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122B1 - 와셔액 경고등 제어장치 (A device for controlling washer fluid indicator) - Google Patents

와셔액 경고등 제어장치 (A device for controlling washer fluid indicator)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122B1
KR0122122B1 KR1019950009829A KR19950009829A KR0122122B1 KR 0122122 B1 KR0122122 B1 KR 0122122B1 KR 1019950009829 A KR1019950009829 A KR 1019950009829A KR 19950009829 A KR19950009829 A KR 19950009829A KR 0122122 B1 KR0122122 B1 KR 0122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ator
turned
output
washer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9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7444A (ko
Inventor
김은식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09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2122B1/ko
Publication of KR960037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7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1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50Arrangement of reservoi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와셔액 경고등 제어장치는 세정액의 잔량을 감지하는 수량센서(40) ; 상기 수량센서의 출력전압과 소정의 제1 기준전압을 비교하는 제1 비교기(ICI) 및 상기 제1 비교기(ICI)의 출력에 따라 와셔액 경고등을 점등 혹은 소등시키는 제1 스위칭수단으로 구성된 와셔액 경고등 회로에 있어서, 이그니션키가 온되면 소정의 기울기로 충전되는 충전수단과, 상기 충전수단에 충전된 전압을 설정된 제2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제2 비교기(IC2), 상기 제2 비교기(IC2)의 출력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2 스위칭수단(TR2)으로 이루어진 타이밍수단을 더 구비하여 상기 이그니션키가 온된 후 상기 충전수단이 소정의 기준전압까지 충전되는데 걸리는 시간 동안에만 와셔액 경고등이 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그니션키가 온된 후 소정시간 동안에만 이를 점등시켜 운전자에게 세정액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린 후 주행중에는 소등시키므로써 운전자가 경고등에 의해 산만해지는 것을 방지하므로써 안전운행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와셔액 경고등 제어장치(A device for controlling washer fluid indicator)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와셔액 경고등 제어장치를 도시한 회로도.
제2도의 (a) 내지 (e)는 본 발명에 따른 와셔액 경고등 제어장치가 동작하는 것을 도시한 파형도.
제3도는 종래의 와셔액 경고등 제어장치를 도시한 회로도.
제4도는 와셔액의 레벨을 검출하기 위한 수량센서의 예시도.
제5도는 와셔액의 레벨을 검출하기 위한 수량센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50 : 수량센서 42 : 부유구
44 : 세정액 52 : 뜨게
54 : 마그넬 56 : 리드스위치
58 : 케이블 IG Key : 이그니션키
IC1, IC2 : 비교기
본 발명은 자동차의 와셔액(washe fluid)이 부족할 경우에 이를 계기판에서 표시해 주는 와셔액 경고등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자동차에는 유리창에 묻은 먼지나 흙탕물 등을 닦아내기 위하여 상기 유리창에 세정액을 발사하는 와셔(washer)가 구비되어 있는 바, 상기 와셔는 세정액통에 저장된 세정액을 펌프로 보내 노즐에서 분사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와셔가 세정액을 분사한 후 와이퍼가 작동되어 먼지 혹은 흙탕물 등을 닦아내었다.
이때 상기 와셔가 분사하는 세정액은 와셔액이라고도 하며, 동결되지 않도록 알코올계 계면 활성제가 혼합되거나 세재 및 방청제 등도 첨가되어져 있고, 통상 와셔의 세정액통 속에 저장되어 있다가 필요에 따라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분사되어져 사용된다.
그런데 상기 와셔액은 이따금 사용되어지므로 소진되는 시기가 불규칙하여 주행중에 세정액이 모자라 운행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발생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상기 와셔액이 완전히 소진되기 전에 이를 확인할 필요가 있는 바, 상기 와셔액이 저장되는 세정액통은 통상 자동차의 전면 엔진근처에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전면 후드를 들어 올린 후에 육안으로 점검해야 했다. 이와 같이 전면 후드를 열고 세정액의 잔량을 매번 육안으로 확인한다는 것은 번거로운 일이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세정액통에 제4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량센서를 설치한 후 소정량까지 사용되어 세정액이 부족할 우려가 있으면 계기판의 와셔액 경고등을 점등시켜 운전자에게 알리고, 이에 따라 운전자가 세정액을 보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세정액이 부족할 경우에 램프를 점등시켜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종래의 와셔액 경고등 제어장치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액통속에 설치되어 수량에 따라 저항(PS)값을 가변시키는 수량센서와, 상기 수량센서의 저항값에 강하된 전압과 소정의 기준전압(VR)을 비교하여 상기 수량센서에 의한 전압이 기준전압을 초과하면 하이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COMP), 상기 비교기(COMP)의 출력에 따라 턴-온되어 와셔액 경고등(LAMP)을 점등시키는 트랜지스터(TR1)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장치가 동작하는 것을 살펴본다.
먼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량센서(40)에서 세정액통속의 세정액의 잔량이 점차 작아지면 부유구(42)의 높이가 점차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비교기(COMP)의 -단자와 접지간의 저항값이 커지며 상기 비교기(COMP)의 -단자와 Vcc단자간 저항값은 작아져 상기 비교기(COMP)의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은 커지게 된다. 즉, 세정액의 잔량이 많은 경우에는 부유구(42)가 높아져 수량센서에 의해 비교기(COMP)의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은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이 되고, 세정액의 잔량이 적을 경우에는 부유구(42)가 낮아져 수량센서에 의해 비교기(COMP)의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은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따라서 세정액의 잔량이 부족하다는 것을 경고하기 위해 비교기(COMP)의 +단자에 적당한 기준전압(VR)을 설정해 놓으면, 상기 비교기(COMP)가 +단자의 기준전압과 -단자의 전압을 비교하여 -단자의 전압이 +단자의 기준전압보다 낮으면 로우를 출력하여 트랜지스터(TR1)를 턴-오프하고 있다가, -단자의 전압이 +단자의 기준전압보다 높아지면 하이를 출력하여 상기 트랜지스터(TR1)를 턴-온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계기판에 부착된 와셔액 경고등(LAMP)이 점등되어 와셔액이 부족하다는 것을 표시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와셔액 경고등 제어장치는 세정액이 부족한 경우에 차에 시동을 거는중이거나 주행중이거나 구분하지 않고 항상 경고등을 켜주고 있어 운전자에게 불안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즉, 와셔액이 부족한 경우에도 실제 주행에는 큰 지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와셔액을 보충하지 않고 긴급하게 차량을 운행할 필요가 있는데, 주행중에도 와셔액 경고등이 계속 점등되어 있으므로 오히려 운전자의 주의를 산만하게 하여 안전운행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세정액이 부족한 경우 차량 시동시에 일정시간만 경고등을 점등시켜 운전자에게 세정액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린 후 소등시키므로써 안전운행에 도움을 주도록 된 와셔액 경고등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량센서에 의해 검출된 세정액의 잔량이 설정된 기준량이하가 되면 스위칭수단이 작동되어 와셔액 경고등을 점등시키도록 구성된 와셔액 경고등 회로에 있어서, 이그니션키가 온되는 시동초기에만 상기 와셔액 경고등이 작동되도록 티이밍수단을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타이밍수단은 이그니션키가 온되면 소정의 기울기로 충전되는 충전수단과, 상기 충전수단에 충전된 전압을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비교기, 상기 비교기의 출력에 따라 온.오프되는 스위칭수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이그니션키가 온된 후 상기 충전수단이 소정의 기준전압까지 충전되는데 걸리는 시간에 의해 타이밍을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셔액 경고등 제어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액의 잔량을 감지하는 수량센서(40)와 ; 상기 수량센서(40)의 출력전압(VA)과 소정의 제1기준전압(VB)을 비교하는 제1비교기(IC1) ; 및 상기 제1비교기(ICI)의 출력에 따라 와셔액 경고등(LAMP)을 점등 혹은 소등시키는 제1스위칭수단(TR1)으로 구성된 와셔액 경고등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칭수단(TR1)에 연결되어 이그니션키(IG Key)가 온(lgn ON)된 후 소정시간 동안만 상기 와셔액 경고등이 상기 제1비교기(IC1)의 출력에 따라 점등되도록 타이밍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타이밍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타이밍수단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그니션키(IG Key)가 온되면 소정의 기울기로 충전되는 충전수단(R5,C2)과, 상기 충전수단(R5, C2)에 충전된 전압(VE)을 설정된 제2기준전압(VF)과 비교하는 제2비교기(IC2), 상기 제2비교기(IC2)의 출력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2스위칭수단(TR2)으로 이루어져 상기 이그니션키(IG Key)가 온된 후 상기 충전수단(R5,C2)이 소정의 기준전압(VF)까지 충전되는데 걸리는 시간에 의해 타이밍을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수단(R5,C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저항(R5) 및 커패시터(C2)로 구성되며, 상기 제1내지 제2스위칭수단은 상기 비교기(IC1,IC2)의 출력에 따라 턴-온 혹은 턴-오프되는 트랜지스터(TR1,TR2)로 구현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량센서(40)는 물론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수량센서(50)도 당업자 수준에서 회로를 약간 수정하므로써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바, 제5도를 참조하면 다른 수량센서(50)는 세정액의 액면을 따라 부유되는 뜨게(52)와 상기 뜨게(52)에 설치되는 마그넬(54), 상기 마그넬(54)과 연동되어 세정액의 수량이 기준량보다 부족한 것을 검출하는 리드 스위칭(56) 및 상기 리드 스위치(56)의 출력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58)로 이루어져 있다.
제1도 및 제3도에 있어서, 미설명 부호 R, R1, R2, R3, R4, R6, R7, R8은 저항을 나타내고, C1은 커패시터를 나타낸다. 또한 Vcc, B+은 배터리 전원을 나타낸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제2도의 (a) 내지 (e)에 도시된 동작파형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량센서(40)는 세정액통속에 세정액의 잔량이 점차 작아지면 부유구(42)의 높이가 점차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제1비교기(IC1)의 +단자와 접지간의 저항값이 커지며 제1비교기(IC1)의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VA)은 점차 커지게 된다. 반대로, 세정액의 수량이 많아지면 부유구(42)가 높아지면서 제1비교기(IC1)의 +단자와 접지간의 저항값이 작아지게 되어 제1비교기(IC1)의 +단자에 인가되는 전압(VA)은 점차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세정액의 잔량이 부족하다는 것을 경고하기 위해 제1비교기(IC1)의 -단자에 적당한 기준전압(VB)을 설정해 놓으면, 제1비교기(IC1)가 +단자의 전압(VA)을 -단자의 기준전압(VB)과 비교한 후 +단자의 전압(VA)이 -단자의 기준전압(VB)보다 낮으면 로우를 출력하여 제1트랜지스터(TR1)를 턴-오프하고 있다가, +단자의 전압(VA)이 -단자의 기준전압(VB)보다 높아지면 제2도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를 출력하여 제1트랜지스터(TR1)를 턴-온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계기판에 부착된 와셔액 경고등이 점등되어 와셔액이 부족하다는 것을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제1비교기(IC1)의 -단자에 설정되는 기준전압(VB)은
으로 구해지고, 제1비교기(IC1)의 +단자의 전압(VA)은 수량센서의 포텐시오미터에 따라 세정액의 수량이 적을수록 증가하도록 가변된다. 따라서, 세정액의 수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VAVB가 되고, 제1비교기(IC1)는 하이를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타이밍수단은 이그니션키(IG Key)가 온되면 제2도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터리전압(B+)이 저항(R5)을 통해 커패시터(C2)를 제2도의 (c)와 같이 충전시키게 되고, 제2비교기(IC2)는 충전전압(VE)을 제2기준전압(VF)과 비교하여 충전전압이 제2기준전압을 초과하면 제2도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를 출력하여 제2트랜지스터(TR2)를 턴-온시키게 된다. 이때, 제2트랜지스터(TR2)는 평상시에는 턴-오프되어 있으므로 제1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가 접지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가 제2비교기(IC2)가 하이를 출력하여 턴-온되면 제1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를 접지레벨로 만든다. 따라서 제2트랜지스터(TR2)가 턴-오프되어 있으면 제1트랜지스터(TR1)는 상기 제1비교기(IC1)의 출력에 따라 턴-온 혹은 턴-오프되어 와셔액 경고등을 점등 혹은 소등시키게 되나 상기 제2트랜지스터(TR2)가 턴-온되면 상기 제1트랜지스터(TR1)는 상기 제1비교기(IC1)의 출력에 관계없이 턴-오프되어 제2도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TON기간 동안만 와셔액 경고등을 점등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은 동작을 이해하기 쉽게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표 1 : 와셔액 경고등 동작 상태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경고등은 (VAVB) (VE≤VF)인 경우 즉, 시동을 위해 이그니션키(IG Key)를 온시킨 후 커패시터(C2)가 기준전압(VF)만큼 충전되는 시간동안에만 세정액의 잔량이 기준량보다 작을 때 점등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와셔액이 부족하여 와셔액 경고등이 점등되는 경우 시동을 위해 이그니션키가 온된 후 소정시간 동안에만 이를 점등시켜 운전자에게 세정액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린 후, 주행중에는 소등시키므로써 운전자가 경고등에 의해 산만해지는 것을 방지하므로써 안전운행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세정액의 잔량을 감지하는 수량센서(40)와, 상기 수량센서의 출력전압을 소정의 제1기준전압과 비교하는 제1비교기(IC1), 상기 제1비교기(IC1)의 출력에 따라 와셔액 경고등을 점등 혹은 소등시키는 제1스위칭수단(TR1), 상기 제1스위칭수단(TR1)에 연결되어 이그니션키(IG Key)가 온된 후 소정시간 동안만 상기 와셔액 경고등이 상기 제1비교기(IC1)의 출력에 따라 점등되도록 타이밍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타이밍수단으로 구성된 자동차의 와셔액 경고등 회로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수단이, 상기 이그니션키가 온되면 소정의 기울기로 충전되는 충전수단과, 상기 충전수단에 충전된 전압을 설정된 제2기준전압(VF)과 비교하는 제2비교기(IC2) 및 상기 제2비교기(IC2)의 출력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2스위칭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셔액 경고등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수단이 저항(R5) 및 커패시터(C2)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셔액 경고등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칭수단이 트랜지스터(TR1,TR2)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셔액 경고등 제어장치.
KR1019950009829A 1995-04-25 1995-04-25 와셔액 경고등 제어장치 (A device for controlling washer fluid indicator) KR0122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9829A KR0122122B1 (ko) 1995-04-25 1995-04-25 와셔액 경고등 제어장치 (A device for controlling washer fluid indic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9829A KR0122122B1 (ko) 1995-04-25 1995-04-25 와셔액 경고등 제어장치 (A device for controlling washer fluid indic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444A KR960037444A (ko) 1996-11-19
KR0122122B1 true KR0122122B1 (ko) 1997-11-18

Family

ID=19412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9829A KR0122122B1 (ko) 1995-04-25 1995-04-25 와셔액 경고등 제어장치 (A device for controlling washer fluid indic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21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3637B2 (en) 2003-06-11 2006-1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t roller assembly for image form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3637B2 (en) 2003-06-11 2006-1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t roller assembly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444A (ko) 1996-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2122B1 (ko) 와셔액 경고등 제어장치 (A device for controlling washer fluid indicator)
JP2599797Y2 (ja) ヘッドランプクリーナ装置
KR200272663Y1 (ko) 자동차용 와이퍼와셔액 부족 경고장치
KR100482963B1 (ko) 연료 센더의 경고등 온/오프 제어 장치
KR0152513B1 (ko) Lpg용 자동차의 연료 잔량 경보 장치
KR0138195Y1 (ko) 자동차의 연료 경고등 구동장치
KR100715403B1 (ko) 차량용 와셔액 경고등 점등장치
KR19980073683A (ko) 온도 감응형 워셔액 분사 제어 장치
JPH0156935B2 (ko)
JPS6331849A (ja) 水量感応窓拭器
JPS61200050A (ja) 車両用灯火器洗浄装置
KR19990033859U (ko) 자동차의 윈드실드 워셔액 보충 경고 표시 장치
KR0138916Y1 (ko) 자동차의 밧데리 자동 충전장치
KR200168069Y1 (ko) 윈도우 와셔액 자동 보충장치
KR100245011B1 (ko) 와셔모터 공회전 방지장치
KR0157833B1 (ko) 차량장착 화장실의 오수범람 방지장치
KR0124539Y1 (ko) 자동차의 배터리 전원차단 회로
JPS60331A (ja) 液体残量の警報装置
KR200150398Y1 (ko) 와이퍼 와셔 시스템
GB2335592A (en) Control of washer pump to provide intermittent jets of water
JPH0242171A (ja) エンジンの燃料供給制御装置
GB2039117A (en) An audible warning system for vehicles
JPH06239205A (ja) ワイパ制御装置
KR19990026039U (ko) 차량의 와이퍼 구동장치
KR19980011282U (ko) 자동차의 바테리 완전 방전 방지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