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572Y1 - 케이싱용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케이싱용 힌지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572Y1
KR0123572Y1 KR2019920010423U KR920010423U KR0123572Y1 KR 0123572 Y1 KR0123572 Y1 KR 0123572Y1 KR 2019920010423 U KR2019920010423 U KR 2019920010423U KR 920010423 U KR920010423 U KR 920010423U KR 0123572 Y1 KR0123572 Y1 KR 01235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pivot shaft
hinge device
mounting plate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200104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1257U (ko
Inventor
난 루 셍
Original Assignee
난 루 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난 루 셍 filed Critical 난 루 셍
Priority to KR20199200104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572Y1/ko
Publication of KR9400012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2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5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5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와 상부덮개를 구비한 형태의 케이싱에 사용되는 힌지장치에 있어서, 케이싱의 몸체에 설치고정되는 L형 설치판과, 설치판의 양측부에 각각 부착되는 두개의 워셔와, 케이싱의 상부덮개에 설치고정되는 설치부를 구비한 선회축과, 설치판의 구멍에 선회 가능하게 수용되는 연장부와, 스프링부재와, 연장부의 나사단부상에 설치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케이싱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너트는 스프링을 바이어스시킴으로써 선회축이 스프링에 대해 자유로이 선회할 수 있게 된다. 케이싱의 몸체에 대해 상부덮개가 소정의 위치에 이르게 되면, 너트에 의해 바이어스된 스프링 부재는 선회축상에 종방향 힘을 인가함으로써 선회축을 소정의 위치에서 보유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케이싱용 힌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힌지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힌지장치의 부분 단면도.
제3도는 힌지장치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L형 설치판 11 : 구멍
12,13 : 워셔 14 : 스프링
15 : 보유부재 16 : 너트
20 : 선회축 21 : 플랜지부
22 : 설치부 24 : 연장부
본 고안은 케이싱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부덮개와 몸체로 구성되는 개량식 케이싱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컴퓨터와 같이 상부덮개와 몸체를 구비하여 마찰에 의해 몸체에 대해 소정의 위치로 상부덮개를 임의로 고정할 수 있는 형태의 케이싱에는 수많은 힌지장치가 사용된다. 그러나, 그러한 힌지장치는 오랜기간 사용되면 오동작을 일으키기가 쉽다. 예를들어, 일형태의 힌지장치에는 선회축 둘레에 스프링이 설치되며 스프링의 내주와 선회축의 외주의 밀착면간의 마찰에 의해 상기 언급한 목적을 달성한다. 그러나, 오랜 시간동안 사용하게 되면, 스프링과 선회축은 마모로 인해 그들간에 충분한 밀착관계를 제공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결점을 완화시키고 및 또는 제거할 수 있는 개량식 힌지장치의 필요성이 오래동안 대두되었지만 실현되지는 못하였다.
본 고안은 몸체와 상부덮개를 갖춘 케이싱에 사용되는 힌지장치로서, L형 설치판, 두개의 워셔, 선회축, 스프링 수단 및 너트를 포함하는 힌지장치를 제공한다. L형 설치판은 워셔가 각각 그 양측부에 설치되는 수직부 및 케이싱의 몸체에 설치 고정되는 수평부를 구비한다. 선회축은 수직부의 제1 측부에 위치하고 케이싱의 상부덮개에 설치 고정되는 설치부와, 수직부의 제1 측부상에 위치하는 워셔와 접촉하는 플랜지부와, 수직부의 구멍내에 끼워맞춤되고 선회가능하게 수용되는 연장부를 포함한다. 스프링수단은 선회축의 연장부둘레에 설치된다. 너트는 연장부의 나사단부상에 설치되어 너트와 수직부의 제2측부상에 위치하는 워셔간에 스프링수단을 바이어스시킨다.
그러한 배열을 취하면, 선회축은 스프링수단에 대해 자유로이 선회할 수 있게 된다. 케이싱의 몸체에 대해 상부덮개가 소정의 위치에 이르게 되면, 너트에 의해 바이어스된 스프링수단이 선회축상에 종방향 힘을 인가함에 따라 선회축의 플랜지부는 수직부의 제1측부상에 위치하는 워셔에 밀착하게 됨으로써 선회축이 제위치에 놓여지게 된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힌지장치는 구멍(11)을 구비한 수직부(19) 및 휴대용 컴퓨터 등등의 케이싱(도시안됨)의 몸체에 설치 고정되는 수평부(18)를 구비하는 L형 설치판(10)을 포함한다.
힌지장치는 구멍(11)을 관통하는 선회축(20)을 또한 구비한다. 선회축(20)은 상기 언급한 케이싱의 상부덮개(도시안됨)에 설치고정되는 설치부(22)와, 플랜지부(21)와, 수직부(19)의 구멍(11)내에 끼워맞춤되고 선회가능하게 수용되는 연장부(24)를 포한한다. 연장부(24)는 나사단부(201)를 구비한다. 힌지장치는 수직부(19)의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는 두개의 워셔(12,13)와, 4개의 디스크형 스프링(14)로 구성되는 스프링 수단과, 보유부재(15) 및 너트(16)를 또한 구비한다. 제2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왁 같이, 선회축(20)은 구멍(11)을 관통하며, 설치부(22) 및 플랜지부(21)는 수직부의 제1측부상에 위치하고 연장부(24)의 일부는 구멍(11)내에 선회가능하게 수용된다. 또한, 나사단부(210)는 설치판(10)의 수직부(19)의 타측부상에 위치한다. 나머지 다른 워셔(12)는 설치판의 수직부(19)의 타측부에 직접 부착된다. 그후에, 스프링수단은 선회축(20)의 연장부(24) 둘레에 설치된다. 보유부재(15) 및 너트(16)는 나사단부(201)상에서 조립된다. 너트(16)는 내측으로 나사 결합하여 스프링수단을 바이어스시킨다.
사용자가 케이싱을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상부덮개는 설치판(10)에 대한 선회축(20)의 선회운동에 의해 개방된다. 선회 운동중에 선회축(20)은 스프링(14)에 대해 자유로이 선회할 수 있다. 케이싱의 몸체에 대해 상부덮개가 소정의 위치에 이르게 되어 사용자가 상부덮개를 해제하면 상부덮개는 소정의 위치에 위치한다. 이는 너트(16)에 의해 바이어스되는 스프링수단이(수직부(19)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선회축(20)상에 (제2도에 화살표 A로 나타낸 바와같이) 종방향 힘을 인가함으로써 선회축의 플랜지부(21)가 워셔(13)에 밀착하게 되고 그러한 힘은 선회축(20)을 소정의 위치에 보유시키기 충분하기 때문이다. 또한, 선회운동을 매끄럽게 수행하기 위해 구멍(11)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기름홈(110)이 제공될 수도 있다. 오일구멍(120)이 워셔(12,13)내에 제공되어 워셔(12,13) 및 설치판(10)의 수직부(19)간에 매끄러운 접촉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그밖에, 가스켓(160)이 나사단부(201) 둘레에서 너트(16)내에 제공됨으로써 선회축(20)을 소정의 위치에 보유할 수도 있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유부재(15)는 그 외주에서 돌출되는 돌기부(151)를 구비한다. 케이싱의 상부덮개가 케이싱의 몸체에 대한 사전 설정된 최대각으로 개방되는 경우(가상선 참조), 돌기부(151)는 설치판(10)의 수직부(19)에서 연장되는 판(12)의 스톱(102)과 접촉하고 그에 의해 정지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상 홈(210)이 플랜지부(21)에 인접한 연장부(24)내에 형성됨으로써 제조후에 발생될 수도 있는 문제점을 바로 잡을 수도 있다. 이는 선회축(20)이 종래의 방식에 의해 선반으로 제작되는 바, 선반의 커터는 선회축(20)의 축에 대해 각이 진평면에 놓임으로써 선회축이 길이방향으로 완전히 인출되지 못하여 위치선정효과를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 플랜지부(21)에 인접한 돌기부는 찾기 때문이다. 홈(210)이 제공되면, 선회축은 길이방향으로 완전히 인출됨으로써 위치선정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름이 홈(210)내에 공급됨으로써 설치판(10)의 수직부(19)에 대한 선회축(20)의 선회운동을 매끄럽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나사단부(201)가 절단되어 두개의 대항하는 평면(202)을 형성하며, 보유부재는 대응하는 구멍(15)을 구비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본 고안의 원리를 이탈하지 않는 한 여러가지로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6)

  1. 몸체와 상부덮개를 갖춘 케이싱에 사용되는 힌지장치에 있어서, 구멍을 갖춘 수직부와 상기 케이싱의 상기 몸체에 설치 고정되는 수평부를 구비한 L형 설치판과, 상기 수직부의 제1 측부상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싱의 상기 상부덮개에 설치 고정되는 설치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기 제1 측부상에 또한 위치하는 플랜지부와, 일부가 상기 설치판의 상기 수직부의 상기 구멍내에 끼워맞춤되고 선회 가능하게 수용되며 나사단부를 구비하는 연장부로 구성되는 선회축과, 상기 선회축의 상기 연장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직부 및 상기 플랜지부간의 상기 설치판의 상기 수직부의 제1 측부에 부착되는 제1 워셔와, 상기 선회축의 연장부에 설치되고 상기 설치판의 상기 수직부의 제2 측부에 부착되는 제2워셔와, 상기 선회축의 상기 연장부 둘레에 설치되는 스프링 수단과, 상기 연장부의 상기 나사단부상에 설치되어 너트와 상기 제2 워셔간에 상기 스프링을 바이어스시키는 너트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선회축이 상기 스프링수단에 대해 자유로이 선회가능하고, 상기 케이싱의 상기 몸체에 대해 상기 상부덮개가 소정의 위치에 이르게 되면 상기 너트에 의해 바이어스되는, 상기 스프링 수단이 상기 선회축에 종방향 힘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선회축의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제2 워셔에 밀착하게 되어 상기 선회축을 소정의 위치에 보유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용 힌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수단과 상기 너트간에 제공되는 보유부재를 또한 포함하며, 상기 보유부재는 외주에서 돌출되는 돌기부와 상기 설치판에서 연장되는 스톱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케이싱의 상기 상부덮개가 상기 케이싱의 상기 몸체에 대해 사전 설정된 최대 각도로 개방될 때 상기 돌기부는 상기 스톱과 접촉하고 그에 의해 정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용 힌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기름 홈이 상기 구멍내에 제공되어 매끄러운 선회운동을 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용 힌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기름구멍이 각각의 상기 워셔에 제공됨으로써 상기 워셔와 상기 설치판의 상기 수직부간에 매끄러운 접촉면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용 힌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단부 둘레에 설치된 상기 너트에 제공되어 상기 선회축을 소정의 위치에 보유하는데 일조를 하는 가스켓을 또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용 힌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플랜지부에 인접한 환상 홈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용 힌지장치.
KR2019920010423U 1992-06-12 1992-06-12 케이싱용 힌지장치 KR01235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20010423U KR0123572Y1 (ko) 1992-06-12 1992-06-12 케이싱용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20010423U KR0123572Y1 (ko) 1992-06-12 1992-06-12 케이싱용 힌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1257U KR940001257U (ko) 1994-01-03
KR0123572Y1 true KR0123572Y1 (ko) 1998-10-15

Family

ID=19334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20010423U KR0123572Y1 (ko) 1992-06-12 1992-06-12 케이싱용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57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1257U (ko) 199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9047A (en) Hinge device for casings
US5239731A (en) Hinge device for casings
US5208944A (en) Hinge device for casings
US7404236B2 (en) Hinge assembly for flat panel display appliance
US6867962B2 (en) Hinge assembly for flat panel display appliance
JPH10299760A (ja) 開閉体の開閉装置
KR980004600A (ko) 틸트 조정이 가능한 디스크플레이어
KR0123572Y1 (ko) 케이싱용 힌지장치
KR200173283Y1 (ko) 힌지 장치
JPH0479296A (ja) 二つ折り電子機器の配線カバー機構
US4377019A (en) Resilient hinge with coil spring on pintle
US7243397B2 (en) Hinge assemble for flat panel display appliance
JP2561599Y2 (ja) ケース用ヒンジ装置
KR200173300Y1 (ko) 힌지 장치
KR200173279Y1 (ko) 힌지 장치
KR100443870B1 (ko)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
JPH10116392A (ja) 電子機器筐体
KR100443871B1 (ko)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
KR100489787B1 (ko)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
JPH06158950A (ja) 観音開き扉の召合せ装置
KR930004895Y1 (ko) 퍼스널 컴퓨터의 엘씨디 조립체 자동 개방장치
JP2650149B2 (ja) 可動体の開閉抑制装置
KR940000727Y1 (ko) 휴대용 퍼스널 컴퓨터의 화상표시부 각도조절힌지
KR920008565Y1 (ko) 테이프레코더의 캡스턴 축수장치
KR920004660Y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의 도어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