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096Y1 - 주차보조구 겸용 공구함 - Google Patents

주차보조구 겸용 공구함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096Y1
KR0121096Y1 KR2019950051374U KR19950051374U KR0121096Y1 KR 0121096 Y1 KR0121096 Y1 KR 0121096Y1 KR 2019950051374 U KR2019950051374 U KR 2019950051374U KR 19950051374 U KR19950051374 U KR 19950051374U KR 0121096 Y1 KR0121096 Y1 KR 01210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part
weight
main body
car
sidewa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13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4576U (ko
Inventor
진수환
김성태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513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1096Y1/ko
Publication of KR9700345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45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0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0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6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ools or spar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차 보조구 겸용 공구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 공구를 수납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고 차도와 인도 사이의 턱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도록 보도블럭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자동차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강성(약 2t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을 지닌 합금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에 힌지를 통해 결합되고 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자재하며 자동차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강성(약2t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을 지닌 합금으로 이루어진 회동부를 구비하되, 상기 회동부를 접으면 상기 본체와 회동부가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며, 상기 회동부를 펼티면 상기 본체와 회동부의 일측면이 자동차 타이어가 지나갈 수 있는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자동차를 보도블럭에 걸쳐서 주차시 도로와 인도 사이의 턱을 없애주므로 도로와 인도 사이의 턱으로 인한 차량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차 보조구 겸용 공구함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주차 보조구 공구함의 사시도.
제2도는 보 고안에 따른 주차 보조구 겸용 공구함이 차량의 주차시에 보조용구로 사용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본체 11:도어
12:운반손잡이 20:회동부
31,32:고정구 41~44:힌지
본 고안은 자동차 공구를 수납하는 공구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도차를 보도블럭에 걸쳐서 주치시 도로와 인도 사이의 턱으로 인한 차량의 손상을 방지하고 또한 주차를 용이하게 해주는 보조구로 사용되는 주차 보조구 겸용 공구함에 관한 것이다.
현재, 차량은 매년 큰 콕으로 증가하는 반면에 챠량을 수용하는 주차장의 확보는 건설비용 및 토지 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미비한 설정에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주차장 건설비용이 들지 않으며, 자동차 소통에 그다지 장애를 주지않는 차도와 인도에 걸겨 자동차를 주차시키는 주차방식이 보편화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주차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 인도와 차도 사이에 설치된 턱으로 인하여 자동차가 파손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며, 또한 높은 턱으로 인하여 보도블럭에 걸쳐서 주차하기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를 보도블럭에 걸쳐서 주차시 도로와 인도 사이의 턱으로 인한 차량의 손상을 방지하고, 또한 주차를 용이하게 해주는 보조구로 사용되는 주차 보조구 겸용 공구함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자동차 공구를 수납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고 차도와 인도 사이의 턱의 높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보도블럭높이 만큼의 높이를 가지며 자동차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강성(약 2t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을 지는 합금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에 힌지를 통해 결합되고 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자재하며 자동차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강성(약 2t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을 지닌 합금으로 이루어진 회동부를 구비하되, 상기 회동부를 접으면 상기 본체와 회동부가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며, 상기 회동부를 펼치면 상기 본체와 회동부의 일측면이 자동차 타이어가 지나갈 수 있는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주차 보조구 겸용 공구함을 나타낸 것으로, 자동차 공구를 수납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힌지(41,42)를 통해 결하되어 있는 회동부(20)로 구성되어 있다.
단면이 삼각형으로 형성된 회동부(20)는 힌지(41,42)를 중심으로 회동자재하며, 펼쳐진면 본체(10)와 함께 자동차 타이어를 위한 경사면을 형성하고, 접혀지면 본체(10)와 함께 직육면체의 형상을 이룬다.
회동부(20)가 결합되어 있는 본체(10)의 측면에 대응하는 측면은 공구를 수납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이 개방면을 개폐하는 도어(11)가 힌지(43,44)를 통해 본체(10)에 결합되어 있다.
한편, 도어(11)의 외측면 중앙에는 공구함의 운반이 사용되는 운반 손잡이(12)가 장착되어 있으며, 힌지(43,44)가 설치된 측면에 대응하는 측면에는 도어(11)의 개폐를 제한하는 걸쇠와 같은 고정구(31,32)가 설치되어 잇다.
또한, 본체(10)의 측면에도 회동부(20)의 회동을 제한하기 위한 고정부(33)가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본체(10)와 회동부(20)는 자동차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강서(약 2t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을 지닌 합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평상시에는 자동차의 트렁크 내에 비치하여 자동차 공구를 수납하는 공구함으로 사용하고, 보도블럭에 걸쳐서 주차시에는 제2도와 같이 회동부(20)를 펼쳐 경사면을 형성하여 자동차 타이어가 인도와 차도 사이의 턱을 넘어갈 수 있도록 하는 주차 보조구로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를 보도블럭에 주차시 도로와 인도 사이의 턱을 없애주므로 도로와 인도 사이의 턱으로 인한 차량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자동차 공구를 수납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고, 차도와 인도 사이의 턱의 높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보도블럭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자동차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강성(약2t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을 지닌 합금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본체(10); 및 상기 본체(10)에 힌지(41,42)를 통해 결합되고, 이 힌지(41,42)를 중심으로 회동자재하며 자동차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강성(약2t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을 지닌 합금으로 이루어진 회동부(20)를 구비하되, 상기 회동부(20)를 접으면 상기 본체(10)와 회동부(20)가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며, 상기 회동부(20)를 펼치면 상기 본체(10)와 회동부(20)의 일츨면이 자동차타이어가 지나갈 수 있는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보조구 겸용 공구함.
KR2019950051374U 1995-12-29 1995-12-29 주차보조구 겸용 공구함 KR01210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1374U KR0121096Y1 (ko) 1995-12-29 1995-12-29 주차보조구 겸용 공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1374U KR0121096Y1 (ko) 1995-12-29 1995-12-29 주차보조구 겸용 공구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4576U KR970034576U (ko) 1997-07-26
KR0121096Y1 true KR0121096Y1 (ko) 1998-07-15

Family

ID=19440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1374U KR0121096Y1 (ko) 1995-12-29 1995-12-29 주차보조구 겸용 공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109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4576U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5625A (en) Vehicle storage system
US20110031771A1 (en) Storage trunk in the front of a vehicle
FR2783761B1 (fr) Toit escamotable pour vehicule du type camionnette ou van ou break
KR0121096Y1 (ko) 주차보조구 겸용 공구함
FR2764853B1 (fr) Case de rangement dans le tableau de bord d'un vehicule automobile
FR2756108B1 (fr) Contacteur tournant a moyens de verrouillage escamotables pour vehicule automobile
GB2391849A (en) Bracket assembly for securing a compact spare wheel and a full size wheel
EP4011664A1 (fr) Véhicule terrestre avec trappe technique
JPH062447A (ja) 移動可能な折畳み簡易車庫
JPH043875Y2 (ko)
US7427094B2 (en) Vehicle immobilisation device
KR19980037585U (ko) 교통안전 표지판의 보관 및 설치구조
CN210416429U (zh) 一种物业管理巡逻车
KR100553958B1 (ko) 자동차 도어 보호막
KR0136666Y1 (ko) 화물트럭용 덮개 보관함
CN113715923B (zh) 旋转式备用轮胎举升系统
KR200157038Y1 (ko) 버스의 화물칸에 내장된 수화물 고정장치
JP3065381U (ja) 時間貸無人駐車場用の傷付き防止装置
KR0125736Y1 (ko) 차량용 공구박스
US6935669B2 (en) Retrofittable storage container adapted for placement under the hood of a motorized vehicle
JP3859938B2 (ja) ヒンジ開閉グレーチング
JPH07172781A (ja) 自動車用ジャッキ装置
JP3030809U (ja) 溝蓋の開閉機構
KR0132485Y1 (ko) 차량의 착탈식 아웃사이드미러
KR200153331Y1 (ko) 소형자동차 주차용 보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