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607Y1 - 주방용 조리용기의 손잡이구조 - Google Patents

주방용 조리용기의 손잡이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607Y1
KR0123607Y1 KR2019950002052U KR19950002052U KR0123607Y1 KR 0123607 Y1 KR0123607 Y1 KR 0123607Y1 KR 2019950002052 U KR2019950002052 U KR 2019950002052U KR 19950002052 U KR19950002052 U KR 19950002052U KR 0123607 Y1 KR0123607 Y1 KR 01236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oking
lever
cooking vessel
inse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20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8232U (ko
Inventor
안부홍
Original Assignee
안부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부홍 filed Critical 안부홍
Priority to KR20199500020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607Y1/ko
Publication of KR9600282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82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6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6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방용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조리용기일측에 설치하여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된 주방용 조리용기의 손잡이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손잡이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쭉한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상선과 같이 손잡이(20)를 꽉 잡지 않은 상태에서 조리용기(1)를 기울일 경우에는 손잡이(200)에 묻어있는 기름으로 인하여 이것이 손에서 미끄러짐으로써, 본체(10)내의 조리대상물을 쏟거나, 상기 조리용기(1)의 파손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전술한 조리용기의 손잡이를 잡을때 사용자가 꼬옥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상기 손잡이가 손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 주방용 조리용기의 손잡이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제2도 및 제4도와 같이 조리대상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된 조리용기(1)의 본체(10)에 소정형상의 손잡이(20)를 형성,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한 손잡이(20)하면에 이의 하면으로 압압되도록 소정형상의 레버(30)를 탄력설치한 것이다.

Description

주방용 조리용기의 손잡이구조
제1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조리용기의 요부측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의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요부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다른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조리용기 10:본체
20:손잡이 21:삽입홈
22:작동공간부 30:레버
34:스프링
본 고안은 주방용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조리용기일측에 설치하여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된 주방용 조리용기의 손잡이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서 사용되어지는 조리용기-예컨대 프라이팬, 솥, 남비등-는 조리대상물의 조리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열전도가 양호한 금속재질로 형성되므로 조리시에는 상기 조리용기가 극히 높은 온도로 가열되어 맨손으로는 이를 잡지 못하기 때문에 열전도가 극히 낮은 재질로 형성된 손잡이를 조리용기일측에 설치,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손잡이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쭉한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상선과 같이 손잡이(20)를 꽉 잡지 않은 상태에서 조리용기(1)를 기울일 경우에는 손잡이(200)에 묻어있는 기름으로 인하여 이것이 손에서 미끄러짐으로써, 본체(10)내의 조리대상물을 쏟거나, 상기 조리용기(1)의 파손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전술한 조리용기의 손잡이를 잡을때 사용자가 꼬옥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상기 손잡이가 손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 주방용 조리용기의 손잡이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조리대상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된 본체에 손잡이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하부에 이의 하면으로 압압되도록 소정형상의 레버를 탄력설치하여서 된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의 사시도이고, 제3도는 제2도의 요부측단면도로서, 조리대상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된 조리용기(1)의 본체(10)에 소정형상의 손잡이(20)를 형성,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0)하면에 그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깊이와 길이를 가진 삽입홈(21)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10)와 근접된 삽입홈(21)단부에 작동공간부(22)를 형성한 후 이의 양측벽에 핀공(23)을 대향,형성한다.
그런 다음, 상기 삽입홈(21)에 삽입가능하게 소정형상의 레버(30)를 형성한 다음, 이의 일측단부에 상기 작동공간부(22)내에 설치,작동되는 힌지부(31)를 형성한 후 이의 양측에 상기 핀공(23)과 관통되게 회전공(32)을 형성하는데, 이의 직경을 핀공(23)직경보다 다소 크게 형성하여 힌지축(33)으로서 핀공(23)과 회전공(32)을 관통시켰을때, 양측 핀공(23)에서는 힌지축(33)이 억지끼움되게 하고, 상기 회전공(32)에서는 힌지축(33)이 아이들되게 하여 레버(30)가 회동가능하게 한다. 이때 힌지부(31)의 끝벽과 작동공간부(22)의 내벽사이에 다소 작은 간극을 두어 상기 레버(30)가 손잡이(20)로부터 너무 많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작동공간부(22)내부에 설치되도록 힌지축(33)에 스프링(34)을 끼워 이의 일단은 힌지부(31)일측의 고정돌기(35)에 걸리게 하고, 상기 스프링(34)의 타단은 작동공간부(22)내벽에 지지되게 하는데, 상기 스프링(34)을 탄압된 상태에서 설치하여 전술한 레버(30)에 외부힘이 가해지지 않을 시에는 상기 레버(30)가 손잡이(20)로부터 벌어져있도록 한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측단면도로서, 전술한 손잡이(20)에 소정의 삽입홈(20a)을 형성한 다음, 상기 삽입홈(20a)에 소정간격을 두고 두개의 작동공간부(20b)를 형성한 후 이의 입구측 내벽적소에 상호 대향되게 고정턱(20c)을 각각 형성하는 한편, 소정형상의 레버(30)일면에 상기 작동공간부(20b)와 대응, 작동되게 작동부(30a)를 돌출형성한 후 이의 단부 양측에 상기 고정턱(20c)과 대응되는 걸림턱(20b)을 형성하여 상기 레버(30)의 작동부(30a)가 작동공간부(20b)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작동공간부(20b)와 작동부(30a)사이에 스프링(30c)를 탄압시켜 상기 레버(30)가 손잡이(20)로부터 적정간격이 유지되게 한다.
또한, 손과 접촉되는 레버(30)의 하면에는 소정의 요철부(36)(30d)를 형성하여 손의 미끄러짐을 재차 방지한다.
참고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20)를 소정의 힘으로 잡았을때 레버(30)가 탄성력을 가지기 때문에 무의식적으로 상기 손잡이(20)와 레버(30)를 꼬옥 잡게되므로 상기 손잡이(20)에 기름이 묻어있다 하더라도 사용자의 강한 악력이 상기 손잡이(20)에 미치고 있으므로 손으로부터 조리용기(1)가 미끄러지지 않는다.
위에서 설명한 조리용기1(1)의 손잡이(20)구조는 본 고안의 한 가능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예컨대 이의 형상은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범위내에서 얼마든지 그 변경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한 손잡이(20)하방으로 탄설된 레버(30)는 제3도의 가상선과 같이 손잡이(20)로부터 다소 벌어져 있다가 손으로 레버(30)를 누르면, 실선과 같이 레버(30)가 삽입홈(21)으로 탄압되면서, 손에 소정의 탄성력을 유지시켜 상기 레버(30)와 손잡이(20)를 무의식적으로 꼬옥 잡게 된다.
그리고, 제4도의 레버(30)는 실선과 같이 손잡이(20)와 적정간격을 유지하다가 상기 레버(30)에 힘이 가해지면, 가상선과 같이 작동공간부(20b)와 작동부(30a)사이의 스프링(30c)이 탄압되면서 손에 소정의 탄성력을 유지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레버(30)와 손잡이(20)를 무의식적으로 꼬옥 잡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조리용기(1)의 손잡이(20)를 잡을때, 사용자가 꼬옥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20)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상기 손잡이(20)가 손으로부터 미끄러져 본체(10)내의 조리대상물이 쏟아지거나 조리용기(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조리대상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된 조리용기(1)의 본체(10)일측에 설치고정된 손잡이(20)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결형성되는 삽입홈(21)과; 상기 본체(10) 인접위치의 삽입홈(21) 단부에 상기 삽입홈(21)과 단차를 두고 형성되며, 그 양측벽에 서로 대향되는 핀공(23)이 천설되는 작동공간부(22)와; 그 일단은 상기 작동공간부(22)와 대응되게 하향연장된 힌지부(31)를 갖고 상기 삽입홈(21)과 대응되는 크기로 그 타단이 상향만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힌지부(31)에 상기 핀공(23)과 대응되되 핀공(23)보다 큰 직경을 갖는 회전공(32)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공(32) 인접위치의 일측면에 고정돌기(35)가 돌출형성되는 레버(30)와; 상기 핀공(23)과 회전공(32)을 관통하여 상기 레버(30)가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되는 힌지축(33)과; 상기 레버(30)에 탄성복귀력을 제공하도록 그 일단은 상기 작동공간부(22)의 일측내벽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상기 레버(30)에 형성된 고정돌기(35)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3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리용기의 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30)는 그 일측면에 사용자의 손과 접촉면적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요철부(36)(30d)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조리용기의 손잡이.
KR2019950002052U 1995-02-10 1995-02-10 주방용 조리용기의 손잡이구조 KR01236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2052U KR0123607Y1 (ko) 1995-02-10 1995-02-10 주방용 조리용기의 손잡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2052U KR0123607Y1 (ko) 1995-02-10 1995-02-10 주방용 조리용기의 손잡이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232U KR960028232U (ko) 1996-09-17
KR0123607Y1 true KR0123607Y1 (ko) 1998-09-15

Family

ID=19407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2052U KR0123607Y1 (ko) 1995-02-10 1995-02-10 주방용 조리용기의 손잡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60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139B1 (ko) * 2013-01-29 2014-10-06 새한프라텍 주식회사 논슬립성이 우수한 손잡이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807B1 (ko) * 2007-06-20 2008-01-07 김대영 전방향 착탈식 손잡이 및 용기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139B1 (ko) * 2013-01-29 2014-10-06 새한프라텍 주식회사 논슬립성이 우수한 손잡이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232U (ko)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U83885A1 (fr) Connecteur electrique pour conducteur isole
KR0123607Y1 (ko) 주방용 조리용기의 손잡이구조
KR910015265A (ko) 치간 칫솔 손잡이
KR100576240B1 (ko) 국자
KR0123608Y1 (ko) 주방용 조리용기의 손잡이구조
US5557826A (en) Heat insulating handle for metallic cooking pots and the like
JPH0220966Y2 (ko)
KR870002187Y1 (ko) 화일박스 설합의 개폐장치
KR960001947Y1 (ko) 주방용 남비
KR200144986Y1 (ko) 보온밥통의 보온용기 손잡이 구조
KR960002689Y1 (ko) 전자렌지용 회전봉의 착탈구조
KR880001655Y1 (ko) 용기뚜껑의 개폐구조
KR20010001882U (ko) 머리카락 집게
CN209750837U (zh) 防烫型锅柄套
KR200363093Y1 (ko) 조리용기용 운반 손잡이
KR950002621Y1 (ko) 뚜껑이 착탈되는 전기 보온밥솥
KR950005986Y1 (ko) 콤팩트뚜껑의 개폐구조
JPH0839Y2 (ja) お玉などの調理道具
KR870002191Y1 (ko) 가구용 손잡이
KR200259159Y1 (ko) 조리기구용 손잡이
KR200365945Y1 (ko) 식품보관용기
KR20000005090U (ko) 도어용 손잡이
KR960010466Y1 (ko) 자루걸레의 걸레홀더
JPH0440597Y2 (ko)
KR200251038Y1 (ko) 실로폰 케이스의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