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127Y1 - 비데오카메라의 밧데리 착탈장치 - Google Patents
비데오카메라의 밧데리 착탈장치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26127Y1 KR0126127Y1 KR2019950017363U KR19950017363U KR0126127Y1 KR 0126127 Y1 KR0126127 Y1 KR 0126127Y1 KR 2019950017363 U KR2019950017363 U KR 2019950017363U KR 19950017363 U KR19950017363 U KR 19950017363U KR 0126127 Y1 KR0126127 Y1 KR 012612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fastening member
- video camera
- main body
- separat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디오카메라의 밧데리 착탈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밧데리를 본체에 좌우 슬라이딩식으로 손쉽고 간편하게 착탈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은, 그 일측에 단자(31)가 마련된 비데오카메라 본체(10), 단자에 접속되는 접지판(32)이 그 일측에 마련된 밧데리(20)를 구비하여 밧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비데오카메라에 있어서, 밧데리와 본체에는 밧데리가 슬라이딩 착탈되는 홈(23)과 턱(12)이 형성되고, 접지판은 설치홈에 삽입설치되고, 단자는 밧데리의 착탈에 따라서 밧데리의 슬라이딩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본체에 설치되어 설치홈에 착탈되는 체결부재(40)에 설치되고, 체결부재의 일측에는 체결부재를 설치홈에서 분리시키는 분리수단(5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제1도는 종래 비데오카메라의 밧데리 착탈장치를 보인 도면이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비데오카메라의 밧데리 착탈장치를 보인 도면이다.
제3도는 제2도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제4도에 도시된 체결부재의 발췌사시도이다.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본체 11:후면
12:턱 20:밧데리
31:단자 32:접지판
40:체결부재 41:체결부
42:분리봉 50:분리수단
51:분리부재 52:스프링
본 고안은 비디오카메라의 밧데리 착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데오카메라의 본체 일측면 상하측에 일측이 개구된 고정턱을 형성하고 밧데리의 상하단에 고정턱에 체결되는 홈을 형성함과 동시에 본체에 마련되는 접지와 일체로 운동하여 밧데리의 좌우운동을 억제하는 체결부를 설치함으로써 밧데리를 좌우 슬라이딩식으로 착탈하도록한 비데오카메라의 밧데리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비데오카메라의 밧데리 착탈장치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10)의 후면(11)에 밧데리(20)가 착탈되는 것으로, 본체(10)의 후면(11)과 밧데리(20)의 내측면에는(21)에는 +,- 단자(6)와 접지판(7)이 각각 설치되며, 본체(10)의 후면(11)과 밧데리(20)에는 밧데리(20)를 착탈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턱(1)과 홈(2)이 형성되고, 본체(10)에는 밧데리(20)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자(3)가 설치된다. 먼저 턱(1)과 홈(2)을 설명하면, 본체(10)의 후면(11) 상하 우측에는 각각 ㄱ자 형태의 홈(2)이 형성되고 좌측에는 좌우양측면이 개구된 홈(2')이 형성되고, 밧데리(20)의 내측면(21) 모서리 부위에는 홈(2)(2')에 체결되는 턱(1)이 마련된다. 그리고 밧데리(20)의 내측면(21)에는 걸림홈(4)이 형성되고, 이에 접하는 본체(10)의 후측면에는 걸림홈(4)에 삽탈되는 잠금자(3)가 돌출설치되는데, 잠금자(3)는 걸림홈(4)에 삽탈되도록 탄성적으로 전후(도면상에서)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본체(10)의 좌측면에는 자금자(3)를 후퇴시켜 걸림홈(4)에서 분리시키기 위한 해제자(8)가 잠금자(3)와 일체로 운동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비데오카메라 밧데리 착탈장치의 착탈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밧데리(20)에 형성된 턱(1)의 우측단을 홈(2)(2')의 좌측에 맞춘 후, 밧데리(20)를 하측과 후측(도면상)을 동시에 놀려 단자(6)를 압입시키며 턱(1)의 우측단을 홈(2)(2')의 개구부에 맞춘 후, 밧데리(20)를 우측으로 밀어 홈(2)(2')과 턱(1)을 결합시키게 되는 것이다. 동시에 잠금자(3)도 밧데리(20)에 형성된 걸림홈(4)에 결합됨으로써 밧데리(20)의 좌우유동을 억제하여 밧데리(20)의 장착상태를 고정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밧데리(20)를 분리시킬때에는 해제자(8)를 후측(도면상)으로 눌러 잠금자(3)를 걸림홈(4)에서 분리시킨 후, 밧데리(20)를 좌측으로 당겨 밧데리(20)를 본체(10)에서 분리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비데오카메라 밧데리 착탈장치는, 턱과 홈을 맞춘 후 밧데리를 하측과 본체측으로 누른후 우측으로 밀어 밧데리를 체결하기 때문에 밧데리를 체결하기가 상당히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즉, 턱과 홈을 정확히 맞춘후 누르고 다시 우측으로 밀어야 밧데리가 본체에 체결되기 때문에 체결의 복잡합과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밧데리를 본체에 좌우 슬라이딩식으로 손쉽고 간편하게 착탈시킬 수 있는 비데오카메라의 밧데리 착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그 일측에 단자가 마련된 비데오카메라 본체, 단자에 접속되는 접지판이 그 일측에 마련된 밧데리를 구비하여 밧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비데오카메라에 있어서, 밧데리와 본체에는 밧데리가 슬라이딩 착탈되는 홈과 턱이 형성되고, 접지판은 설치홈에 삽입설치되고, 단자는 밧데리의 착탈에 따라서 밧데리의 슬라이딩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본체에 설치되어 설치홈에 착탈되는 체결부재에 설치되고, 체결부재의 일측에는 체결부재를 설치홈에서 분리시키는 분리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비데오카메라의 밧데리 착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밧데리 착탈장치를 보인 도면으로써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데오카메라 본체(10)의 후면(11)에는 단자(31)가 돌출되어 마련되고, 후면(11)의 상하측에는 좌측면 및 하면 또는 상면이 개구된 턱(12)이 형성된다. 장착시 본체(10)의 후면(11)에 접하는 밧데리(20)의 내측면(21)에는 단자(31)가 접지되는 접점판(32)이 설치되고, 상하단부에는 턱(12)에 체결되는 홈(23)이 각각 형성되는데, 홈(23)은 개구된 턱(12)의 좌측으로 미끄럼운동하여 턱(12)에 체결되도록 턱(12)의 전후폭과 유사한 전후폭을 갖고 좌우로 연장형성된다.
그리고 단자(31)는 제3도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운동하는 체결부재(40)와 일체로 형성되고, 접점판(32)은 밧데리(20)의 내측면(21)에서 함몰된 설치홈(22)에 삽입설치됨으로써 단자(31)와 접점판(32)의 접점시 체결부재(40)가 설치홈(22)에 결합되도록 하여 턱(12) 및 홈(23)과 협동하여 밧데리(20)의 장착상태를 고정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설치홈(22)에 밀착되는 본체(10)의 후면(11)의 내부에는 후면(11)측으로 탄지되는 체결부재(40)가 설치되는데, 좌우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접점판(32)을 마주보는 체결부재(40)에는 그 중심부에 +,- 단자(31)가 돌출설치되며 좌측면에 경사면(41')이 형성된 체결부(41)가 설치홈(22)에 착탈되도록 후면의 외부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체결부재(40)의 내측(도면상 하측)에는 체결부재(40)를 밧데리(20)측으로 탄지하는 스프링(43)이 설치되고, 체결부재(40)의 좌측에는 설치홈(22)에 삽입된 체결부(41)를 분리해내는 분리하는 분리수단(50)이 설치된다.
분리수단을 제3도와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체결부재(40)의 좌측에는 체결부재(40)에 직각으로 결합하는 분리봉(42)이 설치되고, 분리수단(50)은 그 내단은 분리봉(42)에 접하고 외단은 본체(10)의 외부까지 연장된 분리부재(51)와 분리부재(51)를 본체(10)의 외측으로 탄지하는 스프링(5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때 분리봉(42)에 접하는 분리부재(51)에는 경사면(42')이 마련되어 분리부재(51)의 좌우운동에 의하여 체결부재(40)가 상하운동함으로써 체결부(41)가 설치홈(22)에서 분리되도록 한다.(제3도에서)
한편 단자(31)와 접점판(32)은 좌우가 상하로 배치될수 있음은 물론이고,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수단(50')은 체결부재(4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하 운동함으로써 체결부(41)를 설치부에서 분리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비데오카메라의 밧데리 착탈장치의 착탈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장치시를 설명하면, 밧데리(20)의 상하측에 형성된 홈(23)을 본체(10)의 후면(11)의 상하측에 형성된 턱(12)의 좌측 개구부위에 맞춘후 밧데리(20)를 우측으로 밀게되면, 밧데리(20)는 체결부(41)를 압착시켜 본체(10)의 내부로 누르면서 턱(12)을 따라 우측으로 미끄운동한다. 이후 밧데리(20)가 완전히 장착되어 체결부(41)가 설치(22)을 마주보게 되면 체결부(41)는 스프링(43)의 탄성력에 설치홈(22)에 삽입됨으로써 단자(31)와 접점판(32)은 접지됨과 동시에 밧데리(20)의 좌우유동을 억제하여 밧데리(20)의 장착을 고정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밧데리(20)를 본체(10)에서 분리해내는 방법을 설명하겠다. 먼저 분리부재(51)를 우측으로 누르게 되면, 분리부재(51)의 우측으로 이동하면, 체결부재(40)는 분리부재(51)의 경사면(51')과 분리봉(42)에 의하여 후측(제2도에서; 제3도에서는 하측; 실제로는 본체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체결부(41)가 설치홈(22)에서 분리된다. 이후 밧데리(20)를 좌측으로 당기게 되면 밧데리(20)는 본체(10)에서 분리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비데오카메라의 밧데리 착탈장치는 밧데리의 접점상태를 확실하게 하면서도 밧데리를 좌우 슬라이딩식으로 손쉽고 간편하게 착탈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 그 일측에 단자(31)가 마련된 비데오카메라 본체(10), 상기 단자에 접속되는 접지판(32)이 그 일측에 마련된 밧데리(20)를 구비하여 상기 밧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비데오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밧데리와 상기 본체에는 상기 밧데리가 슬라이딩 착탈되는 홈(23)과 턱(12)이 형성되고, 상기 접지판은 설치홈에 삽입설치되고, 상기 단자는 상기 밧데리의 착탈에 따라서 상기 밧데리의 슬라이딩방향의 직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홈에 착탈되는 체결부재(40)에 설치되고, 상기 체결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체결부재를 상기 설치홈에서 분리시키는 분리수단(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카메라의 밧데리 착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의 일측에는 경사면(41')이 형성되어 상기 밧데리의 체결시 상기 체결부재를 상기 본체의 내부로 인입시키며, 상기 체결부재에는 상기 체결부재를 상기 설치홈측으로 탄지하는 스프링(43)를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카메라의 밧데리 착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턱은 상기 본체 일측면의 상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홈은 상기 턱에 착탈되도록 상기 밧데리의 상하측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카메라의 밧데리 착탈장치.
-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의 일측에는 봉상의 분리봉(42)이 마련되고,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분리봉에 밀착되는 부위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타측은 본체의 외부로 돌출된 분리부재(51)와 상기 분리부재를 탄지하는 스프링(5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카메라의 밧데리 착탈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체결부재의 일측이 상기 본체의 외부까지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카메라의 밧데리 착탈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17363U KR0126127Y1 (ko) | 1995-07-14 | 1995-07-14 | 비데오카메라의 밧데리 착탈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17363U KR0126127Y1 (ko) | 1995-07-14 | 1995-07-14 | 비데오카메라의 밧데리 착탈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07247U KR970007247U (ko) | 1997-02-21 |
KR0126127Y1 true KR0126127Y1 (ko) | 1998-09-15 |
Family
ID=19418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50017363U KR0126127Y1 (ko) | 1995-07-14 | 1995-07-14 | 비데오카메라의 밧데리 착탈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26127Y1 (ko) |
-
1995
- 1995-07-14 KR KR2019950017363U patent/KR012612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07247U (ko) | 1997-02-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311881B1 (en) | Holder for a portable apparatus | |
US6490436B1 (en) | Battery pack removing device | |
GB2294838A (en) | Telephone mounting receptacle having opposed retractable latch members | |
US4784361A (en) | Automotiv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ssembly | |
JPH05315027A (ja) | コネクタのロック機構 | |
KR0126127Y1 (ko) | 비데오카메라의 밧데리 착탈장치 | |
US4134662A (en) | Coupling device in a stroboscope holder with a removable bracket | |
JP3033577U (ja) | 基板収納用ラック | |
KR910009050Y1 (ko) | 비디오 카메라의 밧데리 착탈장치 | |
KR200233754Y1 (ko) | 단말기의 키보드 장/탈착장치 | |
CN215838654U (zh) | 一种马桶盖安装装置 | |
KR940002956Y1 (ko) | 차량용 비디오의 착탈장치 | |
CN212938216U (zh) | 一种可拆卸式帽带及其头盔 | |
JPS6026791Y2 (ja) | フリ−ア−ムミシンにおける補助テ−ブル取付装置 | |
KR100504806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 | |
KR200293958Y1 (ko) | 휴대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 |
KR0147086B1 (ko) | 카 오디오용 프론트 패널의 착탈구조 | |
KR0129397Y1 (ko) | 로드고정 클립구조 | |
KR940001043Y1 (ko) | 진공청소기의 흡입관 착탈장치 | |
KR910001544Y1 (ko) | 자동차용 핸들의 보조 손잡이 | |
JPH0517915Y2 (ko) | ||
KR910006138Y1 (ko) | 포터블 VTR의 핸들 로크 (Lock)장치 | |
KR0127538Y1 (ko) | 파워 스위치의 고정장치 | |
KR940000261Y1 (ko) | 밧데리 팩의 착탈용 레버장치 | |
KR940002558Y1 (ko) | 호차용 창틀 이탈방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627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