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447B1 - 전화단말장치의 동작제어상태 음성안내방법 - Google Patents

전화단말장치의 동작제어상태 음성안내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447B1
KR0122447B1 KR1019940025713A KR19940025713A KR0122447B1 KR 0122447 B1 KR0122447 B1 KR 0122447B1 KR 1019940025713 A KR1019940025713 A KR 1019940025713A KR 19940025713 A KR19940025713 A KR 19940025713A KR 0122447 B1 KR0122447 B1 KR 0122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function
command
outputting
limi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5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6337A (ko
Inventor
윤경철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25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2447B1/ko
Publication of KR960016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4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1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receiver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9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synthe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 : 전화단말장치 등에서 동작이 불가능하도록 미리 기능이 제한된 임의의 기능을 사용자가 선택시, 상기 선택된 기능이 제한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안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에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 동작이 불가능하도록 미리 기능이 제한된 임의의 기능을 선택시 단순히 비프톤만을 발생함으로써 사용자가 고장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제한된 기능을 선택시 음성으로 기능 제한 상태를 안내하여 오인식을 방지하도록 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 선택된 전화장치의 기능 명령이 제한되어 있을 때, 상기 선택된 기능이 제한되었음을 나타내는 음성안내 메시지를 음성합성회로를 통하여 음성합성하고, 상기 음성합성된 음성신호를 발음체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한 상태를 안내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 음성안내장치, 전화단말장치의 사용안내장치 등등.

Description

전화단말장치의 동작제어상태 음성안내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전화단말장치의 하드웨어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메모리부의 음성 저장 테이블의 맵.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안내 제어 흐름도.
본 발명은 전화단말장치의 동작제어상태를 알람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작의 제어상태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다기능 전화기, 무선전화기 및 유무선 전화기, 자동응답전화기의 전화단말장치는 통신 기술의 발달로 매우 다양한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토록 발전되어 가고 있으며, 여러 가지 동작 기능을 제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시외전화 발신제한, 착신벨 뮤트(Mute), 베이스와 핸드셋간의 인터컴 등의 기능을 제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화단말장치에서 상기와 같은 기능 제한의 제어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전화단말장치에 설정제어되며, 제어된 기능을 이용하려면 제어된 기능을 해제하여야 한다. 예로서, 제3자의 시외전화 발신을 제한하는 기능을 설정하면 시외전화의 발신은 제한상태로 세트된다. 상기와 같이 전화단말장치의 기능이 제한된 상태에서 제3자가 시외전화를 발신하기 위하여 저역코드를 다이얼링하면 전화장치는 비프톤을 발생하여 사용자에 시외전화가 제한되었음을 알린다. 즉, 시외발호 기능이 제한 기능이 제어되어 있음을 알린다. 이 때 시외전화의 발신제한이 제어된 전화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시외전화를 하려면, 제어된 시외전화의 발신제한을 해제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전화단말장치는 사용이 제한된 기능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선택된 기능이 제한되었음을 알리는 동작제어상태 알람장치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어된 기능의 알람 방법은 비프톤의 발생 혹은 엘이디(LED)혹은 엘씨디(LCD) 등과 같은 표시소자를 구동하는 것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화단말장치의 동작상태 알람장치는 단순히 비프톤 혹은 발광소자와 같은 표시기만을 이용하여 기능이 제한된 상태를 알람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이 왜 실행이 안되는지 신속하고 정확하게 인식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화단말장치에 있어서, 제어된 기능을 사용시 이 선택 기능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음성으로 안내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기능을 인식하여 해당 기능의 수행 명령을 발생하는 기능인식부와, 소정 기능의 제한 상태를 안내하는 음성 메시지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불휘발성 메모리와, 상기 기능인식부로부터 출력되는 명령을 분석하여 해당 명령을 수행함과 동시에 음성 출력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합성하여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분석합성회로를 구비한 전화단말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능인식부로부터의 명령이 미리 제한된 기능을 수행하는 명령인 경우에 해당 기능의 제어상태의 음성을 스피커 등과 같은 발음체를 통하여 음성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전화단말장치의 하드웨어 블록도로서, 도면 중의 참조번호 12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기능을 인식하여 해당 기능의 수행 명령을 발생하는 기능인식부이다. 참조번호 14는 상기 기능인식부(12)로부터 출력되는 명령을 분석하여 해당 명령을 수행함과 동시에 음성 출력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로(Micro-Controller Unit)(이하 MCU라 함)이다. 참조번호 16은 소정 기능의 제한 상태를 안내하는 음성 메시지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불휘발성 메모리(EEPROM)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18은 상기 MCU(14)의 제어에 의해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16)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읽어 음성합성하여 출력하는 음성분석 합성회로이다. 또한, 상기 음성분석 합성회로(18)는 상기 MCU(14)의 제어에 의해 마이크(도시하지 않았음)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디지털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16)에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1도와 같이 구성된 하드웨어는 전화단말장치의 일부분의 구성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메모리부의 음성 저장 테이블의 맵으로서, 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성안내 메시지를 저장하고 있다. 여기서 제1영역(A1) 내지 제n영역(An)은 제1기능의 제어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음성 데이터 내지 제n기능의 제어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음성 데이터가 각각 저장되는 영역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안내 제어 흐름도로서, 이는 제1도에 도시된 MCU(14)내의 롬영역에 마스크된 프로그램이다. 이의 제어 수준은 하기와 같이 이루어져 있다.
기능 수행 명령에 대응한 기능이 제한되어 있는가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과정에서 상기 입력된 기능 수행 명령이 제한되어 있다고 판단시에 기능 제한 제어상태의 음성안내 메시지를 발생하는 음성안내 메시지 발생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동작의 일예를 상기한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사용자가 전화장치의 임의의 기능이 작동되지 않도록 제어하였다고 가정하에 설명한다.
지금, 사용자가 전화장치의 기능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키 블록, 예를 들면, 전화장치의 조작판넬상에 설치된 다수의 키들 중 하나의 키를 제3도의 22과정에서 선택하면 제1도에 도시된 기능인식부(12)가 상기 선택된 키의 기능을 제3도의 24과정에서 분석 인식한다. 상기 기능인식부(12)는 상기 선택된 키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수행 명령을 MCU(14)로 출력한다.
상기 기능인식부(12)로부터 출력되는 기능 수행 명령을 입력한 MCU(14)는 제3도의 26과정에서 기능제어 명령신호인가를 검색한다. 상기 제1도의 26과정의 검색결과 기능제어 명령이 아니라면, 상기 ,MCU(14)는 제2도의 32과정으로 점프하여 해당 명령에 대한 동작을 수행한다.
만약, 상기의 26과정의 검색결과 기능인식부(12)로부터 출력된 수행 명령신호가 전화단말장치의 임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이라고 판단되면 28과정에서 상기 임의의 기능이 제한되어 있는가를 내부의 기능 제한 플레그 혹은 메모리의 테이블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 검색한다.
상기 제2도의 28과정에서 입력된 수행 명령에 대한 기능이 제한되지 않았다면 상기 MCU(14)는 32과정에서 해당기능의 동작을 제어하여 전화단말장치의 기능을 서어비스 한다. 그러나, 상기 28과정에서 수신된 수행 명령에 대한 기능이 제한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MCU(14)는 30과정에서 음성분석 합성회로(18)로 선택된 기능이 제한되었음을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제어상태 음성출력 제어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MCU(14)로부터 출력된 제어상태 음성출력 제어신호를 입력한 음성분석 합성회로(18)는 불휘발성 메모리(16)로부터 상기 입력된 음성출력 제어신호에 대응한 음성안내용 음성데이타를 억세스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기능을 선택하였을 때 상기 제1기능이 제한의 상태로 제어되어 있으면, 상기 음성분석 합성회로(18)는 상기 MCU(14)의 제어에 의해 제2도와 같이 구성된 불휘발성 메모리(16)의 제1영역(A1)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억세스한다.
그리고,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16)로부터 억세스한 음성 데이터를 음성합성하여 제어된(제한기능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알리기 위한 음성신호를 스피커(발음체)(20)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스피커(20)는 상기 음성분석 합성회로(18)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가청음으로 발음하여준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시외발호가 되지 않도록 제한한 상태에서 시외발호를 시도하면 스피커(20)로부터는 시외 통화가 제한되어 있습니다.라는 음성안내 메시지가 가청음으로 출력된다.
따라서 전화단말장치의 임의의 기능이 동작되지 않도록 제어된 기능을 사용자가 미처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상기 임의의 기능을 선택한 경우에는 이를 사전에 사용자에게 정확히 알림으로써 사용 부주의에 의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동작 가능/불가능의 상태로 제어하는 전화단말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미리 제한 설정한 기능을 미처 인지하지 못하고 기능을 선택한 경우 제어된 동작 상태를 음성신호로서 안내함으로써 상용 부주의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음성 메시지의 출력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음성합성하여 출력하는 음성합성수단을 구비한 전화단말장치의 동작제어상태 음성안내방법에 있어서, 선택된 전화장치의 기능 명령이 제한되어 있는가를 검색하는 검색과정과, 상기 검색과정에서 기능 명령이 제한되어 있다고 판단 시에 상기 선택된 기능이 제한되었음을 나타내는 음성안내 메시지를 발음체를 통하여 출력하는 음성안내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단말장치의 동작제어상태 음성안내방법.
  2.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기능을 인식하여 해당 기능의 수행 명령을 발생하는 기능인식부와, 소정 기능의 제한 상태를 안내하는 음성 메시지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불휘발성 메모리와, 상기기능 인식부로부터 출력되는 명령을 분석하여 해당 명령을 수행함과 동시에 음성 출력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합성하여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분석 합성회로를 구비한 전화단말장치의 음성안내방법에 있어서, 입력되는 키의 신호에 대응한 명령기능을 인식하는 명령인식과정, 상기 명령인식과정에서 인식된 명령이 미리 제한된 기능을 수행하는 명령인 경우에 해당 기능의 제어상태의 음성을 발음체를 통하여 음성안내하는 음성 메시지 출력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단말장치의 동작제어상태 음성안내방법.
KR1019940025713A 1994-10-07 1994-10-07 전화단말장치의 동작제어상태 음성안내방법 KR0122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5713A KR0122447B1 (ko) 1994-10-07 1994-10-07 전화단말장치의 동작제어상태 음성안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5713A KR0122447B1 (ko) 1994-10-07 1994-10-07 전화단말장치의 동작제어상태 음성안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337A KR960016337A (ko) 1996-05-22
KR0122447B1 true KR0122447B1 (ko) 1997-11-19

Family

ID=19394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5713A KR0122447B1 (ko) 1994-10-07 1994-10-07 전화단말장치의 동작제어상태 음성안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24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061B1 (ko) * 2002-08-10 2004-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어린이 모드를 추가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337A (ko) 199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55796B1 (en) On-vehicle handsfree system
KR100616787B1 (ko) 전화 핸드셋용 음성 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
EP2092721B1 (en) Method and device for changing to a speakerphone mode
JP2004147322A (ja) ハンズフリー機能を具備した移動通信端末機及びその制御方法
JP3132494B2 (ja) 着信音生成情報端末器
KR101229574B1 (ko)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단말기 사용자의 감정상태에 따라 반응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과, 상기 통신단말기에서의 마이크 위치 제어 방법
KR960039774A (ko) 자동응답 전화기의 링음성메세지 발생장치 및 그 방법
KR0122447B1 (ko) 전화단말장치의 동작제어상태 음성안내방법
KR100467593B1 (ko) 음성인식 키 입력 무선 단말장치, 무선 단말장치에서키입력 대신 음성을 이용하는 방법 및 그 기록매체
EP1221799B1 (en) Portable telephone terminal
KR19990001882A (ko) 전화기에서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안내하는 방법
KR970055729A (ko) 이동단말기에서의 음성인식에 의한 전화번호 송신방법 및 장치
KR20010017204A (ko) 휴대폰의 착신음 음량 레벨 제어방법
KR20000049989A (ko) 전화기의 발신자정보를 통한 선택적 착신링신호발생장치와 그 방법
KR930009849B1 (ko) 부재시 수신 다이얼 디지트를 저장하는 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02586A (ko) 안내 음성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전화 단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1127363A (ja) 電話機
KR19980065571A (ko) 음성인식에 의해 통화수행 가능한 전화기 및 그 운용방법
KR100520654B1 (ko)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주변 소음 크기에 따른다이얼링 모드자동 전환 방법
KR950005978B1 (ko) 전화기의 버튼음성 발성방법
KR100617800B1 (ko)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에서 입력 전화번호 음성 안내 방법
KR20090075318A (ko) 이동 단말기에서의 수신모드 전환 방법
JPH0548702A (ja) 音声着呼機能付音声ダイヤル装置
KR20030056068A (ko) 착발신시 통화 상대방 음성 알림 방법
KR100788652B1 (ko) 자동 음성 다이얼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