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726Y1 - 페라이트 비드 탑재형 포커스팩 구조 - Google Patents

페라이트 비드 탑재형 포커스팩 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726Y1
KR0124726Y1 KR2019950000561U KR19950000561U KR0124726Y1 KR 0124726 Y1 KR0124726 Y1 KR 0124726Y1 KR 2019950000561 U KR2019950000561 U KR 2019950000561U KR 19950000561 U KR19950000561 U KR 19950000561U KR 0124726 Y1 KR0124726 Y1 KR 01247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cus pack
focus
ferrite bead
outpu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05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7628U (ko
Inventor
김종수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500005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4726Y1/ko
Publication of KR9600276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76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7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7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페라이트 비드 탑재형 포커스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포커스 및 스크린 전압이 출력되는 출력리드선에 원형 페라이트 비드를 체결시키면서 컴퓨터용 모니터 몸체의 임의의 장소에 고정시키는 것은 자동화가 거의 불가능하면서 작업시 상당히 긴 시간이 요구되며, 상기 출력리드선에 원형 페라이트 비드를 고정시키기 위해 체결밴드를 사용하며 포커스팩에서 발생되는 신호중 전압출력부를 통해 출력시 고주파 잡음신호가 방사되고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페라이트 비드가 포커스팩에 고정되도록 포커스팩 위에 탑재할 수 있도록 하여 포커스팩 출력부에 연결하는 하우징에 상부가 넓은 테이퍼를 형성하면서, 상기 하우징의 한쪽을 일부 연장하여 결합을 위한 체결돌기부를 형성시키면서 이에 대응되는 지점의 포커스팩에 결합용 삼각돌기부를 형성하여 각형의 페라이트 비드를 먼저 체결시키고 하우징을 체결시키므로서 페라이트 비드의 삽입 및 고정에 대한 작업성을 개선하면서 출력시 포커스팩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잡음신호를 흡수하여 제품의 품질향상 및 원가절감을 이루는 페라이트 비드 탑재형 포커스팩 구조이다.

Description

페라이트 비드 탑재형 포커스팩 구조
제 1도는 종래 포커스팩 및 하우징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제 2도는 종래 포커스팩 출력리드선이 브라운관에 연결된 구조를 보인 사시도
제 3도는 본 고안 페라이트 비드 탑재형 포커스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제 4도는 본 고안 페라이트 비드 탑재형 포커스팩 결합구조를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포커스팩 12 : 전압출력부
13 : 삼각돌기부 14 : 각형 페라이트 비드
15 : 하우징 16 : 테이퍼
17 : 체결돌기부 18 : 출력리드선
본 고안은 페라이트 비드 탑재형 포커스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포커스팩의 출력선을 브라운관에 연결할 때 출력선을 통해 브라운관에 전달되는 고주파를 차단하기 위해 상기 출력선이 페라이트 비드에 손쉽게 끼워지도록 포커스팩의 상부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전압 출력부와, 전압출력부에 체결되는 출력선이 연결된 하우징 사이에 페라이트 비드를 체결하여 포커스팩의 상부 전압출력부에 페라이트 비드가 탑재되도록 한 페라이트 비드 탑재형 포커스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페라이트 비드의 체결형 포커스팩 구조에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도면 제 1도 및 제 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FBT 몸체(1)에 체결된 포커스팩(2)과, 상기 포커스팩(2) 상부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포커스 및 스크린전압을 출력시키는 전압출력부(3)와, 상기 전압출력부(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출력리드선(6)이 결합된 하우징(5)과 전압출력부(3)에 체결된 하우징(5)이 분리되지 않도록 전압출력부(3) 상측에 형성된 삼각돌기부(4)와, 전압출력부(3)에서 출력된 전압을 브라운관(9)에 전달시키기 위한 출력리드선(6)과, 출력리드선(6)을 통해 브라운관(9)에 인가되는 고주파를 차단하기 위한 페라이트 비드(7)와, 페라이트 비드(7)를 출력리드선(6)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밴드(8)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페라이트 비드의 체결형 포커스팩 구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포커스팩(2)에서 약 8kV 의 포커스 전압 및 약 1kV 의 스크린 전압을 상기 포커스팩(2) 상측에 형성된 포커스 및 스크린 전압출력부(3)에 의해 출력시킨다.
그리고, 상기 전압출력부(3)의 상측에 돌출된 삼각돌기부(4)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출력리드선(6)이 연결된 하우징(5)을 통해 브라운관(9)의 포커스 및 스크린 단자에 전압을 인가한다.
이때 포커스 및 스크린 전압출력부(3)에서 출력된 전압은 FBT(1)에서 다이오드를 거치면서 정류되어 출력되거나 콘덴서를 사용한 평활회로없이 바로 브라운관(9)에 입력되므로 상기 FBT(1)의 잡음신호등이 컴퓨터용 모니터의 화면에 나타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잡음신호를 제거하기 위해 원형 페라이트 비드(7)를 출력리드선(6)에 체결시키고 체결밴드(8)를 이용하여 출력리드선(6)에 고정시키면, 상기 포커스 및 스크린 전압출력부(3)에 의해 출력된 포커스 및 스크린 전압은 원형 페라이트 비드(7)가 고주파 성분 즉 노이즈 및 잡음신호를 흡수하면서 출력리드선(6)을 따라 브라운관(9)에 입력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페라이트 비드의 체결형 포커스팩 구조는 포커스 및 스크린 전압이 출력되는 출력리드선(6)에 원형 페라이트 비드(7)를 체결시키면서 컴퓨터용 모니터 몸체의 임의의 장소에 고정시키는 것은 자동화가 거의 불가능하면서 작업시 상당히 긴 시간이 요구되며, 상기 출력리드선(6)에 원형 페라이트 비드(7)를 고정시키기 위해 체결밴드(8)를 사용하며 포커스팩(2)에서 발생되는 신호중 전압출력부(3)를 통해 출력시 고주파 잡음신호가 방사되고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페라이트 비드가 포커스팩에 고정되도록 포커스팩 위에 탑재할 수 있도록 하여 포커스팩 출력부에 연결하는 하우징에 상부가 넓은 테이퍼를 형성하면서, 상기 하우징의 한쪽을 일부 연장하여 결합을 위한 체결돌기부를 형성시키면서 이에 대응되는 지점의 포커스팩에 결합용 삼각돌기부를 형성하여 각형의 페라이트 비드를 먼저 체결시키고 하우징을 체결시키므로서 페라이트 비드의 삽입 및 고정에 대한 작업성을 개선하면서 출력시 포커스팩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잡음신호를 흡수하여 제품의 품질향상 및 원가절감을 이루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 페라이트 비드 탑재형 포커스팩 구조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제 3도 및 제 4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포커스팩(11) 상부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포커스 및 스크린 전압을 출력시키는 전압출력부(12)와, 포커스팩(11) 일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삼각돌기부(13)와, 상기 전압출력부(12)에 체결되도록 구멍이 넓게 형성되어 고주파 성분을 흡수하기 위한 각형 페라이트 비드(14)와, 상기 전압출력부(12)에 체결되도록 테이퍼(16)를 형성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출력리드선(18)과 결합하는 하우징(15)과, 상기 포커스팩(11) 일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삼각돌기부(13)에 체결되도록 각형 페라이트 비드(14) 보다 길게 연장된 테이퍼(16) 하측에 형성된 체결돌기부(17)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 페라이트 비드 탑재형 포커스팩 구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 4도의 (a)에서 보는 바와같이 R 쪽으로 윗쪽이 더 넓도록 고주파 성분을 흡수하기 위한 각형 페라이트 비드(14)를 전압출력부(12)에 체결시킨 후 테이퍼(16)를 형성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출력리드선(18)과 결합하는 하우징(15)을 각형 페라이트 비드(14) 및 전압출력부(12)에 체결시키면서, 상기 하우징(15)의 테이퍼(16) 하부에 돌출되어 형성된 체결돌기부(17)를 포커스팩(11) 일측면에 형성된 삼각돌기부(13)에 체결시켜 하우징(15)을 전압출력부(12)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때 포커스팩(11)에서 발생되는 약 8kV의 포커스 전압 및 약 1kV 의 스크린 전압을 상기 포커스팩(11) 상측에 형성된 전압출력부(12)에서 출력리드선(18)을 통해 출력시킬때, 상기 전압출력부(12)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중 고주파의 잡음신호를 제거하기 위해 자기적인 폐회로의 자성체를 사용한 각형 페라이트 비드(14)를 전압출력부(12)와 브라운관의 입력 사이에 체결시켜 출력리드선(18) 주위에 방사되는 고주파 교류를 흡수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페라이트 비드가 포커스팩에 고정되도록 포커스팩 위에 탑재할 수 있도록 하여 포커스팩 출력부에 연결하는 하우징에 상부가 넓은 테이퍼를 형성하면서, 상기 하우징의 한쪽을 일부 연장하여 결합을 위한 체결돌기부를 형성시키면서 이에 대응되는 지점의 포커스팩에 결합용 삼각돌기부를 형성하여 각형의 페라이트 비드를 먼저 체결시키고 하우징을 체결시키므로서 페라이트 비드의 삽입 및 고정에 대한 작업성을 개선하면서 출력시 포커스팩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잡음신호를 흡수하여 제품의 품질향상 및 원가절감을 이루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포커스팩(11) 상부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포커스 및 스크린 전압을 출력시키는 전압출력부(12)와, 포커스팩(11) 일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삼각돌기부(13)와, 상기 전압출력부(12)에 체결되도록 구멍이 넓게 형성되어 고주파 성분을 흡수하기 위한 각형 페라이트 비드(14)와, 상기 전압출력부(12)에 체결되도록 테이퍼(16)를 형성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출력리드선(18)과 결합하는 하우징(15)과, 상기 포커스팩(11) 일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삼각돌기부(13)에 체결되도록 각형 페라이트 비드(14) 보다 길게 연장된 테이퍼(16) 하측에 형성된 체결돌기부(1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 비드 탑재형 포커스팩 구조.
KR2019950000561U 1995-01-16 1995-01-16 페라이트 비드 탑재형 포커스팩 구조 KR01247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0561U KR0124726Y1 (ko) 1995-01-16 1995-01-16 페라이트 비드 탑재형 포커스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0561U KR0124726Y1 (ko) 1995-01-16 1995-01-16 페라이트 비드 탑재형 포커스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628U KR960027628U (ko) 1996-08-17
KR0124726Y1 true KR0124726Y1 (ko) 1998-09-15

Family

ID=19406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0561U KR0124726Y1 (ko) 1995-01-16 1995-01-16 페라이트 비드 탑재형 포커스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472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628U (ko) 199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41709A (en) Transient suppression/filter connector
US5731964A (en) Electromagnetic-wave shielding device
KR0135530B1 (ko) 커넥터
US9966704B2 (en) Fixing structure of shield connector
KR0124726Y1 (ko) 페라이트 비드 탑재형 포커스팩 구조
JP3597326B2 (ja) 高周波機器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880001975Y1 (ko) 튜너의 안테나 접속장치
JPH028384Y2 (ko)
JP3239825B2 (ja) 高周波ノイズ抑制部品
KR0133230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포커스 및 스크린 리드선 고정장치
JP2564779Y2 (ja) フェライトビーズ
JPS5940746Y2 (ja) 高電圧発生装置
JPH06120685A (ja) チューナーの出力端子構造
JP3082220B2 (ja)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
KR950010134Y1 (ko) 모니터의 시그널 단자부 결착장치
KR0123938Y1 (ko) 모니터의 시그널 케이블 고정용 리어브라켓
KR200371474Y1 (ko) 전자레인지용 노이즈 필터의 터미널 일체형 퓨즈클립
KR200237712Y1 (ko) 플라이백트랜스포머의포커스유니트접지부구조
KR960007665Y1 (ko) 편향요크부의 유해전자파 차폐장치
KR19980040079U (ko) 차량용 방수 커넥터의 구조
KR200186992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포커스 팩 접지구조
JPS58184832A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の妨害信号除去装置
KR19990066462A (ko) 모니터의 접지 조립체
KR200157896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페라이트 코아 고정장치
KR890006371Y1 (ko) 소형칼라 tv용 편향요크의 터미날보드 결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