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928Y1 - 피벗형의 문짝용 경첩 - Google Patents

피벗형의 문짝용 경첩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928Y1
KR0121928Y1 KR2019950021017U KR19950021017U KR0121928Y1 KR 0121928 Y1 KR0121928 Y1 KR 0121928Y1 KR 2019950021017 U KR2019950021017 U KR 2019950021017U KR 19950021017 U KR19950021017 U KR 19950021017U KR 0121928 Y1 KR0121928 Y1 KR 01219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hinge body
intermediate hinge
movabl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10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9953U (ko
Inventor
겐이치 야마다
유즈루 사토
Original Assignee
다키모토 히데아키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키모토 히데아키, 다키겐 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키모토 히데아키
Priority to KR20199500210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1928Y1/ko
Publication of KR9700099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9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9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9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2축 힌지식의 피벗형 경첩에 있어서, 중간힌지체와 가동힌지체를 순서로 개폐시키기 위한 회동규제 구조를 개량하고, 부품개수가 적고 염가로 제조할 수 있고, 게다가 작은 사이즈화가 용이한 경첩을 얻는다.
고정 가동의 양힌지체(4,5)의 접속부 (11,19)를 중간힌지체의 편면에 양자 (11,19) 의 상대회전 규제의 일부가 겹치는 상태에서 인접 배치한다. 각 접속부 (11,19)를 반개방축(7) 과 완전개방축(8) 으로 중간힌지체(6) 에 연결한다. 양접속부 (11,19)를 회동규제체에 이용하여, 둘레면의 각각에 오목효상의 규제오목부 (14,21)를 설치한다.
가동힌지체(5) 측의 규제오목부(21)는 닫음위치로부터 반개방 위치까지 접속부(11)의 둘레면에 의접하고, 가동힌지체(5) 의 희동을 저지한다. 고정힌지체(4) 측의 규제오목부(14)는 반개방 위치로부터 완전개방 위치까지 접속부(19)의 둘레면에 외접하여, 중간 힌지체(6) 가 반개방축(7) 주위로 회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Description

피벗형의 문짝용 경첩
본 고안은 2개의 힌지축을 갖는 피벗형의 문짝용 경첩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이 종류의 경첩은 일본 실개평 2-11983호 공보나 일본 실공평 3-12138호 공보등에 공지되어 있다. 이들은, 상하로 겹치는 3개의 힌지체와 2개의 힌지축을 힌지요소로하여 경첩을 구성한다. 3개의 힌지체중, 상하단의 각 힌지체를 개구틀과 문짝에 고정하고, 중간의 힌지체를 상하의 각힌지체에 대하여 2개의 힌지축으로 연결하고 있다. 문짝을 닫음위치로 부터 열기 조작하면, 분짝측의 힌지체와 중간의 힌지체가 한쪽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반개방 위치까지 동행요동하고, 이후는 문짝측의 힌지체만이 다른편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완전개방 위치까지 열기 요동할 수 있다. 이와같은 순차 동작을 확실히 행하기 위하여, 중간의 힌지체와 상하의 각힌지체와의 사이에, 록기구나 스토퍼 기구를 설치하여 있다.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이와 같은 종래의 문짝용 경첩에서는 구성부품개수가 많고, 각힌지체의 가공공수도 많기 때문에, 경첩의 제조코스트가 높아진다. 록기구나 스토퍼 기구를 중간 힌지체의 내부에 짜넣기 때문에 전체를 소형화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이 코스트가 놓고 소형화가 곤난한 경첩은 그 적용 대상이 비교적 대형으로 고가의 사무용가구등의 문짝에 한정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염가로 제조할 수 있는 2축 힌지식의 피벗형의 경첩을 얻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경첩 전체를 용이하게 소형화할 수 있어, 대형의 문짝에서 소형의 문짝까지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는 문짝용 경첩을 얻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외형치수가 작은 소형의 문짝을 반개방 위치와 완전개방 위치의 2단계로 열기 조작하는데 알맞는 염가로 소형의 문짝용 경첩을 얻는 것에 있다
본 고안에 관한 제 1의 문짝용 경첩은 고정힌지체(4) 와 가동힌지(5) 와 중간힌지체(6)을 갖고, 고정힌지체(4) 의 접속부(11)와 중간힌지체(6) 가 반개방축(7) 으로 , 가동힌지체(5) 의 접속부(19)와 중간힌지체(6) 가 완전개방축(8) 으로 , 각각 상대회동 자유로이 연결하고 있다.
양접속부 (11,19) 는 중간힌지체(6) 의 편면에 양자 (11, 19) 의 상대회전 궤적이 일부 겹치는 상태에서 인접배치되어, 각각의 둘레면 일부에 인접상대의 둘레면에 외접하는 규제 오목부 (14,21)를 설치한다.
고정힌지체(4) 와 중간힌지체(6) 와의 사이에 중간힌지체(6) 의 열림 요동한계를 반개방 위치로 규정하는 스토퍼(25)를 설정한다.
반개방 위치에 있어서 대향하는 양접속부 (11,19) 의 둘레면의 각각에 양규제 오목부 (14,21)를 정대(正對)하는 상태에서 형성한다.
본 고안에 관한 제 2의 문짝용 경첩은 고정힌지체(4) 와 가동힌지체(5) 와 중간힌지체(6), 및 1쌍의 회동규제체 (27,28)을 구비하고 있다. 양회동규제체(27,28)는 중간 힌지체의 편면에 양자 (27,28)의 상대회전 궤적이 일부 겹치는 상태에서 인접배치되어, 각각의 둘레면 1부에 인접상대의 둘레면에 외접하는 규제오목부(14,21)을 설치한다.
고정힌지체(4) 와 한쪽의 회동규제체(27)는 중간힌지체(6) 에 대하여 반개방축(7)을 사이에 두고 상대회동 자유로이 연결하고, 가동힌지체(5) 와 다른 편의 회동규제체(28)는 중간힌지체(6) 에 대하여 완전개방축(8)을 통하여 상대회동 자유로이 연결한다.
고정힌지체(4) 또는 회동규제체(27)와 중간힌지체(6) 와의 사이에, 중간힌지체(6)의 열림 요동한계를 반개방 위치로 규정하는 스토퍼(25)를 설치한다.
반개방 위치에 있어서 대향하는 양회동규제체 (27,28) 의 둘레면의 각각에 양규제 오목부 (14,21)를 정대하는 상태에서 형성한다.
본 고안에 관한 제 3의 문짝 경첩은 고정힌지체(4) 와 가동힌지체(5) 와 중간힌지체(6)를 갖고, 고정힌지체의 접속부(11)와 중간힌지체(6) 가 반개방축(7)으로, 가동힌지체(5) 의 접속부(19)와 중간힌지체(6) 가 온전개방축(8) 으로 , 각각 상대회동 자유로이 연결되어 있다.
중간 힌지체(6) 의 편면에 인접배치한, 양접속부 (11,19)의 인접둘레면간에 록피스(30)를 좌우 이동가능하게 개장하고, 양접속부 (11,19) 의 둘레면 일부의 각각에, 록피스(30)와 택일적으로 걸어맞춤하는 규제 오목부 (14, 21)을 설치한다. 고정힌지체(4) 와 중간 힌지체(6) 사이에 중간 힌지체(6) 의 열림요동한계를 반개방 위치로 규정하는 스토퍼 (25)를 설치한다. 반개방 위치에 있어서 록퍼스(30)를 끼는 양접속부 (11,19)의 대향 둘레면에 양구제 오목부 (14,21)를 정대하는 상태에서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의 제 3의 문짝 경첩에 있어서, 반개방축(7)과 완전개방축(8) 에 록피스(30)를 좌우이동만 자유로운 이행 안내하는 홀더(31)을 장착한다.
중간힌지체(6) 의 판면에 긴구멍(35)를 설치하고, 이 긴구멍(35)으로 록피스(30)를 좌우이동 자유로이 이행안내한다.
제 1 도는 문짝용 경첩의 횡단 평면도,
제 2 도는 캐비넷의 상하 중도부를 생략한 정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에 있어서 A-A 선 단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에 있어서 B-B 선 단면도,
제 5 도는 문짝용 경첩의 분해 사시도,
제 6 도는 가동힌지체의 동작을 도시하는 횡단 평면도,
제 7 도는 실시예 2에 관한 문짝용 경첩의 횡단 평면도,
제 8 도는 제 7 도에 있어서 C-C 선 단면도,
제 9 도는 실시예 3에 관한 문짝용 경첩의 횡단 평면도,
제 10 도는 제 9도에 있어서 D-D 선 단면도,
제 11 도는 문짝용 경첩의 분해 사시도,
제 12 도는 규제 오목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횡단 평면도,
제 13 도는 규제 오목부의 또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 14 도는 록피스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종단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개구틀 2:문짝
4:고정힌지체 5:가동힌지체
6:중간힌지체 7:반개방축
8:완전개방축 11:접속부
14:규제오목부 19:접속부
21:규제오목부 27:회동규제체
28:회동규제체 30:록피스
본 고안의 제 1의 경첩에서는 문짝(2)을 닫은 상태에서 , 가동힌지체(5) 측의 규제오목부(21)가 고정힌지체(4)의 접속부(11)의 둘레면에 외접하고 있기 때문에, 중간힌지체(6) 는 반개방축(7)을 중심으로 하여 열림요동할 수 있지만, 가동힌지체(5)는 접속부(11)가 방해가 되어 개폐 어느 방향으로도 요동할 수 없다. 중간힌지체(6) 는 스토퍼(25)가 작용하는 반개방 위치까지 열림 요동할 수 있다. 이때, 양규제오목부 (14,21) 가 정대 하므로, 이후는 가동힌지체(5) 만이 열림요동할 수 있고, 그 접속부(19)가 규제오목부(14)에 들어간 상태에서는 중간힌지체(6)는 닫히고 요동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양접속부 (11,19) 와 이들의 둘레면에 설치한 규제오목부 (14,21)에서 중간힌지체(6) 가 가동힌지체(5) 의 회동규제를 행하면, 경첩의 구성부품개수와 가공공수를 감소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 2의 경첩에서는 양접속부 (11,19) 애 대신하여, 규제오목부 (14,21)를 구비한 1쌍의 회동규제체(27,28)을 사용하는 점이 다른뿐, 제 1의 경첩과 꼭같이 회동규제를 행한다. 제 1의 경첩 보다 부품개수는 증가하지만, 그래도 아직 종래의 이 종류의 경첩에 비하여 구조를 간소화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 3의 경첩에서는 인접하는 접속부 (11,19) 사이에 록피스(30)를 설치하고, 반개방 위치를 끼고 문짝(2) 이 개폐할 때, 록피스(30)가 양규제오목부 (14,21)의 한쪽에서 다른쪽으로 주고받도록 하므로, 반개방 위치에 있어서 가동힌지체(5) 와 중간힌지체(6) 와의 사이에 유동틈새의 분만큼 문짝(2) 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고정힌지체(4) 의 접속부(11)와, 가동힌지체(5) 의 접속부(19)를 이용하여, 중간힌지체(5) 및 가동힌지체(5)의 회동규제를 행한다. 혹은 양접속부 (11,19)에 대신하여 하나의 회동규제체 (27, 28)를 사용하여 , 중간힌지체(6) 및 가동힌지체(5) 의 회동규제를 행하므로, 종래의 2축 힌지식의 피벗형 경첩에 고 있하여, 구성부품개수와 가공공수를 감소하여 경첩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어, 그분만큼 제조코스트를 감소할 수 있다.
부품개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함으로 , 경첩 전체를 지장없이 소형화할 수 있어, 소형의 문짝에 있어서도 반개방, 완전개방의 2단계로 열기조작이 가능한 2축 힌지형의 경첩을 사물에 구애치 않고 적용할 수 있다.
인접하는 접속부(11,19)사이에 록피스(30)를 개장하여 , 반개방 위치에 있어서 록피스 (30)를 양규제오목부 (14,21)의 한쪽에서 다른쪽에로 주고받는 문짝용 경첩에 의하면, 반개방 위치에 있어서 문짝 (2)의 흔들림을 해소하여 , 그 위치 유지를 확실히 행해진다.
(실시예)
(실시예 1)
제 2도에 있어서, 부호 1은 캐비넷의 개구틀, 2는 문짝이다. 문짝(2) 은 개구틀(1)의 상하에 고정한 1쌍의 경첩(3)으로 지지되어 있고, 닫음위치로부터 90로 요동한 반개방 위치와 닫음위치로부터 180도 요동한 안전개방 위치로 열림조작할 수 있다.
더욱 경첩(3,3)의 구조는 상하 및 좌우로 대칭한 관계에 있으므로, 하방 오른쪽 모퉁이의 경첩(3)만을 이하에 설명한다.
제 3 도 및 제 4 도에 있어서, 경첩(3)은 개구틀(1) 에 고정되는 고정힌지체(4) 와 문짝(2)에 고정되는 가동힌지체(5) 와 향힌지체(4,5)를 접속하는 중간힌지체(6)를 갖고, 고정힌지체(4)와 중간힌지체(6)를 반개방축(7)으로 연결하고, 중간힌지체(6) 와 가동힌지체(5)를 완전개방축(8)으로 연결한다. 이를 각힌지체(4,5,6)는 각각 스테인리스 판재의 프레스 성형품으로 된다.
제 5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힌지체(4)는 역 L자형 단면의 부착벽(10)과, 부착벽(10)의 1측 하단에 연속하여 수평으로 접어 구부러진 접속부(11)를 갖고, 부착벽(10)의 입벽부의 2개소에 비스용의 끼워통하기 구멍(12)을 설치하고, 접속부(11)에 반개방축(7) 용의 연결구멍(13)을 설치한다.
가동힌지체(5)는 판면의 좌우에 2개의 비스용의 끼워 통하기 구멍(17)이 설치되어 있는 부착벽(18)과 그의 1측 하단에 연속하여 수평으로 접어 구부러진 접속부(19)를 갖고, 접속부(19)에 완전개방축(8) 용의 연결구멍(20)을 설치하여 있다.
중간힌지체(6)는 4각형상의 수평의 판면을 갖고, 판면의 좌우 2개소에 반개방축(7) 및 완전개방축(8) 용의 연결구멍(23)을 설치하고, 판면의 한쪽의 장변부 전체를 직각으로 접어 구부려서 스토퍼(25)로 하고, 다른 한편의 장변부의 중도부 1개소에 스토퍼 돌기(26)를 설치하여 이룬다. 중간힌지체(6) 의 상면측의 면벽에 고정. 가동의 양힌지체(4,5)의 접속부(11,19)를 양자(11,19) 의 앗대회전 궤적이 일부 겹치는 상태에서 인접배치하고, 각각의 연결구멍(13,20)에 끼워통한 반개방축(7) 및 완전개방축(8)을 각 연결구멍(23)에 끼워통하여 코킹고정한다. 필요에 따라 와셔나 플라스틱 와셔를 개장한다.
중간힌지체(6) 와 가동힌지체(5)는 택일적으로 개폐요동하여, 문짝(2)을 닫음위치와 반개방 위치와의 사이, 및 반개방 위치와 완전개방 위치 사이에서 개폐이동시킨다.
이들 양힌지체(6,5)를 규정한 순번으로 개폐요동시키기 위하여, 고정, 가동의 양힌지체(4,5)의 접속부(11,19)를 회동규제체에 이용하여 각 힌지체(4,5,6) 상호의 회동규제를 행하고 있다.
상세히는 각접속부 (11,19) 의 원호둘레면에, 인접상대측의 둘레면에 외접하는 원호상의 규제오목부(14,21)를 각각 설치한다. 가동힌지체(5) 측의 규제오목부(21)는 접속부 (19)의 원호둘레면과 이에 연속하는 직선상의 축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고, 문짝(2)이 닫음위치에 있을 때 (제 3 도의 상태), 그 오목부 중심이 반개방축(7)과 완전개방축(8)의 중심 끼리를 연결하는 직선상에 위치한다. 또 고정힌지체(4) 측의 규제오목부(14)는 중간힌지체(6)가 반개방 위치로 열림요동하였을 때, 상기의 규제오목부(21) 와 정대하는 위치에 설정한다. 더욱, 접속부(19)측의 규제오목부(21)의 현의 길이는 접속부(11)측의 규제 오목부(14)의 현의 길이 보다 길다.
제 3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문짝(2)을 닫은 상태에서는 고정,가동의 양힌지체(4,5)의 부착벽(10,18)이 평행으로 되어 있고, 고정힌지체(4)의 접속부(11)에 설치한 규제오목부(14)는 스토퍼(25)와 대향하고 있다. 가동힌지체(5) 측의 규제오목부(21)는 고정힌지체(4) 측의 접속부(11)의 원호둘레면에 외접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접속부(11)의 둘레 가장자리의 일부가 접속부(19)의 회동궤적내의 규제오목부(21)에 들어가 있으므로, 가동 힌지체(5) 는 완전개방축(8)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할 수 없다.
상기의 상태에서 문짝(2)을 열기조작하면, 중간힌지체(6) 가 반개방축(7)을 중심으로 하여 열림요동하고, 완전개방축(8) 의 중심을 개구틀(1)의 외면밖으로 요동면위시킨다.
이때, 가동힌지체(5) 는 중간힌지체(6) 에 동행하여 요동하고, 제 1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규제오목부(21)는 접속부(11)의 원호둘레를 따라서 이행한다. 반개방 위치에 도달하기 까지는 가동힌지체(5)의 접속부(19)의 옆가장자리가 스토퍼돌기(26)와 맛닿고 있으므로, 열기도중에 문짝(2)를 닫기 조작하면, 양힌지체(5,6)를 닫음위치로 동행요동할 수 있다.
반개방 위치에 있어서는 중간힌지체(6) 의 스토퍼(25)가 고정힌지체(4) 의 접속부(11)의 옆가장자리에 맞닿아서, 이 위치를 지나서 중간힌지체(6)가 열기요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이때 가동힌지체의 규정오목부(21)는 제 1 도에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힌지체(4) 축의 규제오목부(14)와 정대하고 있지만, 그 회동하수측의 오목면의 일부는 양규제오목부 (14,21)의 현의 길이 차이분만큼 접속부(11)의 원호둘면에 맞닿아서, 가동힌지체(5) 가 닫음측으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후, 더욱, 문짝(2)을 열기조작하면, 제 6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힌지체(5)만이 완전개방축(8)을 중심으로 하여 열림요동한다.
이 열림요동에 동반하여 접속부(19)의 원호둘레면이 규제오목부(14)내에 들어가, 고정힌지체(4) 와 중간힌지체(6)의 상대회동을 저지한다. 이 때문에 중간힌지체(6)는 반대방축(7)을 중심으로 하여 닫음 방향으로 요동할 수 없고, 가동힌지체(5) 만이 개폐 쌍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다. 가동힌지체(5) 의 열림한계 위치는 그 부착벽(18)을 스토퍼편(25)의 측단면(25a)에서 막아내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문짝(2)을 닫음조작할때에는 반개방 위치까지 가동힌지체(5) 만이 닫음요동한다.
반개방 위치를 넘으면, 가동힌지체(5)에 작용하는 닫음모멘트가 그 접속부(19)의 옆가장 자리에 맞닿는 스토퍼 돌기(26)를 통하여 중간힌지체(6) 에 전달하므로, 양힌지체(5,6)는 동행하여 닫음요동하고, 규제오목부(21)는 다시 접속부(11)의 원호 둘레가장자리에 되접한다.
각 힌지체(4,5,6,)를 프레서 성형품으로 형성하고, 한쌍의 접속부 (11,19)를 회동규제체에 이용하여, 가동힌지체(5) 및 중간힌지체(6) 의 회동규제를 행하는 상기의 실시예에 의하면, 경첩 1개 당의 전구성 부품개수를 불과 5개로 감소할 수 있어, 각 부품의 가공에 요하는 공수도 감소하여, 경첩(3)을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전체를 다만 스케일 다운하은 것 뿐으로 ,지장없이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부품개수가 적은 분 만큼, 고장의 가능성을 감소할 수 있는 점에서도 유리하다.
(실시예 2)
제 7 도 및 제 8 도는 본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문짝용 경첩을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고정,가동의 양힌지체(4,5)의 접속부(11,19)를 중간힌체(6)의 하면에 인접배치하고, 중간힌지체(6)의 상면에 고정,가동의 각힌지체(4,5)와 동행회동하는 한쌍의 회동규제체(27,28)를 양자(27,28)의 상대회전궤적이 일부 겹치는 상태에서 인접배치한다. 그위에, 상기 실시예와 꼭같이 각회동규제체(27,28)의 원호둘레면의 1부에 각각 규제오목부(14,21)를 형성하였다. 고정힌지체(4) 와 반개방축(7)과 회동규제체(27)는 상대회동 불능으로 연결한다. 가동힌지체(5) 와 완전개방축(8) 과 회동규제체(28)도 꼭같이 상대회동 불능으로 연결한다.
이와 같이 독립부품화한 회동규제체(27,28)는 그 두께를 자유로 변경설정할 수 있고, 정밀주조나 금속선삭가공품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필요가 있으면, 플라스틱 성형품을 이용할 수 있다. 더욱, 실시예(1)과 동등의 부재에는 동일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3)
제 9 도 내지 제 11 도는 본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문짝용 경첩을 도시한다. 이 실시예의 경첩은 기본적으로 실시예 1의 경첩과 꼭같이 구성하지만, 이하의 점에서 다르다. 고정,가동의 양힌지체(4,5)의 접속부(11,19)를 틈새(E)를 사이에 두고 인접 배치하고, 양접속부 (11,19) 의 인접 둘레면간에 록피스(30)를 개장한다.
더욱, 록피스(30)를 좌우이동만이 자유로 이행안내하는 홀더(31)를 설치하고, 이를 양접속부(11,19)의 상면에 덮고, 반개방축(7) 및 완전개방축 (8)에서 끼워 통하여 고정한다.
록피스(30)는 금속원판으로 되고, 그 반경치수에 일치하는 규제오목부 (14,21)를 각 접속부 (11,19) 의 원호 둘레면에 형성한다.
제 11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더(31)는 스테인리스판재로 안경틀상으로 형성한 프레스성형품으로 이루고, 좌우 양측의 판면에, 반개방축(7) 용의 끼워 통하기 구멍(32)과 완전 개방축(8) 용의 끼워 통하기 구멍(33)을 통설하고, 판면중앙의 전후에 록피스(30)를 유지하는 한쌍의 클릭편(34)을 하향으로 접어 구부리다. 1쌍의 클릭편(34)의 전후방향의 대향 간격은 록피스(30)의 직경치수 보다 약간 크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실시예 1과 동등의 부재에 동일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문짝(2)을 반개방 위치로 열고 조작하였을 때, 록피스(30)는 가동힌지체(5) 측의 규제오목부(21)내에 들어간다. 이 상태에서 문짝(2)을 다시 열기조작하면, 제 9 도에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록피스(30)가 규제오목부(21)로부터 밀어내어져, 고정힌지체(4)측의 규제오목부(14)로 들어간다. 록피스(30)가 규제오목부(14)내에 완전히 들어가면, 중간힌지체(6) 는 닫음방향으로 요동하지 않고, 가동힌지체(5) 만이 계폐쌍 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개방 위치에 있어서, 록피스(30)를 양규제오목부(14,21)의 한쪽에서 다른쪽에도 주고받는 형태에 의하면, 정대하는 규제오목부(14,21) 간의 유동 틈새를 작게할 수 있으므로, 문짝(2)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2 도는 규제오목부(21)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여기서는 규제오목부(21)를 모자의 외곽선상의 이형오목부로 형성하고, 그 양단의 맞닿는 편(21a)만을 접속부(11)의 원호둘레면과 맞닿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규제오목부(14.21)의 오목부형상은 오목호일 필요는 없고, 인접상대의 둘레면의 적어도 2점에 외접할 수 있는 형상이면 된다.
제 13도에 도시하는 규제오목부(21)는 스토퍼돌기(26)와 자닿는 접속부(19)의 측끝 가장 자리(19a)를 실시예1의 규제오목부(21)의 오목부중심에 있어서 외접선에 따라 형성하고, 규제오목부(21)의 접속부(11)에 대한 맞닿는 면적을 감소 시켰다.
제 14 도는 록피스(30)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거기서는 록피스(30)를 단촉상으로 형성하고, 중간힌지체(6)의 연결구멍(13,20) 사이의 판면에 좌우로 긴구멍(35)을 형성하고, 이 긴구명(35)에 록피스(30)의 축부(36)를 좌우 이동가능하게 코킹 고정하였다
상기 이외에도 독립부품화한 회동규제체(27, 28)에 각각 반개방축(7) 및 완전개방축(8)을 일체로 설치할 수 가 있다. 문짝(2)의 만개방각도는 예각에서 둔각의 범위로 임의로 설정할 수 있어, 완전개방 각도도 임의로 설정할 수가 있다.
스토퍼(25)는 고정힌지체(4) 나 회동규제체(27)측에 설치하여도 좋다. 접속부(11,19) 및 회동규제체(27,28)의 둘레면은 원호면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각형상으로 형성하더라도 좋다.
고정,가동힌지체(4,5)의 부착구조는 자유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들면 고정힌지체(4)는 개구틀(1)의 천정면 혹은 밑면에 부착하여도 좋다. 또 가동힌지체(5)는 문짝(2)의 상하단면에 부착하여도 좋다.
실시예 3에 있어서도 실시예 2와 꼭같이 한쌍의 회동규제체(27,28)을 설치하여 , 이들에게 규제오목부 (14,21)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3에 있어서 틈새(E)는 반드시 꼭 필요치는 않다.

Claims (5)

  1. 고정힌지체(4) 와 가동힌지체(5) 와 중간힌지체(6)을 갖고 있으며, 고정힌지체(4)의 접속부(11)와 중간힌지체(6)가 반개방축(7) 으로, 가동힌지체(5) 의 접속부(19)와 중간 힌지체(6)가 완전개방축(8) 으로, 각각 상대회동 자유로이 연결하여 있는 문짝용 경첩에 있어서, 양접속부 (11·19)는 중간힌지체의 편면에, 양자 (11·19) 의 상대회전 궤적이 일부 겹치는 상태에서 인접배치되어, 각가의 둘레면 일부에 인접상대의 둘레면에 인접하는 규제오목부 (14·21) 가 설치되어 있고, 고정힌지체(4) 와 중간힌지체(6) 와의 사이에, 중간힌지체(6)의 열림요동한계를 반개방 위치로 규정하는 스토퍼(25)가 설치되어 있고, 반개방 위치에 있어서 대향하는 양접속부 (11·19)의 둘레면의 각각에 양규제오목부 (14·21)가 정대하는 상태로 형성하고 있는 피벗형의 문짝용 경첩.
  2. 고정힌지체(4)와 가동힌지체(5)와 중간힌지체(6), 및 한쌍의 회동규제체 (27·28)을 구비하여 있고, 양회동규제체 (27·28)는 중간힌지체의 편면에 양자 (27·28)의 상대 회전궤적이 일부 겹치는 상태에서 인접배치되어, 각각의 둘레면 일부에 인접상대의 둘레면에 외접하는 규제오목부 (14·21)가 설치되어 있고, 고정힌지체(4)와 한쪽의 회동규제체(27)는 중간힌지체(6)에 대하여 반개방축(7)을 사이에 두고 상대회동 자유로이 연결되고, 가동힌지체(5)와 다른쪽의 회동규제체(28)는 중간힌지체(6)에 대하여 완전개방축(8)을 통하여 상대회동 자유로이 연결되어 있고, 고정힌지체(4) 또는 회동규제체(27)와 중간힌지체(6)가 와의 사이에 중간힌지체(6) 의 열림요동한계를 반개방 위치로 규정하는 스토퍼(25)가 설치되어 있고, 반개방 위치에 있어서 대향하는 양회동 규제체 (27·28)의 둘레면의 각각에 양규제오목부 (14·21)가 정대하는 상태로 형성하고 있는 피벗형의 문짝용 경첩.
  3. 고정힌지체(4)와 가동힌지체(5)와 중간힌지체(6)를 가지고 있으며 고정힌지체(4)의 접속부(11)와 중간힌지체(6)가 반개방축(7)으로 가동힌지체(5)의 접속부(19)와 중간힌지체(6)가 완전개방축(8)으로, 각각 상대회동 자유로이 연결하고 있는 문짝용 경첩에 있어서, 중간힌지체(6)의 편면에 인접배치한 양접속부 (11·19)의 인접둘레면 간에 록피스(30)가 좌우 이동가능하게 개장되어 양접속부 (11·19)의 둘레면 일부의 각각에 록피스(30)와 택일적으로 걸어맞춤하는 규제오목부 (14·21)가 설치되어 있고, 고정힌지체(4)와 중간힌지체(6)와의 사이에, 중간힌지체의 열림요동한계를 반개방 위치로 규정하는 스토퍼(25)가 설치되어 있고, 반개방 위치에 있어서, 록피스(30)를 끼는 양접속부 (11·19)의 대향둘레면에 양규제오목부 (14·21)가 정대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피벗형의 문짝용 경첩.
  4. 제 3항에 있어서, 반개방측(7)과 완전개방측(8)에 록피스(30)를 좌우이동만 자유로이 이행안내하는 홀더(31)가 장착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벗형의 문짝용 경첩.
  5. 제 3항에 있어서, 중간힌지체(6)의 판면에 긴구멍(35)이 설치되어 있고, 이 긴구멍(35)으로 록피스(30)를 좌우이동 자유로이 이행안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벗형의 문짝용 경첩.
KR2019950021017U 1995-08-16 1995-08-16 피벗형의 문짝용 경첩 KR01219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1017U KR0121928Y1 (ko) 1995-08-16 1995-08-16 피벗형의 문짝용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1017U KR0121928Y1 (ko) 1995-08-16 1995-08-16 피벗형의 문짝용 경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953U KR970009953U (ko) 1997-03-29
KR0121928Y1 true KR0121928Y1 (ko) 1998-09-15

Family

ID=19420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1017U KR0121928Y1 (ko) 1995-08-16 1995-08-16 피벗형의 문짝용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192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953U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2863A (en) Operator for a closure
US20020004969A1 (en) Compound hinge
JP2019116815A (ja) 安全性を向上させる挟み込み防止ドア
KR0121928Y1 (ko) 피벗형의 문짝용 경첩
KR102177949B1 (ko) 구조가 개선된 도어 클로저 장치
KR20030053196A (ko) 도어 힌지
JP2007056515A (ja) 二軸ヒンジ装置
EE200200503A (et) Lengi suhtes liikuva aknatiivaga akna või ukse sulusesõlm ning avatava aknatiiva ja paigalseisva lengiga aken või uks
JP5358042B2 (ja) 隠し丁番
KR20010061859A (ko) 체커 기능을 갖는 도어힌지
KR200389929Y1 (ko) 냉동컨테이너의 슬라이드도어 개폐장치
JPH0942350A (ja) ダンパ機構
JPH0849463A (ja) ピボット型の扉用蝶番
KR20030039750A (ko) 체커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도어힌지
KR20030090134A (ko) 체커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도어힌지장치
JP3669983B2 (ja) ドアの開閉構造
KR200345030Y1 (ko) 안전도어 개폐장치
KR102574735B1 (ko) 회동식 창호용 개폐 조절장치
JPH0734118Y2 (ja) 2軸構造継手
KR200265446Y1 (ko) 기어 힌지
JPH02304186A (ja) 扉装置
KR20030058323A (ko) 이동회전점을 갖는 공작기계의 도어 개폐구조
KR200360278Y1 (ko) 회동식 창호용 스테이바
KR100704500B1 (ko) 도어용 힌지
JP2971365B2 (ja) 中折りドア類の施解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