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072Y1 - 자동차의 견인고리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견인고리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072Y1
KR0122072Y1 KR2019930029486U KR930029486U KR0122072Y1 KR 0122072 Y1 KR0122072 Y1 KR 0122072Y1 KR 2019930029486 U KR2019930029486 U KR 2019930029486U KR 930029486 U KR930029486 U KR 930029486U KR 0122072 Y1 KR0122072 Y1 KR 01220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member
flat portion
ring
traction ring
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94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7439U (ko
Inventor
임병길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300294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2072Y1/ko
Publication of KR9500174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74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0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0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01Traction couplings or hitch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04Hook or hook-and-hasp coup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자동차 견인고리의 장착상태가 견고하고, 강성을 증대시킬 목적으로; 자동차의 견인고리를 프레임을 형성하는 사이드 멤버에 장착함에 있어서, 상기 견인고리를 중간부에 경상부를 두고 그의 전후측으로 평면부를 갖도록 형성하여, 상기 후측 평면부를 사이드 멤버의 저면에 고착하고, 전측 평면부는 전측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견인공을 형성하고, 그의 후측을 상기 사이드 멤버의 전면부로 고착되는 범퍼 브라켓의 수평부와 고착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견인고리 장착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견인고리 장착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B-B선 단면도.
제5도는 종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견인고리 3:경사부
5, 7:평면부 9:사이드 멤버
13:범퍼 브라켓 15:수평부
17, 19:테두리 부
[고안의 분야]
본 고안은 자동차의 견인고리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착상태가 견고하고, 강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기술]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자동차에 있어서는 고장 또는 빠짐등에 의하여 견인할 필요가 있을 때 견인부재를 걸을 수 있는 견인고리가 차체의 전후 하측에 장착된다.
이러한 견인고리를 장착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제5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견인고리(100)를 하측으로 견인공(101)을 갖는 대략 삼각형 플레이트로 형성하여 차체 프레임을 형성하는 사이드 멤버(102)의 측면에 볼트(103)로 체결 고정하였다.
그리고 강성을 위하여 사이드 멤버(102)의 하측과 견인고리(100)의 측면에 면접되는 보강판(103)을 고착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장착수단에 있어서는 견인고리가 사이드 멤버에 국부적인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바, 하중이 작용할 때 이의 하중이 사이드 멤버의 일부분에 집중적으로 가해짐으로써, 사이드 멤버의 변형을 초래하고, 견인고리가 단순히 플레이트형으로 형성되어 강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고안의 요약]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장착상태가 견고하고, 강성이 증대될 수 있는 자동차의 견인고리 장착구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자동차의 견인고리를 프레임을 형성하는 사이드 멤버에 장착함에 있어서, 상기 견인고리를 중간부에 경상부를 두고 그의 전후측으로 평면부를 갖도록 형성하여, 상기 후측 평면부를 사이드 멤버의 저면에 고착하고, 전측 평면부는 전측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견인공을 형성하고, 그의 후측을 상기 사이드 멤버의 전면부로 고착되는 범퍼 브라켓의 수평부와 고착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견인고리 장착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부호 1은 견인고리를 지칭한다.
상기 견인고리(1)는 중간에 전측이 아래측에 위치하도록 경사지는 경사부(3)를 두고 그의 전후측이 평면부(5)(7)로 형성되며, 상기 전측 평면부(5)에는 견인공(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견인고리(1)는 후측 평면부(7)가 프레임을 형성하는 사이드 멤버(9)의 저면에 고착되며, 그의 전측 평면부(5)는 사이드 멤버(9)의 전면 면적보다 큰 면적의 범퍼 고정부(11)를 갖는 범퍼 브라켓(13)의 하측 수펑부(15)가 고착된다.
상기에서 범퍼 브라켓(13)는 범퍼 고정부(11)가 사이드 멤버(9)의 전면에 고착되어 그의 가장자리가 사이드 멤버(9)의 외측으로 돌출되어져 이에 미도시된 프론트 범퍼가 장착된다.
이에따라 제1도 및 제2도와 같은 상태로 장착이 이루어지며, 상기 견인고리(1)는 제3도 및 제4도에서와 같이 그의 가장자리는 소정의 길이로 절곡되는 테두리부(17)가 형성되고, 견인공(6)의 주위 또한, 상기와 같은 다른 테두리부(19)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견인고리(1)에 테두리부(17)(19)를 형성한 것을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견인고리 장착구조에 의하면, 견인고리(1)가 사이드 멤버(9)와 범퍼 브라켓(13)에 의하여 장착되는 바, 그의 장착상태가 견고해져 종래와 같은 별도의 보강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부품수가 절감된다.
그리고 견인고리(1)가 사이드 멤버(9)의 저면부에 평면상으로 고정이 이루어짐으로써, 하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가장자리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테두리부가 형성됨으로써, 강성이 증대되어 큰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견인고리는 프레임의 제조과정에서 장착이 이루어지게 되는 바, 조립라인에서 이를 장착하지 않아도 되므로 조립성이 향상되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자동차의 견인고리를 프레임을 형성하는 사이드 멤버에 장착함에 있어서, 상기 견인고리(1)를 중간부에 경상부(3)를 두고 그의 전후측으로 평면부(5)(7)를 갖도록 형성하여, 상기 후측 평면부(7)를 사이드 멤버(9)의 저면에 고착하고, 전측 평면부(7)는 상기 사이드 멤버(9)의 전면부로 고착되는 범퍼 브라켓(13)의 수평부(15)와 고착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견인고리 장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견인고리(1)는 가장자리와 견인공(6) 주위에 하측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고 절곡되는 테두리부(17)(19)를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견인고리 장착구조.
KR2019930029486U 1993-12-24 1993-12-24 자동차의 견인고리 장착구조 KR01220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9486U KR0122072Y1 (ko) 1993-12-24 1993-12-24 자동차의 견인고리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9486U KR0122072Y1 (ko) 1993-12-24 1993-12-24 자동차의 견인고리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439U KR950017439U (ko) 1995-07-20
KR0122072Y1 true KR0122072Y1 (ko) 1998-08-01

Family

ID=19372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9486U KR0122072Y1 (ko) 1993-12-24 1993-12-24 자동차의 견인고리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207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439U (ko) 199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02517A1 (en) Vehicle body structure
US6729053B2 (en) Bracket for mounting a license plate to a vehicle
KR0122072Y1 (ko) 자동차의 견인고리 장착구조
JP2677023B2 (ja) 車両用マッドガード
JP2877332B2 (ja) Tバールーフ車のハッチルーフ用バンパラバー
JPS6245972Y2 (ko)
JP3452663B2 (ja) マッドガード
JPH0343077Y2 (ko)
KR970026780A (ko) 자동차용 리어 바디의 프레임보강구조
KR200148855Y1 (ko) 차량시트 트랙체결용 브라켓트 구조
JPH0357556Y2 (ko)
KR0116236Y1 (ko) 자동차의 보조제동등 장착구조
KR0125510Y1 (ko) 자동차의 번호판 부착 브라켓
JPH0517332Y2 (ko)
JP2560396Y2 (ja) ドアミラーの取付構造
JPH063722Y2 (ja) バンパ構造
JPS5915740Y2 (ja) マツドガ−ド構造
KR0112255Y1 (ko) 자동차의 키이실린더 취부구조
KR200161451Y1 (ko) 저상버스의 파워스티어링 유닛 마운팅 구조
JPH0528130Y2 (ko)
JPH063719Y2 (ja) 車両用バンパの周縁部構造
JPS6332762Y2 (ko)
JPS6113404Y2 (ko)
KR200197885Y1 (ko) 자동차용 지지브라켓의 구조
KR910008438Y1 (ko) 자동차 번호판용 부착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