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352Y1 -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하부용기 - Google Patents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하부용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352Y1
KR0122352Y1 KR2019950009149U KR19950009149U KR0122352Y1 KR 0122352 Y1 KR0122352 Y1 KR 0122352Y1 KR 2019950009149 U KR2019950009149 U KR 2019950009149U KR 19950009149 U KR19950009149 U KR 19950009149U KR 0122352 Y1 KR0122352 Y1 KR 01223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lower container
container
rotary compressor
conca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91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4929U (ko
Inventor
김돈석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500091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2352Y1/ko
Publication of KR9600349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49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3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3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5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하부용기는 중앙부는 냉동유가 모이는 오목부로 형성되고, 그 오목부의 주위는 오목부내로 냉동유가 흐를수 있도록 한 경사부로 구성되어 냉동유의 신속한 회수가 가능하도록 하며, 급유되는 냉동유량을 충분히 확보 되도록 하고, 하부용기의 불필요한 체적을 줄이도록 하여 냉동유의 봉입량을 최소화 시키면서 충분한 급유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원가절감 및 신뢰성을 확보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하부용기
제1도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하부용기를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압축기의 하부용기를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압축기 하부용기의 다른 실시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하부용기 22:오목부
24:경사부
본 고안은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하부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부용기의 구성을 오목부와 경사부로 형성하여 냉동유의 신속한 회수가 가능하도록 하여 급유되는 냉동유량을 충분히 확보 되도록 하고, 하부용기의 불필요한 체적을 줄이도록 하여 냉동유의 봉입량을 최소화 시키면서 충분한 급유가 가능하도록 하여 원가절감 및 신뢰성 확보가 가능하도록 한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하부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 외부를 둘러 싸는 용기(1)가 있고, 이 용기(1)의 내부 상면에 고정자(4) 및 회전자(5)로 구성되는 전동기구부가 설치되고, 상기 용기(1)의 내면 하부에는 상기 회전자(5)의 내경에 압입 고정되는 회전축(7)과, 상기 회전축(7)의 하부에는 상베어링(10) 및 하베어링(9)이 보울트(11)로 결합되어 있는 실린더(6)로 구성되며, 상기 실린더(6)는 편심축에 결합되어 실린더(6)의 내경을 접하면서 회전하는 롤러(8)와, 상기 롤러(8)와 접촉되면서 압축실 및 흡입실의 압축공간을 형성하는 베인으로 구성되는 압축기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술에 의한 밀폐형 회전 압축기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압축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고정자(4)의 자기 흡입력에 의해 회전자(5)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자(5)에 압입고정된 회전축(7)이 동시에 회전운동을 하게 되며, 이러한 회전운동과 함께, 흡입관(17)을 통해 실린더(6) 내부의 밀폐공간으로 흡입된 냉매가스는 롤러(8)의 회전에 의해 실린더(6)내에서 압축되고, 일정 압력이상으로 압축된 냉매가스는 상베어링(10)에 형성된 토출밸브(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회전자(5)와 고정자(4)의 틈새를 통하여 용기(1) 상부에 있는 토출관(18)을 통해 압축기로부터 토출되어 냉동싸이클내를 순환하게 된다.
또한 회전축(7)이 회전하게 되면 하부용기쪽에 있는 냉동유가 상기 회전축(7)의 급유구멍(3)을 통해 흡상하여 압축기구부의 각 운동부위에 공급되어 윤활이 이루어지며, 연속적인 압축동작이 이루어 지므로 상기 냉동유는 회전축(7)의 급유구멍(3)을 통해 계속해서 흡상되어 일부의 냉동유는 윤활에 사용되고, 다른 일부는 하부용기쪽으로 다시 돌아와 급유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나머지 일부는 압축된 냉매가스와 함께 상부 용기에 형성된 토출관(18)을 통하여 냉동싸이클을 숭환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는 냉동유에 의한 윤활되어 지는 윤활공간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냉동싸이클을 통해 냉동유가 냉매가스와 함께 순환하게 되면 순환하는 냉동유 전부가 다시 압축기로 되돌아 오는 것이 아니고, 냉동싸이클의 배관표면에 흡착되므로 압축기로 되돌아오는 냉동유는 운전초기에는 아주 작게 된다. 즉 냉동싸이클 배관길이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겠지만 시험결과 분리형 에어컨의 경우 압축기를 통하여 토출되는 냉동유중에서 대략 50cc정도는 배관의 표면에 흡착하여 되돌아 오지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압축기에 냉동유를 봉입할 때 냉동싸이클을 순환하는 양을 고려하여 많은 양을 봉입해야 하나 하부용기의 형상이 대략 평면상으로 되어 있어 급유를 위해서는 냉동싸이클을 순환하는 냉동유를 제외하고도 최소한 회전축의 급유구멍의 하단까지는 채워져야 하므로 많은량의 냉동유가 봉입되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하부용기의 구성을 오목부와 경사부로 형성하여 냉동유의 신속한 회수가 가능하도록 하여 급유되는 냉동유량을 충분히 확보 되도록 하고, 하부용기의 불필요한 체적을 줄이도록 하여 냉동유의 봉입량을 최소화 시키면서 충분한 급유가 가능하도록 하여 원가절감 및 신뢰성 확보가 가능하도록 한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압축용기의 하부에 부착되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흡상되어 비산하는 냉동유를 모으도록 한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하부용기에 있어서, 중앙은 냉동유를 모으도록 한 원통형상의 오목부로 형성되고, 둘레는 상기 오목부내로 냉동유가 흐르도록 한 경사부로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의 상단부 높이가 회전축의 하단 높이와 대략 같고, 경사부의 외주 상단 높이가 회전축의 하단 높이보다 높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하부용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하부용기를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압축기의 하부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압축기 하부용기의 다른 실시례를 나타낸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하부용기(21)는 중앙에 형성된 오목부(22)와 둘레에 형성된 경사부(24)로 구성된다.
상기 오목부(22)는 냉동유를 모으도록 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 지고, 상기 경사부(24)는 오목부(22)내로 냉동유가 흐를수 있도록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한다. 상기 오목부(22)와 경사부(24)의 외주 선단 높이를 회전축(7)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회전축(7)의 하단 높이가 오목부(22)의 상단부 높이와는 대략 같으며, 경사부(24)의 외주 선단 높이보다는 낮게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하부용기(21)에 모여진 냉동유에 회전축(7)의 하단부(7a)가 잠길 수 있도록 한다.
종래 구성과 동일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하부용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린더(6)의 압축실에서 압축된 냉매가스가 토출과정에서 회전축(7)의 급유구멍(3)을 통해 흡상한 냉동유의 일부와 혼합되게 되고, 이 혼합된 냉매가스는 회전자(5)와 고정자(4) 사이의 틈새와 고정자(4)와 용기(1)의 틈새를 통하여 상부용기쪽 밀폐공간으로 나와서 상부용기에 접속된 토출관(18)을 통하여 냉동싸이클을 순환하게 된다. 이때 냉동유가 혼합된 냉매가스가 상기의 틈새통로를 지날 때 상대물과 부딪히게 되는데, 이때 비중이 높은 냉동유의 일부는 하부용기(21)쪽으로 떨어져 상기 하부용기의 경사부(24)를 따라 신속히 오목부(22)쪽으로 몰려들어와 재 급유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22)쪽의 깊이가 경사부(24)에 비해 상대적으로 깊기 때문에 오목부(22)에 냉동유가 먼저 채워지게 되고, 그런 다음 오목부(22)를 중심으로 차츰차츰 경사부(24)를 향해 하부용기(21)의 바깥둘레에 채워지게 된다. 그렇게 되면, 초기운전후 냉동유의 회수량이 많지 않을 때에도 회전축(7)의 하단부(7a)가 상기 오목부(22)를 기준으로 한 하부용기(21)의 중심부에 잠길수가 있게 되어 원활한 급유가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하부용기는 종래와 동일하게 용접에 의해 압축기의 밀폐용기에 고정하게 된다. 좀더 상술하면 하부용기 경사부의 외주 선단을 하방으로 절곡한 후, 상기 하부용기를 밀폐용기의 하부에 압입하여 끼워넣은 다음, 밀폐용기와 하부용기가 접하는 밀폐용기의 하단부를 용접하므로 밀폐용기에 하부용기를 고정하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a는 용접부를 나타낸다.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압축기 하부용기의 다른 실시례를 나타낸 것으로, 제3도와 달리 하부용기(21')의 경사부(24') 선단을 상방으로 절곡 형성한후 상기 용기(1)와의 접촉부위를 동일한 방법으로 용접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목부를 나타낸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하부용기는 중앙부는 냉동유가 모이는 오목부로 형성되고, 그 오목부의 주위는 오목부내로 냉동유가 흐를수 있도록 한 경사부로 구성되어, 냉동유의 신속한 회수가 가능하도록 하여 급유되는 냉동유량을 충분히 확보 되도록 하고, 하부용기의 불필요한 체적을 줄이도록 하여 냉동유의 봉입량을 최소화 시키면서 충분한 급유가 가능하도록 하여 원가절감 및 신뢰성 확보가 가능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압축용기의 하부에 부착되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흡상되어 비산하는 냉동유를 모으도록 한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하부용기에 있어서, 중앙은 냉동유를 모으도록 한 원통형상의 오목부로 형성되고, 둘레는 상기 오목부내로 냉동유가 흐르도록 한 경사부로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의 상단부 높이가 회전축의 하단 높이와 대략 같고 상기 경사부의 상단 높이가 회전축의 하단 높이보다 높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하부용기.
KR2019950009149U 1995-04-29 1995-04-29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하부용기 KR01223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9149U KR0122352Y1 (ko) 1995-04-29 1995-04-29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하부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9149U KR0122352Y1 (ko) 1995-04-29 1995-04-29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하부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929U KR960034929U (ko) 1996-11-21
KR0122352Y1 true KR0122352Y1 (ko) 1998-08-17

Family

ID=19412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9149U KR0122352Y1 (ko) 1995-04-29 1995-04-29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하부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235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929U (ko) 1996-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2993B1 (ko) 모터 압축기 윤활
CN87106599A (zh) 水平曲轴密封压缩机
US20040067144A1 (en) Scroll compressor
KR0122352Y1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하부용기
US20120308410A1 (en) Fluid Machine
KR200230839Y1 (ko) 압축기의프로세스튜브용플러그
KR100873680B1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마모 방지구조
JP2005146856A (ja) レシプロ圧縮機
EP0444221A1 (en) Vertical rotary compressor
KR100270871B1 (ko) 회전압축기
KR100219432B1 (ko) 회전압축기
JPH0333493A (ja) 密閉型回転式圧縮機
KR100229633B1 (ko) 회전압축기
KR100206819B1 (ko) 밀폐형 압축기의 롤링피스톤구조
KR100202900B1 (ko) 피스톤 코킹부 윤활구조를 지닌 압축기
KR0128915Y1 (ko) 로타리압축기의 오일픽업장치
KR100221137B1 (ko) 배플케이스 구조를 지닌 압축기
JPH0914136A (ja) 密閉型圧縮機
JP4243805B2 (ja) 流体圧縮機
KR100285852B1 (ko) 토유 저감 구조의 회전자를 갖는 압축기
JPH1089255A (ja) 密閉形電動圧縮機
KR0136591Y1 (ko) 밀폐형 압축기
KR20000000870A (ko) 스크롤 압축기 자전운동 방지부의 윤활유 공급장치
KR19980056681U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실린더 구조
US20120301330A1 (en) Fluid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