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946B1 - 4-아미노-2-퀴놀린온 유도체 - Google Patents

4-아미노-2-퀴놀린온 유도체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946B1
KR0124946B1 KR1019930011382A KR930011382A KR0124946B1 KR 0124946 B1 KR0124946 B1 KR 0124946B1 KR 1019930011382 A KR1019930011382 A KR 1019930011382A KR 930011382 A KR930011382 A KR 930011382A KR 0124946 B1 KR0124946 B1 KR 0124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substituted
alkyl
quinolinone
bran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1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0669A (ko
Inventor
박창식
최은복
연규환
양회철
이현규
이계형
이진표
최경자
Original Assignee
강박광
재단법인한국화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19930011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4946B1/ko
Application filed by 강박광, 재단법인한국화학연구소 filed Critical 강박광
Priority to US08/564,238 priority patent/US5707931A/en
Priority to JP7502665A priority patent/JPH08506355A/ja
Priority to CA002165318A priority patent/CA2165318C/en
Priority to BR9406906A priority patent/BR9406906A/pt
Priority to AU69848/94A priority patent/AU693451B2/en
Priority to PCT/KR1994/000079 priority patent/WO1995000488A1/en
Priority to EP94918605A priority patent/EP0707569A1/en
Priority to NZ267515A priority patent/NZ267515A/en
Publication of KR950000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9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3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01N43/4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 A01N43/4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4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501,3-Diazoles; Hydrogenated 1,3-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9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two or more relevant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and 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5/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5/20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5/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5/38Nitrogen atoms
    • C07D215/42Nitrogen atoms attached in position 4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2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211/00 - C07D219/00
    • C07D22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211/00 - C07D219/00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21/04Ortho- or peri-condensed ring systems
    • C07D221/06Ring systems of three rings
    • C07D221/10Aza-phenanthr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5/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9/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 C07D49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1/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 C07F7/02Silicon compounds
    • C07F7/0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 C07F7/0803Compounds with Si-C or Si-Si linkages
    • C07F7/081Compounds with Si-C or Si-Si linkages comprising at least one atom selected from the elements N, O, halogen, S, Se or Te
    • C07F7/0812Compounds with Si-C or Si-Si linkages comprising at least one atom selected from the elements N, O, halogen, S, Se or Te comprising a heterocycl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7/00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7/04Heterocyclic radicals containing only oxygen as ring hetero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원예용 살균, 살충, 및 제초제로느 유용한 다음 일반식(Ⅰ)으로 표시되는 신규 4-아미노-2-퀴놀린온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식 중에서, R1, R2, R3, R4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수소 이외의 것으로 치환된 것으로, 수소, 아릴 또는 아릴옥시기, C1-C10의 아르알킬 또는 알킬기, C1-C10의 알콕시기, C1-C6의 할로알킬기, 할로겐, 니트로기, 시아노기를 나타내며, 여기서 아릴기는 페닐기 또는 치환페닐기를, 아릴옥시기는 페녹시 또는 치환페녹시기를, 알킬기는 벤질 또는 치환벤질 및 C1-C6의 직쇄 또는 측쇄의 알킬기를, 알콕시기는 C1-C5의 직쇄 또는 측쇄의 알콕시기를, 할로알킬기는 할로겐이 치환된 C1-C3의 직쇄 또는 측쇄의 할로알킬기를 나타내고, R5는 C1-C6의 알킬, 아르알킬 또는 아릴을 나타내며, 여기서 알킬기는 C1-C4의 직쇄, 측쇄 또는 사이크릭의 알킬기를, 아릴기는 페닐기 또는 치환된 페닐기를 나타내고, R6은 수소 또는 C1-C6의 포화 또는 불포화된 직쇄 또는 측쇄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R7
또는 -CH2CN을 나타내며, 여기서, R8, R9, R10, R11, R12, R13, R14, R15, R16은 수소, 할로겐, C1-C6의 알킬, 아릴, 알콕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아세틸 또는 (R19)3Si를 나타내며, R17, R18은 수소 또는 C1-C5의 직쇄 또는 측쇄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R19는 C1-C5의 직쇄 또는 측쇄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X는 O, (TR20)2또는 -T-(CH2)r -T, Y는 O, S 또는 -SO-, Z는 헤테로고리, T는 O 또는 S, R20은 C1-C3의 알킬기, m, n, p, q, r은 1 내지 4의 정수를 각각 나타낸다.

Description

4-아미노-2-퀴놀린온 유도체
본 발명은 농원예용 살균, 살충 및 제초제로는 유용한 다음 일반식(Ⅰ)으로 표시되는 신규 4-아미노-2-퀴놀린온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식중에서, R1, R2, R3, R4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수소 이외의 것으로 치환된 것으로써, 수소, 아릴 또는, 아릴옥시기, C1-C10의 아르알킬 또는 알킬기, C1-C10의 알콕시기, C1-C6의 할로알킬기, 할로겐, 니트로기, 시아노기를 나타내며, 여기서, 아릴기는 페닐기 또는 치환페닐기를, 아릴옥시기는 페녹시 또는 치환페녹시기를, 알킬기는 벤질 또는 치환벤질 및 C1-C6의 직쇄 또는 측쇄의 알킬기를, 알콕시기는 C1-C5의 직쇄 또는 측쇄의 알콕시기를, 할로알킬기는 할로겐이 치환된 C1-C3의 직쇄 또는 측쇄의 할로알킬기를 나타내고, R5는 C1-C6의 알킬, 아르알킬 또는 아릴을 나타내며, 여기서 알킬기는 C1-C4의 직쇄, 측쇄 또는 사이크릭의 알킬기를, 아릴기는 페닐기 또는 치환된 페닐기를 나타내고, R6은 수소 또는 C1-C5의 포화 또는 불포화된 직쇄 또는 측쇄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R7
또는 -CH2CN을 나타내며, 여기서, R8, R9, R10, R11, R12, R13, R14, R15, R16은 수소, 할로겐, C1-C6의 알킬, 아릴, 알콕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아세틸 또는 (R19)3Si를 나타내며, R17, R18은 수소 또는 C1-C5의 직쇄 또는 측쇄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R19는 C1-C5의 직쇄 또는 측쇄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X는 O, (TR20)2또는 -T-(CH2)r-T, Y는 O, S 또는 -SO-, Z는 헤테로고리, T는 O 또는 S, R20은 C1-C3의 알킬기, m, n, p, q, r은 1 내지 4의 정수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은 발명자들은 기존에 알려진 살균 살충제 보다 좀 더 강력하고 내성이 없는 화합물로서 환경에도 안전한 새로운 화합물을 합성해 내기 위하여 장기간 연구한 결과 대한민국특허공개 제92-19754호와 92-19755호에서와 같이 새로운 화합물인 2-퀴놀린온 유도체를 합성하였으며, 이것이 살균 살충효과가 우수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화합물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일부 병원균에 대한 살균 살충 활성을 좀더 개선할 여지가 있음을 알게 되어 좀더 지속적인 연구를 거듭한 결과, 국내특허공개 제92-19754호의 4-알킬설피닐-2-퀴놀린온 화합물을 불포화기를 갖는 아민 또는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아민류들과 반응시킴으로써 보다 더 강력하고 광범위한 살균 살충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제초효과도 나타내는 새로운 4-아미노-2-퀴놀린온 유도체를 합성하게 되었다.
특히 본 발명의 4-아미노-2-퀴놀린온 유도체 화합물은 넓은 살균스펙트럼을 가지며 특히 밀녹병과 벼도열병에 탁월한 효과를 보이며, 배추 좀나방과 점박이응애 등의 해충에 선택적인 살충효과를 나타내고, 밭잡초 및 논잡초에도 좋은 제초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에 비하여 현저하게 탁월한 살균 살충 및 제초효과를 갖고 환경에도 안전한 신규의 4-아미노-2-퀴놀린온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상기 일반식(Ⅰ)으로 표시되는 4-아미노-2-퀴놀린온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일반식(Ⅰ)의 4-아미노-2-퀴놀린온 유도체는 다음 반응식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다.
상기식중, R1, R2, R3, R4, R5, R6, R7은 상기와 같으며, R21은 C1-C3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즉, 상기 일반식(Ⅰ)의 유도체는 상기 일반식(Ⅱ)으로 표시되는 4-알킬설폭시-2-퀴놀린온과 상기 일반식(Ⅱ)으로 표시되는 아민화합물을 불활성용매중에서 가하여 제조할 수 있는 바, 이때 상기 일반식(Ⅲ)의 아민화합물이 산부가염인 경우에는 산제거제로서 트리에칠아민등과 같은 트리아킬아민류 또는 탄산칼슘, 수산화나트륨과 같은 무기염기 등을 1∼2 당량을 가한 다음 상기 아민화합물의 산부가염을 가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불활성 용매의 예로서는 디에틸에테르, 디이소프로필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디페닐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벤젠, 톨루엔, 크실렌, 리그로인 등의 탄화수소류, 디클로로에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에틸 아세테이트, 에틸 프로피오네이트 등과 같은 에스테르류, 모노클로로벤젠, 디클로로벤젠과 같은 클로로벤젠류, N,N-디메틸 포름 아미드, 디메틸술폭사이드 같은 비양자성 극성 용매류 등을 예로 들수 있으며,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도 반응이 진행할 수 있으나 반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피리딘 또는 트리알킬아민등은 염기 및 용매의 두 가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반응 온도는 0℃ 내지 260℃정도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상온 내지 용매의 끓는 점에서 반응시키는 것이 좋고, 그때의 반응 시간은 반응 온도에 따라 좌우되나 통상 0.5∼24시간이 좋다.
이러한 반응의 종료후 출발물질로서 사용한 일반식(Ⅲ)의 아민화합물이 신부가염이 아닌 경우는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직접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반면에 일반식(Ⅲ)의 아민 화합물이 신부가염인 경우는 용매를 감압 증류한뒤 물을 첨가하여 생성된 염을 녹인 다음,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등과 같은 물에 녹지않는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뒤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목적 화합물을 얻는다.
이밖에 본 발명의 상기 일반식(Ⅰ) 화합물의 일종인 다음 일반식(Ⅰb) 화합물은 다음 일반식(Ⅰa) 화합물을 산 가수분해시켜서 얻을 수 있다.
상기식들 중에서, R1, R2, R3, R4, R5, R6및 R20은 각각 상기한 바와 같다.
(Ⅰa)는 (Ⅰb)로의 산가수분해 반응은 5∼70%의 산 수용액에서 진행되며 이때 사용되는 산은 염산, 황산 등과 같은 무기산 또는 초산, 프로피온산등과 같은 유기산을 사용하여 반응 온도는 상온 또는 끓는점까지 가열 반응시킨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얻어지는 상기 일반식(Ⅰ)의 4-아미노-2-퀴놀린온 유도체는 메탄올, 에탄올 등과 같은 알콜용매,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와 같은 유기산의 에스테르, 펜탄, 헥산 등과 같은 탄화수소용매, 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등과 같은 에테르용매 등과 같은 용매나 이들의 혼합용매에서 재결정하거나 관트로마토그라피 등의 방법들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정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넓은 스펙트럼의 식물 병원균에 대해 높은 치료 및 예방적 향균 특성을 나타낸다. 이런 균의 예로는 벼의 도열병균(Piricularia oryzae), 벼의 잎집무늬 마름병균(Rhizoctonia solani), 오이회색 곰팡이병균(Botrytis cinerea), 오이의 흰가루병균(Sphaerotheca fuliginea), 오이의 노균병균(Pseudoperonospora cubensis), 포도의 노균병균(Plasmopora viticola), 토마토의 역병균(Phytophthora infestans), 깨씨무늬병균(Cochliobolus miyabeanus), 땅콩의 갈색무늬병균(Cercopora arachidicola), 보리의 흰가루병균(Erysiphe graminis), 밀의 붉은 녹병균(Puccinia recondita) 및 밀의 줄기 녹병균(Puccinis graminis)이 있다. 특히, 벼도열병과 밀녹병에는 탁월한 효과를 보여준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일반식(Ⅰ)의 화합물은 파리, 모기 및 바퀴와 같은 위생해충, 농경해충, 예를 들면 애멸구(Lodelphax striztellus Fallen), 배멸구(Nilaparvata lugens stal), 흰등멸구(Sogatella furcifera Horvath), 끝동매미충(Nephotettix cincticeps Uhler), 트리알레우로우즈 바포라리오룸(Trialeurodes vaporariorum) 및 복숭아 흑진딧물(Myzus persicae Sulzer)과 같은 노린재목 해충, 필로노릭터 린고닐라(Phyllonorycter ringoneella Matsumura),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Curtis), 멸강나방(Pseudaletia separata Walker), 도둑나방(Hamestra brassicae Linne),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 Fablicius) 및 배추흰나비(Pieris rapaecrucivora Boisdubal)와 같은 나비목 해충, 오울레마 오리자에(Oulema oryzae Kuwayama) 및 벼뿌리 바구미(Echinocnemus squameus Billberg) 같은 딱정벌레목해충, 희니개비 및 나비좀과 같은 가내 해충에 대해 효과적이고, 나비목 해충에 대해서는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특히 배추좀나방과 점박이응애에 대해 뛰어난 살충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발아후 제초제로 사용하여 여러가지 잡초들, 예를 들면 개밀(Agropyron smit hii), 바랭이(Digitaria sangulanis (L.) Scop.), 미국 개기장(Panicum dichotomiflorum Michx.), 까마중(Solanum nigrum L.), 자귀풀(Aeschynomene indica L.), 어저귀(Abutilon avicennae Gaertn), 도꼬마리(Xanthium strumarium L.), 메꽃(Calystegia japonica Choisy)에 유효하며, 특히, 까마중과 자귀풀에 제초효과가 두드러진다.
또, 논조건에서의 벼 제초제로 사용하여 여러가지 논 잡초들, 예를 들면 논피(E. oryzieola), 올챙이고리(S. juncoides), 물 달개비(M. vaginalis), 너도 방동사니(Cyperus serotinus), 올미(Sagittaria pygmaea)등에 효과를 나타내며 특히, 논피, 물 달개비, 너도 방동사니 및 올미에 좋은 효과를 보인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일반식(Ⅰ)의 화합물은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1∼90중량%를 활성성분으로 하여 적당한 고체 또는 액체 담체 및 표면활성제, 희석제, 전착제, 상승제, 접착제, 분산제등과 같은 기타 적당한 보조제와 혼합함으로써 농업용 조성물로 제제화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고체 담체는 활석, 점토, 벤토나이트, 피로필라이트, 카올린, 규조토, 실리카 등이 있고, 액체 담체는 물, 에탄올, 아세톤, 디메틸포름아미드, 에테르, 벤젠, 크실렌, 톨루엔, 나프타 등이 있다.
또한 표면활성제는 비이온성 표면활성제(예, 폴리옥시에틸렌알킬, 페닐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음이온 표면활성제(예, 알킬벤젠술폰산염, 리그닌술폰산염 및 디나프틸메탄술폰산염)등이 있다. 접착제로는 폴리비닐알콜,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즈(CMC), 아라비아고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이용한 살균, 살충 및 제초제 조성물은 분말, 수화분말, 과립, 유화 농축물, 현탁액 용액, 훈증제, 기체 페이스 등으로 제조되며, 토양 뿐만 아니라 농업 생산물, 묘종, 종자 등을 살균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면 상기 일반식(Ⅰ)의 화합물을 적당한 표면활성제와 함께 탄화수소, 아세론 또는 알콜에 균일하게 용해시켜 유화농축물 또는 용액을 제조한다. 또, 무기분말 및 적당한 표면활성제와 혼합하고, 미세분말이 되도록 분쇄 및 균질화하여 수화분말을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된 조성물은 바람직한 농도로 물로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고, 무기분말과 혼합하고 균질하게 파쇄 및 혼합하여 분진으로 사용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조성물을 유효량의 화합물(Ⅰ)을 함유하도록 희석한다. 그외에도, 조성물을 살충제, 살균제, 제초제, 식물성장 조절제, 상응애제등과 같은 기타의 농화학물질과 배합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을 영양물질과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Ⅰ)의 4-아미노-2-퀴놀린온 유도체의 예를 들어보면 다음 표1과 같다.
[표 1]
신규한 4-아미노-2-퀴놀리온 유도체(Ⅰ)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6-클로로-3-사이크로프로판카르보닐-4-(2, 2-디메톡시에틸아미노)-8-트리플루오르메틸-2-퀴놀린온(9)의 합성.
6-클로로-3-사이크로프로판카르보닐-4-메틸설폭시-8-트리플루오르메틸-2-퀴놀린온(377㎎, 1mmol)과 2, 2-디메톡시에틸아민(105㎎, 1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2ml에 가하고 24시간동안 실온에서 교반한다. 반응이 완료되면 용매를 감압증류하여 제거하고 남은 고체를 에탄올에서 재결정하여 원하는 생성물 335㎎(수율 80%)을 합성하였다.
1H NMR(CDCI3) : δ0.7-1.2(m, 4H), 3.4(s, 6H), 3.6-3.8(m, 1H), 4.4(t, 1H), 4.5-4.9(m, 2H), 7.7(d, 1H), 8.8(d, 1H), 9.5(br. 1H), 11.6(br, 1H).
[실시예 2]
6-클로로-4-(2, 2-디메톡시에틸아미노)-3-이소부티릴-8-트리폴루오르메틸-2-퀴놀린온(10)의 합성.
6-클로로-3-이소부티릴-4-메틸설폭시-8-트리폴루오르메틸-2-퀴놀린온(379㎎, 1mmol)과 2, 2-디메톡시에틸아민(105㎎, 1mmol)으로부터 실시예 1과 같은 반응을 실시하여 원하는 생성물 307㎎(수율73%)을 합성하였다.
1H NMR(CDCl3) : δ1.5(d, 6H), 3.6-3.8(m, 1H), 3.8(s, 6H), 4.4(t, 1H), 4.5-4.9(m, 2H), 8.1(d, 1H), 8.8(d, 1H), 9.9(br, 1H), 12.2(br, 1H).
[실시예 3]
3-아세틸-6-클로로-4-(N-메틸-N'-프로파질아미노)-8-트리플루오르메틸-2-퀴놀린온(13)의 합성.
3-아세틸-6-클로로-4-메틸설폭시-8-트리플루오르메틸-2-퀴놀린온(351㎎, 1mmol)과 N-메틸-N'-프로파질아민(69㎎, 1mmol)으로부터 실시예 1과 같은 반응을 실시하여 원하는 생성물 235㎎(수율66%)을 합성하였다.
1H NMR(CDCl3) : δ2.6(t, 1H), 3.0(s, 3H), 3.4(s, 3H), 4.6(d, 2H), 8.2(d, 1H), 8.6(d, 1H), 14.0(br, 1H).
[실시예 4]
3-아세틸-4-(N-메틸-N'-프로파질아미노)-8-트리플루오르메틸-2-퀴놀린온(16)의 합성.
3-아세틸-4-메틸설폭시-8-트리플루오르메틸-2-퀴놀린온(317㎎, 1mmol)과 N-메틸-N'-프로파질아민(69㎎, 1mmol)으로부터 실시예 1과 같은 반응을 실시하여 원하는 생성물 235㎎(수율 66%)을 합성하였다.
1H NMR(CDCl3) : δ2.5(t, 1H), 2.9(s, 3H), 3.3(s, 3H), 4.5(d, 2H), 7.4(t, 1H), 8.2(d, 1H), 9.6(br, 1H).
[실시예 5]
6-클로로-3-사이크로프로판카르보닐-4-프로파질아미노-8-트리플루오르메틸-2-퀴놀린온(22)의 합성.
6-클로로-3-사이크로프로판카르보닐-4-메탈설폭시-8-트리플루오르메틸-2-퀴놀린온(377㎎, 1mmol)과 프로파질아민(55㎎, 1mmol)으로부터 실시예 1과 같은 반응을 실시하여 원하는 생성물 265㎎(수율 72%)을 합성하였다.
1H NMR(CDCl3) : δ1.3-1.6(m, 4H), 2.9(t, 1H), 3.9-4.3(m, 1H), 4.6(q, 2H), 8.2(d, 1H), 8.8(d, 2H), 12.4(br, 1H).
[실시예 6]
3-아세틸-6-클로로-4-프로파질아미노-8-트리플루오르메틸-2-퀴놀린온(25)의 합성.
3-아세틸-6-클로로-4-메틸설폭시-8-트리플루오르메틸-2-퀴놀린온(351㎎, 1mmol)과 프로파질아민(55㎎, 1mmol)으로부터 실시예 1과 같은 반응을 실시하여 원하는 생성물 284㎎(수율 83%)을 합성하였다.
1H NMR(CDCl3) : δ2.9(t, 1H), 3.0(s, 3H), 4.5(q, 2H), 8.0(d, 1H), 8.7(D, 2H), 12.3(br, 1H).
[실시예 7]
6-클로로-4-(3, 3-디에톡시프로필아미노)-3-이소부티릴-8-트리플루오르메틸-2-퀴놀린온(33)의 합성.
6-클로로-43-이소부티릴-4-메틸설폭시-8-트리플루오르메틸-2-퀴놀린온(379㎎, 1mmol)과 3, 3-디에톡시프로필아민(147㎎, 1mmol)으로부터 실시예 1과 같은 반응을 실시하여 원하는 생성물 335㎎(수율 78%)을 합성하였다.
1H NMR(CDCl3) : δ0.7-1.5(m, 12H), 2.0-2.4(m, 2H), 3.2-4.0(m, 6H), 4.2(m, 1H), 4.7(t, 1H), 7.8(d, 1H), 8.0(br, 1H), 11.9(br, 1H).
[실시예 8]
6-클로로-3-이소부티릴-4-(3-옥소프로필아미노)-8-트리플루오르메틸-2-퀴놀린온(34)의 합성.
6-클로로-4-(3, 3-디에톡시프로필아미노)-이소부티릴-8-트리플루오르메틸-2-퀴놀린온(33) (462㎎, 1mmol)에 80% 아세트산 수용액 20ml를 가한 다음, 70℃에서 2시간동안 가열시킨다. 반응이 완결되면 상온으로 냉각한 뒤 물 20ml 및 에틸아세테이트 30ml를 가하여 추출한 뒤 유기층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용매를 증류하고 남은 잔사를 n-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의 혼합 용매로 한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원하는 생성물 280㎎(수율 72%)을 합성하였다.
1H NMR(CDCl3) : δ1.3(d, 6H), 3.1(t, 2h), 3.7(q, 2H), 4.2(m, 1H), 7.8(d, 1H), 8.5(d, 1H), 9.1(br, 1H), 10.0(s, 1H), 11.2(br, 1H).
[실시예 9]
4-알릴아미노-6-클로로-3-이소부티릴-8-트리플루오르메틸-2-퀴놀린온(37)의 합성.
6-클로로-3-이소부티릴-4-메틸설폭시-8-트리플루오르메틸-2-퀴놀린온(379㎎, 1mmol)과 알릴아민(57㎎, 1mmol)으로부터 실시예 1과 같은 반응을 실시하여 원하는 생성물 279㎎(수율 75%)을 합성하였다.
1H NMR(CDCl3) : δ1.2(d, 6H), 4.0-4.6(m, 3H), 5.3-5.6(m, 3H), 7.8(d, 1H), 8.1(br, 1H), 8.6(d. 1H), 12.1(br, 1H).
[실시예 10]
3-에세틸-6-클로로-트리플루오르메틸-4-(3-트리메틸실릴프로파질아미노)-2-퀴놀린온(46)의 합성.
3-아세틸-6-클로로-4-메틸설폭시-8-트리플루오르메틸-2-퀴놀린온(350㎎, 1mmol)과 3-트리메틸실릴프로파질아민염산염(164㎎, 1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20ml에 가한 다음 트리에틸아민을 과량 가한 후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한다.
반응이 완료되면 용매를 감압증류하여 제거한 다음 디클로로메탄 20ml에 녹인다. 이 용액에 물 20ml를 첨가하여 씻어낸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용매를 감압증류하여 제거한다. 남은 고체를 에탄올에서 재결정하여 원하는 생성물 330㎎(수율 80%)을 합성하였다.
1H NMR(CDCl3) : δ0.2(s, 9H), 2.7(s, 3H), 4.3(d, 2H), 6.8(d, 1H), 8.5(br, 1H), 8.6(d, 1H), 12.0(br, 1H).
[실시예 11]
6-클로로-6-프로파질아미노-3-프로피오닐-8-트리플루오르메틸-2-퀴놀린온(48)의 합성.
6-클로로-4-메틸설폭시-3-프로피오닐-8-트리플루오르메틸-2-퀴놀린온(365㎎, 1mmol)과 프로파질아민(55㎎, 1mmol)으로부터 실시예 1과 같은 반응을 실시하여 원하는 생성물 310㎎(수율 87%)을 합성하였다.
1H NMR(CDCl3) : δ1.2(t, 3H), 2.7(t, 1H), 3.4(q, 2H) 4.3(d, 2H), 7.9(d, 1H), 8.6(br, 1H), 8.7(d, 1H), 12.2(br, 1H).
[실시예 12]
3-아세틸-6-클로로-4-(1, 1-디메틸프로파질아미노)-8-트리플루오르메틸-2-퀴놀린온(55)의 합성.
3-아세틸-6-클로로-4-메틸설폭시-8-트리플루오르메틸-2-퀴놀린온(350㎎, 1mmol)과 1, 1-디메틸프로파질아민(83ml, 1mmol)으로부터 실시예 1과 같은 반응을 실시하여 원하는 생성물 322㎎(수율 87%)을 합성하였다.
1H NMR(CDCl3) : δ1.5(s, 6H), 2.5(t, 1H), 2.6(s, 3H), 7.7(m, 1H), 8.4(m, 1H), 9.1(br, 1H), 12.0(br, 1H)
[실시예 13]
3-아세틸-6-콜로로-4-(-페일아릴아미노)-8-트리플루오르메틸-2-퀴놀린온(66)의 합성.
3-아세틸-6-클로로-4-메틸설폭시-8-트리플루오르메틸-2-퀴놀린온(350㎎, 1mmol)과 3-페닐알릴아민(133㎎, 1mmol)으로부터 실시예 1과 같은 반응을 실시하여 원하는 생성물 286㎎(수율 68%)을 합성하였다.
1H NMR(CDCl3) : δ2.8(s, 3H), 4.3(t, 2H), 6.0-6.7(m, 2H), 7.4(s, 5H), 7.7(d, 1H), 8.1(br, 1H), 8.5(d, 1H), 12.1(br, 1H).
[실시예 14]
6-클로로-4-(2-클로로알릴아미노)-3-프로피오닐-8-트리플루오르메틸-2-퀴놀린온(80)의 합성.
6-클로로-4-메틸설폭시-3-프로피오닐-8-트리플루오르메틸-2-퀴놀린온(365㎎, 1mmol)과 2-클로로알릴아민(92㎎, 1mmol)으로부터 실시예 1과 같은 반응을 실시하여 원하는 생성물 279㎎(수율 71%)을 합성하였다.
1H NMR(CDCl3) : δ1.2(t, 2H), 3.3(q, 2H), 4.2(d, 2H), 5.6(s, 2H), 7.8(d, 1H), 8.0(br, 1H), 8.5(d, 1H), 12.3(br, 1H).
[실시예 15]
6-클로로-4-(N, N'-디프로파질아미노)-3-이소부틸릴-8-트리플루오르메틸-2-퀴놀린온(98)의 합성.
6-클로로-3-이소부티릴-4-메틸설폭시-8-트리플루오르메틸-2-퀴놀린온(379㎎, 1mmol)과 N, N'-디프로파질아민(93㎎, 1mmol)으로부터 실시예 1과 같은 반응을 실시하여 원하는 생성물 290㎎(수율 71%)을 합성하였다.
1H NMR(CDCl3) : δ1.2(d, 6H), 2.3(t, 2H), 4.0-4.3(m, 1H), 4.3(d, 4H), 8.0(d, 1H), 8.3(d, 1H), 13.1(br, 1H).
[실시예 16]
3-아세틸-6-클로로-4-(3-페닐프로파질아미노)-8-트리플루오르메틸-2-퀴놀린온(104)의 합성.
3-아세틸-6-클로로-4-메틸설폭시-8-트리플루오르메틸-2-퀴놀린온(350㎎, 1mmol)과 3-페닐프로파질아민염산염(167㎎, 1mmol)으로부터 실시예 10과 같은 반응을 실시하여 원하는 생성물 305㎎(수율 73%)을 합성하였다.
1H NMR(CDCl3) : δ2.7(t, 1H), 4.5(d, 2H), 7.5(s, 5H), 7.8(d, 1H), 8.6(d, 2H), 12.0(br, 1H).
[실시예 17]
3-아세틸-6-클로로-4-(3-에톡시프로필아미노)-8-트리플루오르메틸-2-퀴놀린온(107)의 합성.
3-아세틸-6-클로로-4-메틸설폭시-8-트리플루오르메틸-2-퀴놀린온(350㎎, 1mmol)과 3-아톡시프로필아민(103㎎, 1mmol)으로부터 실시예 1과 같은 반응을 실시하여 원하는 생성물 278㎎(수율 71%)을 합성하였다.
1H NMR(CDCl3) : δ1.2(t, 3H), 2.1(q, 2H), 2.7(s, 3H), 3.3-3.8(m, 6H), 7.7(d, 1H).
[실시예 18]
3-아세틸-6-클로로-4-메틸티오에틸아미노-8-트리플루오르메틸-2-퀴놀린온(114)의 합성.
3-아세틸-6-클로로-4-메틸설폭시-8-트리플루오르메틸-2-퀴놀린온(350㎎, 1mmol)과 메틸티오에틸아민(91㎎, 1mmol)으로부터 실시예 1과 같은 반응을 실시하여 원하는 생성물 287㎎(수율 76%)을 합성하였다.
1H NMR(CDCl3) : δ2.15(s, 3H), 2.7(s, 3H), 2.8(t, 2H), 3.6(q, 2H), 7.7(br, 1H), 8.1(br, 1H), 8.5(br, 1H), 12.0(br, 1H).
[실시예 19]
3-아세틸-6-클로로-4-[2-(4-플루오로페닐)-2, 3-부타디에닐아미노]-8-트리플루오르메틸-2-퀴놀린온(126)의 합성.
3-아세틸-6-클로로-4-메틸설폭시-8-트리플루오르메틸-2-퀴놀린온(350㎎, 1mmol)과 2-(4-플루오fh메틸)-2, 3-부타디에닐아민(163㎎, 1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20ml에 가하고 24시간동안 실온에서 교반한다. 반응이 완료되면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제거하고 남은 고체를 에탄올에 재결정하여 원하는 생성물 369㎎(수율 82%)을 합성하였다.
1H NMR(CDCl3) : δ2.6(s, 3H), 3.6(t, 2H), 5.2(t, 2H), 7.2(m, 4H), 7.8(d, 1h), 8.5(br, 1H), 8.6(d, 1H), 11.8(br, 1H).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에 dml하여 제조된 상기 일반식(Ⅰ)의 4-아미노-2-퀴놀린온 유도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 방법에 의go 살균활성을 측정하였다.
이때 신규화합물의 식물병원균에 대한 예방효과(protective effect) 조사를 위하여 일반식(Ⅰ)의 화합물 10㎎을 10ml의 아세톤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에 트윈-20 100ppm 수용액 90ml을 첨가하여 그 농도가 100ppm이 되게 조정한 후 일정 크기의 기주식물에 50ml씩 엽면 살포하였다.
약제가 살포된 식물을 실내온도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여 용매 및 물을 휘산시킨 뒤, 각기 아래와 같이 준비된 병원균을 접종하였다. 모든 실험은 2회 반복으로 실시하였다.
[시험예 1]
벼도열병에 대한 살균효과
병원균(Pyricularia oryzae)의 균주를 쌀겨 한천배지(Rice Polish 20g, Dextrose 10g, Agar 15g, D.W.1ℓ)에 접종하여 26℃ 배양기에서 2주간 배양하였다. 병원균이 자란 배치를 고무쓸개로 배지 표면을 긁어 기중균사를 제거하고 형광등이 켜진 선반(25∼28℃)에서 48시간동안 포자를 형성시켰다.
병균 접종은 형성시킨 분생포자를 살균 증류수를 이용하여 일정 농도의 포자 현탁액(106포자/ml)을 만든뒤 벼 도열병에 감수성인 낙동벼(3∼4엽기)에 흘러내릴 정도로 충분히 분무하였다.
접종된 벼는 습실상에서 암상태로 24시간 놓아둔 뒤에, 상대습도 90% 이상이며 온도가 26±2℃인 항온항습실에서 5일간 둔뒤 발병 면적을 조사하였다. 병조사는 3∼4엽기 벼의 최상위엽 바로 밑의 완전 전개된 잎에 형성된 병반면적율 대비표에 준하여 조사하였다.
[시험예 2]
벼잎집무늬 마름병에 대한 살균효과
적당한 양의 밀기울을 1ℓ배양병에 넣고 멸균한 후 감자 한천배지에서 3일간 자란 병원균(Rhizoctonia solani)의 한천조각을 접종한 후 배양된 균사덩어리를 적당히 잘게 마쇄하여 2∼3엽기의 낙동벼가 자란 포트(5㎝)에 고르게 접종하여 습실상(28±1℃)에서 배양후 상대습도 80%이상인 항온항습실에서 5일간 둔뒤 병 발생을 조사하였다.
발병 조사는 2∼3엽기 유묘의 잎집에 발병된 병반의 면적율을 잎집면적에 대한 병반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을 기준으로하여 작성한 이병면적을 표준 이병면적율 대비표에 준하여 조사하였다.
[시험예 3]
오이 잿빛곰팡이 병에 대한 살균효과
토마토로부터 분리한 균주(Botrytis cinerea)를 감자한천배지(PDA)에 접종하고 25℃의 배양기에 플레이트를 놓아 광암상태하에서 15일간 배양하여 포자를 형성시켰다. 배지에 형성된 포자를 플레이트당 10ml의 증류수를 넣은 후 붓으로 긁어 이를 가아제로 걸러서 포자를 수확한후 포자 농도가 106개/ml)가 되게 한뒤 1엽기 오이에 분무 접종하였다. 이를 20℃ 습실상에서 3일간 습실처리한 후 본엽 1엽의 병반면적율을 조사하였다.
[시험예 4]
토마토역병에 대한 살균효과
역병(Phytophthora) infestans)균을 V-8 쥬스한천(V-8 juice 200ml, CaCO34.5g, agar 15g, distilled water 800ml) 배지에 올려놓고 20℃에서 16시간 광처리와 8시간 암처리하여 14일 배양한 후 포자를 수확하였다. 이때 플레이트에 살균 증류수를 넣고 흔들어서 유주자낭을 균총으로부터 떼어낸 후 4겹 헝겊조각을 사용하여 유주자낭을 걸렀다. 수확한 유주자낭의 농도를 105개/ml로 조정하였고, 이 접종원을 토마토 유묘에 분무접종하여 20℃ 습실상에서 1일동안 습실 처리한 후 20℃ 상대습도 80% 이상의 항온 항습실로 옮겨 4일동안 발병시킨후 토마토 1엽과 2엽의 병반면적율(%)을 조사하였다.
[시험예 5]
밀 붉은 녹병에 대한 살균효과
병원균(Puccinia recondita)은 실험실에서 식물체에 직접 계대배양하여 사용하였다. 균주의 계대배양 및 약효조사를 위해서 일회용 포트(직경 : 6.5㎝)에 15립씩의 밀종자(은파)를 파종하여 온실에서 7일간 재배한 1엽기의 밀에 포자를 털어서 접종하였다. 접종한 1엽기의 밀은 20℃의 습실상에서 1일간 습실 처리한 후에 상대 습도가 70%인 20℃의 항온 항습실로 옮겨서 발병을 유도하는 접종 10일후에 발병을 조사하였다. 발병조사는 녹 병포자를 접종한지 10일후에 병반 면적율을 조사하였다.
[시험예 6]
보리 흰가루병에 대한 살균효과
병원균(Erysiphe graminis f.sp.hordei)은 실험실에서 계대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균주의 계대배양 및 약효조사를 위해서 일회용 포트(직경 : 6.5㎝)에 15립씩의 보리 종자(동보리 1호)를 파종하여, 온실(25±5℃)에서 7일간 재배한 1엽기의 보리에 흰가루병 포자를 털어 접종하여 발병시켰다.
위와같은 방법으로 접종된 식물을 상대습도 50%, 22-24℃ 정도의 항온항습실에 옮겨 7일간 발병을 유도한 뒤 병반면적율을 조사하였다.
상기 시험예 1에서 6까지의 시험결과에 대하여 다음식에 따라 방제가를 산출하고 다음 표2에 나타내었다.
[표 2]4-아미노-2-퀴놀린온 유도체(Ⅰ)의 살균활성측정
다음은 본 발명이 4-아미노-2-퀴놀린온 유도체(I)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방법(시험예)에 따라 각각의 살충 및 살비활성을 측정한다.
이때 시험에 사용된 약물은 상기 4-아미노-2-퀴놀린온 유도체(I) 25mg을 5ml의 아세톤에 용해시키고, 이를 계면활성제인 트리톤엑스-100 100ppm 수용액 45ml와 혼합한 다음, 그 농도가 500ppm으로 되도록 조정한 공시약액을 사용한다.
[시험예 7]
벼멸구(brown planthopper)에 대한 살충효과 시험
실내에서 살충제 도태없이 누대 사육된 감수성 계통의 벼멸구(Nilaparvata lugens stal)를 아크릴 케이지(가로 26cm, 세로 29cm, 높이 20cm) 내에서 사육하되 케이지당 최종 성충의 밀도가 약 500마리가 되도록 동일 영기의 약충을 항온실(온도 27±1℃, 상대습도 50±5%, 광건조 16명 8암)내에서 동전벼를 이용하여 실내 사육하고 우화후 4일째의 암컷 성충을 공시한다.
살충시험은 먼저, 초장이 5-7cm인 수도 유묘(품종 : 동진) 6본을 탈지면으로 말아 시험관(직경 31cm, 높이 15cm)에 삽입한 후, 여기에다 성충 20마리를 접종한다.
이어서, 시험관의 입구 중앙부에 미량분무기(1회 분사량 0.0254±0.0005ml)의 노즐을 위치시켜 미리 제조해둔 공시약액을 2회 분사한다.
한편, 대조군에 대해서는 시험약제를 함유하지 않은 아세톤-계면활성제-증류 수용액으로 처리시키되 시험군 및 대조군에 대하여 각각 3회 반복으로 처리한다. 이어서 이를 항온실(온도 25±1℃, 상대습도 50±5%, 광조건 16명 8암)에 보관하면서 24시간 및 48시간 후에 시충률을 조사한다. 침으로 자극을 주었을 때 반사작용을 보이지 않는 것은 사망개체로 판정한다.
[시험예 8]
복숭아 흑진딧물(green peach aphid)에 대한 살충효과 시험.
실내에서 살충제 도태없이 2년간 누대 사육된 복숭아흑진딧물(Myzus persicae sulzer)을 항온실(온도 21±1℃, 상대습도 50±5%, 광조건 16명 8암)내에 담배(품종 : NC-82)를 이용하여 실내 사육하고, 무지자충을 공시한다. 살충시험은 우선 농도가 500ppm인 공시약물 50ml에서 직경이 9cm인 원형으로 자른 담배잎(품종 : NC-82)을 30초간 침적시키고, 이를 다시 30분간 풍건시킨 후 9cm인 페트리접시에 넣어둔다.
한편, 대주군은 아세톤-계면활성제-증류수 용액으로 침적처리시키되, 시험군 및 대조군에 대하여 각각 3회 반복하여 처리하고, 무시자충 20마리를 각각의 약제가 처리된 담배잎에 접종한후, 항온실(온도 25±1℃, 상대습도 50±5%, 광조건 16명 8암)에 보관하면서 24시간, 48시간후에는 사충률을 조사한다. 가는 붓끝으로 자극을 주었을 때 반사작용을 보이지 않은 것은 사망개체로 간주한다.
[시험예 9]
배추좀나방(diamond-back moth)에 대한 살충효과 시험.
항온실(온도 27±1℃, 상대습도 50±5%, 광조건 16명 8암)에서 양배추를 이용하여 살충제 도태없이 누대사육된 배추 좀나방(Plutella xylostella Linnaeus)에 대하여 사육 상자당 평균 밀도가 500마리 정도로 되도록 사육하고, 살충시험에는 3령 유충을 공시한다.
살충시험은 먼저, 양배추잎을 직경이 6cm인 원형으로 잘라 농도가 500ppm인 공시약물에 30초간 침적시킨후, 이를 30분간 풍건시킨다.
한편, 대조군에 대해서는 공시약물을 포함하지 않는 아세톤-계면활성제-증류수 용액으로 처리한다. 이와같이 하여 처리된 잎을 각각 직경이 6cm인 페트리 접시에 넣고 여기에다 3령 유충 10마리를 접종한다. 시험군 및 대조군에 대하여 각각 3회 반복하여 처리한후, 페트리접시는 뚜껑을 덮어 항온실(온도 25±1℃, 상대습도 50±5%, 광조건 16명 8암)에 보관하면서 24시간, 48시간후에는 사충률을 조사한다. 가는 붓끝으로 건드렸을 때 반사작용을 보이지 않는 것은 사망한 것으로 판정한다.
[시험예 10]
점박이 응애(two-spotted spidermite)에 대한 살충효과 시험.
살충제 감수성 계통의 점박이 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를 항온실(온도 23±1℃, 상대습도 50±5%, 무조건 16명 8암)내에서 강남콩잎을 이용하여 실내 사육하고, 그 성충을 공시한다. 살충 시험은 먼저, 끓인 한천액(한천함량 0.5%)을 사례에 깊이 1cm 정도가 되게 흘려 넣고, 식혀서 굳힌다음 그위에다 강남콩잎을 고정시킨 다음, 여기에 성충 40마리 접종하고, 미량 분무기를 이용하여 농도가 500ppm인 공시약물 3ml를 살포한다.
한편, 대주군에 대해서는 공시약물이 포함되어 있지 않는 아세톤-계면활성제-증류수 용액을 살포하되 시험군 및 대조군에 대하여 각각 3회 반복처리한다.
이어서 이를 항온실(온도 25±1℃, 상대습도 50±5%, 광조건 16명 8암)에 보관하면서 24시간, 48시간후에는 사충률을 조사한다. 자극을 주었을 때 움직이는 것은 살아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상기 시험예 7에서 10까지 얻어진 시험결과에 대하여 다음식에 따라 사충률을 산출하고, 이를 다음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4-아미노-2-퀴놀린온-유도체(Ⅰ)의 산출 및 살비활성측정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4-아미노-2-퀴놀린온 유도체(Ⅰ)는 특히 배추좀나방과 점박이 응애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우수한 약효를 갖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같이 하여 제조된 본 발명의 4-아미노-2-퀴놀린온 유도체(Ⅰ)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시험 방법에 의하여 제초활성을 측정하였다.
[시험예 11]
적정량의 비료가 혼합된 사질토양을 살균한 다음, 시험용 폿트(발조건 : 348㎠ 논조건 : 115㎠)에 담았다. 이때 사용된 폿트수는 한 화합물당 밭조건 2폿트, 논조건 1폿트이다. 그 후에 밭작물 및 잡초로서 수수, 피, 개밀, 바랭이, 미국 개기장, 까마중, 자귀풀, 어저귀, 도꼬마리, 메꽃 등의 종자 또는 지하경을, 밭조건의 폿트에 그리고 논작물 및 잡초류로서 벼, 논피, 너도 방동사니, 올미, 올챙이 고리, 물 달개비 등의 종자를 논조건의 폿트에 각각 파종한 다음 곱게 친 흙으로 부토한 후 온실에 두었다.
4㎏/ha 수준의 시험화합물(Ⅰ)(밭조건 : 14mg/폿트, 논조건 : 4mg/폿트)을 용매로서 아세톤을 사용하여 각각 동량을 섞어서 밭조건의 경우 14ml를 살포하였다.
발아전 토양처리는 파종후 1일째, 발아후 경엽처리는 파종후 9-14일째에 조제된 약제로 처리하였다. 약제를 처리한 후 온도에서 2-3주간 키운 다음 이들의 제초효과를 형태 및 생리학적 근거에 의하여 달관 조사하였다. 즉 0%는 무제초효과를 10-30%는 약간의 제초효과 40-60%는 중 정도 효과, 70-90%는 심한효과, 그리고 100%는 완전 제초효과를 의미한다.
담수 조건에서의 벼 제초제 검색은 건답 제초제의 경우와 같이 약제를 처리하고 2일 후에 검색하였다. 본 발명의 일반식(Ⅰ)의 대표적인 화합물의 발아후 제초효과는 표4에 나타내었다.
[표 4]
4-아미노-2-퀴놀린온 화합물(Ⅰ)의 발아후 제초효과(4㎏/ha)
[표 5]
4-아미노-2-퀴놀린온 화합물(Ⅰ)의 논조건 제초효과

Claims (8)

  1. 다음 일반식(Ⅰ)으로 표시되는 4-아미노-2-퀴놀린온 유도체
    상기식중에서, R1, R2, R3, R4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수소 이외의 것으로 치환된 것으로써, 수소, 아릴 또는, 아릴옥시기, C1-C10의 아르알킬 또는 알킬기, C1-C|10의 알콕시기, C1-C6의 할로알킬기, 할로겐, 니트로기, 시아노기를 나타내며, 여기서, 아릴기는 페닐기 또는 치환페닐기를, 아릴옥시기는 페녹시 또는 치환페녹시기를, 알킬기는 벤질 또는 치환벤질 및 C1-C6의 직쇄 또는 측쇄의 할로알킬기를 나타내고, R5는 C1-C6의 알킬, 아르알킬 또는 아릴을 나타내며, 여기서 알킬기는 C1-C4의 직쇄, 측쇄 또는 사이크릭의 알킬기를, 아릴기는 페닐기 또는 치환된 페닐기를 나타내고, R6은 수소 또는 C1-C5의 포화 또는 불포화된 직쇄 또는 측쇄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R7
    여기서, R11, R12, R13, R14, R15, R16은 수소, 할로겐, C1-C6의 알킬, 아릴, 알콕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아세틸 또는 (R19)3Si를 나타내며, R17, R18은 수소 또는 C1-C5의 직쇄 또는 측쇄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R19는 C1-C|5의 직쇄 또는 측쇄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X는 O, (TR20)2또는 -T-(CH2)r-T, Y는 S 또는 -SO-, T는 O 또는 S, R20은 C1-C3의 알킬기, m, n, p, q, r은 1 내지 4의 정수를 각각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 R2, R3, R4는 수소, 할로겐, 페닐기 또는 치환된 페닐기, 페녹시 또는 치환된 페톡시기, 벤질 또는 치환된 벤질기 C1-C6의 직쇄 또는 측쇄의 알킬기, C1-C5의 직쇄 또는 측쇄의 알콕시기, 할로겐이 치환된 C1-C3의 직쇄 또는 측쇄의 할로알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아미노-2-퀴놀린온 유도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5는 C1-C4의 직쇄, 측쇄 또는 사이크릭의 알킬기, 페닐 또는 치환된 페닐기, 벤질 또는 치환된 벤질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아미노-2-퀴놀린온 유도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6은 수소 또는 C1-C3의 알킬, C2-C3의 알켄, C2-C3알킨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아미노-2-퀴놀린온 유도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1, R12, R13, R14, R15, R16은 수소, 할로겐, C1-C4의 직쇄 또는 측쇄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 C1-C3의 직쇄 또는 측쇄의 알콜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아세틸기, (R19)3Si를 나타내며, R17, R18은 수소 또는 C1-C3의 직쇄 또는 측쇄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R19는 C1-C5의 직쇄 또는 측쇄의 알킬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4-아미노-2-퀴놀린온 유도체.
  6. 다음 일반식(Ⅰ)으로 표시되는 4-아미노-2-퀴놀린온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균제.
    상기식에서, R1, R2, R3, R4, R5, R6및 R7은 각각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7. 다음 일반식(Ⅰ)으로 표시되는 2-퀴놀린온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살균제.
    상기식에서, R1, R2, R3, R4, R5, R6및 R7은 각각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8. 다음 일반식(Ⅰ)으로 표시되는 2-퀴놀린온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초제.
    상기식에서, R1, R2, R3, R4, R5, R6및 R7은 각각 상기 정의한 바와 같다.
KR1019930011382A 1993-06-22 1993-06-22 4-아미노-2-퀴놀린온 유도체 KR0124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1382A KR0124946B1 (ko) 1993-06-22 1993-06-22 4-아미노-2-퀴놀린온 유도체
JP7502665A JPH08506355A (ja) 1993-06-22 1994-06-21 4−アミノ−2−キノリノン誘導体
CA002165318A CA2165318C (en) 1993-06-22 1994-06-21 4-amino-2-quinolinone derivatives
BR9406906A BR9406906A (pt) 1993-06-22 1994-06-21 Derivados de 4-amino-2 quinolinona
US08/564,238 US5707931A (en) 1993-06-22 1994-06-21 4-amino-2-quinolinone derivatives
AU69848/94A AU693451B2 (en) 1993-06-22 1994-06-21 4-amino-2-quinolinone derivatives
PCT/KR1994/000079 WO1995000488A1 (en) 1993-06-22 1994-06-21 4-amino-2-quinolinone derivatives
EP94918605A EP0707569A1 (en) 1993-06-22 1994-06-21 4-amino-2-quinolinone derivatives
NZ267515A NZ267515A (en) 1993-06-22 1994-06-21 4-amino-2-quinolinone derivatives and biocidal composi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1382A KR0124946B1 (ko) 1993-06-22 1993-06-22 4-아미노-2-퀴놀린온 유도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0669A KR950000669A (ko) 1995-01-03
KR0124946B1 true KR0124946B1 (ko) 1997-12-08

Family

ID=19357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1382A KR0124946B1 (ko) 1993-06-22 1993-06-22 4-아미노-2-퀴놀린온 유도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707931A (ko)
EP (1) EP0707569A1 (ko)
JP (1) JPH08506355A (ko)
KR (1) KR0124946B1 (ko)
AU (1) AU693451B2 (ko)
BR (1) BR9406906A (ko)
CA (1) CA2165318C (ko)
NZ (1) NZ267515A (ko)
WO (1) WO19950004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7942A1 (en) * 2009-11-12 2011-05-19 Basf Se Insecticidal methods using pyridine compounds
WO2012150550A1 (en) * 2011-05-04 2012-11-08 Basf Se Novel pesticidal amino pyranone compound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07336A (en) * 1970-07-20 1973-02-21 Shell Int Research Herbicides
BR9003627A (pt) * 1990-07-26 1992-02-18 Luiz Carlos Oliveira Da Cunha Processo de obtencao de borracha termoplastic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984894A (en) 1995-01-17
JPH08506355A (ja) 1996-07-09
WO1995000488A1 (en) 1995-01-05
CA2165318A1 (en) 1995-01-05
AU693451B2 (en) 1998-07-02
KR950000669A (ko) 1995-01-03
EP0707569A1 (en) 1996-04-24
US5707931A (en) 1998-01-13
NZ267515A (en) 1997-11-24
CA2165318C (en) 1999-08-31
BR9406906A (pt) 1996-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2556B1 (ko) 이미다졸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유해 유기체 방제용 살균 조성물
JPH06220036A (ja) 3−アリール−ピロン誘導体
CN109689644B (zh) 哒嗪酮类化合物及其应用
CN108117529B (zh) N-苯基噻唑酰胺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0066286B (zh) 具生物活性苯基吡唑啉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3480541B (zh) 咪唑并吡啶化合物及其中间体的制备方法
CN108794462B (zh) 一种含氟氰亚胺噻唑烷取代的噁二唑类杀虫杀菌剂
CN107629012B (zh) 吩嗪-1-羧酸双酰胺类化合物及其应用
KR0124946B1 (ko) 4-아미노-2-퀴놀린온 유도체
KR100574351B1 (ko) 4-퀴놀린온 유도체를 포함하는 농원예용 살균제 조성물
CN108794461B (zh) 一种含氟苯基噁二唑连吡唑类杀虫杀菌剂
KR100613688B1 (ko) 2-아미노-4-퀴놀린온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농원예용살균제 조성물
KR100613690B1 (ko) 4-퀴놀린온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농원예용 살균제조성물
CN108117518B (zh) N-2,4-取代苯基双酰胺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4621280A (zh) 硅丙烯腈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1662282A (zh) 氮杂环并吡啶类化合物及其中间体
CN108912114B (zh) 一种含邻苯甲酰磺酰亚胺基的1,2,4-噁二唑类杀虫剂
KR0146504B1 (ko) 아졸아미드 유도체
CN110294751B (zh) 具生物活性的咪唑[4,5-b]并吡啶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H04234877A (ja) 置換ピリダジノン類、それらの製造方法、および有害生物防除剤としてのそれらの使用
KR100224070B1 (ko) 신규피리미딜아민 유도체
US7144843B2 (en) Pest controllers
JPH05286970A (ja) 2−アシルアミノ−2−チアゾリン化合物、その製法及び有害生物防除剤
JPH03197467A (ja) ピリミジノン誘導体その製法及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殺虫・殺ダニ剤
KR900002057B1 (ko) 생리활성을 갖는 신규한 5-하이드록시피라졸유도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