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0649Y1 - 잔반처리기용 악취제거기 - Google Patents
잔반처리기용 악취제거기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20649Y1 KR0120649Y1 KR2019950013657U KR19950013657U KR0120649Y1 KR 0120649 Y1 KR0120649 Y1 KR 0120649Y1 KR 2019950013657 U KR2019950013657 U KR 2019950013657U KR 19950013657 U KR19950013657 U KR 19950013657U KR 0120649 Y1 KR0120649 Y1 KR 012064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discharge pipe
- residue
- discharged
- dehydra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6—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drum fil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27—Floating sedimentation devic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crobi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잔반의 탈수, 건조, 발효시 발생되는 악취 및 부유물을 분해, 침전시켜 악취를 제거하는 잔반처리기용 악취제거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잔반처리기의 공기배출관(60)을 설명하면, 상기 히터부의 공기배출관(60)은 잔반의 건조 공기가 밖으로 배출되는 곳으로, 공기를 빨아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송풍기(61)를 설치하여 송풍기(61) 양측에 탈수통으로 통하는 공기배출관(60)과 밖으로 통하는 공기배출관(60)을 각각 설치한 것이다. 그러므로, 종래의 공기배출관(60)은 탈수통(64)에서 잔반의 탈수, 건조, 발효후 발생하는 악취를 그대로 밖으로 배출하여 잔반처리기의 가동시 심한 악취를 유발하였고, 또한 배출공기의 흡입시 공기만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작은 덩어리의 부유물이 혼합되어 나오므로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탈수통의 건조시 배출되는 악취공기와 부유물을 침전통에서 악취공기는 분해하여 맑은공기로 배출하고, 부유물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1도는 종래의 잔반처리기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잔반처리기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악취제거기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개략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악취제거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a)는침전 및 공기배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침전된 부유물의 배출상태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 공기배출관4: 송풍기
6: 침전통8: 공기배출구
10: 폐수배출관12: 물공급관
14: 솔레노이드밸브16: 수위감지센서
54: 배출케이싱56: 탈수통
66: 침전조
본 고안은 잔반처리기용 악취제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잔반의 탈수, 건조, 발효시 발생되는 악취 및 부유물을 분해, 침전시켜 악취를 제거하는 잔반처리기용 악취제거에 관한 것이다.
잔반처리기라 함은 예시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형의 본체 상측에는 음식물 찌꺼기(잔반)를 투입할 수 있는 호퍼형상의 투입부(50)와, 이 투입부(50) 하측에 투입부(50)에서 이동된 잔반을 1차 파쇄하여 배출시키는 파쇄기(52)와, 파쇄기(52) 일측에는 파쇄된 잔반을 탈수하기 위한 박스형의 배출케이싱(54)으로 감싼 탈수통(56)과, 상기 본체 투입부(4)의 후방부터 탈수통(56)의 끝단까지는 탈수통(56)의 잔반을 급속으로 건조시킬 수 있는 공기투압관(58)이 있고 건조후 발생된 악취공기를 배출할 수 있는 공기배출관(60)으로 이루어진 히터부와, 상기 본체(2) 일측에는 잔반 덩어리를 배출하는 배출부(62)를 구성하되 이 배출부(62) 일측상부에는 히터부의 송풍힘으로 발효제를 탈수통(64)에 투입할 수 있도록한 발효제 투입부와, 상기 본체하단에는 탈수시 배출되는 폐수를 정화시킬수 있도록한 침전조(66)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잔반처리기(선특허출원 제95-호)에 있어서, 본 고안은 상기 공기배출관(60)을 개량한 것으로, 종래의 히터부의 공기배출관(60)을 설명하면, 상기 히터부의 공기배출관(60)은 잔반의 건조 공기가 밖으로 배출되는 곳으로, 공기를 빨아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송풍기(61)를 설치하여 송풍기(61) 양측에 탈수통으로 통하는 공기배출관(60)과 밖으로 통하는 공기배출관(60)을 각각 설치한 것이다.
그러므로, 종래의 공기배출관(60)은 탈수통(64)에서 잔반의 탈수, 건조, 발효후 발생하는 악취를 그대로 밖으로 배출하여 잔반처리기의 가동시 심한 악취를 유발하였고, 또한 배출공기의 흡입시 공기만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작은 덩어리의 부유물이 혼합되어 나오므로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탈수통을 감싸는 배출케이싱 측벽 상측에 송풍기를 가진 공기 배출관을 삽입고정하여, 이 공기배출관 끝단에 악취제거기를 설치하고, 이 악취제거기는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구와, 맑은 물을 투입하는 투입관과, 침전된 부유물을 배출하는 폐수 배출관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공기배출관에서 배출되는 악취와 부유물이 혼합된 공기를 물에 침전시켜 악취는 분해시키고 부유물은 침전시켜 악취와 부유물이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막고, 침전된 부유물은 상기 배출케이싱으로 다시 투입되어 침전조에서 정화될 수 있도록한다. 그러므로 악취공기와 섞여 배출되는 배출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도면 제3도 및 제4도는 본 고안의 악취제거기를 도시한 것으로, 잔반을 투입하는 투입부(50)와, 투입부(50) 하측에는 투입부(50)에서 배출된 잔반을 파쇄하는 파쇄기(52)와, 이 파쇄기(52) 일측에는 잔반을 탈수한후 건조발효시키는 박스형의 배출케이싱(54)으로 감싼 탈수통(56)과, 상기 탈수통(56)에 있는 잔반을 급속 건조하기 위하여 가열공기를 송풍하는 공기투입관(58)과 잔반을 건조후 건조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관과, 상기 공기투입시 송풍힘으로 발효제가 투입될수 있도록한 발효제 투입부(64)와, 상기 탈수통(56)에서 배출되는 폐수를 정화하는 침전조(66)를 본체하단에 설치한 잔반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배출케이싱(54) 측벽 상단에 설치하여 중간에 송풍기(4)를 통해 침전통(6)의 저면까지 삽입하는 공기배출구(8)와, 악취공기와 혼합된 부유물을 침전할 수 있도록한 공기배출관(8), 폐수배출관(10), 물공급관(12)이 설치된 박스형의 침전통(6)을 형성한다.
상기 침전통(6)의 상측에는 부유물과 섞인 악취공기가 침전 및 분해과정을 거친후 밖으로 배출하는 공기배출구(8)를 설치하고, 침전통(6)의 측벽 하측에는 침전통(6)의 물을 교체할 수 있도록 물공급부와 연결된 중간에 솔레노이드 밸브(14)를 삽설한 물공급관(12)을 설치하며, 측벽 상측에는 배출케이싱(54)의 측벽하단과 연결시켜 상기 물공급시 수압으로 부유물을 배출하는 경사진 폐수배출관(10)을 형성한다. 또한, 폐수 배출관의 저부에는 수량의 수위를 감지하여 물공급관(12)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를 제어하는 수위감지센서(16)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도면 제4도의 (a)는 악취제거지의 침전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탈수통(56)에서 배출되는 부유물이 섞인 악취공기를 공기배출관(2)의 송풍기(4)로 흡입한후 침전통(6)의 바닦까지 투입하면 부유물은 바닥에 쌓이고, 악취공기는 물과 분해되어 상측에 설치된 공기배출구(8)를 통해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보여준다.
제4도의 (b)는 악취제거기의 폐수 배출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공기배출관(2)에서 배출된 부유물이 바닦으로 침전되어 퇴적될 경우에는 침전통(6) 측벽의 수위감지센서(16)가 수위를 감지하여 물공급관(12)의 솔레노이드 밸브(14)를 열면 물공급관으로 물이 투입된다. 이때, 물공급시 발생되는 수압은 침전된 부유물 상측에 배출케이싱(56)과 연결된 폐수배출관(10)을 향해 쏘아주어 부유물을 배출케이싱(56) 내부로 배출된다. 그후, 배출된 부유물이 섞인 폐수는 침전조(66)에 투입되어 정화후 밖으로 배출한다.
한편, 침전통(6)의 물공급은 지정된 시간간격후 물공급관(12)의 솔레노이드밸브(14)를 자동으로 닫아 물공급을 차단하고, 파쇄기가 작동시 솔레노이드 밸브(14)를 열어 물을 공급하는 것으로 이러한 동작은 반복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탈수통의 건조시 배출되는 악취공기와 부유물을 침전통에서 악취공기는 분해하여 맑은공기로 배출하고, 부유물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 잔반투입구(50)와, 투입부(50)에서 배출된 잔반을 파쇄하는 파쇄기(52)와, 이 파쇄기(52)에서 배출되는 잔반을 탈수, 발효, 건조시키는 배출케이싱(54)으로 감싼 탈수통(56)과, 탈수통(56)의 잔반을 급속 건조시킬 수 있도록 공기를 투입, 배출하는 공기투입 배출관과, 발효제 투입부(64)와, 상기 탈수통(56)에서 배출되는 폐수를 정화하는 침전조(66)를 본체 하단에 설치한 잔반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배출케이싱(54) 측벽 상단에 설치하여 중간에 송풍기(4)를 통해 침전통(6)의 저면까지 삽입하는 공기배출관(2)을 형성하며, 상측에는 맑은 공기를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구(8)를 설치하고, 측벽 하측에는 물공급부와 연결되어 중간에 솔레노이드 밸브(14)를 삽설한 물공급관(12)을 설치하되 측벽 상측에는 상기 배출케이싱(10)의 측벽하단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폐수 배출관(10)을 형성하고, 이 배출관의 저부에는 물공급관(12)의 솔레노이드 밸브(14)를 제어하는 수위감지센서(16)를 설치한 침전통(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반처리기용 악취 제거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13657U KR0120649Y1 (ko) | 1995-06-16 | 1995-06-16 | 잔반처리기용 악취제거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13657U KR0120649Y1 (ko) | 1995-06-16 | 1995-06-16 | 잔반처리기용 악취제거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01775U KR970001775U (ko) | 1997-01-21 |
KR0120649Y1 true KR0120649Y1 (ko) | 1998-07-01 |
Family
ID=19415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50013657U KR0120649Y1 (ko) | 1995-06-16 | 1995-06-16 | 잔반처리기용 악취제거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20649Y1 (ko) |
-
1995
- 1995-06-16 KR KR2019950013657U patent/KR012064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01775U (ko) | 1997-01-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666106A (en) | Apparatus for multi-stage treatment of waste material | |
JP2008043835A (ja) | 生ごみ処理システム | |
CN114108758B (zh) | 一种处理粪便的方法以及可移动净排无下水道厕所 | |
KR0120649Y1 (ko) | 잔반처리기용 악취제거기 | |
KR102014708B1 (ko) |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 |
KR100258431B1 (ko) | 음식물 쓰레기와 분뇨의 퇴비화 시스템(system for making sastes of night soil and foostusfs into fertilizer) | |
KR970061794A (ko) | 음식물쓰레기 및 분뇨를 퇴비화시키는 처리시스템 | |
KR100192561B1 (ko) | 유기성 폐기물 관로처리 장치 및 방법 | |
KR102388987B1 (ko) | 오물 처리용 악취 제거 시스템 | |
KR101112007B1 (ko) | 배수 정화 장치 및 그의 세정 방법. | |
KR0175794B1 (ko) | 킷친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 |
KR0175775B1 (ko) | 미생물을 이용한 유기성 슬러지 정화장치 | |
ES2088749A1 (es) | Instalacion depuradora de residuos porcinos y similares. | |
KR100745139B1 (ko)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KR101247569B1 (ko) | 이동식 분뇨, 찌꺼기 및 하수 슬러지 재활용 처리 장치 | |
PL130037B1 (en) | Apparatus for cleaning the wastes,especially gaseous,liquid and pasty residues | |
JP3425673B2 (ja) | 車輛用トイレット装置 | |
KR100450148B1 (ko) | 소변 정화 처리장치 | |
CN218435487U (zh) | 一种市政污水的污泥干化及废气净化系统 | |
CN216039082U (zh) | 一种矿业废水分层处理装置 | |
JPH0987076A (ja) | 生ごみ処理方法 | |
KR200402228Y1 (ko)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AU711354B2 (en) | Waste system for toilets | |
JP2003275709A (ja) | 生ごみ処理システム | |
KR200213714Y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408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