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443Y1 -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ic 카드 취출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ic 카드 취출방지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443Y1
KR0124443Y1 KR2019950013304U KR19950013304U KR0124443Y1 KR 0124443 Y1 KR0124443 Y1 KR 0124443Y1 KR 2019950013304 U KR2019950013304 U KR 2019950013304U KR 19950013304 U KR19950013304 U KR 19950013304U KR 0124443 Y1 KR0124443 Y1 KR 01244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blocking member
knob
pda
eject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33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2784U (ko
Inventor
김종렬
Original Assignee
김주용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용,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주용
Priority to KR20199500133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4443Y1/ko
Publication of KR9700027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7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4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4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vey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PDA
2.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IC카드가 이젝트 버튼의 조작에 의해서도 취출되지 않게 하는 것임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상기 이젝트 버튼(123) 조작에 의한 링크부(124)의 작동으로 취출되는 IC카드(C)을 차단하는 차단부재(51)와, 상기 카드 출입구(121) 내측에 고정 되어 상기 차단부재(51)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레일(52)과 ;
상기 차단부재(51)를 조작하는 노브(53)와, 상기 노브(53)의 조작에 의한 차단부재(51)의 이동에 의해 PDA의 구동전원을 선택적으로 ON/OFF시키는 스위치(54)로 구성된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PDA의 IC카드 이탈방지장치

Description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IC카드 취출방지장치
제 1 도는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사시도
제 2 도는 종래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보인 평면도
제 3 도는 종래 IC카드 출입구를 보인 사시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작동과정을 보인 평면도로써
(a)는 IC카드 로킹전이고
(b)는 IC카드 로킹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취출방지장치 51 : 차단부재
52 : 고정레일 53 : 노브
54 : 스위치 511 : 몸체
512 : 스톱퍼 513 : 끼움돌기
514 : 조작편 532 : 지지판
533 : 고정구 534 : 멈춤편
본 고안은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IC 메모리와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내장하고 입력된 명령을 처리하기 위해 삽입된 IC카드가 이젝트 버튼의 조작에 의해서도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IC카드 취출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와 같은 정보화시대에서 모든 정보를 처리할 때는 주로 컴퓨터를 사용하게 된다. 이 컴퓨터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바와 같이 내부에 중앙연산처리장치를 비롯한 각종 처리장치가 구비되어 있어 정보를 입·출력하는 단순 기능 뿐만 아니라 입력된 정보를 응용하여 원하는 수치나 또는 도형 등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또 이러한 컴퓨터는 전화선에 연결하게 되면 상대방 컴퓨터와 서로 통신할 수도 있고 문서를 전송하는 팩스 기능을 갖추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컴퓨터는 본체와 모니터가 구분되어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거워 사용자가 휴대하지 못하고 사무실의 책상에 설치하여 사용하였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체와 모니터를 하나로 통합시켜 부피가 작고 중량이 가벼운 노트북이라는 컴퓨터가 개발되었으나 이 노트북 역시 부피가 소형가방 정도의 크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휴대할 때 들고 다녀야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컴퓨터의 키보드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는 컴퓨터를 사용할 때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불편함도 있었다.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는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가 개발되었다. 이 PDA는 손바닥만한 크기를 가지고 내부에 IC메모리와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내장된 고기능 IC카드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하여 이 IC카드가 입력된 명령을 수행하게 되어 노트북 컴퓨터의 기능을 겸비함과 동시에 페이저나 팩스와 같이 통신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차세대 전자제품이다. 또한 정보의 입력은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고 별도로 구비된 전자펜으로 액정표시판에 제공된 메뉴판을 선택하게 된다.
이러한 PDA의 구성은 제 1,2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우징(11)의 내부에 각종 부품을 장착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를 덮어 보호하는 커버(2)와, 양측단이 상기 본체(1)와 커버(2)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IC카드(C)를 출입시키는 카드 도어(3)와, 상기 본체(1)의 액정표시판을 가압하여 정보를 입력시키는 전자펜(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는 카드 출입구(121)를 통해 출입하는 IC카드(C)를 착탈가능하게 수납할수 있도록 수납부(12)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1)의 일측에 전자펜(4)을 끼움고정할 수 있는 펜 수납홈(13)이 내측으로 요입되고, 상기 펜 수납홈(13) 후방에 전원공급을 비롯하여 컴퓨터와 전화선과 접속할 수 있도록 접속부(1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의 상면에 전자펜(4)의 조작으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액정표시판(15)이 구비되고, 상기 액정표시판(15)의 외측에 상기 커버(2)를 고정하는 로킹부(16)가 돌출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PDA는 카드 출입구(121)를 통해 IC카드(C)를 삽입시켜 수납부(12)에 장착하고 전자펜(4)을 이용하여 상기 액정표시판(15)의 메뉴판을 가압하여 정보를 입력하게 되면, 이 가압력을 상기 IC카드(C)가 감지함과 동시에 상기 IC카드(C)에 내장된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이를 논리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액정표시판(15)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또한 이 PDA는 컴퓨터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본체(1)의 일측면에 구비된 단자 접속부(14)에 컴퓨터와 연결된 케이블을 연결한 다음 전자펜(4)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액정표시판(15)을 가압하여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또 상기와 같이 컴퓨터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부(14)의 전화선단자에 전화선을 연결시키고 카드 수납부(12)에 모뎀용 IC카드(C)를 추가로 장착한 다음 상기 전자펜(4)으로 액정표시판(15)에 정보를 입력하여 컴퓨터 통신도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PDA에 있어서, 상기 카드 수납부(12)는 제 2,3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카드 출입구(121) 후방 양측에 삽입되는 IC카드(C)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122)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122)의 일측에 삽입된 IC카드(C)를 취출할 수 있도록 이젝트 버튼(123)이 장착되고, 상기 이젝트 버튼(123)과 링크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IC 카드(C)을 취출하는 링크부(124)로 구성되는 데, 삽입된 IC카드(C)를 취출 할 때는 상기 이젝트 버튼(123)을 A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와 연결된 링그부(124)가 B방향으로 회전하여 IC카드(C)를 본체(1)의 밖으로 취출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카드 수납부(12)는 별도의 IC카드 취출방지장치가 구비되지 않아 잦은 IC카드(C)의 사용으로 상기 IC카드(C) 헐겁게 고정될 때는 상기 수납부에서 쉽게 취출될 수 있으며, PDA의 사용중 사용자가 실수로 상기 이젝트 버튼(123)을 조작하게 되면 링크부(124)작동에 의해 IC카드(C)는 카드 수납부(12)에서 쉽게 취출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사용중 IC카드가 취출되면 PDA의 모든 작동이 정지되어 작업중인 정보가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IC카드가 이젝트 버튼의 조작에 의해서도 취출되지 않도록하는 IC카드 취출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취출방지장치는 카드 수납부에서 취출되는 IC카드를 차단하는 차단부재와, 상기 차단부재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레일과, 상기 차단부재를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차단부재에 조립되는 노브와, 상기 차단부재에 의해 PDA의 구동전원을 선택적으로 ON/OFF시키는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 4도는 본 고안이 분해 사시도이고, 제 5도는 본 고안의 작동과정을 보인 평면도로써, (a)는 IC카드 로킹전이며, (b)는 IC 카드 로킹후이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PDA의 IC카드 수납부(12)는 통상에서와 같이 카드 출입구(121) 후방 양측에 삽입되는 IC카드(C)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122)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122)의 일측에 삽입된 IC카드(C)를 취출할 수 있도록 이젝트 버튼(123)이 장착되고, 상기 이젝트 버튼(123)과 링크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취출력을 제공하는 링크부(124)로 구성된다.
이러한 카드 수납부(12)에 있어서, 본 고안의 IC카드 취출방지장치(5)는 제 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젝트 버튼(123) 조작에 의한 링크부(124)의 작동으로 카드 수납부(12)에서 취출되는 IC카드(C)를 차단하는 차단부재(51)와, 상기 카드 출입구(121) 내측에 고정되어 상기 차단부재(51)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 레일(52)과, 상기 차단부재(51)를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차단부재(51)에 조립되는 노브 (53)와, 상기 노브(53) 조작에 의해 왕복 이동하는 차단부재(51)에 의해 PDA의 구동전원을 선택적으로 ON/OFF시키는 스위치(54)로 구성된다.
상기 차단부재(51)는 제 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취출되는 IC카드(C)와 접촉하여 견딜 수 있도록 몸체(511)가 박판의 형상으로 길게 형성 되고, 상기 몸체(511)의 일단 상부 후방에 취출되는 IC카드(C)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스톱퍼(512)가 내측으로 소정길이 절곡되고, 상기 몸체(511)의 타측단 상부에 상기 노브(53)를 끼움고정할 수 있도록 끼움돌기(513)가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끼움돌기(513)의 내측에 상기 스위치(54)를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편(514)이 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노브(53)는 손잡이(531)와 일정간격 이격된 전방에서 지지판(532)이 하향으로 연장되고, 이 지지판(532)의 전면 상부 소정위치에 상기 차단부재(51)의 끼움돌기(513)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고정홈(533A)을 가지는 고정구(533)가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고정구(533)의 일측 소정위치에 하우징(11)의 멈춤턱(111)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멈춤편(534)이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다음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조립과정과 그에 따르는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노브(53)의 고정구(533)에 형성된 고정홈(533A)을 상기 차단부재(51)의 끼움돌기(513)에 삽입시켜 차단부재(51)에 노브(53)를 조립하고, 이어서 상기 차단부재(51)의 몸체(511)를 PDA 의 카드 출입구(121) 내측에 설치된 고정레일(52)에 삽입시키게 되면, 상기 노브(53)의 지지판(532)이 하우징(11)의 제 1,2수직부재(112)(113) 사이에 끼워지고, 상기 노브(53)의 손잡이(513)와 지지판(532) 사이의 틈이 상기 제 1 수직부재(112)의 상단부에 형성된 요입홈(112A)에 삽입되어 노브(53)는 흔들리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차단부재(51)의 스톱퍼(512)는 카드 출입구(121)의 외측으로 벗어나 IC카드(C) 출입을 방해하지 않게 되고, 상기 노브(53)의 멈춤편(534)은 하우징(11)의 멈춤턱(111)과 접촉되고, 차단부재(51)의 조작편(514)은 스위치(54)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 5 도(a)와 같이 조립된다.
이와 같이 조립을 차단부재(51)와 노브(53)의 조립을 완료한 다음에 IC카드(C)가 상기 카드 출입구(121)로 삽입되고 카드 수납부(12)의 고정레일(52)에 안내된 후 장착된다. 이때 상기 스위치(54)는 아직 조작되지 않아 PDA의 시스템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은 OFF상태가 되어 PDA의 사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전원이 OFF된 PDA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IC카드(C)가 카드 수납부(12)에 안착된 상태에서 노브(53)를 제 5도(b)에서와 같이 화살표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차단부재(51)는 노브(53)와 같이 이동하여 그의 몸체(511)의 일측에 형성되는 조작편(514)이 스위치(54)를 작동시켜 PDA의 전원을 ON상태로 하고, 상기 차단부재(51)의 스톱퍼(512)는 카드 출 입구(121)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카드 수납부(12)에 장착된 IC카드(C) 가 임의대로 이탈되지 않도록 그의 후단부와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차단부재(51)의 스톱퍼(512)에 IC카드(C)가 걸려 고정되고, 전원이 ON상태가 된 PDA를 사용하던 중 사용자가 실수로 상기 이젝트 버튼(123)을 A방향으로 조작하게 되면, 링크부(124)가 B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수납부에 장착된 IC카드(C)를 밀어내더라도 상기 IC카드(C)는 상기 차단부재(51)의 스톱퍼(512)에 걸려 외부로 취출되지 않는다. 이에 사용자는 계속해서 상기 PDA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작업이 끝나 상기 카드 수납부(12)에 수납되어 있는 IC카드(C)를 취출할 때는 먼저 상기 노브(53)의 손잡이(513)를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차단부재(51)가 상기 노브(53)와 같이 이동하여 그의 스톱퍼(512)가 카드 출입구(121)로부터 벗어나게 됨과 동시에 조작편(514)이 상기 스위치(54)에서 이탈되어 전원을 OFF시킨 후 상기 노브(53)의 멈춤편(534)의 단부가 하우징(11)의 멈춤턱(111)에 걸려 고정됨에 따라 상기 노브(53)와 차단부재(51)는 정지되어 제 5도(a)와 같이 된다.
계속된 순서에 의해 상기 하우징(11)의 일측면에 설치된 이젝트 버튼(123)을 A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이와 연결된 링그부가 B방향으로 회전하여 IC카드(C)를 PDA의 본체(1) 밖으로 취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작동과정을 요약해서 다시 설명하면, 노브(53)의 조작으로 차단부재(51)가 일측으로 이동하여 조작편(514)이 스위치(54)를 작동시켜 PDA에 전원이 공급하고 스톱퍼(512)가 IC카드(C)를 차단하게 되고, 이와는 반대로 상기 노브(53)의 조작에 따라 차단부재(51)의 스톱퍼(512)가 IC카드(C)에서 벗어나고 조작편(514)이 스위치(54)에서 이탈되어 전원을 OFF시킨다.
따라서 본 고안은 사용자가 실수로 상기 이젝트 버튼을 조작하더라도 차단부재의 스토퍼가 IC카드를 차단함으로써 작업의 중단없이 계속적으로 PDA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3)

  1. 카드 출입구(121)로 삽입되는 IC카드(C)를 취출할 수 있도록 이젝트 버튼(123)이 구비되고, 상기 이젝트 버튼(123)과 연결되어 상기 IC카드(C)를 취출할 수 있도록 링크부(124)를 가지는 PDA에 있어서, 상기 이젝트 버튼(123) 조작에 의한 링크부(124)의 작동으로 취출되는 IC카드(C)을 차단하는 차단부재(51)와 ; 상기 카드 출입구(121) 내측에 고정되어 상기 차단부재(51)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레일(52)과 ; 상기 차단부재(51)를 조작하는 노브(53)와 ; 상기 노브(53)의 조작에 의한 차단부재(51)의 이동에 의해 PDA의 구동전원을 선택적으로 ON/OFF시키는 스위치(5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A의 IC카드 이탈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차단부재(51)는 몸체(511)가 박판의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몸체(511)의 일단 상부 후방에 취출되는 IC카드(C)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스톱퍼(512)가 내측으로 소정길이 절곡되고, 상기 몸체(511)의 타측단 상부에 상기 노브(53)를 끼움고정할 수 있도록 끼움돌기(513)가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끼움돌기(513)의 내측에 상기 스위치(54)를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편(514)이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A의 IC카드 이탈방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노브(53)는 손잡이(513)와 일정간격 이격된 전방에서 지지판(532)이 하향으로 연장되고, 이 지지판(532)의 전면 상부 소정위치에 상기 차단부재(51)의 끼움돌기(513)를 수용할 수 있도록 고정홈(533A)을 가지는 고정구(533)가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고정구(533)의 일측 소정위치에 상기 카드 출입구(121)의 멈춤턱(111)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멈춤편(534)이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DA의 IC카드 이탈방지장치.
KR2019950013304U 1995-06-13 1995-06-13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ic 카드 취출방지장치 KR01244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3304U KR0124443Y1 (ko) 1995-06-13 1995-06-13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ic 카드 취출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3304U KR0124443Y1 (ko) 1995-06-13 1995-06-13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ic 카드 취출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784U KR970002784U (ko) 1997-01-24
KR0124443Y1 true KR0124443Y1 (ko) 1998-09-15

Family

ID=19415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3304U KR0124443Y1 (ko) 1995-06-13 1995-06-13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ic 카드 취출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444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761B1 (ko) * 2001-10-05 2004-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노트북 컴퓨터 장착용 슬라이스의 모듈 착,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784U (ko) 199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4625A (en)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multiple rotatable port covers
US5208116A (en) Battery locking apparatus for portable personal computer
JP3607673B2 (ja) 携帯用コンピュータ
JP3062680B2 (ja) 入力ペン付き電子機器
US5227953A (en) Apparatus for retaining and electrically interconnecting multiple devices
EP0254889A2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CN113359951A (zh) 电子装置
JPH09231325A (ja) 携帯用カード読取り装置
US20020149907A1 (en) Portable computer equipped with add-on battery
US8256071B2 (en) Main body holder for portable apparatus and portable apparatus including main body holder
US5608612A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 fail-safe system for memory backup
US4404643A (en) Portable electronic calculator with a writing instrument
JP2686206B2 (ja) 電子機器
US6795305B2 (en) Battery pack for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0124443Y1 (ko)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ic 카드 취출방지장치
US6175488B1 (en) Electronic apparatus with cover for covering detachable functional component
KR960003057B1 (ko) 데이터처리장치
KR0118005Y1 (ko)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의 배터리 이탈방지장치
JP2002082742A (ja) 携帯型電子機器
KR0166228B1 (ko) 키보드 수납장치
JPH09114544A (ja) 携帯型電子機器
JPH11161743A (ja) 携帯型電子機器
KR940005429B1 (ko) 노트북 퍼스널 컴퓨터의 카드이젝트 장치
KR19990002633U (ko) 휴대용 컴퓨터의 포인팅디바이스 장착구조
JP3416699B2 (ja) 操作ペン保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