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0952Y1 - 전자파일롯식 전환밸브 - Google Patents

전자파일롯식 전환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952Y1
KR0120952Y1 KR2019930026089U KR930026089U KR0120952Y1 KR 0120952 Y1 KR0120952 Y1 KR 0120952Y1 KR 2019930026089 U KR2019930026089 U KR 2019930026089U KR 930026089 U KR930026089 U KR 930026089U KR 0120952 Y1 KR0120952 Y1 KR 01209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ot
solenoid
valve
piston chamber
valv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60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9680U (ko
Inventor
요시오 아소오
분야 하야시
히데하루 사토오
타쿠미 마쭈모토
Original Assignee
타카다 요시유키
에스엠씨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카다 요시유키, 에스엠씨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타카다 요시유키
Priority to KR20199300260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0952Y1/ko
Publication of KR9500196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96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9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9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Abstract

솔레노이드기구의 중감과 약간의 부품을 부착하는 것만으로, 더블솔레노이드형 전환밸브 또는 싱글솔레노이드형 전환밸브를 구성할 수 있는 전자파일롯식 전환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 전환밸브는, 메인밸브체(11)를 구동하는 수압면적이 다른 대경 및 소경 피스톤(15a), (15b)이 있으며, 2개의 솔레노이드기구를 부착한 때에는 양쪽 피스톤(15a), (15b)에 서로 작용하는 파일롯유체압에 의해 메인밸브체(11)가 전환되고, 1개의 솔레노이드기구를 부착한 때에는, 소경 피스톤(15b)에 작용하는 파일롯유체압으로 메인밸브체(11)를 항상 한쪽 방향으로 밀고 있는 상태에서, 대경 피스톤(15a)에 작용하는 파일롯유체압의 전환에 의해 메인밸브체(11)가 전환된다.

Description

전자파일롯식 전환밸브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인 더블솔레노이드형 전환밸브의 단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에 표시된 전환밸브의 주요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제3도는 제1도에 표시된 전환밸브를 분해하여 표시한 사시도이다.
제4도는 2개의 솔레노이드기구를 분리하려 표시한 사시도이다.
제5도는 솔레노이드기구의 결합기구를 표시하는 것으로, 분리된 상태에서의 정면도이다.
제6도는 본고안의 제2실시예인 싱글솔레노이드형 전환밸브의 단면도이다.
제7도는 제2실시예인 싱글솔레노이드형 전환밸브에서의 수동조작기구의 다른 구성예를 표시하는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인밸브보디 11 : 메인밸브체
13a, 13b : 단부판 14a : 대경 피스톤실
14b : 소경 피스톤실 15a : 대경 피스톤
15b : 소경 피스톤 20a, 20b : 솔레노이드기구
21 : 파일롯밸브보디 22 : 급전수단(단자대)
32 : 결합기구 35 : 결합용 돌기
36 : 결합용 홈 46 : 파일롯공급밸브시이트
47 : 파일롯배출밸브시이트 70a, 70b : 수동조작기구
90 : 봉지수단 Pl : 더미보디
P : 입력포트 A, B : 출력포트
EA, EB : 배출포트
본 고안은 전자조작되는 파일롯밸브부에 의해 메인밸브부를 작동시키는 전자파일롯식 전환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전자파일롯식 전환밸브로는, 파일롯밸브부가 1개의 솔레노이드기구가 있는 싱글솔레노이드(single solenoid)형 전환밸브와, 2개의 솔레노이드기구가 있는 더블솔레노이드(double solenoid)형 전환밸브가 있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상기한 더블솔레노이드형 전환밸브는, 일반적으로, 유체의 본류(本流를 전환하는 스풀식 메인밸브체가 있는 메인밸브부와. 파일롯유체를 전환하는 2개의 솔레노이드기구가 있는 파일롯밸브부로 되어 있으며, 이들 솔레노이드기구를 교대로 작동시키므로써, 파일롯유체를 전환하고, 메인밸브체의 축방향에서의 양쪽 끝부분의 피스톤으로 파일롯유체압을 교대로 작용시키므로써, 그 메인밸브체를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싱글솔레노이드형 전환밸브는, 유체의 본류를 전환하는 스풀식 메인밸브체가 있는 메인밸브부와. 파일롯유체를 전환하는 1개의 솔레노이드기구가 있는 파일롯밸브부로 되어 있으며, 상기한 메인밸브체는, 축방향에서의 한쪽 끝에서는 스프링 또는 파일롯유체압에 의한 작용력이 항상 한쪽 방향으로 작용되고, 그 메인밸브체의 다른쪽 끝에 있는 피스톤에 대해서, 상기한 솔레노이드기구를 ON.OFF시켜서 파일롯유체압을 공급 또는 배출시키므로써, 그 메인밸브체를 전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들 더블솔레노이드형 전환밸브와 싱글솔레노이드형 전환밸브는, 각각 전용(專用) 부품을 사용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종래에는, 극히 일부 부품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하더라도, 대부분의 부품을 그대로 공통으로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그런데, 상호간에 구성부품을 가능한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밸브 본체 조립체에 2개의 솔레노이드기구를 조립하면 더블솔레노이드형 전환밸브가 구성되고, 마찬가지로, 밸브 본체 조립체에 1개의 솔레노이드기구를 조립하면 싱글솔레노이드형 전환밸브가 구성되도록 하면, 전자밸브의 설계나 제작, 부품관리, 보수나 고장시의 수리, 형식의 변경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이에 필요한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더블솔레노이드형 전환밸브와 싱글솔레노이드형 전환밸브의 구성부품을 공통화 하여, 같은 부품을 사용하므로써, 솔레노이드기구의 증감과 그 증감에 따르는 간단한 조작이나 부품의 교환등을 실시하는 것만으로, 더블솔레노이드형 전환밸브 또는 싱글솔레노이드형 전환밸브를 간단하고 확실하게 만들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하면, 유체의 본류가 흐르는 입력포트와 출력포트 및 배출포트와 이들 포트의 연통(連通)상태를 전환하는 스풀식 메인밸브체가 있는 메인밸브보디, 메인밸브보디의 축 방향에서의 양쪽 끝에 부착된 2개의 단부판(端部板), 상기한 각 단부판에 형성된 대소(大小)의 피스톤실에서 메인밸브체의 축방향에서의 양쪽 단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수압면적(受壓面積)이 다른 대소 2개의 메인밸브체 구동용 피스톤, 한쪽 단부판에 부착되어 있으며 입력포트와 각 피스톤실 사이에 위치하는 2개의 파일롯 공급밸브시이트와 각 피스톤실과 파일롯배출포트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2개의 파일롯배출밸브시이트가 있는 파일롯밸브보디, 파일롯밸브보디에 교환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한 파일롯공급밸브시이트 및 파일롯배출밸브시이트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기구, 입력포트와 대경(大經)의 피스톤실 및 소경(小經)의 피스톤실을 수동조작으로 연통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2개의 수동조작기구 및 솔레노이드기구에 대해 전원을 공급하는 급전수단으로 구성된 전자파일롯식 전환밸브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한 전환밸브는, 2개조의 파일롯공급밸브시이트 및 파일롯배출밸브시이트를 개폐하는 2개의 솔레노이드기구를 설치하면, 더블솔레노이드형 전환밸브로 구성할 수 있으며, 또, 입력포트와 대경 피스톤실과의 사이의 파일롯공급밸브시이트 및 대경 피스톤실과 파일롯배출포트와의 사이의 파일롯배출밸브시이트를 개폐하는 1 개의 솔레노이드기구를 설치하고, 소경 피브톤실에 대응하는 수동조작기구를 그 소경 피스톤실과 입력포트를 직접 연통하는 상태로 하고, 또, 입력포트와 소경 피스톤실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사용하지 않는 파일롯공급밸브시이트를 적당한 수단을 사용하여 폐쇄시키면 싱글솔레노이드형 전환밸브로 구성할 수 있다. 싱글솔레노이드형 전환밸브로 하는 경우, 단지 1개만 설치되어 있는 솔레노이드기구에 인접하여, 사용하지 않는 파일롯공급밸브시이트 및 파일롯배출밸브시이트와 대응하는 위치에 공간을 채우기 위한 더미보디(dummy body)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블솔레노이드형 전환밸브로 하는 경우의 2개의 솔레노이드기구 및 싱글 솔레노이드형 전환밸브로 하는 경우의 솔레노이드기구와 더미보디는, 이들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기구를 이용하여 일체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결합기구는, 솔레노이드기구 및 더미보디의 축선과 평행으로 형성된 결합용 돌기 및 결합용 홈이 있는, 서로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들 결합용 돌기와 결합용 홈을 축방향을 따라 삽입하므로써, 2개의 솔레노이드기구 또는 솔레노이드기구와 더미보디를 서로 간극없이 겹친 상태로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
제1도∼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파일롯식 전환밸브에서, 파일롯밸브부가 2 개의 솔레노이드기구로 된 더블솔레노이드형 전환밸브의 한 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이 더블솔레노이드형 전환밸브는 압축공기 등의 유체의 본류를 제어하는 스풀식 메인밸브체(11)를 내장한 메인밸브부(1)와 상기한 메인밸브체(11)를 전환하기 위한 파일롯유체를 제어하는 전자조작식 파일롯밸브부(2)로 되어 있다. 상기 한 메인밸브부(1)에서,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된 메인밸브보디(10)는 유체의 본류의 입력포트(P), 출력포트(A), (B) 배출포트(EA),(EB) 및 이들 포트를 연통시키는 밸브공(12)이 있으며, 이 밸브공(12) 내에 상기한 메인밸브체(11)가 축선방향을 따라 자유자재로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되어 있다. 상기한 메인밸브보디(10)의 축방향에서의 양쪽 단부에는, 직육면체형상의 단부판(13a),(13b)이 부착되어 있고, 이들 단부판(13a),(13b)에서 상기한 밸브공(12)을 향하도록 형성된 대경 피스톤실(14a) 및 소경 피스톤실(14b)에는, 수압면적이 다른 대경 피스톤(15a) 및 소경 피스톤(15b)이, 메인밸브체(11)의 축선방향을 따라 자유자재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제1도의 상반부에 표시되어 있듯이, 메인밸브체(11)가 대경 피스톤(15a)에 의해 우측으로 밀리게 되면, 포트(P)와 (A) 및 포트 (B)와 (EB)가 연통하며, 제1도의 하반부에 표시되어 있듯이, 메인밸브체(11)가 소경 피스톤(15b)에 의해 좌측으로 밀리게 되면, 포트 (P)와 (B) 및 포트 (A)와 (EA)가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파일롯밸브부(2)는, 제2도에서 알 수 있듯이, 상하에서 평행하며, 뒤에 설명하는 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된 제1 및 제2의 2개의 솔레노이드기구(20a),(20b), 파일롯유체를 상기한 피스톤실(14a),(14b)에 대해서 공급 또는 배출하기 위한 변환부인 1개의 파일롯밸브보디(21), 솔레노이드기구(20a), (20b)에 전원을 공급하는 급전수단을 구성하는 1개의 단자대(22), 그 단자대(22)에 지지된 1개의 단자판(23), 그 단자판(23)을 덮는 덮개(2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2개의 솔레노이드기구(20a),(20b)는, 서로 동일한 구조와 동일한 외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의 종류가 있다 즉, 이들 솔레노이드기구(20a), (20b)는, 비자성체의 보빈(26)에 감겨 있는 코일(27), 보빈(26)의 중심의 철심실내에 고정된 고정철심(28), 철심실 내에서 축선방향을 따라 자유자재로 이동하는 가동철심(29) 및 이들 부재의 주위를 감싸며 자성체로 된 요크(yoke)(30)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요크의 주위를 합성수지 등의 절연성 소재(31) 로 성형하므로써, 제4도와 제5도에서 알 수 있듯이, 3개의 측면은 평면으로, 나머지 1개의 측면은 결합기구(32)가 있는 변형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결합기구(32)는, 측면의 폭방향에서의 중앙부로부터 어느 쪽으로든 한 쪽으로 일정거리만큼 치우친 위치에서 정상부가 기초부보다 약간 크게된 결합용 돌기(35)를 솔레노이드기구(20a),(20b)의 축선과 평행으로 형성하고, 중앙부로부터 반대쪽으로 상기한 결합용 돌기(35)와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홈의 바닥의 폭이 약간 확대된 결합용 홈(36)을 솔레노이드기구(20a),(20b)의 축선과 평행으로 형성한 것으로, 결합용 홈(36)의 외측의 단부에는 돌출벽(37)이 결합용 홈(36)과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용 돌기(35)의 외측에는 그 돌출벽(37)이 삽입되는 오목부(4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돌출벽(37)의 내부에는 부착공(3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2개의 솔레노이드기구(20a),(20b)는, 제4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이들 결합기구(32)를 서로 대향시킨 상태에서 축선방향이 다른 위치에 배치하고, 그 상태에서 축선을 따라 서로 접근시켜서, 각각의 결합용 돌기(35)를 다른 쪽의 솔레노이드기구의 결합용 홈(36)에 삽입하므로써, 제3도에 표시 되어 있듯이, 나사 등을 일체 사용하는 일 없이, 서로 간극이 없도록 겹친 상태에 서 결합된다. 결합된 2개의 솔레노이드기구(20a),(20b)중의 어느 1개에 고장이 발생하여, 이것을 교환하기 위하여 이들 2개의 솔레노이드기구를 서로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들을 결합시킨 순서의 역순으로 하면 간단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 이 경우에, 2개의 솔레노이드기구를 동일한 구조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였으므로, 한 종류의 솔레노이드기구를 준비하는 것만으로도, 어느 솔레노이드기구에서 고장이 발생되었다 하더라도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다.
상기한 돌출벽(37)의 내부에 형성된 부착공(38)에는 볼트(39)가 삽입되며, 이 볼트(39)에 의해 각 솔레노이드기구(20a),(20b)가 단자대(22)와 함께 파일롯밸브보디(21)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한 2개의 볼트(39),(39)만으로 이들 솔레노이드 기구(20a),(20b)를 파일롯밸브보디(21)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 상기한 파일롯밸브보디(21)는 볼트(41)에 의해 단부판(13a)과 함께 밸브보디(10)에 고정되어 있다. 각 솔레노이드기구(20a), (20b)에서의 단자대(22)쪽의 단면에는, 2 개의 핀으로 된 수전단자(43)가 각각 돌출되어 있으며, 단자대(22)를 부착할 때, 그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용 돌기(44)가, 상기한 결합기구(32)가 있는 가장자리의 반대쪽 가장자리의 양쪽 모서리에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파일롯밸브보디(21)는, 2개의 파일롯공급밸브시이트(46),(46), 이들 파일롯공급밸브시이트(46),(46)와 동축상의 위치에서 서로 역방향으로 형성된 2개의 파일롯배출밸브시이트(47), (47), 상기한 파일롯공급밸브시이트(46), (46)와 연통하는 파일롯공통입력로(48), 및 상기한 파일롯배출밸브시이트(47),(47)와 연통하는 파일롯공통배출로(49)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파일롯공급밸브시이트(46)는 상기한 각 솔레노이드기구(20a), (20b)의 가동철심(29)에서 지지된 파일롯공급밸브체(50)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한 파일롯배출밸브시이트(47)는 파일롯밸브보디(21)와 단부판(13a)의 사이에 배출밸브실(53a),(53b) 내에 배치된 배출밸브체(51)에 의해 개페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파일롯공급밸브체(50)는 공급밸브실(52a), (52b)내의 가동철심(29)과 함께 스프링(55)으로 파일롯공급밸브시이트(46)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밀고 있으며, 파일롯배출밸브체(51)는 스프링(58)으로 파일롯배출밸브시이트(47)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밀고 있고, 이들 밸브체(50),(51)가 수용된 공급밸브실(52a),(52b)과 배출 밸브실(53a),(53b)은 제1도의 하방의 솔레노이드기구(20b)쪽에서 대표적으로 표시 되어 있듯이, 연통로(56)에 의해 서로 연통되며, 그 연통로(56) 내에는 파일롯공급밸브체와 연통하여 파일롯배출밸브체(51)를 개폐시키기 위한 밸브로드(57)가 삽입되어 있다. 이 밸브로드(57)는, 파일롯공급밸브체(50)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는 파일롯배출밸브체(51)를 스프링(58)의 장력을 극복하고 누르므로써 개방시키고, 파일롯공급밸브체(50)가 개방되어 있을때에는 스프링(58)의 장력으로 파일롯배출밸브체(51)를 폐쇄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솔레노이드기구(20a),(20b)에 통전시켜서 가동철심(29)이 고정철심(28)에 흡착하면(제1도에서 상방의 솔레노이드기구(20a)의 상태), 파일롯공급밸브체(50)가 파일롯공급밸브시이트(46)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파일롯배출밸브체(51)가 파일롯배출밸브시이트(47)를 폐쇄시키며, 솔레노이드기구에 대한 통전을 해제하여 가동철심(29)이 고정철심(28)으로부터 떨어지면(제1도에서 하방의 솔레노이드기구(20b)의 상태), 파일롯공급밸브체(50)가 파일롯공급밸브시이트(47)를 폐쇄시킴과 동시에 파일롯배출밸브체(51)가 파일롯배출밸브시이트(47)를 개방시킨다.
상기한 파일롯공통입력로(48)는 파일롯공급유로(60)에 의해 후술하는 수동조작 기구(70b)를 경유하여 입력포트(P)와 연통하며, 파일롯공통배출로(49)는 파일롯배출유로(61)에 의해 파일롯배출포트(R)와 연통하고 있다. 또, 솔레노이드기구(20a)쪽의 배출밸브실(53a)은 파일롯출력유로(62a)를 거쳐서 피스톤실(14a)과 연통하며, 솔레노이드기구(20b)쪽의 배출밸브실(53b)은 다른 파일롯출력유로(62b)에 의해 상기한 수동조작기구(70b)를 경유하여 피스톤실(14b)과 연통하고 있다. 따라서, 한쪽의 솔레노이드기구(20a)가 작동하여 파일롯공급밸브시이트(46)가 개방됨과 동시에 파일롯배출밸브시이트(47)가 폐쇄되면, 파일롯유체는 공급밸브실(52a)로부터 연통로(56)를 거쳐서 배출밸브실(53a)로 유입한 후, 파일롯출력유로(62a)를 거쳐서 피스톤실(14a)로 유입하고, 피스톤(15a)을 눌러서 메인밸브체(11)를 제 1도에서의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반대쪽의 피스톤실(14b)는 파일롯출력유로(62b) 및 배출밸브실(53b)을 거쳐서 파일롯배출포트(R)와 연통하고 있다.
또, 다른쪽의 솔레노이드기구(20b)가 작동하여 파일롯공급밸브시이트(46)가 개방됨과 동시에 파일롯배출밸브시이트(47)가 폐쇄되면, 파일롯유체는 공급밸브실(52b)로부터 연통로(56)를 거쳐서 배출밸브실(53b)로 유입한 후, 파일롯출력유로(62b)를 거쳐서 피스톤실(14b)로 유입하고, 피스톤(15b)을 눌러서 메인밸브체(11)를 제1도에서의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반대쪽의 피스톤실(14a)은 파일롯출력유로(62a 및 배출밸브실(53a)을 거쳐서 파일롯배출포트(R)와 연통하고 있다.
정전 등에 의해서 솔레노이드기구(20a),(20b)가 작동할 수 없는 경우에 수동조작으로 메인벨브체(11)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기위하여 각 솔레노이드기구(20a), (20b)에 대응하는 2개의 수동조작기구(70a),(70b)가 설치되어 있다.
솔레노이드기구(20a)에 대응하는 수동조작기구(70a)는, 선단부가 테이퍼로 형성되어 가늘어진 조작축(72)이 있으며, 이 조작축(72)을 구멍(73) 내에서 축방향을 따라 자유자재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삽입하고, 스프링(74)으로 후퇴방향으로 미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수동조작기구(70a)에서, 조작축(72)이 스프링(74)에 의해 밀려서 후퇴한 위치에 있을 때에는, 그 선단부가 솔레노이드기구(20a)의 가동 철심(29)으로부터 떨어지는데, 제1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조작축(72)을 스프링(74)의 장력을 극복하여 누르면, 그 선단부쪽의 면이 파일롯공급밸브시이트(46)를 폐쇄하고 있는 상기한 가동철심(29)에 접촉하여 그 가동철심(29)을 후퇴시키며, 이에 의해서 파일롯공급밸브시이트(46)가 개방된다. 그러므로, 파일롯유체가 공급 밸브실(52a)로부터 배출밸브실(53a)을 거쳐서 파일롯출력유로(62a)로부터 피스톤 실(14a)로 유입하며, 피스톤(15a)을 눌러서 메인벨브체(11)를 제1도에서의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조작축(72)을 빼면, 그 조작축(72)이 스프링(74)에 의해 복귀하여 가동철심(29)을 해방시키면서, 파일롯공급밸브시이트(46)를 폐쇄시킨다.
또, 솔레노이드기구(20b)에 대응하는 수동조작기구(70b)는, 상기한 파일롯공급유로(60)와 파일롯출력유로(62b)가 개방되는 구멍(77)의 내부에서 이들 유로의 연통상태를 전환하는 조작축(76)을 그 축선방향을 따라 자유자재로 이동하도록 삽입 하고, 스프링(78)에 의해 후퇴방향으로 밀려있는 것이다. 이 수동조작기구(70b)에서, 조작축(76)이 스프링(78)에 의해 밀려서 후퇴한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1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파일롯공급유로(60)가 입력포트(P)와 파일롯공통입력로(48)를 연통시키며. 또, 파일롯출력유로(62b)가 피스톤실(14b)과 솔레노이드기구(20b)쪽의 배출밸브실(53b)을 연통시키는데, 조작축(76)을 스프링(78)의 장력에 대항하여 누르면, 그 조작축(76)에 의해 상기한 유로의 연통상태가 전환하며, 파일롯공급유로(60)와 파일롯출력유로(62b)가 연통하여 입력포트(P)와 피스톤실(14b)이 직접 연통된다. 그러므로, 파일롯유체가 그 피스톤실(14b)로 유입하고, 피스톤(15b)을 눌러서 메인밸브체(11)를 도면에서의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조작축(76)을 빼면, 그 조작축(76)이 스프링(78)에 의해 복귀하여 각 유로는 제1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연통한다.
상기한 솔레노이드기구(20a), (20b)에 전원을 공급하는 급전수단을 구성하는 단자대(22)는 제2도와 제3도에서 알 수 있듯이, 결합된 2개의 솔레노이드기구(20a) ,(20b)의 끝의 면에, 상기한 볼트(39)에 의해 탈거 및 부착이 가능한 상태로 고정 되며, 각 솔레노이드기구(20a),(20b)의 수전단자(43)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접속용 구멍(80)이 있다.
또, 단자판(23)에는, 솔레노이드기구(20a),(2Ob)의 수전단자(43)와 동일한 개수의 급전단자(81) 외에, 표시등이나 역기전력 방지기 등의 전기부품이 있으며, 그 단자판(23)의 하단부에는 전원접속용 플러그단자(84)가 있는 단자함(83)이, 플러그단자(84)의 선단부(84a)를 단자판(23)의 구멍에 삽입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탈거 및 부착이 가능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그 단자판(23)은, 급전단자(81)를 단자대(22)의 구멍(80)내에 삽입하여 솔레노이드기구(20a),(20b)의 각 수전단자(43) 에 접속시키는 것에 의해, 그 단자대(22)의 외면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한 단자판(23)을 덮는 덮개(24)는, 복수의 결합공(87)이 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결합공(87)에, 단자대(22)의 외측면에 형성된 결합돌기(88)를 결합 시키므로써, 탈거 및 부착이 가능한 상태로 그 단자대(22)에 부착되어 있다.
제6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인 싱글솔레노이드형 전환밸브를 표시한 것이며. 이 싱글솔레노이드형 전환밸브는 앞에서 설명한 더블솔레노이드형 전환밸브로부터 1개의 솔레노이드기구를 제거하고, 이 제거에 따른 간단한 조작 또는 부품을 교환하여 구성 된다.
즉, 이 싱글솔레노이드형 전환밸브는, 입력포트(P)와 대경 피스톤실(14a)의 사이에 파일롯공급밸브시이트(46)(공급밸브실(52a)에서 개방되는 것)와, 대경 피스톤실(14a)과 파일롯배출포트(R)와의 사이의 파일롯배출밸브시이트(47)(배출밸브실 (53a)에서 개방되는 것) 사이를 개폐하는 단지 1개의 솔레노이드기구(20a)가 있다. 또, 소경 피스톤실(14b)에 대해서 파일롯유체를 공급 또는 배출하는 수동조작 기구(70b)가, 조작축(76)을 적당한 수단으로 누른 상태로 지지하는 것에 의해 입력포트(P)와 사용하지 않는 파일롯공급밸브시이트(46)(공급밸브실(52b)에서 개방 되는 것)를 연결하는 유로(60)와, 소경 피스톤실(14b)과 사용하지 않는 파일롯배출밸브시이트(47)(배출밸브실(53b)에서 개방되는 것)를 연결하는 유로(62b)를 단락시켜서, 입력포트(P)와 소경 피스톤실(146)을 직접 연통시킨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또, 상기한 사용하지 않는 파일롯공급밸브시이트(46)가 봉지부재(90) 등의 적당한 수단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싱글솔레노이드형 전환밸브에서, 솔레노이즈기구(20a)에 전원을 공급하면, 가동철심(29)이 고정철심(28)에 흡착되어 파일롯공급밸브시이트(46)가 개방되면서 파일롯배출밸브시이트(47)가 폐쇄되므로. 입력포트(P)와 대경 피스톤실(14a)이 연통하여, 파일롯유체가 그 대경 피스톤실(14a)에 유입되면서 대경 피스톤(15a)을 도면에서의 오른쪽으로 누른다. 이때, 반대쪽의 소경 피스톤실(14b)에는 입력포트(P)로부터 파일롯유체가 항상 공급되고 있어서. 소경 피스톤(15b)을 도면에서의 왼쪽으로 누르고 있는데, 대경 피스톤(15a)에 의한 작용력이 크기때문에, 메인밸브체(11)는 오른쪽으로 밀려서 이동한다.
솔레노이드기구(20a)에 대한 전원의 공급을 해제하면, 파일롯공급밸브시이트(46)가 폐쇄됨과 동시에 파일롯배출밸브시이트(47)가 개방되어, 대경 피스톤실(14a)내의 파일롯유체가 배출되므로, 소경 피스톤(15b)의 작용력에 의해 메인밸브체(11)는 왼쪽으로 밀려서 이동한다.
상기한 싱글솔레노이드형 전환밸브에서는, 단지 1개만 부착되어 있는 솔레노이드기구(20a)에 인접하여, 사용하지 않는 파일롯공급밸브시이트(46) 및 파이롯배출밸브시이트(47)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공간을 메우기 위한 더미보디(91)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솔레노이드기구(20b)와 더미보디(91) 사이의 측면에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상기한 제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결합기구(32)를 형성하고, 이 곁합기구를 이용하여 솔레노이드기구(20b)와 더미보디(91)를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
또, 단자판(23)에 설치된 급전단자(81)는 1개의 솔레노이드기구(20b)의 수전단자(43)에 대응하는 것만 남겨놓으면 된다.
제6도에서는, 수동조작기구(70b)로는 더블솔레노이드형 전환밸브로 사용하는 것을 그대로 사용하며, 그 조작축(76)을 누르고 있는 상태로 지지하고 있는데, 상기 한 조작축(76)에 대신하여, 제7도에 표시되어 있듯이, 입력포트(P)와 소경 피스톤실(14b)을 직접 연통시킨 상태로 지지할 수 있는 전용의 조작축(93)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수압면적이 다른 대경 및 소경의 피스톤(15a), (15b)을 설치하므로써, 솔레노이드기구의 증감과. 그 증감에 따른 간단한 조작이나 부품의 교환 등을 실시하는 것만으로, 더블솔레노이드형 전환밸브 또는 싱글솔레노이드형 전환밸브를 간단하고 확실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의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7)

  1. 유체의 본류가 흐르는 입력포트(P), 출력포트(A),(B) 및 배출포트(EA), (EB), 이들 포트를 연통상태를 전환하는 스풀식 메인밸브체(11)로 구성되는 메인밸브보디(10), 메인밸브보디(10)의 축방향에서 양쪽 끝에 부착된 2개의 단부판(13a). (13b), 상기한 각 단부판(13a), (13b)에 형성된 대경과 소경의 피스톤실(14a), (14b) 에서 메인밸브체(11)의 축방향에서의 양쪽 단부에 위치하도륵 설치된 수압면적이 다른 대경과 소경의 2개의 메인밸브체 구동용 피스톤(15a), (15b), 한쪽 단부판에 부착되어 있으며 입력포트(P)와 각 피스톤실 사이에 위치하는 2개의 파일롯공급밸브시이트(46), (46)와 각 피스톤실(14a),(14b)과 파일롯배출포트(EA), (EB)와 사이에 위치한 2개의 파일롯배출밸브시이트(47), (47)가 있는 파일롯밸브보디(21), 파일롯밸브보디(21)에 교환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한 파일롯공급밸브시이트(46) 및 파일롯배출밸브시이트(47)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기구(20a),(20b), 입력포트(P)와 대경 피스톤실(14a) 및 소경 피스톤실(14b)을 수동조작으로 연통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2개의 수동조작기구(70a),(70b) 및 솔레노이드기구(20a),(20b)에 대해 전원을 공급하는 급전수단(2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일롯식 전환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2개조의 파일롯공급밸브시이트(46),(46) 및 파일롯밸브시이트(47), (47)를 개폐하는 2개의 솔레노이드기구(20a), (20b)를 설치하므로써, 더블솔레노이드형 전환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일롯식 전환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2개의 솔레노이드기구(20a), (20b)가 서로 동일한 구성과 동일한 외형으로 형성되며, 그 측면에 형성되는 결합기구(32)에 의해 일체로 결합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일롯식 전환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입력포트(P)와 대경 피스톤실(14a)의 사이의 파일롯공급밸브시이트(46) 및 대경 피스톤실(14a)과 파일롯배출포트(R)와의 사이의 파일롯배출밸브시이트(47)를 개폐하는 1개의 솔레노이드기구(20a)를 설치하며, 소경 피스톤실(14b)에 대응하는 수동조작기구(70b)가, 입력포트(P)와 소경 피스톤실(14b)을 직접 연통시킨 상태로 지지되며, 또, 입력포트(P)와 소경 피스톤실(14b) 사이에 위치하는 사용하지 않는 파일롯공급밸브시이트(46)가 봉지부재(90)에 의해 폐쇄되는 것에 의해 싱글솔레노이드형 전환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 일롯식 전환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1개만 부착되어 있는 솔레노이드기구에 인접하여, 사용하지 않는 파일롯공급밸브시이트(46) 밋 파일롯배출밸브시이트(47)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공간을 메우기 위한 더미보디(91)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파일롯식 전환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솔레노이드기구와 더미보디(91)가, 각각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기구(32)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일롯식 전자밸브.
  7. 제3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결합기구가, 솔레노이드기구 및 더미보디(91)의 축선과 평행으로 형성된 결합용 돌기(35) 및 결합용 홈(36)이 있는, 서로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들 결합용 돌기(35)와 결합용 홈(36)을 축방향으로 결합시키므로써, 2개의 솔레노이드기구 또는 솔레노이드기구와 더미보디(91)를 서로 간극없이 겹친 상태로 결합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파일롯식 전자밸브.
KR2019930026089U 1993-12-02 1993-12-02 전자파일롯식 전환밸브 KR01209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6089U KR0120952Y1 (ko) 1993-12-02 1993-12-02 전자파일롯식 전환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6089U KR0120952Y1 (ko) 1993-12-02 1993-12-02 전자파일롯식 전환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680U KR950019680U (ko) 1995-07-24
KR0120952Y1 true KR0120952Y1 (ko) 1998-08-01

Family

ID=19369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6089U KR0120952Y1 (ko) 1993-12-02 1993-12-02 전자파일롯식 전환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095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680U (ko) 1995-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7015A (en) Electromagnetic pilot type selector valve
US5437306A (en) Double-solenoid type electromagnetic valve
US5558126A (en) Double solenoid type electromagnetic valve
US5443093A (en) Control device for a multiway valve
US6095489A (en) Double- or single-solenoid type selector valve encapsulated in resin
JP3837205B2 (ja) 封止形切換弁組立体
US5615710A (en) Pilot-type change-over valve
EP0719949B9 (en) Selector valve aggregate
KR0120952Y1 (ko) 전자파일롯식 전환밸브
KR0120951Y1 (ko) 더블솔레노이드형 전자밸브
US3633624A (en) Solenoid-operated valve assembly
JP4167779B2 (ja) 電磁弁
JP2589616Y2 (ja) ダブルソレノイド形電磁弁の給電装置
EP0800001B1 (en) Pilot solenoid valve
JP2575783Y2 (ja) ダブルソレノイド形電磁弁
JPH0643590Y2 (ja) ダブルソレノイドバルブ
JPH081656U (ja) パイロット形電磁弁
JP2575781Y2 (ja) ダブルソレノイド形電磁弁
WO2005064213A1 (en) Three-port solenoid valve
JP2575782Y2 (ja) シングルソレノイド形電磁弁
JPH08247320A (ja) 複合型切換弁
JPH05306785A (ja) 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