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577Y1 - 자동차 스티어링 핸들용 와이퍼 스위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스티어링 핸들용 와이퍼 스위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577Y1
KR0122577Y1 KR2019950044682U KR19950044682U KR0122577Y1 KR 0122577 Y1 KR0122577 Y1 KR 0122577Y1 KR 2019950044682 U KR2019950044682 U KR 2019950044682U KR 19950044682 U KR19950044682 U KR 19950044682U KR 0122577 Y1 KR0122577 Y1 KR 01225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steering wheel
switch
vehicle
wipe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46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6626U (ko
Inventor
문보석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446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2577Y1/ko
Publication of KR9700366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66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5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5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8Spokes, e.g. resil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운전중에 시선을 적게 빼앗기면서 와이퍼를 조작할 수 있는 자동차 스티어링 핸들용 와이퍼 스위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의 스티어링 핸들의 좌우측 스포우크(20a)(20b)의 상측에 와이퍼 스위치(SW1)(SW2)를 터치하는 원호모양의 스위치 터치판(30a)(30b)을 탄성설치하고, 그 와이퍼 스위치(SW1)(SW2)를 스티어링 핸들(22)에 설치되어 있는 클럭 스프링(40)을 통하여 자동차의 와이퍼 모터에 접속하여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스티어링 핸들용 와이퍼 스위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스티어링 핸들용 와이퍼 스위치의 구성을 보이는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스티어링 핸들용 와이퍼 스위치의 요부구성을 보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a,20b:스포우크 22:스티어링 핸들
30a,30b:스위치 터치판 40:클럭 스프링
SW1,SW2:와이퍼 스위치
본 고안은 자동차 스티어링 핸들용 와이퍼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 스티어링 핸들의 좌우스포크 상측에 스위치 터치판을 부착하여 운전자가 운전중에 스티어링 핸들로 부터 손을 떼지 않고 와이퍼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스티어링 핸들용 와이퍼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자동차의 와이퍼를 움직이기 위해서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핸들 옆쪽에 떨어져 설치되는 봉형상의 컴비네이션 스위치를 이용하여 와이퍼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제어방식은 차량을 운전하는 도중에 시선을 컴비네이션 스위치쪽으로 집중한 후에 조작을 하여야 되므로 컴비네이션 스위치를 조작하는 순간에는 시선을 빼앗기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자칫잘못하면 사고를 불러올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자동차의 운전중에 시선을 적게 빼앗기면서 와이퍼를 조작할 있는 자동차스티어링 핸들용 와이퍼 스위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스티어링 핸들의 좌우측 스포우크의 상측에 와이퍼 스위치를 터치하는 원호모양의 스위치 터치판을 탄성설치하고, 그 와이퍼 스위치를 스티어링 핸들에 설치되어 있는 클럭 스프링을 통하여 자동차의 와이퍼 모터를 접속하여 구성 자동차 스티어링 핸들용 와이퍼 스위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스티어링 핸들용 와이퍼 스위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스티어링 핸들용 와이퍼 스위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스티어링 핸들의 좌우측 스포우크(20a)(20b)의 상측에 와이퍼 스위치(SW1)(SW2)를 터치하는 원호모양의 스위치 터치판(30a)(30b)을 탄성설치하고, 그 와이퍼 스위치(SW1)(SW2)를 스티어링 핸들(22)에 설치되어 있는 클럭 스프링(40)을 통하여 자동차의 와이퍼 모터(도시 생략)에 접속하여 구성하였다.
상기 각 와이퍼 스위치(SW1)(SW2)는 3절환형 시소스위치를 사용하여 구성하였으며, 그 와이퍼 스위치(SW1)(SW2)의 버튼부(24a)(24b)는 상기 스위치 터치판(30a)(30b)의 안쪽에서 돌설되어 있는 삼각모양의 보스(26a)(26b)에 의해 조작력을 전해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터치판(30a)(30b)은 상기 스포우크(20a)(20b)의 안쪽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28a)(28b)에 의해 양측이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9는 상기 스티어링 핸들(22)의 림을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운전자가 스위치 터치판(30a)(30b)이 스트어링 핸들(22)dlm 스포우크(20a)(20b)에 설치되어 있다는 것을 숙지하고 있다는 가정하에서 설명한다.
운전자가 운전하는 도중에 시선은 전방을 주시하면서 스티어링 핸들(22)을 잡고 있는 손을 스티어링 핸들(22)의 림(29)을 따라 더듬게 되면, 스포우크(20a)(20b)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 터치판(30a)(30n)을 육안으로 보지 안고도 쉽게 찾을 수 있게 된다. 이 후에 손가락으로 감지된 스위치 터치판(30a)(30b)을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일측으로 누르게 되면, 와이퍼 스위치(SW1)(SW2)가 터치 온되면서 와이퍼 모터가 일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운전자가 운전하는 도중에 시선을 빼앗기지 않고 와이퍼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의 스티어링 핸들의 좌우측 스포우크(20a)(20b)의 상측에 와이퍼 스위치(SW1)(SW2)를 터치하는 원모양의 스위치 터치판(30b)(30b)을 탄성설치하고, 그 와이퍼 스위치(SW1)(SW2)를 스티어링 핸들(22)에 설치되어 있는 클럭 스프링(40)을 통하여 자동차의 와이퍼 모터에 접속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스티어링 핸들을 와이퍼 스위치.
KR2019950044682U 1995-12-21 1995-12-21 자동차 스티어링 핸들용 와이퍼 스위치 KR01225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4682U KR0122577Y1 (ko) 1995-12-21 1995-12-21 자동차 스티어링 핸들용 와이퍼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4682U KR0122577Y1 (ko) 1995-12-21 1995-12-21 자동차 스티어링 핸들용 와이퍼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6626U KR970036626U (ko) 1997-07-26
KR0122577Y1 true KR0122577Y1 (ko) 1998-08-17

Family

ID=19436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4682U KR0122577Y1 (ko) 1995-12-21 1995-12-21 자동차 스티어링 핸들용 와이퍼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257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6626U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05346A (zh) 车辆的操纵开关
EP0345555A3 (en) Lock mechanism for rear wheel steer apparatus
DE10346888A1 (de) Fernsteuereinheit zum Rangieren eines Fahrzeugs
JPH1097333A (ja) 自動車の縦運動及び横運動を制御するための操作素子装置
US20100326229A1 (en) Steering wheel switch module
KR0122577Y1 (ko) 자동차 스티어링 핸들용 와이퍼 스위치
JP4316179B2 (ja) ハンドルバー用スイッチケース
WO1994026549A1 (en) Compact control unit for motor vehicles, particularly trucks
US20060044129A1 (en) Facilitating signaling in a vehicle
EP0807553B1 (en) A control device for an acoustic indicator, particularly for the steering wheel of a motor vehicle
CN219707088U (zh) 一种方向盘、转向灯控制系统和汽车
KR200197121Y1 (ko) 차량 운행용 보조스위치가 부착된 자동변속기 레버
KR200162204Y1 (ko) 조작이 용이한 차량의 비상램프 스위치
CN215322244U (zh) 一种汽车转向开关布局结构
US20050046279A1 (en) Steering wheel high beam switch
KR100299212B1 (ko) 다목적용 콘트롤스위치
JP3009121B2 (ja) パワーウインドスイッチ
BG112872A (bg) Бордова система за управление на електромобили
JPS6331470Y2 (ko)
JPH06329025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ホーンスイッチ部構造
JP2976509B2 (ja) 自動車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構造
KR0138331Y1 (ko) 차량용 스위치 어셈블리의 장착구조
KR19980031422U (ko) 조향핸들의 높이조절용 스위치
CN116061838A (zh) 车辆用操作装置
JP2019043266A (ja) 車載機器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