medical Products, Inc.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construction
US4546029A (en) * 1984-06-18 1985-10-08 Clopay Corporation Random embossed matte plastic film
US4710190A (en) * 1986-09-04 1987-12-0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iaper having improved reinforced area for receiving adhesive fastening tape
US4861635A (en) * 1987-11-06 1989-08-2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losure for disposable dia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3103889A (en) 1989-10-05
ZA892446B (en) 1990-12-28
BR8901571A (pt) 1989-11-21
MX171778B (es) 1993-11-15
JP2695911B2 (ja) 1998-01-14
IL89540A0 (en) 1989-09-10
CA1330018C (en) 1994-06-07
ES2045415T3 (es) 1994-01-16
IN172182B (ko) 1993-05-01
JPH0211142A (ja) 1990-01-16
EP0336639A2 (en) 1989-10-11
AU613718B2 (en) 1991-08-08
KR890015693A (ko) 1989-11-25
EP0336639A3 (en) 1990-12-05
DE68909655D1 (de) 1993-11-11
DE68909655T2 (de) 1994-04-28
EP0336639B1 (en) 1993-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8557A (en) Refastenable adhesive tape closure
KR950001382B1 (ko) 고정용 접착 테이프를 수용하기 위한 개선된 보강면을 보유하는 기저귀
JP6542759B2 (ja) 網状熱可塑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US9155669B2 (en) Fastening film system and assembly comprising a fastening film system and a substrate
EP0051935B1 (en) Medical device for covering a portion of the anatomical surfaces of a living being
KR0125278B1 (ko) 1회용 기저귀용 감압 접착성 접착제
JP5921770B2 (ja) 伸張剥離物品
JPH02298569A (ja) 感圧接着テープファスナー
EP1311386A1 (en) Cloth-like polymeric films
WO1995024238A1 (en) Refastenable tube and cable restraint for surgical use
JPH10509894A (ja) 接着テープタブ閉鎖システム
KR0126130B1 (ko) 반복체결가능한 접착 테이프 폐쇄장치
JPH09504201A (ja) 構造付き接着剤の閉止装置
US5147346A (en) Coextruded multi-layer thermoplastic sheet material having one layer with high modulus for repositioning tape-tab fasteners thereon, absorbant articles and methods
EP0784459B1 (en) Absorbent sanitary article
EP1919426B1 (en) Fastening system
US8048054B2 (en) Disposable article tab attachment adhesive
WO1996010978A9 (en) Absorbent sanitary article
AU741987B2 (en) Absorbent sanitary article
JPH08154974A (ja) 使い捨ておむつ
AU7823801A (en) Absorbent anitary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