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828Y1 - 디스크 취출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취출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828Y1
KR0124828Y1 KR2019940037034U KR19940037034U KR0124828Y1 KR 0124828 Y1 KR0124828 Y1 KR 0124828Y1 KR 2019940037034 U KR2019940037034 U KR 2019940037034U KR 19940037034 U KR19940037034 U KR 19940037034U KR 0124828 Y1 KR0124828 Y1 KR 01248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tray
disc
guide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70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4872U (ko
Inventor
김필중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400370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4828Y1/ko
Publication of KR9600248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48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8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8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트레이로부터 디스크를 쉽게 파지하여 교환할 수 있도록 개선된 디스크 취출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이는 트레이(30)의 저면에 승강가능한 승강부재(70)를 설치하여 그 승강부재(70)의 상승에 따라서 디스크(40)가 접촉되어 소정높이로 디스크(40)가 상승되는 구조를 가진다. 승강부재(70)에는 랙기어(72)가 형성되고, 이 랙기어(72)에 맞물리는 구동기어(60)가 트레이(30)의 저부에 설치되고, 본체(20)에는 구동기어(60)가 맞물리는 랙부재(90)가 설치된다.

Description

디스크 취출장치
제1도는 종래의 디스크 취출장치가 채용된 기록/재생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 내지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디스크 취출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채용되는 트레이의 부분 절제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에 채용되는 댐핑수단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본체 21 : 삽입구
30 : 트레이 31 : 관통공
40 : 디스크 50 : 댐퍼기어
60 : 구동기어 70 : 승강부재
80 : 롤러부재 90 : 랙부재
본 고안은 디스크 취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플레이어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디스크 트레이로부터 디스크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교환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디스크 취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DP(laser disk player),CDP(compact disk player)와 같은 기록/재생장치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내부의 턴테이블(미도시)상에 디스크(12)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디스크(12)를 이송시키는 트레이(11)가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12)의 교환시에는 트레이(11)를 취출시킨 상태에서 디스크(12)를 교환하게 된다.
그런데, 통상 트레이(11)에서 디스크(12)가 동일 평면상으로 안착되기 때문에 트레이(11)로부터 디스크(12)를 교환하기 위하여 파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디스크 구동부로 디스크를 이송시키는 트레이로부터 디스크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디스크 취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은 디스크의 기록/재생부를 가지는 본체의 삽입구를 통하여 삽입/취출되며 디스크를 탑재하는 트레이를 구비하는 디스크 취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취출시 트레이에 탑재된 디스크를 소정높이로 상승시키는 디스크 상승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트레이에 탑재된 디스크는 상기 상승수단에 의해서 트레이로부터 소정높이로 상승되게 되므로 디스크의 파지를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승수단은 트레이에 관통공을 형성되고, 이 관통공을 통하여 소정의 가이드 수단에 의해서 승강가능하게 지지되며 일측에 랙기어가 형성된 승강부재와, 트레이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는 구동기어와, 본체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가 치합 또는 분리되는 랙부재를 구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수단은 트레이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가이드장공이 형성된 가이드부재를 형성하고, 승강부재에 상기 가이드장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돌기를 형성하여 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승강부재의 상단부에는 고무부재로 된 롤러부재를 설치하여서 디스크와 접촉시 디스크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디스크 취출장치의 동작도를 나타낸 제2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면, 디스크(40)를 기록/재생하기 위한 구동부(미도시)가 마련된 플레이어의 본체(20) 전면에는 삽입구(21)가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구(21)를 통하여 트레이(30)가 진입 또는 이젝팅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트레이(30)에는 디스크(40)가 탑재되어서 본체(20) 내부로 이송될 수 있고, 기록/재생 완료후에는 본체(20)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30)의 취출시 트레이(30)에 탑재된 디스크(40)를 소정높이로 상승시키는 디스크 상승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 상승수단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30)에 관통공(31)을 형성하고, 이 관통공(31)을 통하여 소정의 가이드 수단에 의해서 승강가능하게 지지되며 일측에 랙기어(72)가 형성된 승강부재(70)와, 트레이(30)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랙기어(72)와 맞물리는 구동기어(60)와, 본체(20)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60)가 치합 또는 분리되는 랙부재(90)를 구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공(31)은 디스크(40)가 안착되는 중심부에 인접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는 이 관통공(31)을 통하여 그 단부가 디스크(40)와 접촉되는 승강부재(70)가 디스크(40)의 기록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승강부재(70)의 단부에는 고무부재로 된 롤러부재(80)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롤러부재(80)는 승강부재(70)가 승강함에 따라 디스크(40)와 접촉되면서 회전되게 되어 디스크(40)의 손상을 방지하는 데 유리한 작용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70)가 안정하게 승강될 수 있도록 상하로 가이드하는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트레이(30)에 가이드장공(32')이 형성된 가이드부재(32)를 형성하고, 상기 승강부재(70)의 측면에 상기 가이드장공(3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돌기(71)를 형성하여 된 구조로 하였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60)가 상기 랙부재(90)와 분리시 그 회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댐핑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댐핑수단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30)의 저면에 연결되어 고정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60)와 맞물려 회전가능하고, 케이싱(51)내에 충전된 소정의 점도를 가지는 점성액(53)과 마찰회전구동되는 회전체(52)를 구비하는 댐퍼기어(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기어(60)는 상기 승강부재(70)의 랙기어(72)와 맞물리는 소경기어(62)와, 상기 랙부재(90) 및 상기 댐퍼기어(50)와 맞물리는 대경기어(61)로 된 듀얼기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디스크 취출장치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기록/재생이 완료된 디스크(40)는 트레이(30)에 탑재된 채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트레이 이송수단에 의해서 이젝트되게 된다. 트레이(30)가 이젝트되는 동안에 상기 구동기어(60)의 대경기어(61)가 랙부재(90)에 맞물리면서 회전되게 된다. 동시에 회전되는 구동기어(60)에 의해서 그 소경기어(62)에 맞물린 승강부재(70)가 가이드 장공(32')에 안내되면서 상승되게 된다. 승강부재(70)가 상승되어 그 단부에 설치된 롤러부재(80)가 디스크(40)의 저면과 접촉되는 시점에서 트레이(30)는 본체(20)의 삽입구(21)로부터 외부로 노출되기 시작하고, 상기 대경기어(61)는 랙부재(90)와 맞물리면서 계속회전되어 승강부재(70)를 상승시키게 된다. 계속하여 트레이(30)가 외부로 이젝팅되어 대경기어(61)가 랙부재(90)와 분리되면서, 승강부재(70)의 상승동작이 멈추게 된다. 이때 디스크(40)는 롤러부재(80)에 의해서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30)로부터 소정높이로 상승되어 있게 된다.
한편, 소정 높이로 상승된 디스크(40)는 그 높이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는 승강부재(70)의 랙기어(72)와 맞물린 구동기어(60)가 상기 댐퍼기어(50)와 맞물림으로서 회전정지됨으로써 가능하다. 이때 승강부재(70) 및 롤러부재(80)의 자중에 의한 하강력은 상기 점성액(53)의 점도에 의해서 충분히 저항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레이(30)로부터 소정높이로 상승된 디스크(40)는 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하여 교환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디스크(40)를 교환하여 트레이(30)에 새로운 디스크를 탑재시킨 후 트레이(30)를 본체(20)내부로 이송시키면, 구동기어(60)의 대경기어(61)가 랙부재(90)와 맞물리면서 승강부재(70)가 하강되어 디스크(40)가 트레이(30)에 평면상태로 안착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디스크 취출장치는 트레이(30)로부터 티스크(40)를 소정높이로 상승시키는 상승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디스크(40)을 트레이(30)로부터 쉽게 파지하여 분리해낼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8)

  1. 디스크의 기록/재생부를 가지는 본체의 삽입구를 통하여 삽입/취출되며 디스크를 탑재하는 트레이를 구비하는 디스크 취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취출시 트레이에 탑재된 디스크를 소정높이로 상승시키는 디스크 상승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취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상승수단은 상기 트레이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소정의 가이드 수단에 의해서 승강가능하게 지지되며 일측에 랙기어가 형성된 승강부재와, 상기 트레이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는 구동기어와, 상기 본체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가 치합 또는 분리되는 랙부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취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트레이의 저면에 가이드장공이 형성된 가이드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승강부재에 상기 가이드장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돌기를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취출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부재를 구비하여서, 상기 롤러부재가 디스크와 접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취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재는 상기 디스크의 중심부와 접촉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취출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재는 고무부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취출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가 상기 랙부재와 분리시 그 회전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댐핑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취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수단은 상기 트레이의 저면에 연결되어 고정설치되며,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려 회전가능하고, 소정의 점도를 가지는 점성액과 마찰회전구동되는 댐퍼기어를 구비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취출장치.
KR2019940037034U 1994-12-28 1994-12-28 디스크 취출장치 KR01248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7034U KR0124828Y1 (ko) 1994-12-28 1994-12-28 디스크 취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7034U KR0124828Y1 (ko) 1994-12-28 1994-12-28 디스크 취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872U KR960024872U (ko) 1996-07-22
KR0124828Y1 true KR0124828Y1 (ko) 1998-10-15

Family

ID=19403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7034U KR0124828Y1 (ko) 1994-12-28 1994-12-28 디스크 취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482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872U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09158A (en) Disc loading device in a video disc player
KR100408394B1 (ko) 광디스크 드라이브
KR0124828Y1 (ko) 디스크 취출장치
KR900004183B1 (ko) 디스크 카트리지의 장전 및 위치 설정 장치
US6646971B1 (en) Cleaning disc for compact disc player
JP2926639B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を備えるディスクプレーヤー
JPH087430A (ja) 光ディスク着脱機構
JP2771117B2 (ja) ガイド装置を備えたミニディスクプレーヤー用ディスクトレー
KR0132066Y1 (ko) 카씨디의 로딩장치
KR910002036Y1 (ko)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80mm, 120mm디스크 겸용 로딩장치
KR200187151Y1 (ko) 디스크 트레이장치
KR200151060Y1 (ko) 디스크 플레이어
JP3585102B2 (ja) カートリッジ挿入排出装置
KR100838335B1 (ko) 디스크드라이브의 디스크 입출장치
KR0169235B1 (ko) 미니 디스크 구동장치 및 방법
JPS5935107B2 (ja) オ−トプレ−ヤに於ける記録円盤の集中機構
KR200185715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카셋트 홀더 지지장치
KR910000318Y1 (ko) 80/120㎜ 공용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회전식 디스크 홀더 장치
JPH0624031Y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JP2822658B2 (ja) カセット装着装置
KR0125241B1 (ko) 다중 미니 디스크 구동장치
KR950007869Y1 (ko) 레이저 디스크 플레이어의 덱크 승강장치
JPS6241406Y2 (ko)
JP2672706B2 (ja) ローディング装置
KR940001757Y1 (ko)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콤팩트 디스크 취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