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695Y1 - 쇽업소버의 공기압축에 의한 에어백의 압축공기 공급구조 - Google Patents

쇽업소버의 공기압축에 의한 에어백의 압축공기 공급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695Y1
KR0124695Y1 KR2019950037054U KR19950037054U KR0124695Y1 KR 0124695 Y1 KR0124695 Y1 KR 0124695Y1 KR 2019950037054 U KR2019950037054 U KR 2019950037054U KR 19950037054 U KR19950037054 U KR 19950037054U KR 0124695 Y1 KR0124695 Y1 KR 01246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alve
storage tank
outer cylinder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70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4379U (ko
Inventor
이상경
Original Assignee
이상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경 filed Critical 이상경
Priority to KR20199500370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4695Y1/ko
Publication of KR9700243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43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6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6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1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accumulating utilisable energy, e.g. compressin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90System Controller type
    • B60G2800/925Airbag deploy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에어백에 있어서, 그 주입공기를 쇽업소버에 장착한 펌프에 의해 공기를 압축하여 별도의 저장탱크에 저장되게 하고 이 저장된 압축공기를 에어백에 주입되게 하여 안전하면서도 경제적인 에어백을 사용할 수 있게한 쇽업소버의 공기압축에 의한 에어백의 압축공기 공급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쇽업소버에 있어서,
내통체의 선단부에 결합턱을 형성하여 이에 상하 밀폐판으로 구성된 피스톤을 외통체의 내주벽에 접동되게끔 장착하고,
외통체에는 상부에 흡입용 첵크밸브와 토출용밸브를 장착하고, 중간부에는 전기한 피스톤의 상하밀폐판의 상하 행정구간내에 위치되게한 오일유입공과 피스톤의 최하점 위치시 상하밀폐판의 내부공간에 위치한 오일 배출공을 형성하고,
공기저장탱크에는 첵크밸브가 장착된 에어주입밸브와, 공기배출밸브 및 압력유지밸브를 장착하되,
전기한 외통체의 토출용밸브와 공기저장탱크의 에어주입밸브를 연결호스로 연결하고, 공기저장탱크의 일측 공기배출밸브는 충격감지센서에 의한 전자밸브를 거쳐 에어백에 연결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쇽업소버의 공기 압축에 의한 에어백의 압축공기 공급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설명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쇽업소버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구성 개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내통체 2 : 축봉
3 : 쇽업소버 5 : 외통체
6 : 내통체의 결합턱 7,7' : 피스톤의 상하밀폐판
8 : 피스톤 9 : 흡입용첵크밸브
10 : 토출용 밸브 11 : 오일유입공
12 : 오일배출공 13 : 공기저장탱크
14 : 에어주입밸브 15,15' : 공기배출밸브
16 : 압력유지밸브 17 : 충격감지센서
18 : 전자밸브 19 : 에어백
20 : 연결호스
본 고안은 자동차의 충돌사고시 그 충격으로부터 운전자및 승객의 안전을 보호시켜 주는 자동차용 에어백에 있어서, 그 주입공기를 쇽업소버에 장착한 펌프에 의해 공기를 압축하여 별도의 저장탱크에 저장되게 하고 이 저장된 압축공기를 에어백에 주입되게 하여 안전하면서도 경제적인 에어백을 사용할 수 있게 한 쇽업소버의 공기압축에 의한 에어백의 압축공기 공급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에어백은 그 주입용 압축공기를 별도의 충전소에서 기 충전된 압축공기 탱크를 설치하여 이를 에어백과 전용 연결사용하였던 것이어서, 그 설치비용도 비교적 고가일 뿐 아니라, 한번 사용후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다시 별도의 압축공기 탱크로 교체해야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으며 밀폐된 압축공기 탱크를 개통시킬시에도 화약등을 사용하여 위험을 수반하는 경우도 있다.
본 고안은 자동차용 에어백의 압축공기 공급구조에 있어서,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져 자동차의 구성중에 있어서 상하운동이 가장 활발한 자동차 뒷바퀴용 쇽업소버에 공기 압축용 피스톤을 장착하여 그 상하운동에 의하여 공기가 압축되게 하되, 이를 압축탱크에 저장되게 하여 위급시에 저장된 압축공기를 에어백에 주입되게한 에어백의 압축공기 공급구조를 고안한 것이다.
이하, 본 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내통체(1)에 삽입된 축봉(2)선단의 피스통에 의해 내통체(1)의 공간을 상하공간부로 구분하여 이에 충입된 오일에 의해 완충작동되고, 내통체(1)의 상부외면측에 외통체(5)를 씌워 결합한 쇽업소버(3)에 있어서,
내통체(1)의 선단부에 결합턱(6)을 형성하여 이에 상하 밀폐판(7)(7')으로 구성된 피스톤(8)을 외통체(5)의 내주벽에 접동되게끔 장착하고,
외통체(5)에는 상부에 흡입용 첵크밸브(9)와 토출용밸브(10)를 장착하고, 중간부에는 전기한 피스톤(8)의 상하밀폐판(7)(7')의 상하 행정구간내에 위치되게한 오일유입공(11)과 피스톤(8)의 최하점 위치시 상하밀폐판(7)(7')의 내부공간에 위치한 오일 배출공(12)을 형성하고,
공기저장탱크(13)에는 첵크밸브가 장착된 에어주입밸브(14)와, 공기배출밸브(15)(15') 및 압력유지밸브(16)를 장착하되,
전기한 외통체(5)의 토출용밸브(10)와 공기저장탱크(13)의 에어주입밸브(14)를 연결호스(20)로 연결하고, 공기저장탱크(13)의 일측 공기배출밸브(15)는 충격감지센서(17)에 의한 전자밸브(18)를 거쳐 에어백(19)에 연결되게 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21,21'는 오일링, 22는 차체결합용 부싱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의 주행중에 후륜측에 장착된 쇽업소버(3)가 도로면의 요철이나 차체의 흔들림등에 의해 상하요동케 되면 차체에 고정된 축봉(2)에 대하여 내통체(1)가 상하승강되면서 피스톤에 대한 오일의 흐름에 의하여 상하요동을 흡수하는 것인데, 외통체(5)는 축봉(2)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외통체(5)와 내통체(1) 역시 서로 상하요동케 되는 것이다.
이 때 내통체(1)의 선단 결합턱(6)에 고정된 피스톤(8)이 외통체(5)의 내주벽에 밀착된채 상하왕복운동케 되어, 피스톤(8)이 하부이동시에는 그 내부공간의 체적팽창으로 외부의 공기가 흡입용첵크밸브(9)를 통해 흡입되는 것이며, 반대로 피스톤(8)이 상승시에는 내부공간의 체적이 축소되면서 그 내부의 흡입된 공기가 압축되면서 흡입용첵크밸브(9)가 닫히고 압축공기는 토출용밸브(10)와 연결호스(20)를 거쳐 공기 저장탱크(13)내에 유입저장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피스톤(8)의 계속적인 상하왕복에도 불구하고 원활한 작동을 유지케 하는 것은 피스톤(8)이 상하밀폐판(7)(7')으로 구분형성되고 그 상하운동하는 행정구간내에 오일유입공(11)을 형성하여 오일을 공급하므로서 마찰에 의한 열과 마모의 발생을 방지하여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여 장기간 사용으로 오일에 금속찌꺼기등이 누적될 때는 오일배출공(12)으로 배출이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피스톤(8)이 상하작동으로 각기의 밸브가 차단과 개통을 반복하면서 계속적으로 저장탱크(13)에 유입되는 공기는 첵크밸브가 장착된 에어주입밸브(14)에 의해 공기의 유입은 받아들이면서도 반대로의 유출은 방지하여 저장탱크(13)내에 계속적으로 공기가 가압저장되는 것이다.
이렇게 공기저장탱크(13)에 가압저장된 압축공기가 소정의 압력 이상으로 가압되었을 때에는 스프링의 압력조정등에 의한 압력유지용밸브(16)가 작동하여 압축공기를 누출시키므로서 일정 압력까지만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압축공기는 자동차가 충돌등으로 인한 충격을 받을시에는 통상의 충격감지센서(17)가 이를 감지하여 전자밸브(18)를 개통시키므로서 순간적으로 공기 저장탱크(13) 내의 압축공기를 에어백(19)내에 유입시키므로서 에어백(19)을 팽창시켜 운전자등이 전면의 핸들이나 유리창등에 부딪힐 시에 그 사이에 보호벽을 형성하여 충격을 완화시키므로서 치명적인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압축공기가 한번 사용된 에어백에 대하여도 에어백의 공기를 빼고 이를 접어 다시장착하게 되면 압축공기 탱크를 교체하지 않고도 쇽업소버의 계속적인 작동으로 저장탱크내에 공기가 계속 가압저장되어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매우 경제적인 것이다.
또한 공기 저장탱크(13)내의 압축공기를 별도의 공기배출밸브(15')에서 압축공기를 필요로 하는 곳에 빼어쓸 수 있는 것인데, 예컨데 연결호스에 의해 자동차 타이어에 공기를 넣어 사용하면 정비소까지 가지 않더라도 운전자 스스로 타이어에 공기를 주입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의 에어백에 주입되는 압축공기를 자동차 자체의 요동에 의해 발생시킨 압축공기에 의해 저장주입되게 하므로서 한번 사용후 재사용이 가능한등 매우 경제적인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그 압축공기를 타이어 공기 주입용등 기타 용도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내통체(1)에 삽입된 축봉(2) 선단의 상부외면측에 외통체(5)를 씌워 결합한 자동차용 쇽업소버(3)에 있어서, 내통체(1)의 선단부에 결합턱(6)을 형성하여 이에 상하 밀폐판(7)(7')으로 구성된 피스톤(8)을 외통체(5)의 내주벽에 접동되게끔 장착하고, 외통체(5)에는 상부에 흡입용 첵크밸브(9)와 토출용밸브(10)를 장착하고,중간부에는 전기한 피스톤(8)의 상하밀폐판(7)(7')의 상하 행정구간내에 위치되게한 오일유입공(11)과 피스톤(8)의 최하점 위치시 상하밀폐판(7)(7')의 내부공간에 위치한 오일 배출공(12)을 형성하고, 공기저장탱크(13)에는 첵크밸브가 장착된 에어주입밸브(14)와, 공기배출밸브(15)(15') 및 압력유지밸브(16)를 장착하되, 전기한 외통체(5)의 토출용밸브(10)와 공기저장탱크(13)의 에어주입밸브(14)를 연결호스(20)로 연결하고, 공기저장탱크(13)의 일측 공기배출밸브(15)는 충격감지센서(17)에 의한 전자밸브(18)를 거쳐 에어백(19)에 연결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공기압축에 의한 에어백의 압축공기 공급구조.
KR2019950037054U 1995-11-27 1995-11-27 쇽업소버의 공기압축에 의한 에어백의 압축공기 공급구조 KR01246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7054U KR0124695Y1 (ko) 1995-11-27 1995-11-27 쇽업소버의 공기압축에 의한 에어백의 압축공기 공급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7054U KR0124695Y1 (ko) 1995-11-27 1995-11-27 쇽업소버의 공기압축에 의한 에어백의 압축공기 공급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4379U KR970024379U (ko) 1997-06-20
KR0124695Y1 true KR0124695Y1 (ko) 1998-09-15

Family

ID=19431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7054U KR0124695Y1 (ko) 1995-11-27 1995-11-27 쇽업소버의 공기압축에 의한 에어백의 압축공기 공급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469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105B1 (ko) * 2009-10-13 2013-08-28 주식회사 만도 댐퍼를 이용한 펌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4379U (ko) 199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94441B2 (en) Self-pumping hydropneumatic spring strut with internal leveling
JP4711536B2 (ja) 自動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US4159105A (en) Shock absorber with adjustable spring load
JP3942545B2 (ja) 車両用安全機構
US5556489A (en) Wheel-mounted tire inflator
US7357232B2 (en) Front fork in two-wheeled motor vehicle or the like
EP1249357A2 (en) Pneumatic self leveling suspension damper
US7380827B2 (en) Steering column/airbag tunable impact absorption system
US3391921A (en) Hydropneumatic suspension device
KR0124695Y1 (ko) 쇽업소버의 공기압축에 의한 에어백의 압축공기 공급구조
US20080035438A1 (en) Damping Device with Power-Assisted Deceleration and Use Thereof for the Damping of the Retractable Steering Column of a Motor Vehicle
US20040079576A1 (en) Safety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CN207715619U (zh) 一种筒式空气弹簧
US1488197A (en) And dahisl k
KR100808420B1 (ko) 셀프 레벨라이저 댐퍼
CN107956833B (zh) 一种筒式空气弹簧
CN218094008U (zh) 一种减震器内的气室结构
CN116044946B (zh) 一种工程车辆减震器
KR0135199Y1 (ko) 차량의 높이 조절식 범퍼
CN116906486A (zh) 一种自补压油气缓冲器
CN2677235Y (zh) 气垫安全保险杠
KR900009347Y1 (ko) 자동차용 안전범퍼
KR0158129B1 (ko) 자동차의 충격 완화장치 및 그 방법
KR0153164B1 (ko) 에너지 재생이 가능한 충격완충장치
KR101927833B1 (ko) 액티브 후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