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0613Y1 - 불량구간추적이 용이한 디지탈 가입자 보드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불량구간추적이 용이한 디지탈 가입자 보드 시험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613Y1
KR0120613Y1 KR2019930030248U KR930030248U KR0120613Y1 KR 0120613 Y1 KR0120613 Y1 KR 0120613Y1 KR 2019930030248 U KR2019930030248 U KR 2019930030248U KR 930030248 U KR930030248 U KR 930030248U KR 0120613 Y1 KR0120613 Y1 KR 01206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board
test
digital
digital subscr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302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1953U (ko
Inventor
김홍성
Original Assignee
송재인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인,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송재인
Priority to KR20199300302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0613Y1/ko
Publication of KR9500219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19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6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6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20Testing circuits or apparatus; Circuits or apparatus for detecting, indicating, or signalling faults or trou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09ISD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6Service observation; Fault circuit;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전자 교환기의 디지탈 가입자 보드를 생산할 때에 사용되는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불량구간의 추적이 용이하도록 한 디지탈 가입자 보드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불량구간 추적이 용이한 디지탈 가입자보드 시험자장치는 디지탈 가입자 보드(10)의 공통메모리(1)에 접속되는 공통메모리 정합부(31)와, 상기 디지탈 가입자 보드(10)의 가입자 접속부(5)에 접속되는 가입자 접속부(5)에 접속되는 가입자 접속정합부(37)와, 상기 공통메모리 정합부(31)와 가입자 접속정합부(37)에 접속되어 디지탈 가입자 보드에 대한 다단계 시험을 행하여 시험결과를 출력하는 제어부(33)와, 제어부(33)로 부터의 시험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35)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불량구간 추적이 용이한 디지탈 가입자 보드 시험장치
본 고안은 전전자 교환기의 디지탈 가입자 보드를 생산할 때에 사용되는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불량구간의 추적이 용이하도록 한 디지탈 가압자보드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이 가속화 됨에 따라 ISDN(종합정보통신망;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의 기능이 중요시 되었고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이 ISDN 기능을 부가하기 위해서는 디지탈 가입자 보드가 필요하다.
ISDN용 디지탈 가입자보드는 제1도와 같은 구조를 같는다. 상위 계층으로부터 받은 신호는 공통메모리(CM)(1)를 통하여 수신되고, 스위치(3)을 거쳐 가입자 접속부(5)에 전달되고, 가입자 접속부(5)에서 가입자가 쉽도록 변환되어 송신된다.
반대로 가입자로부터 온 신호는 가입자 접속부(5), 스위치(3), 공통메모리(1)를 차례로 거쳐 상위계층에 전달된다. 이와 같은 흐름의 제어는 제어기(7)로 부터 받아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디지탈 가입자 보드를 생산공장에서 양산하기 위해서는 생산된 보드를 테스트하는 시험장치가 필요하다. 시험장치는 상기의 디지탈 가입자 보드의 정상동작 여부를 테스트함과 동시에 불량한 부분이 있으면 이를 찾아주는 역할도 한다.
종래의 시험장치는 제2도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되어 있다. 즉 테스트하고자 하는 보드(10)에서 가입자로 보내는 신호와 가입자로부터 오는 신호를 연결시키는 이른바 루프백(Loop Back)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 루프백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험장치가 테스트하고자 하는 가입자보드(10)의 공통메모리(1)에 시험용 데이타를 인가하면 이 데이타는 스위치(3)를 거쳐 가입자 접속부(5)로 간다. 가입자 접속부(5)의 가입자 선이 루프백 되도록 결선되어 있으므로 송신된 신호는 같은 값으로 수신되고 이 수신된 데이타는 스위치(3)를 거쳐 공통메모리(1)에 쓰여진다. 이때 시험장치(20)는 이 공통메모리(1)의 데이타가 정상적으로 되돌아 왔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공통메모리 정합부(21)를 통해 데이타를 데이타를 수신한후 제어부(23)에서 이를 판별하여 출력부(25)로 출력하여 그 결과를 운용자에게 보여준다.
이와 같은 종래의 시험장치는 두단계로 시험을 수행한다. 즉 첫째, 공통메모리의 기능을 확인한다. 이 기능이 정상적이면 둘째, 시험용데이타를 송신하여 루프백시험을 행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서는 루프백되어 돌아온 데이타가 비정상적인 경우에 고장부위가 스위치의 송신부인지 수신부인지 혹은 가입자 접속부의 송신부인지 수신부인지를 알 수 없고 단지 스위치부와 가입자 접속부에서 고장났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가입자보드의 테스트를 여러단계로 나누어 행하므로써 불량구간을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는 시험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고안은 디지탈 가입자 보드(10)의 공통메모리(1)에 접속되는 공통메모리 정합부(31)와, 상기 디지탈 가입자 보드(10)의 가입자 접속부(5)에 접속되는 가입자 접속정합부(37)와, 상기 공통메모리 정합부(31)와 가입자 접속정합부(37)에 접속되어 디지탈 가입자 보드에 대한 다단계시험을 행하여 시험결과를 출력하는 제어부(33)와, 제어부(33)로부터의 시험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3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불량구간 추적이 용이한 디지탈 가입자 보드 시험장치를 제공한다.
제1도는 ISDN 디지탈 가입자 보드 구조도이고,
제2도는 종래의 시험장치 구조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의 시험장치 구조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제4도(a)는 PBTA와 테스트 타켓의 실장구조이고,
제4도(b)는 PBTA와 타켓간의 상호 신호 연결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시험장치의 구조도를 보여주고 있다. 기존의 구조와 가장 큰 차이점은 시험장치(30)에 가입자 접속 정합부(37)가 부가된 것이다. 즉 시험장치의 가입자 접속정합부(37)는 디지탈 가입자 보드(10)의 가입자 접속부(5)와 연결된다. 또한 33은 제어부, 35는 출력부이다.
본 고안에 의한 시험장치의 가입자 접속 정합부(37)는 디지탈 가입자 보드(10)의 가입자 접속부(5)와 유사한 구조를 갖고 있으며 디지탈 가입자 보드(10)가 BPI(Basic Rate Interface), PRI(Primary Rate Interface), BAMI(Basic Access Multiple Interface)중 어느 것이냐에 따라 달라지며, 본 고안에서는 이들 세종류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가입자 접속 정합부(37)를 세개로 병렬로 두고 릴레이를 이용하여 가입자 보드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연결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시험장치는 4단계의 시험을 거쳐 불량구간을 확인한다.
제1단계는 공통메모리(1) 기능확인 단계이다. 이것은 기존 구조와 동일한 것으로 가입자보드(10)의 공통메모리(1)가 정상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제2단계는 가입자 접속부(5) 기능확인 단계이다. 즉 가입자 보드(10)의 가입자 접속부(5)가 정상인지 아닌지를 시험하는 단계이다.
제3단계는 포워드패스(Forward Path) 확인단계이다. 상기 제1,제2단계가 모두 정상인 경우에 수행하게 되는데, 가입자 보드(10)의 공통메모리(1) → 스위치(3) → 가입자접속부(5)에 이르는 경로를 확인한다.
제4단계는 백워드 패스(Backward Path) 확인단계이다. 가입자 보드(10)의 가입자 접속부(5) → 스위치(3) → 가입자보드의 공통메모리(1)에 이르는 경로를 확인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이하에 설명한다.
제4-1도의 고조를 간단히 설명하면 PBTA(Pri Bami Test Assembly)(42)는 PRI(IPTA, IPCA)와 BAMI(IMTA, IMCA)의 시험용 지그 PBA(Printed Board Assembly)이다. PBTA(42)가 주체가 되어 시료보드의 기능별 시험를 수행하여 CRT모니터(44)를 통해 운용자에게 보여준다.
IPBB(ISDN Primary Back Board)의 카드에 PBTA(42)를 실장하고 카드1에 테스트 타켓(43)을 실장하며 기존의 라인제어-버스(LCBUS)와 PCM라인, SHW(Sub Highway)라인 등의 추가 점퍼로 두 PBA를 상호 연결한다. 또한 RS232C를 이용하여 CRT모니터(44)로 시험결과를 디스플레이 한다. 제4-2도는 PBTA(42)와 테스트 타켓(43)의 상호연결을 상세히 보여주고 있다.
아래의 표1의 6가지 테스트를 하기전에 먼저 프리 테스트를 행한다.
즉 타켓 PBA를 실장하고 전원을 온 (On)한다. 추출 클럭이 1.544 MHz가 되도록 공진주파수를 조정한다. PATA(42)를 설정하고 전원을 온(On)한다. PBTA(42)의 전면단자에 RS232C커넥터를 CRT모니터(44)에 연경한뒤 리셋단자를 누른다. 테스트 타켓(43)의 유형을 입력한다.
그리고 난 뒤 아래표1의 테스트를 행하고 그결과를 CRT모니터(44)에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가입자 보드의 시험을 여러 단계로 나누어 행함으로써 고장 부분을 용이하게 발견하여 수리할 수 있는 유용한 시험장치이다.

Claims (1)

  1. 전전자교환기용 가입자 보드에 있어서, 디지탈 가입자 보드(10)의 공통메모리(1)에 접속되는 공통메모리 정합부(31)와, 상기 디지탈 가입자 보드(10)의 가입자 접속부(5)에 접속되는 가입자 접속정합부(37)와, 상기 공통메모리 정합부(31)와 가입자 접속정합부(37)에 접속되어 디지탈 가입자 보드에 대한 다단계 시험을 행하여 시험결과에 출력하는 제어부(33)와, 제어부(33)로부터의 시험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3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구간 추적이 용이한 디지탈 가입자 보드 시험 장치.
KR2019930030248U 1993-12-29 1993-12-29 불량구간추적이 용이한 디지탈 가입자 보드 시험장치 KR01206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0248U KR0120613Y1 (ko) 1993-12-29 1993-12-29 불량구간추적이 용이한 디지탈 가입자 보드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0248U KR0120613Y1 (ko) 1993-12-29 1993-12-29 불량구간추적이 용이한 디지탈 가입자 보드 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1953U KR950021953U (ko) 1995-07-28
KR0120613Y1 true KR0120613Y1 (ko) 1998-08-01

Family

ID=19373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30248U KR0120613Y1 (ko) 1993-12-29 1993-12-29 불량구간추적이 용이한 디지탈 가입자 보드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061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1953U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13717C (en) D channel monitor
EP2432147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fault of signal processing equipment and optical interface board online
US4112414A (en) Host-controlled fault diagnosis in a data communication system
JPH06249919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端子間接続試験方法
US4335425A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having diagnosis function
KR0120613Y1 (ko) 불량구간추적이 용이한 디지탈 가입자 보드 시험장치
US7006117B1 (en) Apparatus for testing digital display driver and method thereof
CN108735309B (zh) 反应堆保护系统在役检验装置
US6847608B1 (en) Path management and test method for switching system
US6167542A (en) Arrangement for fault detection in circuit interconnections
GB2158326A (en) Testing arrangements of a digital switching systems
KR100438531B1 (ko) 자체 기능 테스트가 가능한 중계선 보드
CN111929561A (zh) 面向多构型系统配置的适配装置
KR910005333B1 (ko) 가입자 시험장치의 제어회로
KR100203363B1 (ko) 북미/유럽 방식 중계선 정합 보드의 하드웨어 기능 시험 장치
KR100606034B1 (ko) 교환시스템에서 우선가입자인터페이스회로 시험방법
KR950003721B1 (ko) 교환기 시험장치에서 판정결과의 음성서비스 제공방법
JPH04128661A (ja) 線路ディレイ試験装置
JPS5916455A (ja) デイジタル交換機の通話特性試験方法
KR200167254Y1 (ko) 티디엑스 시험대 정합장치
KR100208937B1 (ko) Pcm 단국장치에서 시그널링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920002479B1 (ko) 교환시스템의 cept1(유럽) 방식 중계선 정합 및 시험 방법
KR0168230B1 (ko) 개선된 시분할 교환기 가입자 시험장치
KR940013044A (ko) 전전자교환기의 통화로계 경로시험 분석 시스템
SU1012263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цифровых узл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