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544B1 - 결상 및 역상 검출 과전류 릴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결상 및 역상 검출 과전류 릴레이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544B1
KR0121544B1 KR1019890009600A KR890009600A KR0121544B1 KR 0121544 B1 KR0121544 B1 KR 0121544B1 KR 1019890009600 A KR1019890009600 A KR 1019890009600A KR 890009600 A KR890009600 A KR 890009600A KR 0121544 B1 KR0121544 B1 KR 0121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latch
gate
resistor
com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9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3886A (ko
Inventor
김종환
Original Assignee
김인석
삼화기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석, 삼화기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인석
Priority to KR1019890009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1544B1/ko
Publication of KR910003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상 및 역상 검출과 과전류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결상 및 과전류 뿐만 아니라 부족 전압까지도 검출하여 제어하도록 된 것과 전류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각 전원선에서 감지된 신호를 각 상에 따른 전압분배를 역상 및 결상 검출용 NAND 게이트에 입력시키도록 되고 다이오드를 통해서는 결상, 과전류 그리고 부족전압 기능 등을 갖는 계전기를 제공함으로써 복합계전기로의 동작원까지도 확인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결상 및 역상 검출 과전류 릴레이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을 설명키 위한 실시예의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키 위한 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R.S.T : 삼상전원단자 G1-G4: NAND 게이트
A1-A6: 비교기 N1-N3: 노아게이트
BD : 브리지정류회로 PT : 전원트랜스
LE1- LE3: 발광다이오드 VR1- VR4: 가변저항
C1- C5및 C21- C23및 C41- C43, C61- C64: 콘덴서
R1- R5및 R21- R37, R41-R51, R62- R68: 저항
D1및 D21- D25및 D41-D48, D61-D65: 다이오드
Q1: 트랜지스터 Ry : 릴레이
Z1- Z3: 제너다이오드 S1- S3: 푸쉬스위치
D LATCH : 랫치 IC.
숫자 7815는 정전압회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결상 및 역상 검출과 과전류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결상이나 역상 및 과전류 뿐 아니라 부족전압까지도 검출하여 제어하도록 된 것과 전류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3상 전동기에 있어서는 열동형 계전기에 의해 과전류를 방지하도록 된 것이므로 오래 사용하는데 따라 그 특성이 변하여 사용할 수 없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전동기의 소손을 초래하여 막대한 지장을 초래해 왔다.
이를 시정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정지형으로 되는 수많은 특허와 실용신안을 제안하고 또 등록되고 출원중에 있다.
또 실용공보 공고번호 제89-2158호 및 제89-2159호에 의하면 3상 전원을 변류기로 정류하고, 정상전압과 결상에 의한 불평형 삼상전압을 2차화하여 이를 비교 검출함으로서 결상검출하도록 되고 또 실용공보 제89-2160호에 의하면 역시 별도의 기준전압을 비교기로서 비교검출하는 과전류 계전기가 공고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회로에 있어서는 멀티바이브레타회로 또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타회로에 의해 릴레이 통전용 트랜지스터를 ON-OFF 되도록 된 것이며 모두가 별도의 변류기를 사용하여 전파정류하고 또 필터 및 평활회로를 통해 비교기 회로에 연결해야 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각 전원선(R.S.T)에서 감지된 신호를 각 상에 따른 전압분배를 역상 및 결상 검출용 NAND 게이트에 입력시키도록 되고 다이오드를 통해서는 결상 및 과전류는 물론 부족전압기능 등을 갖는 계전기를 제공함으로서 복합계전기로의 동작원까지도 확인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술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회로도로 각 전원선(R.S.T)에서 감지된 신호는 전압분배저항(R21,R22,R23) 및 저항(R24,R25,R26)을 통해 NAND 게이트(G1-G3)의 일측 입력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또 제너다이오드(Z1-Z3)에 의해 상기한 입력측에 전압을 일정하게(예 : 12V) 유지 공급하도록 되었으며, 또 저전압 계전기인 비교기(A1-A3)의 비교반전단자(+)에는 입력보호용 다이오드(D41,D42,D43)과 저항(R41,R42,R43)과 저전압용 정류기인 다이오드(D44,D45,D46)이 연결되었으며, 또 상기한 저항(R41,R42,R43) 및 다이오드(D41,D42,D43)이 연결점에는 과전압 정류용 다이오드(D61,D62,D63)가 저항(R61)을 통해 비교기(A4)의 비반전단자(-)에 연결되어 과전류를 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전원 Vcc는 저항(R50)과 가변저항(VR1) 및 저항(R51)이 직렬연결로 접지되고 가변저항(VR1)의 가동단자가 상기 비교기(A1-A3)의 비반전입력단에 연결됨과 동시 콘덴서(C43)로 접지되어 있고, 또 전원 Vcc은 저항(R67,R68)과 직렬연결된 가변저항(VR2)를 통해 비교기(A4)의 반전입력단자(+)에 그리고 콘덴서(C64)가 접지되고 또 비반전입력단자(-)에도 저항(R62)과 콘덴서(C61)가 병렬로 되어 접지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NAND 게이트(G1,G2,G3)의 출력단은 다이오드(D21,D22,D23)와 저항(R27,R28,R29)를 통해 비교기(A5)의 반전단자(+)에 연결됨과 동시 저항(R30)으로는 전원(Vcc)에 연결되고 또 그 출력은 콘덴서(C21)와 다이오드(D24) 및 저항(R34)으로 되는 미분회로와 저항(R33)을 통해 비교기(A6)의 반전단자에 그리고 비반전입력단자에는 저항(R31)과 콘덴서(C22)가 병렬로 전원(Vcc)에 연결되었으며, 비교기(A6)의 출력은 다이오드(D25)와 저항(R35) 및 랫치 IC(D LATCH)를 통해 NOR 게이트의 상측 입력단자에 연결됨과 동시 접지사이에 발광다이오드(LE1)와 저항(R37)으로 연결하여 결상신호회로가 구성되었으며, 또한 상기한 비교기(A1,A2,A3)의 출력은 각기 NOR 게이트(N1)의 입력측에 연결되고 NOR 게이트(N1)의 출력은 다이오드(D47) 및 저항(R48)과 랫치 IC(D LATCH)를 통해 NOR 게이트(N2)의 2번 입력단자에 다이오드(D48)와가변저항(VR3)을 병렬로 하여 연결됨과 동시 저항(R47)으로 접지되도록 된 발광다이오드(LE2)가 연결되어 역상감지회로가 구성되었으며, 또 상기한 비교기(A4)의 출력측은 저항(R63)과 NAND 게이트(G4) 및 다이오드(D64), 저항(R64)에서 랫치 IC(D LATC H)를 거쳐 다이오드(D65)과 가변저항(VR4)과 병렬로 하여 상기한 NOR 게이트의 3번째 입력단에 연결됨과 동시 저항(R66)으로 트랜지스터(Q2)로 접지되도록 된 발광다이오드(LE3)가 연결되어 과전압 감지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한 NOR 게이트(N2)의 출력은 저항(R3)을 통해서는 에미터 접지되고 콜렉터는 릴레이(Ry)를 통해 브리지다이오드(BD)의 정류전압에 연결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연결됨과 동시 그 출력의 일부는 NOR 게이트(N3)를 통해 랫치 IC(D LATCH)에 연결되고, 또 브리지다이오드(BD)의 입력측의 콘덴서(C1)가 접지된 단자는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연결되어서 된 것이다.
도면중 콘덴서 C2, C3, C4및 숫자 7815는 정전압 회로를 구성하여 전원(Vcc)으로 공급키 위한 것이며, S1, S2, S3은 푸쉬보우턴스위치, R1, R2는 저항이며, PT는 전원트랜스를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본 발명 회로에 있어서 역상회로 및 결상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전압분배용 저항(R21,R24와 R22,R25및 R23,R26)에 의해 각 상에 대한 분배전압이 되고, 제너다이오드(Z1,Z2,Z3)에 의해 NAND 게이트(G1,G2,G3)의 입력전압을 예를들어 12볼트로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 경우에 있어서 정상운전시는 NAND 게이트(G1-G3)의 삼상입력 파형은 제2a도의 (a)와 같은 파형으로 입력되나 상간의 겹쳐진 사선부분은 스프릿트되어 NAND 게이트(G1-G3)의 출력은 L신호가 나타나고, 비교기(A5)의 입력은 각상의 분배저항(R30)과 저항(R27)에는 3V, 저항(R30)에서 저항(R28)에는 6V, 저항(R30)에서 저항(R29)에는 9V가 되도록 하므로서 제2a도의 (c)와 같은 계단파가 상기한 비교기(A5)의 출력측에 나타나 콘덴서(C21)과 다이오드(D24) 및 저항(R34)에 의한 미분회로에 의해 3V 피크값을 갖는 제2a도의 (d)와 같은 톱니파가 발생된다.
따라서 비교기(A6)의 비교전압이 4.5V에 설정시키는 경우 비교기(A6)의 출력 또한 L가 되어 정상을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전원선(R.S.T)중 어느 하나에라도 역상 또는 결상이 감지되면, 제2b도의 (c)(역상) 및 2c도의 (c)(역상시)와 같은 6볼트의 변화폭을 갖는 구형파가 주기적으로 나타나 상기한 미분회로의 작용으로 비교기(A6)의 반전입력단(+)에는 6V 톱니파 제2b도의 (d : 역상시) 및 2c도의 (d : 결상시)와 같은 파형이 입력되고 그 출력측에는 전원 Vcc 전압의 소폭인 구형파가 콘덴서(C23)에 충전되고, 랫치 IC(D-LATCH)를 통해 발광다이오드(LE1)를 발광시키게 되고 NOR 게이트(N2)의 출력이 L이 되어 ON 상태의 트랜지스터(Q1)를 OFF 시켜 릴레이(Ry)가 소자되며, 또한 NOR 게이트(N3)에 의해 랫치 IC(D-LATCH)를 랫치시킴으로서 ON 상태의 에미터 접지된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에 연결된 발광다이오드(LE1)를 계속하여 점등시켜 역상 동작을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트랜지스터(Q2)의 입력전압도 동시에 OFF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콘덴서(C5)에 충전된 전하가 저항(R4)를 통해 랫치 IC(D-LATCH)와 NOR 게이트(N1-N3)의 전원으로 계속 공급되며, 만약 트랜지스터(Q2)의 전원마저 OFF되면 OFF되어 전력소모가 많은 발광다이오드(LE1)만이 소등되고, 랫치 IC(D-LATCH)에만 동작을 계속 유지되는 동작 상태가 일정기간 즉 콘덴서(C5)의 충전전하가 완전방전되기까지 기억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역상 및 결상 회로에 더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인 부족전압에 대한 설명을 한다.
즉 다이오드(D44-D46)으로 반파정류되고 분배저항(R41과 R44) 및 (R42와 R45)와 (R43과 R46)에 의해 각기 분배된 미세한 전원전압은 비교기(A1-A3)의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고 기준전압을 하한치, 상한치, 설정저항(R50,R51및 가변저항 VR1)에 의해 비반전입력단자(-)에 필요한 전압이 설정인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만약 전원선(R.S.T)에서 감지되는 신호전압이 설정전압 이하로 나타나면 비교기(A1-A3)의 출력은 L이 되어 NOR 게이트(N1)의 출력은 H가 되어 다이오드(D47) 및 콘덴서(C41)와 저항(R48,R49)으로 되는 필터회로를 거쳐 랫치 IC의 버퍼다이오드(D1)를 통해 시정수회로인 가변저항(VR3)과 콘덴서(C42)의 설정된 시간후에 NOR 게이트(N2)의 일측이 H로 되므로 그 출력은 즉시 L로 변하여 NOR 게이트(N3)를 통해 랫치 IC(D-LATCH)회로를 랫치시킴과 동시에 트랜지스터(Q)를 OFF하게 되어 릴레이(Ry)는 소자되고 본 발명 복합계전기는 동작상태가 되어 표시기인 발광다이오드(LE2)가 점등되어 부족전압임을 알려주게 되는 것이다.
다음 과전압시의 동작 설명을 한다. 즉 각 전원선(R.S.T)중 어느 하나에라도 과전압이 감지되는 경우 다이오드(D61,D62,D63)중 어느 하나에 의해 반파정류되어 저항(R1)을 통해 비교기(A4)의 입력단자(-)에 인가되기 전 저항(R62)과 콘덴서(C61)로 필터되어 인가되면 비교기(A4)의 출력은 L이 되어 NAND 게이트(G4)의 출력은 H가 되고 다이오드(D64)와 저항(R64) 및 콘덴서(C62)와 저항(R65)에 의해 필터되어 랫치 IC(D-LATCH) 및 가변저항(VR4)와 콘덴서(C63)의 시정수에 따른 시정시간뒤 NOR 게이트(N2)의 아래 입력단에 입력되므로 NOR 게이트(N2)의 출력은 L이 되어 역상 및 결상시와 같이 트랜지스터(Q1)를 OFF시키고 NOR 게이트(N3)로 랫치 IC를 랫치하게 되고 표시등인 발광다이오드(LE3)가 점등되어 신호하게 되는 것이며, 과전압회로 테스트시 스위치(S1)을 눌러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역상이나 결상 뿐 아니라 부족전압이나 과전압 감지기능을 갖는 복합계전기로 되는 것이므로 표시등이 발광다이오드(LE1,LE2,LE3)이 각기 설치되어 혹은/또는 3가지 기능중 어느 하나의 비정상으로 인하여 릴레이가 동작하여 전체전원이 차단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확인스위치(S3)를 ON시켜 주므로서 발광다이오드(LE1,LE2,LE3)가 점등되어 복합계전기중 어느것이 원인인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원전압이 다시 공급되지 않으며 리세트보턴(S2)을 눌러도 트랜지스터(Q2)가 OFF되고 있는 한은 콘덴서(C5)의 방전회로가 구성되지 않아 결코 랫치 IC(D-LATCH)의 기억을 지울 수 없는 특징을 갖게 된다. 그러나 전원전압이 다시 정상으로 입력되면 리세트스위치(S2)에 의해 즉시 복귀시킬 수가 있게 된다.

Claims (2)

  1. 역상, 결상 및 부족전압과 과전류를 복합적으로 감지하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저항(R21-R23) 및 저항(R24-R26)으로 전압분배되고, 제너다이오드(Z|1-Z3)으로 NAN D 게이트(G1-G3)의 입력전압을 일정케 하도록 되고, 그 출력을 비교기(A5)에 인가하되 분배저항(R30)과 저항(R27,R28,R29)에 의해 전압 분배하며 콘덴서(C21)과 다이오드(D24) 및 저항(R33,R34)로 되는 미분회로와 비교기(A6)와 랫치 IC를 거쳐 발광다이오드(LE1)와 NOR 게이트(N2)에 인가되도록 되는 역상과 결상검지호로가 구성되고 상기 NOR 게이트(N2)의 출력이 트랜지스터(Q1)를 ON, OFF 및 NOR 게이트(N3)를 통해 랫치 IC를 랫치토록 되는 것과, 다이오드(D44,D45,D46)으로 반파정류되는 미세한 전원전압이 인가되는 비교기(A1-A3)와 출력이 NOR 게이트(N1)에 입력되고 출력은 다이오드(D47), 저항(R48,R49) 및 콘덴서(C41)로 되는 필터회로와 랫치 IC를 거쳐 발광다이오드(LE2) 및 가변저항(VR3)과 콘덴서(C42)로 되는 시정수회로를 거쳐 상기상 NOR 게이트에 입력되는 부족전압감지회로와 비교기(A4)의 입력측에 인가되는 과전압신호를 NAND 게이트와 필터회로 및 랫치 IC를 거쳐 발광다이오드(LE3)와 시정수회로를 인가하여 NOR 게이트(N2)에 입력측에 연결되는 과전류감지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상 및 역상 검출 과전류 릴레이 장치.
  2. 상기한 발광다이오드는 에미터 접지된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에 저항(R37, R47,R66)으로 접지되도록 된 결상 및 역상 검출 과전류 릴레이 장치.
KR1019890009600A 1989-07-06 1989-07-06 결상 및 역상 검출 과전류 릴레이 장치 KR0121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9600A KR0121544B1 (ko) 1989-07-06 1989-07-06 결상 및 역상 검출 과전류 릴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9600A KR0121544B1 (ko) 1989-07-06 1989-07-06 결상 및 역상 검출 과전류 릴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886A KR910003886A (ko) 1991-02-28
KR0121544B1 true KR0121544B1 (ko) 1997-11-22

Family

ID=19287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9600A KR0121544B1 (ko) 1989-07-06 1989-07-06 결상 및 역상 검출 과전류 릴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154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886A (ko) 1991-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213074A (ja) 電源監視回路
KR0121544B1 (ko) 결상 및 역상 검출 과전류 릴레이 장치
US3178619A (en) Detector circuit
JPS6332154B2 (ko)
KR0121575B1 (ko) 결상 및 역상신호검출 릴레이 장치
KR0159022B1 (ko) 전원 오프 감지 회로
JPH0722994Y2 (ja) 交流通電時間検出回路
KR0166895B1 (ko) 전원전압 감지장치
KR940003554Y1 (ko) 메모리 보호회로
JPH0614384Y2 (ja) ラッチングリレーの駆動回路
JPH063516Y2 (ja) ガス警報器
KR890000285Y1 (ko) 축전지 충전회로
KR100226628B1 (ko) 출력신호 감지회로
JPH069553Y2 (ja) 電源回路
JPH0526539Y2 (ko)
JPH0313794Y2 (ko)
JPH0136140Y2 (ko)
KR890001157Y1 (ko) 3상 교류 전원의 상회전방향(phase sequence)검출장치
JPH0583944A (ja) 電源装置
KR930001683Y1 (ko) 과전압 및 저전압 보호회로
JPH02136024A (ja) 停電検出回路
KR930018278A (ko) 전지전압 검출회로
KR910006682Y1 (ko)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인터럽 검출회로
JPS6412056B2 (ko)
KR890004241Y1 (ko) Vtr의 전원전압레벨 검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