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0590Y1 - 손목 시계형 무선 호출기의 수신알람과 수신 진동 모드자동 변환장치 - Google Patents

손목 시계형 무선 호출기의 수신알람과 수신 진동 모드자동 변환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0590Y1
KR0120590Y1 KR2019950019439U KR19950019439U KR0120590Y1 KR 0120590 Y1 KR0120590 Y1 KR 0120590Y1 KR 2019950019439 U KR2019950019439 U KR 2019950019439U KR 19950019439 U KR19950019439 U KR 19950019439U KR 0120590 Y1 KR0120590 Y1 KR 01205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an body
control signal
current
unit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94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7419U (ko
Inventor
한동주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194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0590Y1/ko
Publication of KR9700074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4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05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05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2Selective call re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4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fastening to a wrist-watch or the li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목시계형 무선호출수신기의 모드 변환장치에 관한것으로, 특히 손목 시계형 무선호출기에서 호출 신호가 왔을경우 착용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소리로 또는 진동으로 알리는 기능을 자동으로 전환하여 주는 모드 자동 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모드 자동변환 장치는, 제1제어신호를 응답하여 진동호출하는 진동부와, 제2제어신호를 입력에 응답하여 알람호출하는 알람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인체와 터치시 상기 인체의 전류를 받아들이는 수단과, 상기 수단에 접속되며 상기 수단으로 부터 인체 전류를 감지하여 인체 전류가 있을때 전류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인체전류 감지수단과, 상기 인체 전류감지수단과 상기 진동부, 알림부 사이에 접속하여 알람부로 제2제어신호중 차단함과 동시에 제1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수단을 갖는다.

Description

손목 시계형 무선 호출기의 수신알람과 수신 진동 모드자동 변환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손목시계형 무선호출수신기의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무선호출수신기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세도.
제3도는 제2도의 동작 파형도.
본 고안은 손목시계형 무선호출수신기의 모드 변환장치에 관한것으로, 특히 손목 시계형 무선호출기에서 호출 신호가 왔을경우 착용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소리로 또는 진동으로 알리는 기능을 자동으로 전환하여 주는 모드 자동 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무선호출 수신기라함은 이동하는 사람을 무선으로 호출하는 것으로 현재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호출수신기는 여러 형태로 제작 판매 되고 있다. 예를들면, 펜형, 손목시계형 등이 그 대표적이다. 상기와 같은 무선호출 수신기는 알람모드와 진동모드로 세팅하게 되었있다. 즉, 모드 변환에 따라 무선호출을 스피커폭은 부저를 통과 알람모드축은 진동모드로 작동한다.
종래의 손목시계형 무선호출기는 사용자의 모드 변환에 의하여 호출 알람모드 또는 호출 진동 모드로 전환을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모드는 수동에 의하여 되기때문에 사용자에게 불편을 준다. 예를들면, 손목에 시계를 착용한 상태라면 진동모드이면 족할 것이나, 호출알람모드로 세팅되오 있는 경우 호출을 알람함으로서 주위에 영행을 주게되는 불편함이 초래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손목시계를 착용하였을 경우 진동 모드로, 풀로 있을 경우는 알람모드로 자동 제어되는 손목시계형 무선호출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제1제어신호에 응답하며 진동호출하는 진동부와, 제2제어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알람호출하는 알람부를 구비한 무선호출 수신기에 있어서, 인체와 터치시 상기 인체의 전류를 받아들이는 수단과, 상기 수단에 접속되면 상기 수단으로 부터의 인체 전류를 감지하여 인체 전류가 왔을때 전류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인체전류 감지수단과, 상기 인체 전류감 지수단과 상기 진동부, 알람부 사이에 접속하여 알람부로 제2제어신호중 차단함과 동시에 제1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수단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손목시계형 무선호출기의 호출신호 자동 모드절환블럭도를 도시화한 것이다.
상기의 구성은, 인체의 전류를 받아들이는 터치 플레이트(Touch plate)(10)와, 인체전류 감지부(12)와 스위치 부(14), 진동부(6), 알람부(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중, 진동부(6)와 알람부(8)는 종전의 무선호출기에서 사용되는 회로와 기구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터치 플레이트(10)는 시계의 뒷 뚜껑을 이용하여 인체의 전류를 인체전류 감지부(12)로 전송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터치 플레이트(10)에 의하여 얻어지는 출력 값은 인체전류 감지부(12)의 입력으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인체전류 감지부(12)는 사람의 인체의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시계를 착용하고 있을 경우에는 인체의 전류를 감지하여 일정 전압을 발생시켜 주는 장치이다. 이 장치는 시계의 뒷면 뚜껑 인터치 플레이트(10)을 이용하여 인체와 접촉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스위치부(14)는 인체 전류 감지부(12)에서 나오는 신호에 따라 진동부(6)를 인에이블 혹은 알람부(8)를 인에이블 한다. 예를들면, 인체에 접촉되어 있을 경우에는 진동부(6)를 인에이블하고 풀었을 경우에는 알람부(8)를 인에이블 한다.
따라서, 손목시계형의 무선호출 수신기중 손목에 착용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호출모드가 자동으로 변경된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도니 인체 전류 감지부와(12)와 스위치부(14)의 간단한 예로서 도시화 하였다. 제3도는 제2도의 일부분의 동작 파형도이다.
지금 터치 플레이트(10)에 인체가 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저항(R)의 가변정항에 의의해 인버터(I1)의 입력은 'H'가 되므로 인버터(I2)의 출력은 'H'가 된다.
터치 플레이트(10)에 손등의 인체가 닿으면 인체에서 유기된 전원 험(HUM)이 인버터(I1)에 입력이 된다. 인버터(I1)은 입력의 HUM 주파수에 따라 'H'와 'L'을 출력하는데 B점에서는 인버터(I1)의 출력이 'H'로 되면 다이오드(D1)을 통하여 급속히 충전되어 'H'로 되고 인버터 I1의 출력이 'L'로 되면 시정수 R,C에 따라 D2를 통하여 방전되어 'L'로 된다. 이 C,R의 시정수를 HUM주파수 50HZ, 또는 60HZ보다 충분히 길게 잡으면 B점의 파형은 터치 플레이트의 손에 닿고 있는 동안만 톱니파의 'H' 레벨만 얻을 수 있게 된다. B점의 파형을 인버터 12에서 파형 정형하여 출력하면 터치하고 있는 동안 'L'로 되는 펄스를 꺼낼수 있다. 입력의 가변 저항은 주위의 환경에 따라 외부 NOISE의 강도가 차이가 있으므로 입력의 임피던스를 가변하여 감도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결국 C점에서의 출력은 터치 플레이트가 손에 접촉이 되면 'L'로 되고 인체접촉이 없으면 'H'로 된다. 스위치부(4)에서는 C점의 신호를 받아 단지 진동부와 알람부의 신호르 반대로하여 한쪽만 ENABLE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손목 시계형 무선호출기에서 자동모드 절환장치를 삽입하므로서 착용하고 있을 경우에는 진동모드로 되고 풀어놓았을 경우에는 알람모드로 된다. 사용자는 활동시에 시계를 착용하고 호출신호시 진동으로 쉽게 인식하며 소리로 인한 시선집중이나 분위기를 흩트려 놓는 상황을 제거하며, 시계를 풀고 있는 상황, 즉 호출 진동을 느끼지 못할 사황에서는 자동으로 알람 모드로 전환되어 사용자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3)

  1. 제1 제어신호에 응답하며 진동호출하는 진동부와, 제2 제어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알람호출하는 알람부를 구비한 무선호출 수신기에 있어서, 인체와 터치시 상기 인체의 전류를 받아들이는 수단과, 상기 수단에 접속되면 상기 수단으로 부터의 인체 전류를 감지하여 인체 전류가 있을때 전류감지신호를 출력한는 인체전류 감지수단과, 상기 인체 전류감지수단과 상기 진동부, 알람부 사이에 접속하여 알람부로 제2 제어신호중 차단함과 동시에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기의 모드 자동 절환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도전성이 양호한 도철임을 특징으로하는 손목 시계형 무선 호출기의 수신알람과 수신 진동의 모드 자동 변환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전류 감지수단은, 인체의 험전류에 대응한 주파수중 발생하는 주파수 발생수단과, 상기 주파수 발생수단의 출력을 파형정형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시계형 무선 호출기의 수신알람과 수신 진동의 모드 자동 변환장치.
KR2019950019439U 1995-07-29 1995-07-29 손목 시계형 무선 호출기의 수신알람과 수신 진동 모드자동 변환장치 KR01205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9439U KR0120590Y1 (ko) 1995-07-29 1995-07-29 손목 시계형 무선 호출기의 수신알람과 수신 진동 모드자동 변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9439U KR0120590Y1 (ko) 1995-07-29 1995-07-29 손목 시계형 무선 호출기의 수신알람과 수신 진동 모드자동 변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419U KR970007419U (ko) 1997-02-21
KR0120590Y1 true KR0120590Y1 (ko) 1998-08-01

Family

ID=19419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9439U KR0120590Y1 (ko) 1995-07-29 1995-07-29 손목 시계형 무선 호출기의 수신알람과 수신 진동 모드자동 변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0590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54925B1 (en) 2013-04-22 2014-10-07 Lg Electronics Inc. Smart watch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WO2014181918A1 (en) * 2013-05-07 2014-11-13 Lg Electronics Inc. Smart watch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5005525A1 (en) * 2013-07-10 2015-01-15 Lg Electronics Inc. Head mounted display device including multiple user interface format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WO2015034149A1 (en) * 2013-09-09 2015-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device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using bio-signals and authentication method of the same
KR20180066441A (ko) * 2016-12-09 2018-06-19 주식회사 모두의연구소 통합형 호흡 측정을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US11663305B2 (en) 2014-02-21 2023-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rolling input/output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6636A (ko) * 1999-04-19 2000-11-15 김한석 휴대용 무선전화기
KR100414665B1 (ko) * 2001-10-27 2004-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압력 경보 신호 발생 장치
KR20030069727A (ko) * 2002-02-22 2003-08-27 고광철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수신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신감지 방법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88973B2 (en) 2013-04-22 2015-03-24 Lg Electronics Inc. Smart watch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140126027A (ko) * 2013-04-22 2014-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워치 및 제어 방법
WO2014175505A1 (en) * 2013-04-22 2014-10-30 Lg Electronics Inc. Smart watch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9477208B2 (en) 2013-04-22 2016-10-25 Lg Electronics Inc. Smart watch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8854925B1 (en) 2013-04-22 2014-10-07 Lg Electronics Inc. Smart watch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140132232A (ko) * 2013-05-07 2014-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워치 및 제어 방법
US9086687B2 (en) 2013-05-07 2015-07-21 Lg Electronics Inc. Smart watch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4181918A1 (en) * 2013-05-07 2014-11-13 Lg Electronics Inc. Smart watch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946229B2 (en) 2013-05-07 2018-04-17 Lg Electronics Inc. Smart watch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5005525A1 (en) * 2013-07-10 2015-01-15 Lg Electronics Inc. Head mounted display device including multiple user interface format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US9250442B2 (en) 2013-07-10 2016-02-02 Lg Electronics Inc. Head mounted display device including multiple user interface format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for
WO2015034149A1 (en) * 2013-09-09 2015-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device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using bio-signals and authentication method of the same
KR20150029105A (ko) * 2013-09-09 2015-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들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착용형 기기 및 그 착용형 기기의 인증 방법
US9811648B2 (en) 2013-09-09 2017-1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device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using bio-signals and authentication method of the same
US11663305B2 (en) 2014-02-21 2023-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rolling input/output devices
KR20180066441A (ko) * 2016-12-09 2018-06-19 주식회사 모두의연구소 통합형 호흡 측정을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419U (ko) 199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6497A (en) Radio with silent and audible alerts
US4785291A (en) Distance monitor especially for child surveillance
JP2897729B2 (ja) 携帯用小型電子機器
US5119072A (en) Apparatus for monitoring child activity
US5767778A (en) Event sensing circuit and alert generator
KR0120590Y1 (ko) 손목 시계형 무선 호출기의 수신알람과 수신 진동 모드자동 변환장치
WO1995001619A1 (en) Means for locating a remote control device
WO2007078423A2 (en) Window-attached alerting device
GB2303724B (en) Radio receiver having function to detect power voltage
JP3068478B2 (ja) 携帯無線装置
JP2738015B2 (ja) 無線ページング受信機
WO2004015643A1 (en) Wireless audio monitor
CN1143580C (zh) 电信终端
JP3473364B2 (ja) ワイヤレスコール装置
KR0131883Y1 (ko) 무선호출기의 호출모드 자동선택 장치
JPH0669883A (ja) 携帯コードレス電話機の紛失警報器
JPH11136318A (ja) バイブレータ付き携帯電話機
JP2601203B2 (ja) 携帯電話機
KR950000464Y1 (ko) 무선전화기의 수화음량 자동조절 장치
KR19990032633A (ko) 무선 통신기기의 신호에 있어서 신호음과 진동의 자동전환장치
JPH10164659A (ja) 無音報知および可聴報知機能を有する携帯無線機
JPH05167A (ja) 低周波治療器
KR19980030802A (ko) 무선 수신기의 호출 경보 제어 회로
JP2636739B2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
KR200202684Y1 (ko) 뇌파를 이용하는 수면 경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