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5981Y1 - 리미트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리미트 스위치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5981Y1
KR0125981Y1 KR2019940023507U KR19940023507U KR0125981Y1 KR 0125981 Y1 KR0125981 Y1 KR 0125981Y1 KR 2019940023507 U KR2019940023507 U KR 2019940023507U KR 19940023507 U KR19940023507 U KR 19940023507U KR 0125981 Y1 KR0125981 Y1 KR 01259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mit switch
stopper
limit
box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35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2245U (ko
Inventor
이광노
Original Assignee
이광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노 filed Critical 이광노
Priority to KR20199400235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5981Y1/ko
Publication of KR9600122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2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59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59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01H19/18Operating parts, e.g. turn knob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종의 리미트 스위치를 박스에 조합시켜 내설시킴과 동시에 상기 내설된 리미트 스위치는 스트로크의 가변이 무한한 스크루장치에 의해 이루어지게 하며 예비적인 리미트 스위치를 동시에 작동시키게 하므로써 목적장치에 설치할 경우 외부에 노출됨이 없이 설치할 수 있으며 목적장치의 제어가 박스내에서 이루어지게 하므로서 안전하고 안정되며 자체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됨과 정밀한 리미트 스위치의 제어가 가능하게 되어 무대장치, 주차기, 온상커텐막장치, 차고자동문등의 제어를 원활히 이룰 수 있는 리미트 스위치 장치이다.

Description

리미트 스위치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리미트 스위치 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리미트 스위치 장치의 뚜껑을 연 상태의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리미트 스위치 장치의 요부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주변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몸체 2:베어링축
3:회동축 4,4':스톱퍼
5:조절나사 6:스트로크 조정구
7:뚜껑 S1,S2,S1',S2':리미트 스위치
본 고안은 무대장치, 주차기, 온상커텐막 장치, 차고자동문 등에 설치되어 그의 작동을 제어하는 리미트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종의 스위치를 박스에 조합시켜 내설시킴과 동시에 시종 리미트의 제어가, 가변가능한 스크루 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하므로써 안전하고 정밀한 리미트 기능을 수행케 되는 박스형 리미트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리미트 스위치는 일정한 스트로크를 갖는 목적 장치의 제어위치에 노출되게 설치하므로서 개폐 또는 이동하는 장치의 목적하는 위치에서 목적 장치에 부착된 스톱퍼의 기능으로 리미트 스위치의 접지단자를 개폐시켜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게 하였다.
따라서 리미트 스위치는 목적장치의 스트로크를 이루는 양부에 이격되어 설치되게 되며 또한 스트로크를 변화시킬 경우에는 리미트 스위치의 설치 위치를 역시 변경시켜야만 하였으며 또한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는 외부에 노출되어 진 까닭에 외부의 영향으로 잦은 오동작을 일으키게 되거나 잘못 접촉시에는 안전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것과, 결과적으로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안게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리미트 스위치의 설치가 안고 있는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양부에 설치되는 리미트 스위치를 박스내에 조합시켜 내설하여 안정되고 안전한 설치 및 관리를 이루게하며 조합 설치된 리미트 스위치의 제어는 스쿠루상에서 이동하는 스톱퍼에 의해 이루어지게 하므로서 목적장치의 스트로크 가변을 다양하게 이룰 수 있게 하며 외부에 노출됨 없이 설치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리미트 스위치 장치(20)는 몸체(1)의 전후에 베어링축(2)에 설치되며 상기 베어링축(2)을 제외한 부위를 나사형성한 회동축(3), 상기 회동축(3)에 나사결합된 스톱퍼(4)(4') 상에 삽입결합되어 몸체의 바닥에 형성된 가이드홈(1a)상으로 활주하면서 조절나사(5)에 의해 스톱퍼(4)(4')의 이동을 제어하는 스트로크 조정구(6) 및 회동축(3)의 양부에 한쌍의 리미트 스위치(S1)(S1)(S2')(S2')를 설치하며 상기 몸체(1)에 뚜껑(7)이 씌워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미설명부호 (Sa)는 접지단자이며, (Sb)는 접지롤러이며, (8)은 '풀리'이며, (9)는 구동축이며, (10)은 콘트롤박스이며, (M)은 구동모터이며, (11)은 목적장치인 개폐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리미트 스위치 장치(20)의 설치, 작동 및 그 효과를 자동개폐문 장치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제4도에서와 같이 리미트 스위치 장치(20)는 그 일측으로 드러난 회동축(3)에 풀리(8)를 결합시켜 목적장치의 구동축(9)에 연결시킨다. 이때 상기 목적장치의 구동축(9)은 구동모터(M)에 연결됨은 물론이다.
한편, 개폐문(11)의 개폐 스트로크, 즉 개폐문이 닫히는 하한지점 및 개폐문이 열리는 상한지점을 리미트 스위치 장치(20)에서 세팅시켜 주어야 하는데 제1도 내지 제2도에서와 같이 개폐 스트로크는 스톱퍼(4)(4')와 접지롤러(Sb)사이의 거리, 즉 개폐문의 상한점까지는 거리(ℓ1)이 되는 것이며 하한점까지는 거리(ℓ2)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개폐 스트로크 즉, 상한점 및 하한점까지의 거리(ℓ1)(ℓ2)의 조정은, 먼저 상기 스트로크 조정구(6)와 스톱퍼(4)(4')를 결합시키는 조절나사(5)를 풀어서 스트로크 조정구(6)와 스톱퍼(4)(4')를 분리시킨 다음, 상기 스톱퍼(4)(4')를 각각 수동으로 돌리거나 회동축(3)만 돌려서 회동축(3)상에서 이동시켜 거리(ℓ1)(ℓ2)를 좁히거나 늘린다음, 다시 조절나사(5)를 감아서 상기 스트로크 조정구(6)와 스톱퍼(4)(4')를 결합시킴으로서 완료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1)저부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홈(1a)을 통해 수평이동만 가능하도록 운동방향이 구속된 스트로크 조정구(6)와, 상기 회동축(3)상의 스톱퍼(4)(4')가 서로 분리 또는 결합이 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스톱퍼(4)(4')의 회동축(3)상에서의 나사이동을 가능케함은 물론 개폐문(11)의 상한점 및 하한점을 결정하는 상기 스톱퍼(4)(4')의 위치를 임의로 조절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개폐문의 상한점 거리(ℓ1) 및 하한점 거리(ℓ2)를 미리 설정한 다음, 자동으로 개폐문(11)을 개방할 때는 먼저, 콘트롤 박스(10)의 조작에 의해 모터(M)가 장치의 구동축(9)을 구동시키게 되고 이어서 구동축(9)에 연결된 리미트 스위치 장치(20)의 회동축(3)을 회전시켜 회동축(3)의 회전에 의해 스톱퍼(4)(4')는 일측방향, 즉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리미트 스위치(S1)(S1')의 접지롤러(Sb)에 접근하게 된다.
이어서 돌출된 접지롤러(Sb)에 스톱퍼(4)가 와닿으면 스톱퍼(4)는 접지롤러(Sb)를 밀어내게 되며 밀려진 접지롤러(Sb)는 접지단자(Sa)를 밀어넣어 리미트 스위치(S1)(S1')의 전원을 off시키게 하므로써 구동모터(M) 역시 구동을 멈추는데, 상기 개폐문(11)은 미리 설정된 상한점에서 동작을 멈추게 된다.
반대로 개폐문(11)을 닫을 때에서는 상기 개폐문(11) 열림작동의 역으로 스톱퍼(4)(4')는 회동축(3)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여 스톱퍼(4')가 접지롤러(Sb)를 밀어내고 이로서 리미트 스위치(S2)(S2')가 단절되면서 상기 구동모터(M)의 회전이 멈춤과 동시에 개폐문(11)은 미리 설정된 하한점에 도달되어 있다.
회동축(3)의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2개의 리미트 스위치(S1')(S2')를 설치한 것은 어느 한쪽의 리미트 스위치가 고장이 났을 경우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며 두 개의 리미트 스위치는 서로에 대해 예비적 역할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개폐의 스트로크를 조정하기 위하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절나사(5)를 풀고 스톱퍼(4)(4')를 이동시킴으로서 상한점의 거리(ℓ1) 및 하한점의 거리(ℓ2)가 소정한 만큼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리미트 스위치 장치는 외부에 노출됨이 없이 시종의 리미트 스위치를 박스내의 한곳에 조합시켜 내설시키게 되며 내설된 시종의 리미트 스위치의 제어는 스트로크 조정을 다변화 할 수 있는 나사회동축에 의해 이루어지는 까닭에 안전하고 안정되며 정밀한 리미트 스위치의 기능을 수행하게 됨과 리미트 스위치 자체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몸체(1)의 전후에 베어링축(2)에 설치되며 상기 베어링축(2)을 제외한 부위를 나사형성한 회동축(3)과, 상기 회동축(3)에 나사결합된 스톱퍼(4)(4') 상에 결합되어 몸체의 바닥에 형성된 가이드홈(1a)상으로 활주하면서 조절나사(5)에 의해 스톱퍼(4)(4')의 이동범위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스트로크 조정구(6)와, 상기 회동축(3)의 양측에 형성된 리미트 스위치(S1)(S2)와, 상기 몸체(1)를 보호하는 뚜껑(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미트 스위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S1)(S2)에 대향하는 지점에 설치되어 예비적인 역할을 하는 리미트 스위치(S1')(S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미트 스위치 장치.
KR2019940023507U 1994-09-12 1994-09-12 리미트 스위치 장치 KR01259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3507U KR0125981Y1 (ko) 1994-09-12 1994-09-12 리미트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3507U KR0125981Y1 (ko) 1994-09-12 1994-09-12 리미트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2245U KR960012245U (ko) 1996-04-17
KR0125981Y1 true KR0125981Y1 (ko) 1998-09-15

Family

ID=19392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3507U KR0125981Y1 (ko) 1994-09-12 1994-09-12 리미트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5981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559B1 (ko) * 2004-09-30 2006-09-19 김병두 가변형 리미트 스위치 어셈블리
KR100849454B1 (ko) * 2005-05-13 2008-07-31 이광노 리밋 스위치 장치
KR100905748B1 (ko) * 2009-04-13 2009-07-01 한국에이.비이.엠.건설 주식회사 누름 버튼을 포함하는 리미트 스위치
KR101047492B1 (ko) * 2009-08-24 2011-07-08 (주)클라루스코리아 가변식 스위치 박스
KR101258197B1 (ko) * 2012-10-11 2013-04-25 이형열 시설물의 작동범위 제어용 리미트 스위치
WO2019177259A1 (ko) * 2018-03-13 2019-09-19 김종열 무대기계용 다중리미트 스위치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559B1 (ko) * 2004-09-30 2006-09-19 김병두 가변형 리미트 스위치 어셈블리
KR100849454B1 (ko) * 2005-05-13 2008-07-31 이광노 리밋 스위치 장치
KR100905748B1 (ko) * 2009-04-13 2009-07-01 한국에이.비이.엠.건설 주식회사 누름 버튼을 포함하는 리미트 스위치
KR101047492B1 (ko) * 2009-08-24 2011-07-08 (주)클라루스코리아 가변식 스위치 박스
KR101258197B1 (ko) * 2012-10-11 2013-04-25 이형열 시설물의 작동범위 제어용 리미트 스위치
WO2019177259A1 (ko) * 2018-03-13 2019-09-19 김종열 무대기계용 다중리미트 스위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2245U (ko) 1996-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52344A (en) Swing gate operator
CA1198131A (en) Integral device for garage door opener
KR0125981Y1 (ko) 리미트 스위치 장치
US5243784A (en) Limit switch arrangement for garage door operator
US20070075665A1 (en) Motorized closure operating device with electronic control system
KR101798987B1 (ko) 자동문 도어 구동장치
KR200142687Y1 (ko) 비닐하우스용 개폐기의 리미트 조절장치
KR200318785Y1 (ko) 프로젝트 창호
KR200331770Y1 (ko) 전동식 갤러리 창호
KR200283854Y1 (ko) 자동도어 조립체
EP0943774B1 (en) Actuator with adjustable stroke
GB2308399A (en) Tracked canopy door with motor driven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CN110043154A (zh) 手自一体智能门轴系统
KR200217996Y1 (ko) 비닐하우스용 개폐기의 리미트 조절장치
KR20040040008A (ko) 음성 및 무선으로 인식되는 자동 개폐장치
KR200142183Y1 (ko) 비닐하우스용 개폐기의 리미트 장치
KR960004034Y1 (ko) 온실 및 건축물의 자동 개폐장치
JPH0616140Y2 (ja) 電動式開閉戸のリミツトスイツチ構造
KR0132897Y1 (ko) 비닐하우스 개폐기의 개폐길이 조절장치
KR101336958B1 (ko) 리미트 시스템이 정면에 위치한 온실용 자동 개폐기
JP4741757B2 (ja) 換気窓の開閉制御装置、及び、その開閉制御装置に使用されるカム部材
EP1324639B1 (en) Control unit for a microwave oven
JP2641026B2 (ja) 換気窓の開閉制御機構
US6864439B2 (en) Switch for controlling a range of movement
KR200274676Y1 (ko) 비닐하우스 개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