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034Y1 - 자동차의 에어클리너 박스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에어클리너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034Y1
KR0122034Y1 KR2019940029745U KR19940029745U KR0122034Y1 KR 0122034 Y1 KR0122034 Y1 KR 0122034Y1 KR 2019940029745 U KR2019940029745 U KR 2019940029745U KR 19940029745 U KR19940029745 U KR 19940029745U KR 0122034 Y1 KR0122034 Y1 KR 01220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cleaner
cleaner box
dust collecting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97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7959U (ko
Inventor
서용교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297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2034Y1/ko
Publication of KR9600179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79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0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0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05Flow throttling or gui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에어클리너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에어클리너 박스의 공기 흡입구 안쪽으로 집진관을 경사지게 설치하여 공기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외부 공기중의 먼지가이 집진관을 거치는 동안 1차 여과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이때의 흡기 소음도 저감될 수 있게 함으로써, 차실내의 분위기를 보다 정숙하게 유지시킬수 있는 자동차의 에어클리너 박스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에어클리너 박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클리너 박스의 구성도
제2도는 종래 에어클리너 박스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에어클리너 박스 11:공기흡입구
12:여과필터 13:공기배출구
14:집진판 15:출구
16:플랜지부 17:요홈부
18:지지대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에어클리너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흡입구의 안쪽으로 집진판을 연장 설치하여 에어클리너 박스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1차적으로 여과하는 한편, 집진판이 갖는 구조적 특성을 이용하여 이때 발생되는 흡기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게 한 자동차의 에어클리너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에어클리너 박스는 엔진으로 공급되는 공기중의 불순물을 여과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되는 바, 이러한 에어클리너 박스(10)는, 첨부 도면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쪽의 공기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된 불순 공기를 내부의 엘리먼트(12)를 이용하여 여과시킨후에 윗쪽의 공기배출구(13)를 통해 여과된 청정공기를 엔진으로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에어클리너 박스(10)는 외부의 공기가 공기 흡입구(11)를 거쳐 박스 내부로 흡입되는 과정에서 심한 소음을 발생시키게 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박스내부로 흡입된 공기중의 불순물 뿐만아니라 먼지까지도 엘리먼트(12)에 흡착되어 엘리먼트(12)의 기능저하 및 수명저하를 가져오게 하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에어클리너 박스의 공기 흡입구 안쪽으로 집진관을 경사지게 설치하여 공기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외부 공기중의 먼지가 이 집진관을 거치는 동안 1차 여과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이때의 흡기 소음도 저감될 수 있게 함으로써, 차실내의 분위기를 보다 정숙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에어클리너 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전방 아래쪽과 후방 윗쪽에는 각각 공기흡입구(11)와 공기배출구(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흡입구(11)의 뒤쪽에는 나팔관형 집진관(14)이 경사진 자세로 연결 설치되어서 이루어진 것이다.
특히, 상기 집진관(14)의 출구(15)는 공기흡입구(11)의 단면적과 동일한 단면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출구(15)에는 관 안쪽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플랜지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첨부 도면 제1도는 본 고안의 구성도로서, 상기 집진관(14)은 한쪽에서부터 다른 한쪽으로 갈수록 점차 축관되거나 확관되는 외경을 갖는 나팔관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집진관(14)은 적은 외경쪽이 아래쪽에 위치되어 있는 엘리먼트(12)의 바로 밑 저부에 위치되도록 경사진 자세를 취하게 된다.
이때의 집진관(14)은 공기흡입구(11)와의 연접 부위가 융착되므로서 그 경사진 자세를 유지하면서 지지된다.
미설명부호 18은 망형상의 지지대이다.
또한, 상기 집진관(14)의 상단쪽 즉, 큰 외경쪽에 형성되어지는 출구(15)는 공기흡입구(11)가 갖는 공기 흡입 단면적과 동일한 단면적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때의 출구(15)에는 이 출구(15)의 전 내주연에서부터 관 안쪽으로 적정길이 플랜지부(16)가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플랜지부(16)의 외주벽과 관 내주벽 사이에는 균일한 간격의 요홈부(17)가 형성되게 되고, 여기에 집진관(14) 내부로 유입된 먼지등의 이물질이 모여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흡입구(11)를 통하여 외부 공기와 함께 흡입된 먼지는 집진관(14)을 거치면서 박스내부로 빠져나갈 때 집진관(14)의 출구(15) 주위에 형성되어 있는 요홈부(17)에 1차적으로 여과된 다음, 엘리먼트(12)에 의해서 잔여먼지를 포함한 불순공기가 2차적으로 여과되므로서, 공기배출구(13)를 통하여 엔지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청정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공기 흡입구(11)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일으키는 흡기 소음은 집진관(14)을 통과하는 동안 이 집진관(14)의 내면과의 마찰에 의한 감쇠작용을 통하여 최대한 흡수, 소멸되므로서, 차량 소음 발생의 요인을 최대한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에어클리너 박스의 내부에 별도의 집진관을 설치하여 박스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중의 먼지를 1차 여과하는 동시에 공기유입시 발생되는 흡기 소음을 최대한 흡수함으로써, 엘리먼트의 여과 수명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차량 소음 발생의 요인을 가능한 배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전방 아래쪽과 후방 위쪽에는 각각 공기흡입구(11)와 공기배출구(13)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 윗쪽에는 엘리먼트(12)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의 에어클리너 박스(10)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구(11)에는 안쪽으로 윗쪽을 향해 경사진 나팔관 형태의 집진관(14)이 일체로 또는 연결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집진관(14)의 출구(15)는 관안쪽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플랜지부(1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에어클리너 박스.
KR2019940029745U 1994-11-10 1994-11-10 자동차의 에어클리너 박스 KR01220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9745U KR0122034Y1 (ko) 1994-11-10 1994-11-10 자동차의 에어클리너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9745U KR0122034Y1 (ko) 1994-11-10 1994-11-10 자동차의 에어클리너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959U KR960017959U (ko) 1996-06-19
KR0122034Y1 true KR0122034Y1 (ko) 1998-08-01

Family

ID=19397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9745U KR0122034Y1 (ko) 1994-11-10 1994-11-10 자동차의 에어클리너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20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761Y1 (ko) * 2012-12-03 2014-06-27 주식회사 리한 레조네이터가 구비된 에어클리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761Y1 (ko) * 2012-12-03 2014-06-27 주식회사 리한 레조네이터가 구비된 에어클리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959U (ko) 1996-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23674C1 (ru) Пылесос и способ уменьшения шума, создаваемого им
US6797041B2 (en) Two stage air filter
KR0122034Y1 (ko) 자동차의 에어클리너 박스
US2393660A (en) Air cleaner
JP2003508678A (ja) 自動車の内燃機関のための吸込み空気を濾過するためのエアフィルタ
JP2004190671A (ja) 内燃機関のための粗空気を吸い込むための装置
JPH0947618A (ja) サイクロン式エアクリーナ
CA3051233C (en) Air cleaner for vehicle
CN113006983B (zh) 一种高稳定型具有降噪功能的车用空气滤清器
CN216653792U (zh) 一种布袋除尘器的收集罩
KR102271957B1 (ko) 차량용 공기 청정기
CN1625430A (zh) 两级空气过滤器
JP2006289169A (ja) 空気清浄機
CN214536368U (zh) 一种吸油烟机
CN220453961U (zh) 消音装置及燃气热水设备
KR19980052706U (ko) 에어크리너 구조
CN214577467U (zh) 一种汽车空气滤清器进气装置
KR100528203B1 (ko) 에어 클리너의 여과 엘리먼트
KR0138930B1 (ko) 에어덕트 하우징을 갖는 자동차의 차체구조
KR830002409Y1 (ko) 자동차용 공기청정기의 여과통
JP4708069B2 (ja) 空気清浄機
KR0133757B1 (ko) 진공청소기의 흡음방 장착구조
KR200143228Y1 (ko) 진공청소기 흡음방의 차음 보강구조
KR0124401Y1 (ko) 백 필터 집진기의 리테이너구조
KR20170014085A (ko) 공기 청정기의 필터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