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440B1 - 음성의 녹음과 재생이 동시 동작 가능한 오디오 보드 - Google Patents

음성의 녹음과 재생이 동시 동작 가능한 오디오 보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440B1
KR0122440B1 KR1019940034156A KR19940034156A KR0122440B1 KR 0122440 B1 KR0122440 B1 KR 0122440B1 KR 1019940034156 A KR1019940034156 A KR 1019940034156A KR 19940034156 A KR19940034156 A KR 19940034156A KR 0122440 B1 KR0122440 B1 KR 0122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data
bus
input
d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4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4880A (ko
Inventor
허준영
한동원
임영환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40034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2440B1/ko
Publication of KR960024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4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4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2Interface to dedicated audio devices, e.g. audio drivers, interface to CODE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8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in hierarchically structured memory systems, e.g. virtual memory systems
    • G06F12/10Address translation
    • G06F12/1081Address translation for peripheral access to main memory, e.g. direct memory access [DM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63Device-to-bus coupling
    • G06F13/4068Electrical coupling
    • G06F13/4086Bus impedance matching, e.g. 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04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parallel bus
    • G06F13/4221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parallel bus being an input/output bus, e.g. ISA bus, EISA bus, PCI bus, SCSI b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의 녹음과 재생이 동시 동작 가능한 오디오 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호스트와 ISA(Instrument Society of America) 버스로 인터페이스되는 시스템(개인용 컴퓨터)에서 ISA 버스상의 직접메모리액세스(DMA) 채널을 이용하여 같은 입출력 어드레스 상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의 녹음(압축)과 저장된 음성데이터의 재생(복원)이 하나의 보드상에서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한개의 오디오 보드를 사용하여 다자간 음성회의 및 영상회의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징적인 구성으로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음성이나 사운드 신호의 압축/녹음과 저장된 음성이나 사운드 데이터의 복원/재생을 담당하는 음성 입/출력 프로세서부(10)와, 입출력데이터를 선입 선출 방식의 메모리를 이용하여 호스트로부터 DMA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DMA 제어부(20)와, ISA 버스(40)를 통해 호스트와 인터페이스되는 버스정합부(30)로 구성함에 있다.

Description

음성의 녹음과 재생이 동시 동작 가능한 오디오 보드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보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회로도.
제2도는 제1도의 오디오 보드의 동작에 의한 데이터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음성 입/출력 프로세서부 11 : 음성 캡쳐/압축 프로세서
12 : 음성 재생/복원 프로세서 13 : 증폭기
14 :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 15 :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
20 : DMA 제어부 21 : DMA 데이터흐름 제어기
22 : 음성캡쳐 메모리 23 : 음성재생 메모리
30 : 버스정합부 31 : 어드레스디코더
32 : 데이타버퍼 33 : 제어신호버퍼
40 : ISA 버스
본발명은 음성의 녹음과 재생이 동시 동작 가능한 오디오 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호스트와 ISA(Instrument Society of America) 버스로 인터페이스되는 시스템(개인용 컴퓨터)에서 ISA의 버스상의 직접메모리액세스(DMA) 채널을 이용하여 같은 입출력 어드레스 상에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의 녹음(압축)과 저장된 음성 데이터의 재생(복원)이 하나의 보드상에서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한개의 오디오 보드를 사용하여 다자간 음성회의 및 영상회의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 많이 사용되는 오디오 보드나 사운드 카드는 음성/사운드 데이터를 처리함에 있어서 녹음(압축)동작과 재생(복원)동작이 동시에 처리되지 않고 녹음이나 재생중 어느 한 방향으로만 동작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하나의 시스템에서 음성에 대한 녹음동작과 재생동작을 동시에 실시하기 위해서는 오디오 보드를 두개를 사용하여 음성녹음에 관여하는 오디오 보드와 음성 재생동작에 관여하는 오디오 보드를 별도로 추가하여 사용하여야만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인용 컴퓨터의 ISA버스상의 DMA 채널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의 녹음과 저장된 음성 데이터의 재생이 하나의 보드상에서 동시에 동작이 가능한 오디오 보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보드의 특징은 외부에서 입력되는 음성이나 사운드 신호의 압축/녹음과 압축된 음성이나 사운드 데이터의 복원/재생을 담당하는 음성 입/출력 프로세서부와, 입/출력 데이터를 선입 선출 방식의 메모리를 이용하여 호스트로부터 DMA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DMA 제어부와, ISA 버스를 통해 호스트와 인터페이스되는 버스정합부로 구성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보드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의 녹음과 재생이 동시 동작 가능한 오디오 보드의 블럭회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입/출력 프로세서부(10)는 마이크를 통해 들어오는 오디오 입력 신호를 샘플링하고 압축하는 음성 캡쳐/압축 프로세서(11)와, 압축된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를 복원/재생하는 음성 재생/복원 프로세서(12)와, 복원된 오디오 출력을 증폭시켜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증폭기(13)로 구성한다.,
상기 음성 캡쳐/압축 프로세서(11)는 외부에서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내장된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4)를 이용하여 지정된 샘플링율과 8비트 또는 16비트 해상도로 신호 샘플링을 하여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한 후 PCM(Pulse code Modulation) 및 ADPCM(AD Pulse Code Modulation) 알고리즘으로 압축하여 음성 캡쳐 메모리로 압축된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성 재생/복원 프로세서(12)는 음성 재생 메모리로부터 전달되는 저장된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를 받아서 이를 PCM, ADPCM 알고리즘으로 복원/재생하여 내장된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15)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DMA 제어부(20)는 상기 음성 캡쳐/압축 프로세서(11)에서 압축된 데이터를 선입 선출 방식(FIFO)에 의해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음성캡쳐 메모리(22)와, 압축된 음성 데이터를 선입 선출 방식(FIFO)에 의해 순차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음성 재생/복원 프로세서(12)로 전송하는 음성재생 메모리(23)와, 상기 2개의 메모리를 직접 메모리접근(DMA0방식으로 제어하는 DMA 데이터흐름 제어기(21)로 구성하여 정해진 양의 데이터를 호스트의 DMA 채널을 통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하거나 받는 녹음과 재생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기능을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버스정합부(30)는 ISA 버스(40)를 사용하여 입출력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어드레스디코더(31)와, 입/출력 데이터를 지정하는 데이터버퍼(32)와, ISA 버스(40)를 제어하기 위한 어드레스신호(AS)와 데이터 신호(DS)와 버스제어신호(CS)를 임시로 저장하는 제어신호용 버퍼(33)로 구성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보드의 동작에 따른 데이터의 처리동작 흐름도러서 (a)는 음성 데이터의 압축/녹음시의 동작 흐름도이고 (b)는 음성 데이터의 복원/재생시의 동작 흐름도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구성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보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a)에 의거한 음성 데이터의 압축/녹음 동작을 보면 음성 입/출력 프로세서부(10)의 음성 캡쳐/압축 프로세서(11)는 외부에서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아날로그의 오디오 신호를 받아들여(S1) 내장된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4)를 이용하여 지정된 샘플링율과 8비트 또는 16비트 해상도로 신호 샘플링을 하여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하여 PCM, ADPCM 알고리즘으로 압축((S2)한 후 DMA 제어부(20)로 압축된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하면 이 DMA 제어부(20)에서는 DMA 데이터흐름 제어기(21)가 선입 선출 방식의 음성캡쳐 메모리(22)의 메모리상태를 체크(S3)하면서 상기 압축된 데이터를 음성캡쳐 메모리(22)에 전달한다. 이어서 음성캡쳐 메모리(22)는 저장된 데이터를 버스정합부(30)를 통하여 ISA 버스(40)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인터럽트신호(IRQ)(DRQ)를 출력(S4)하여 ISA 버스(40)로부터 데이터 전송에 관한 확인 신호(DACK)를 받아 ISA 버스(40)로 음성 데이터의 전송(S5)함으로써 음성 데이터가 호스트 메모리에 저장(S6)된다.
반대로 (b)에 의거한 음성 데이터의 복원/재생 동작을 보면 상기 압축/녹음 과정의 역순으로써 동작된다.
즉, 호스트 메모리로부터 ISA 버스(40)를 통해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면(S11, S12) 버스정합부(30)에서는 전달되는 음성 데이터를 인식하여 DMA 제어부(20)로 전달(S13)하고 DMA 제어부(20)의 DMA 데이터흐름 제어기(21)에서는 선입 선출 방식의 음성재생 메모리(23)의 메모리 상태를 체크(S14)하면서 상기 압축된 데이터를 음성 재생/복원 프로세서(12)에 전송하고 따라서 음성 재생/복원 프로세서(12)는 DMA 제어부(20)로부터 전달되는 압축된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를 받아서 이를 PCM, ADPCM 알고리즘으로 복원/재생하여 내장된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15)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S15)하여 증폭기(13)를 통하여 스피커로 출력(S16, S17)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보드에 의하면 하나의 오디오 보드를 이용하여 음성이나 사운드 데이터 등의 녹음(압축) 및 재생(복원)의 양방향 동작을 실시간에 동시에 처리할 수 있으므로 두 장 이상의 오디오 보드나 사운드 카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다자간 음성회의 및 영상회의 등에 응용할 수 있는 유용함이 있다.

Claims (4)

  1. 외부에서 입력되는 음성이나 사운드 신호의 압축/녹음과 압축된 음성이나 사운드 데이터의 복원/재생을 담당하는 음성 입/출력 프로세서부(10)와; 입출력데이터를 선입 선출 방식의 메모리를 이용하여 호스토로부터 DMA 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DMA 제어부(20)와, ISA 버스(40)를 통해 호스트와 인터페이스되는 버스정합부(3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입/출력 프로세서부(10)는 마이크를 통해 들어오는 오디오 입력을 샘플링하고 압축하는 음성 캡쳐/압축 프로세서(11)와, 압축된 디지탈 오디오 데이터를 복원/재생하는 음성 재생/복원 프로세서(12)와, 복원된 오디오 출력을 증폭시켜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증폭기(13)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MA제어부(20)는 상기 음성 캡쳐/압축 프로세서(11)에서 압축된 데이터를 선입 선출 방식(FIFO)에 의해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음성캡쳐 메모리(22)와, 압축된 음성 데이터를 선입 선출 방식(FIFO)에 의해 순차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음성 재생/복원 프로세서로 전송하는 음성재생 메모리(23)와, 상기 2개의 메모리를 직접 메모리접근(DMA) 방식으로 제어하는 DMA 데이터흐름 제어기(21)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정합부(30)는 ISA 버스를 사용하여 입출력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어드레스 디코더(31)와, 입/출력 데이터를 지정하는 데이터버퍼(32)와, ISA 버스를 제어하기 위한 어드레스신호(AS)와 데이터신호(DS)와 버스제어신호(CS)를 임시로 저장하는 제어신호용 버퍼(33)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보드.
KR1019940034156A 1994-12-14 1994-12-14 음성의 녹음과 재생이 동시 동작 가능한 오디오 보드 KR0122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4156A KR0122440B1 (ko) 1994-12-14 1994-12-14 음성의 녹음과 재생이 동시 동작 가능한 오디오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4156A KR0122440B1 (ko) 1994-12-14 1994-12-14 음성의 녹음과 재생이 동시 동작 가능한 오디오 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880A KR960024880A (ko) 1996-07-20
KR0122440B1 true KR0122440B1 (ko) 1997-11-20

Family

ID=19401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4156A KR0122440B1 (ko) 1994-12-14 1994-12-14 음성의 녹음과 재생이 동시 동작 가능한 오디오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24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212B1 (ko) 2017-01-11 2018-06-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컬러 카메라 및 깊이 카메라에 대한 촬영 영상 동기화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6810B1 (ko) * 2000-03-09 2002-10-1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연산 기능을 갖는 다이렉트 메모리 액세스 장치
KR20030077323A (ko) * 2002-03-26 2003-10-01 (주)알토텍 어학 학습용 제어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212B1 (ko) 2017-01-11 2018-06-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컬러 카메라 및 깊이 카메라에 대한 촬영 영상 동기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880A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20196A (ko) 고속 로컬버스용 통합 멀티미디어 보드회로
KR950035380A (ko) 랜덤 액세스 오디오/비디오 처리기
KR950034244A (ko) 휴대용 녹음재생장치, ic메모리 기록포멧, 녹음 및 재생방법
EP0919953A3 (en) Audio-video decoding system
US4910780A (en) Audi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tilizing digital data compression and extension
US6044431A (en) Data buffer using dummy data
KR0122440B1 (ko) 음성의 녹음과 재생이 동시 동작 가능한 오디오 보드
US5859666A (en) Digital still video camera
EP0597126A4 (en) METHOD FOR COMPRESSING AUDIO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AUDIO INFORMATION.
JPH10143350A (ja) 先入れ先出しメモリ制御システム
KR920000456B1 (ko) 음성신호를 이용한 계산기
JPS62994A (ja) Pcm音声信号記憶装置
KR100198799B1 (ko) 통합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기의 구조 및 그 구동 방법
KR100284748B1 (ko) 보조저장장치용오디오기록/재생장치
KR200223513Y1 (ko) 휴대용 음성/화상 기록 장치
JPH0388592A (ja) テレビ電話装置
KR100202684B1 (ko) 오디오통신이 가능한 사운드카드
JP2774493B2 (ja) データ処理方法
KR20000046468A (ko) 엠피-3 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는 휴대용 정보 처리 장치
JPS59157695A (ja) 音声合成装置
KR940007130Y1 (ko) 음성 제어 시스템의 음성 데이타 저장장치
KR19980067064A (ko) 디지탈 비디오 카메라의 음성녹음장치
JPH04134799A (ja) 音声録音再生lsi
KR20000008766A (ko) 화상 및 음성 데이터 재생 장치
KR970062946A (ko) 씨디 롬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게임 장치 및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