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575B1 - 결상 및 역상신호검출 릴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결상 및 역상신호검출 릴레이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575B1
KR0121575B1 KR1019890008463A KR890008463A KR0121575B1 KR 0121575 B1 KR0121575 B1 KR 0121575B1 KR 1019890008463 A KR1019890008463 A KR 1019890008463A KR 890008463 A KR890008463 A KR 890008463A KR 0121575 B1 KR0121575 B1 KR 01215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comparator
phase
output
g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8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2063A (ko
Inventor
김인석
Original Assignee
김인석
삼화기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석, 삼화기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인석
Priority to KR1019890008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1575B1/ko
Publication of KR910002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Landscapes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상 전원에 있어서의 검출릴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3상전동기의 운전시 결상이나 역상 또는 과전류에 의한 전동기의 소손을 방지하기 위한 전원자동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의 회로에 역상과 결상 및 과전류를 유기적으로 검출하여 릴레이를 제어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결상 및 역상신호검출 릴레이 장치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발명을 설명키 위한 회로도로.
제1a도는 역상검출회로의 실시예도.
b 도는 결상검출회로의 실시예도.
제2도는 작용설명도이며,
제3도는 역상검출회로의 다른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을 설명키 위한 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ZD1-ZD3: 제너다이오드 CT1-CT3: 변류기
R1-R30: 저항 VR1-VR3: 가변저항
G1-G4: AND 게이트 G5-G7: NAND 게이트
X-OR1-X-OR4: 익스크루스시브오아게이트 LED1-LED3: 발광다이오드
Ry : 릴레이 OP1-OP8: 비교기
C1-C12: 콘덴서 D1-D24: 다이오드
TR1,TR2: 트랜지스터
본 발명은 3상전원에 있어서의 결상 및 역상신호검출 릴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3상전동기의 운전시 결상이나 역상 또는 과전류에 의한 전동기의 소손을 방지하기 위한 전원자동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3상전동기에 있어서의 열동형 릴레이에서의 결점을 해결키 위한 정지형 릴레이가 개발되어 왔고 최근 발표된 실용신안공보 공고 제89-2158호 및 제89-2159호 및 제89-2160호가 공보된 바 있다.
즉 실용신안공고 제89-2158호에 의하면 결상검출을 위하여 변류기의 출력을 반파정류하여 미분하고 이를 증폭하여 멀티바이브레타를 동작시키도록 되고, 또 그 출력은 적분하여 비교기를 거쳐 AND 게이트의 일측입력부에 연결하고 타측 입력부에 반전 증폭기와 지연기를 통해 연결되는 AND 게이트의 출력에 의해 릴레이를 제어하도록 된 결상검출장치이며 또 제89-2158호에 의하면, 변류기의 2차측의 충격을 전파정류하여 비교기와 반전기로 구성된 파형정형회로를 통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타의 출력으로 릴레이를 제어하도록 되는 결상검출회로가 되어 있다.
한편 실용신안공고 제89-2160호에 의하면 변류기의 2차측에 유기되는 전류를 전파정류기에 의해 전파정류하여 다이오드를 통해 비교기와 반전기의 출력에 의해 릴레이를 제어하도록 되는 과전류 계전기이다.
그러나 상기한 결상 또는 역상 및 과전류 릴레이는 각기 회로가 구성되어야 하며, 특히 결상 또는 역상에 있어서는 멀티바이브레타 및 단안정 바이브레타회로가 있어야 할뿐 아니라 이와 같은 각기의 신호를 검출키 위한 정류회로가 별도 구성되어야 하는 등의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하나의 회로에 역상과 결상 및 과전류를 유기적으로 검출하여 릴레이를 제어하도록 된 것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설명키 위한 회로도로 제1도에 있어서 변류기(CT1,CT2,CT3)의 출력은 궤환회로를 구성하고 있는 비교기(OP1,OP2,OP3)를 통해 직열연결된 다이오드(D1-D5)로 출력이 연결되어 비교기(OP4)의 출력중 일부는 비교기(OP5,OP6)에, 그리고 다이오드(D7)를 통해 AND 게이트(G1,G2)에, 그리고 일부는 가변저항(VR)을 통해 비교기(OP7)를 통해 AND 게이트(G3)(G4)에 의해 릴레이(Ry)구동용 에미터 접지된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또 상기한 비교기(OP5,OP6)는 분압저항(R1,R2,R3,R4)과 에미터 접지된 트랜지스터(Tr2) 및 비교기(OP7,OP8)로 과전류 감지회로가 구성되고 또, 상기한 AND 게이트(G1)는 제2도(a)의 역상검출회로의 출력(PR)에 의해 역상검출되도록 되고, 또 AND 게이트(G2)의 입력측에는 제2도(b)의 결상출력신호(PL)에 의해 상기한 릴레이(Ry)를 구동하도록 된 것이다.
한편, 제2도(a)는 역상감지회로로서 3상입력 신호(P1,P2,P3)는 저항(R5-R7)을 통해 익스크루스시브오아게이트(X-OR1-X-OR3)의 입력측에 연결되고 출력측은 저항(R8,R9,R10)과 다이오드(D8-D10)에 각기 직열연결되어 비교기(OP9)의 입력측에 그리고 그 출력은 콘덴서(C1)와 저항(R11)으로 되는 미분회로를 통해 비교기(OP10)의 입력에 그리고 그 출력은 저항(R12)과 콘덴서(C2)에 의한 적분회로를 통해 익스크루스시브오아게이트(X-OR4)에 입력되어 그 출력이 제1도의 단자 PR을 통해 AND 게이트(G1)에 그 신호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또 제2도(b)는 결상감지회로를 도시한 것으로 제1도에서 비교기(OP1,OP2,OP3)의 출력(6,7,8)에 결선되어 각기 저항(R13-R15)를 통해 에미터 접지된 트랜지스터(Tr3,Tr4,Tr5)의 베이스에, 그리고 콜렉터는 저항(R28-R30)으로 전압분배되어 NAND 게이트(G5)에 그리고 일부는 다이오드(D11-D13)를 통해 NAND 게이트(G6)의 입력측에 상기한 NAND 게이트(G4)의 출력과 함께 연결되고 그 출력은 NAND 게이트(G7)를 통해 제1도의 결상표시 AND 게이트(G2)의 입력측에 연결토록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VR2-VR4은 가변저항, ZD1-ZD4는 제너다이오드, R16-R26은 저항, LED1-LED4는 발광다이오드, C3-C12는 콘덴서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변류기 CT1-CT3모두에 유기되는 전압이 모두 정상일 때는 비교기(OP1-OP3)의 출력에 아무런 이상이 없는 상태에 있게 된다. 그러나 3상중 어느 하나의 선에 과전류가 흐르면 궤환회로를 갖는 비교기중 하나의 출력이 콘덴서(C12)를 충전하고 저항(R27)을 통해 비교기(OP4)에 입력 증폭되어 그 신호의 일부는 기(OP5)의 반전입력단자(-)에 입력되어 출력은 L가 됨으로서 과부하감지회로의 발광다이오드(LED1)가 점등되어 과전부하상태를 표시함과 동시, 트랜지스터(Tr2)는 OFF되어 분압저항(R1-R4)에 의해 분압된 전압을 입력측에 받고 있는 비교기(OP8)의 출력도 L가 되어 논리에 따라 AND 게이트(G3)의 출력은 H에서 L로 바뀜에 따라 AND 게이트(G4)의 출력은 H가 되어 트랜지스터(Tr1)를 턴-온시켜 릴레이(Ry)가 여자된다. 따라서 릴레이(Ry) 접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전원을 차단함으로서 과전류에 의한 도시하지 않은 모우터의 과부하에 의한 소손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되고 또 리세트코저 하는 경우 리세트스위치(Reset SW)를 텃치하여 접지함으로서 원상 복구된다.
한편 제2도에 있어 2입력 익스크루스시브오아게이트(X-OR1),(X-OR2),(X-OR3)의 일측 입력단에는 3상에서 검지되는 신호가 단자(P1,P2,P3)에 각기 연결되어 저항(P5,P6P7) 및 제너다이오드(ZD2,ZD3,ZD4)와 콘덴서(C3,C4,C5)로 각기 필터되어 입력되도록 되어 있어서 입력단자(P1,P2,P3)에 입력되어 익스크루스오아게이트의 논리에 따라 신호가 저항(R8,R9,R10)의 전압분배에 의해 다이오드 (D8,D9,D10)를 통해 제4도(B)와 같은 계단형 파형이 비교기(OP3)의 반전입력단에 인가되고 콘덴서(C1)와 저항(R11)에 의한 미분회로에 의해 제4도(A)와 같은 톱니파가 비교기(OP10))에 입력되어 익스크루스시브오아게이트(X-OR4)의 출력은 L 신호가 되어 AND 게이트(G1)에 L가 인가되므로 그 출력 또한 L가 되어 아무런 이상이 없으나 만약 선로중 역상이 입력되는 경우 비교기(OP9)의 반전입력단에는 저항(R8,R9,R10)의 전압분배에 의해 제4도( C)와 같은 파형이 입력되어 콘덴서(C1)와 저항(R11)으로 되는 미분회로에 의해 기준치(예:4.5V) 이상인 제4도(D)와 같은 신호가 비교회로(OP10)에 입력되어 그 출력은 저항(R12) 및 콘덴서(C2)로 적분된 신호가 익스크루스시브오아게이트(X-OR4)에 입력되고 따라서 그 출력은 H가 되어 AND 게이트(G1)도 H가 되어 AND 게이트(G3)의 출력은 L, AND 게이트(G4)는 출력이 H가 되어 트랜지스터(Tr1)를 ON시켜 릴레이(Ry)를 동작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 결상신호인 때는 트랜지스터(Tr3,Tr4,Tr5)중 하나가 OFF되므로 저항(R28-R30)으로 분배되어 NAND 게이트(G4)의 출력측에는 H가 되고 NAND 게이트(G5)의 출력은 L가 되어 결국 NAND 게이트(G6)의 출력이 H가 되므로 역상검출시와 같이 트랜지스터(Tr1)가 ON되어 릴레이(Ry)를 여자하여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3도는 역상검출회로에서의 익스크루스시브오아게이트 대신 NAND GATE로 바꾸어도 같은 기능을 발휘할 수가 있음을 알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회로에 의해 과전류 감지는 물론이려니와 역상과 결상까지도 함께 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수개의 저항(R1-R4)으로 전압분배하여 비교기(OP5-OP8)에 기준전압으로 인가토록 되고, 변류기(CT1-CT3)의 출력신호를 비교기(OP4)에 의해 검출 증폭하여 비교기(OP8)를 제어함으로서 AND 게이트(G3,G4)를 반전시켜 트랜지스터(Tr|1)를 제어하는 과전류 감지회로와, 익스크루스시브오아게이트(X-OR1~X-OR3)또는 NAND 게이트(G7-G9) 및 저항 (R8-R10)의 분배전압에 의해 비교기(OP|9)로 비교된 신호를 콘덴서(C1)와 저항(R11)으로 된 미분회로에 의해 비교기(OP10)로 비교하여 AND 게이트(G1)로 트랜지스터(Tr1)를 제어하는 역상검출회로와, 트랜지스터(Tr3-Tr|5)의 콜렉터에 분배저항으로 전압분배 AND 게이트(G4)의 입력단과 다이오드(D11-D13)를 통해 AND 게이트(G23)의 입력단에 연결되고 출력을 AND 게이트(G6)를 통해 결상검출회로를 구비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상 및 역상신호검출 릴레이장치.
KR1019890008463A 1989-06-20 1989-06-20 결상 및 역상신호검출 릴레이 장치 KR0121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8463A KR0121575B1 (ko) 1989-06-20 1989-06-20 결상 및 역상신호검출 릴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8463A KR0121575B1 (ko) 1989-06-20 1989-06-20 결상 및 역상신호검출 릴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2063A KR910002063A (ko) 1991-01-31
KR0121575B1 true KR0121575B1 (ko) 1997-11-22

Family

ID=19287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8463A KR0121575B1 (ko) 1989-06-20 1989-06-20 결상 및 역상신호검출 릴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15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149U (ko) 2016-10-17 2018-04-25 한국전력공사 종단 접속재 누설거리 연장용 스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5137B1 (ko) * 2000-02-01 2002-05-04 이종수 결상 및 역상 신호 검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149U (ko) 2016-10-17 2018-04-25 한국전력공사 종단 접속재 누설거리 연장용 스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2063A (ko) 1991-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160722A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MY114099A (en) Motor system capable of obtaining high efficiency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motor.
US4780656A (en) Drive and protection system for variable speed motor
US4920307A (en) Electric power source used to charge a secondary power source
KR0121575B1 (ko) 결상 및 역상신호검출 릴레이 장치
KR200193053Y1 (ko) 누전 차단기의 단락과 누전사고 구분 표시장치
JP3105576B2 (ja) 携帯用交流電源装置
JPH0630579A (ja) 電流検出回路
US5206801A (en) Ac/dc converter fault detector
JP3574599B2 (ja) 入力過電圧制限機能を備えた突入電流防止回路
FI112991B (fi) Hakkurivirtalähdejärjestely
KR100335137B1 (ko) 결상 및 역상 신호 검출 장치
KR100239117B1 (ko) 인버터의 과부하 보호장치
JPH0241778A (ja) インバータ溶接機
JP2000134946A (ja) 高圧電源装置
KR930005190Y1 (ko) 엘리베이터 결상 검출 회로
KR100186481B1 (ko) 유도 가열 조리기의 출력 제어장치
KR0161835B1 (ko) 결상보호용 과전류 계전기
KR890008921Y1 (ko) 스위칭 전원전압 공급회로의 과전류 보호회로
JPH04308420A (ja) モータ制御装置
KR0112647Y1 (ko) 인버터 회로를 이용한 전자렌지
JP2597900Y2 (ja) Ac−dc定電圧定電流回路
JPH1127853A (ja) 主回路電源の保護回路
JP3460024B2 (ja) 電源装置
KR100312741B1 (ko) 공기조화기의 위상검출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